KR200202618Y1 -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618Y1
KR200202618Y1 KR2020000018627U KR20000018627U KR200202618Y1 KR 200202618 Y1 KR200202618 Y1 KR 200202618Y1 KR 2020000018627 U KR2020000018627 U KR 2020000018627U KR 20000018627 U KR20000018627 U KR 20000018627U KR 200202618 Y1 KR200202618 Y1 KR 200202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blade
vehicle
contact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캄코
Priority to KR2020000018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60S1/3495Means for mounting the drive mechanism to the wi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 고정구비되어 차량의 전면유리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에 있어서, 러버재질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는 중앙을 기준으로 전면유리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100a)와 전면유리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제 2접촉부(100b)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와이퍼장치의 구동시 전면유리 전체를 보다 깨끗하게 닦게 되므로 전방시계를 보다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STRUCTURE WIPER BLADE FOR AUTOMOTIVE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면유리에 구비되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개선하여 와이퍼 구동시 보다 확실하게 전면유리와 접촉되도록 하여 전면유리의 전부분에 와이핑이 골고루 잘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기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추진축등을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 및 구동륜을 회전시켜 구동하게 되는 것으로, 사람들의 이동수단으로 이용됨을 물론 화물의 운반에 관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는 주행시 운전자가 도로조건 및 외부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 넓은 면적을 유리등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면유리는 우천시 또는 이물질등이 묻게 되면 주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이 커지게 되므로 시야 확보의 장애요소인 빗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와이퍼장치를 들 수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퍼장치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장치(10)는 차량(11)의 전면유리(12)를 닦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정,역구동가능한 미도시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회동되도록 된 링케이지(미도시)와, 이 링케이지의 선단에 장착되어 전면유리와 직접촉되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3)를 결합한 와이퍼 아암(14) 등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통상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와이퍼장치(10)를 구동시키게 되면, 와이퍼 아암(14)은 원호를 그리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인 회동을 거듭한 바, 이에 따라 와이퍼 아암(14)의 선단에 결합된 블레이드(13)는 차량(11)의 전면유리(12)를 닦게 된다.
그러나,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1)의 전면유리(12)는 평면이 아닌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블레이드(13)는 전면유리(12)와 접촉하는 부위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면유리(1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한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퍼장치(10)의 구동시 전면유리(12)의 하단부에서는 특히 블레이드(13)와 전면유리(12)가 완전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와이퍼 구동시 전면유리의 하단부에서는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깨끗하게 닦지 못하게 되므로 전방시야를 확보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면유리에 대응되게 그 양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와이퍼 구동시 전면유리에 블레이드가 완전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보다 넓은 시계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퍼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레이드 100a : 제1접촉부
100b : 제2접촉부 105 : 와이퍼 아암
110 : 전면유리 115 : 와이퍼장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 고정구비되어 차량의 전면유리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에 있어서, 중앙을 기준으로 전면유리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와 전면유리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제 2접촉부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105)에 연결 고정구비되어 차량의 전면유리(110)와 접촉하는 블레이드(100)는 타단과 일단이 상호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0)는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와이퍼장치(115) 구동시 차량의 전면유리(110)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100a)보다 전면유리(110)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블레이드(100)의 제2접촉부(100b) 높이가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의 제1,2접촉부(100a,100b) 높이 비는 대략 1:2정도의 비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 되어 블레이드(100)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전면유리(110)에 대응되게 블레이드(100)가 완전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블레이드(100)를 와이퍼장치(115)에 구비하여 전면유리(110)를 닦게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장치(115)를 구동시키게 되면, 와이퍼 아암(105)은 원호를 그리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인 회동을 거듭한 바, 이에 따라 와이퍼 아암(105)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1,2접촉부(100a,100b)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블레이드(100)는 차량의 전면유리(110)를 닦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00)의 제1,2접촉부(100a,100b)는 소정량 볼록하게 형성된 전면유리(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2접촉부(100b)가 제1접촉부(100a)에 비해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면유리(110)의 상부면은 제1접촉부(100a)가 접촉하게 되고, 하부면은 제2접촉부(100b)가 완전 접촉하게 되면서 닦게 된다. 이로 인해 전면유리의 상,하부면이 골고루 닦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퍼장치의 와이퍼 아암과 결합연결되는 블레이드의 제1,2접촉부를 전면유리에 대응되게 상호 달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와이퍼장치의 구동시 전면유리 전체를 보다 깨끗하게 닦게 되므로 전방시계를 보다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 고정구비되어 차량의 전면유리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에 있어서,
    중앙을 기준으로 전면유리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100a)와 전면유리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제 2접촉부(100b)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촉부(100b)는 상기 제 1접촉부(100a)에 비해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KR2020000018627U 2000-06-29 2000-06-29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KR200202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27U KR200202618Y1 (ko) 2000-06-29 2000-06-29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27U KR200202618Y1 (ko) 2000-06-29 2000-06-29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618Y1 true KR200202618Y1 (ko) 2000-11-15

Family

ID=1966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27U KR200202618Y1 (ko) 2000-06-29 2000-06-29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6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2618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EP3562715B1 (en) A wiper system and a vehicle with such a wiper system
KR900004058B1 (ko) 자동차용 와이퍼장치
KR19980021842U (ko) 자동차와이퍼용 블레이드
KR015899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13438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33437U (ko) 자동차의 단일형 윈드시일드 와이퍼 구조
KR100264880B1 (ko) 차량용4절식와이퍼아암
KR19980046188U (ko) 차량 와이퍼 구동장치
KR200210359Y1 (ko) 와이퍼 아암 일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KR100427382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46880Y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 와이퍼의 와이핑 에어리어 변환 장치
KR0120691Y1 (ko) 자동차의 리어윈도용 와이퍼 어셈블리
KR200172282Y1 (ko) 자동차용와이퍼
KR200202619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고리 구조
KR200166949Y1 (ko) 자동차의 캠 구동식 와이퍼
KR19980049652U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210059319A (ko)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KR100368925B1 (ko) 자동차용 와이퍼장치
KR19980035272U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9990021161A (ko) 직선왕복 와이퍼 장치
KR19990005897U (ko) 자동차용 윈드쉴드 글래스의 와이핑 장치
KR19980047097U (ko) 자동차의 윈도우 와이퍼 장치
KR19980036103A (ko) 자동차용 싱글 와이퍼
KR19990021295A (ko) 자동차용 단식와이퍼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