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751Y1 - 자동차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751Y1
KR200260751Y1 KR2019990007697U KR19990007697U KR200260751Y1 KR 200260751 Y1 KR200260751 Y1 KR 200260751Y1 KR 2019990007697 U KR2019990007697 U KR 2019990007697U KR 19990007697 U KR19990007697 U KR 19990007697U KR 200260751 Y1 KR200260751 Y1 KR 200260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ink
arm
wiper arm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503U (ko
Inventor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7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751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751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과 같이 와이퍼 암 및 링크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주는 운동 메카니즘을 배제하고, 대신에 링크의 운동방향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와이퍼 암의 운동방향도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정한 운동 메카니즘을 채용함으로써, 전면유리의 좌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여 와이퍼의 세척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Wipe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 암과 링크의 운동 메카니즘을 개선하여 전면유리 좌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까지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와이퍼는 동력원인 와이퍼 모터와, 2개의 와이퍼 암을 회전시켜주는 링크와, 와이퍼 암 및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와이퍼 모터의회전으로 링크가 앞뒤로 움직이면 2개의 와이퍼 암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전면유리를 닦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와이퍼 암 및 링크의 운동 메카니즘은 와이퍼 암 간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면서 최적의 세척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 때문에 대부분의 차량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전면유리의 좌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은 전혀 닦아주지 못하는 취약점을 갖고 있으며, 최근 와이퍼의 세척영역에 대한 법규가 강화되면서 상기 취약부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이에 따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전과 같이 와이퍼 암 및 링크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주는 운동 메카니즘을 배제하고, 대신에 링크의 운동방향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와이퍼 암의 운동방향도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정한 운동 메카니즘을 채용함으로써, 전면유리의 좌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여 와이퍼의 세척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퍼 모터 11 : 제1링크
12 : 제2링크 13 : 제1구동 암
14 : 제1와이퍼 암 15 : 제2구동 암
16 : 연결 링크 17 : 제2와이퍼 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와이퍼 모터(10)와, 모터 축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1링크(11) 및 제2링크(12)와, 제1링크(11)와는 제1구동 암(13)으로 연결되고 전면유리의 우측 상단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1와이퍼 암(14)과, 제2링크(12)와는 2개의 제2구동 암(15) 및 연결 링크(16)로 연결되고 전면유리의 좌측 상단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2와이퍼 암(1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링크(11)와 제2링크(12)는 모터를 중심으로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와이퍼 암(14)과 제2와이퍼 암(17)는 함께 모여지면서 눕혀지고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세워지는 단계를 반복하는 운동 메카니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의 여러 구성요소들에 대한 운동 메카니즘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1과 12는 제1링크와 제2링크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제1링크(11) 및 제2링크(12)는 와이퍼 모터(10)의 축에 각각 연결되어 축 회전과 함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각 링크는 서로 반대 방향, 즉 제1링크(11)는 우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제2링크(12)는 좌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동시에 안쪽으로 가까워 졌다가 함께 바깥쪽으로 멀어지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3과 15는 제1구동 암과 제2구동 암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제1구동 암(13) 및 제2구동 암(15)은 링크의 운동을 암으로 전달해주는 중간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링크의 연장된 끝과 암의 회전 중심점 사이에 연결설치된다.
특히, 2개의 제2구동 암(15) 중에서 연결 링크(16)와 제2링크(12) 사이에 연결되는 제2구동 암(15)은 V형태를 하면서 와이퍼 모터(10)와 제2와이퍼 암(17)의 회전 중심축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좌우 요동되면서 제2링크(12)의 운동을 연결 링크(16)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면부호 14와 17은 제1와이퍼 암과 제2와이퍼 암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제1와이퍼 암(14) 및 제2와이퍼 암(17)은 그 회전 중심점을 차량의 바깥쪽에 두고 안쪽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된다.
이때, 제1와이퍼 암(14)은 제2와이퍼 암(17)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며, 암에 일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블레이드도 일부 길이가 중복되는 상태에서 윗쪽과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와이퍼에 대한 운동 메카니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와이퍼 모터의 구동에 따라 2개의 링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께 운동하면서 각각의 구동 암을 당겨주거나 밀어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2개의 와이퍼 암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궤적을 그리면서 함께 모여지면서 눕혀지거나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면유리가 닦일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와이퍼 암의 운동 메카니즘에서는 그 세척영역이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암 및 링크의 운동 메카니즘을 채용함에 따라 종전의 와이퍼 암 및 링크의 운동 메카니즘으로는 확보할 수 없었던 전면유리 좌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 까지 세척영역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점차 강화되고 있는 와이퍼 세척영역에 대한 법규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링크수단 및 암수단을 이용한 운동 메카니즘을 갖는 와이퍼을 제공하여 전면유리 좌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 까지 세척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퍼 세척영역에 대한 강화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와이퍼 모터(10)와, 모터 축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1링크(11) 및 제2링크(12)와, 제1링크(11)와는 제1구동 암(13)으로 연결되고 전면유리의 우측 상단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1와이퍼 암(14)과, 제2링크(12)와는 2개의 제2구동 암(15) 및 연결 링크(16)로 연결되고 전면유리의 좌측 상단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2와이퍼 암(1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1)와 제2링크(12)는 모터를 중심으로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퍼 암(14)과 제2와이퍼 암(17)은 각각의 회전 중심점을 차량 바깥쪽에 두고 안쪽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위아래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제1와이퍼암(14)은 제2와이퍼암(17) 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KR2019990007697U 1999-05-07 1999-05-07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60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97U KR200260751Y1 (ko) 1999-05-07 1999-05-07 자동차용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97U KR200260751Y1 (ko) 1999-05-07 1999-05-07 자동차용 와이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503U KR20000020503U (ko) 2000-12-05
KR200260751Y1 true KR200260751Y1 (ko) 2002-01-17

Family

ID=5476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697U KR200260751Y1 (ko) 1999-05-07 1999-05-07 자동차용 와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68B1 (ko) * 2008-08-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와이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68B1 (ko) * 2008-08-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503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5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200260751Y1 (ko) 자동차용 와이퍼
JP2000095067A (ja) ワイパー装置
KR10068107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224441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90063705A (ko) 차량의 와이퍼 구동모터
KR100372701B1 (ko) 내장용 도르래에 의한 길이 가변형 와이퍼
KR200171220Y1 (ko) 캠을 이용한 일체형 와이퍼 링크구조
KR200202620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링크
KR200144419Y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구동장치
KR100427382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29251Y1 (ko)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KR100381284B1 (ko) 트위스팅 와이퍼 아암
KR19980046188U (ko) 차량 와이퍼 구동장치
KR200146880Y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 와이퍼의 와이핑 에어리어 변환 장치
US6766554B1 (en) Low acceleration symmetrical overlap wiper system
KR200202618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KR100397856B1 (ko) 자동차의 와이퍼장치
KR19990010246A (ko) 자동차의 윈도우 브러쉬
KR200202619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고리 구조
KR100535140B1 (ko) 자동차용 와이퍼장치
KR900004058B1 (ko) 자동차용 와이퍼장치
KR19980045735A (ko) 와이퍼 조립체
KR19980047091U (ko) 차량용 뒷창문 가변식 와이퍼
KR19990021295A (ko) 자동차용 단식와이퍼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