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251Y1 -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251Y1
KR200229251Y1 KR2019980024037U KR19980024037U KR200229251Y1 KR 200229251 Y1 KR200229251 Y1 KR 200229251Y1 KR 2019980024037 U KR2019980024037 U KR 2019980024037U KR 19980024037 U KR19980024037 U KR 19980024037U KR 200229251 Y1 KR200229251 Y1 KR 200229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ink
vehicle
windshiel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494U (ko
Inventor
석남영
Original Assignee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주식회사 캄코 filed Critical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Priority to KR2019980024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25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251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와이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석의 차창유리를 닦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 우 왕복 운동을 하여, 와이퍼의 운동 궤적을 크게하여 차량의 창유리의 와이핑면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차량 운전석 전면의 창유리를 닦아주는 와이퍼 구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와이퍼 모타(3)의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레버(4)와, 상기 메인레버(4)에 축핀으로 고정되어 회동하는 제1링크(51)와, 와이퍼(1)를 고정하는 와이퍼 아암(2)과, 상기 와이퍼 아암(2)의 후단에는 제1링크(51)와 제3링크(53)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제2링크(52)가 설치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51)의 축회동에 의해 와이퍼 아암(2)을 회동시키는 제3링크(53)를 연결하므로써 회동하는 상기 와이퍼가 중간 구간에서 운동 궤적이 증대되도록 구성으로 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본 고안은 차량 와이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석의 차창유리를 닦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 우 왕복 운동을 하여, 와이퍼의 운동 궤적을 크게하여 차량의 창유리의 와이핑면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면이나 또는 배면에는 차창유리를 쓸어 내리거나 닦도록 된 와이퍼장치가 구비되어, 운행중 차창유리에 달라붙는 빗물이나 이물질, 먼지 등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 우 양측으로 쓸어 내려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장치에는 차창유리와 면접촉하도록하는 고무재로 된 와이퍼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가 차창유리의 표면을 긁어내듯이 쓸어 내리면서 차창유리 면을 닦도록 구성되고 있다.
종래의 와이퍼장치는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창유리를 닦기 위해서는 와이퍼 모터(3)가 구동을 하게 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3)의 회전 구동력이 크랭크 아암(7)에 전달되어 메인 레버(4)를 좌,우방향으로 이송 한다.
상기 메인 레버(4)의 일단에는 축핀에 의해 결합되는 링크(5)가 와이퍼(1)를 고정하는 와이퍼 아암(2)과 결합하여 고정된다.
한편, 와이퍼 모터(3)의 동력을 받은 크랭크 아암(7)이 메인레버(4)를 좌.우방향으로 이송 시킴에 따라, 일단의 링크(5)와 결합된 와이퍼 아암(2)이 회동을 하게 되면서, 상기 와이퍼 아암(2)에 체결된 와이퍼(1)가 차창의 유리창을 닦아 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와이퍼 장치는 모타의 구동력을이 와이퍼 아암(2)으로 전달되면서 와이퍼(1)의 운동 궤적이 부챗살의 모양으로 그리게 되므로 와이퍼(1)에 의해 닦여지는 면적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닦여 지지 않는 사각이 존재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차창유리를 닦는 와이퍼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의 구조를 개량하여 와이퍼장치가 움직이는 운동 궤적을 종래보다 크게 증대시켜 와이퍼장치에 의해 닦여지지 않는 사각을 최소화 시키도록 된 와이퍼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와이퍼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와이퍼가 구동을 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와이퍼가 구동하여 창 유리를 와이핑한 상태를 나태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이퍼
2 : 와이퍼아암
3 : 와이퍼 모터
4 : 메인 레버
5 : 링크
와이퍼 모타(3)의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레버(4)와, 상기 메인레버(4)에 축핀으로 고정되어 회동하는 제1링크(51)와, 와이퍼(1)를 고정하는 와이퍼 아암(2)과, 상기 와이퍼 아암(2)의 후단에는 제1링크(51)와 제3링크(53)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제2링크(52)가 설치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51)의 축회동에 의해 와이퍼 아암(2)을 회동시키는 제3링크(53)를 연결하므로써 회동하는 상기 와이퍼가 중간 구간에서 운동 궤적이 증대되도록 구성으로 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 운전석 전면의 창유리를 닦아주는 와이퍼 구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와이퍼 모타의 동력을 받은 메인 레버(4)는 슬라이딩을 하면서, 제1링크(51)를 소정의 각도 만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링크(51)의 일단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한채, 왕복운동하는 제2링크(52)가 와이퍼 아암(2)에 축핀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아암(2)이 회동할 때 중앙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는 제3링크(53)의 지지력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도 3에서 나타는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이 초기상태의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회동하면서 차량의 유리면을 닦게 된다.
이때, 제3링크가 상기 와이퍼 아암의 중간지점에 도달할 때,와이퍼 아암(2)과 제3링크(53)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와이퍼의 운동궤적이 최대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와이퍼장치의 구동부에 제3링크(53)를 길게한 새로운 링크구조를 책택함으로서, 차창의 구석 부분쪽으로 더큰 궤적을 그리며 회동될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차창유리를 닦는 와이핑면이 크게 증대되어 와이퍼에 의해 닦여지지 않는 사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차량 운전석 전면의 창유리를 닦아줄 수 있도록 마련된 와이퍼(1)와, 상기 와이퍼(1)를 지지하는 와이퍼 아암(2)과, 상기 와이퍼 아암(2)과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모타(3)를 구비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모타(3)와 연결되어 좌우측으로 동작되는 메인레버(4), 일단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 일측은 상기 메인레버(4)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링크(51)와, 일단은 상기 와이퍼 아암(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5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링크(52)와, 일단은 상기 제2링크(5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3링크(53)가 구비되어 상기 제1링크(5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링크(52)와 제3링크(53)가 인접되어 상기 와이퍼(1)의 운동궤적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KR2019980024037U 1998-12-03 1998-12-03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KR200229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037U KR200229251Y1 (ko) 1998-12-03 1998-12-03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037U KR200229251Y1 (ko) 1998-12-03 1998-12-03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94U KR20000011494U (ko) 2000-07-05
KR200229251Y1 true KR200229251Y1 (ko) 2001-10-25

Family

ID=6950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037U KR200229251Y1 (ko) 1998-12-03 1998-12-03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2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94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378B1 (ko) 스크린 와이퍼조립체
KR200229251Y1 (ko)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KR200144419Y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구동장치
KR200166949Y1 (ko) 자동차의 캠 구동식 와이퍼
KR19990010246A (ko) 자동차의 윈도우 브러쉬
KR0116171Y1 (ko) 자동차용 윈드쉴드 와이퍼의 아암 결합구조
KR19980046188U (ko) 차량 와이퍼 구동장치
KR200171220Y1 (ko) 캠을 이용한 일체형 와이퍼 링크구조
KR200144420Y1 (ko) 자동차의 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28486U (ko) 자동차의 와이퍼
KR100372701B1 (ko) 내장용 도르래에 의한 길이 가변형 와이퍼
KR100328529B1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KR970010064B1 (ko) 자동차용 와이퍼
JP2001151079A (ja) ワイパ装置
KR100235746B1 (ko) 차량 윈도우 와이퍼의 연동구조
KR0146165B1 (ko) 자동차용 와이퍼
MXPA05000005A (es) Dispositivo limpiavidrios que incluye un mecanismo para limitar su desprendimiento.
JPH01153364A (ja) ばねを利用したワイパ
JPH08142803A (ja) ワイパー装置
KR20000010689U (ko) 로우터리형 두날 와이퍼 블레이드 리프를 갖춘 차량의 와이퍼장치
KR19980042801U (ko) 자동차의 캠 구동식 와이퍼
JPH08175337A (ja) 自動車用ワイパー
JPS5981240A (ja) 自動車用ワイパ
KR19980035809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9990019582U (ko) 싱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한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