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186A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186A
KR20040058186A KR10-2004-7004168A KR20047004168A KR20040058186A KR 20040058186 A KR20040058186 A KR 20040058186A KR 20047004168 A KR20047004168 A KR 20047004168A KR 20040058186 A KR20040058186 A KR 2004005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guide
wiper blade
pivo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904B1 (ko
Inventor
스테판 마이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5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97Additional means for guiding the blade other than the arm or blad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94End caps having a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2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to prevent longitudinal sliding of squeegee in support,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2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바(32, 74)의 단부가 와이퍼 암(10)의 힌지부(12)에서 윈드실드 글라스(26)에 대해 약간 수직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바(32, 74)가 측방 안내면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20)의 부품에 접하며,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22) 및 와이러 고무날(24)을 포함하고, 가이드 바(32, 74)를 포함하는 장치(28)를 통해 와이퍼 암(10)에 대해 측방으로 안내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2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벗 베어링(86, 88)이 상기 가이드 바(32, 74)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며, 이 피벗 베어링 중 하나에 의해 와이퍼 암(10) 방향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20) 방향에서의 동작이 허용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잘 알려진 윈드실드 와이퍼는, 고정부 및 이 고정부와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와이퍼 로드를 갖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암을 갖는다. 상기 와이퍼 로드는 개별 부품으로서 힌지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힌지부에 직접 주조될 수 있다. 와이퍼 고무날 및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로드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는, 중앙 클립 및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와이퍼 고무날을 고정하는 발톱형 클립 및/또는 추가적 클립과 같은 다른 클립을 갖는 클립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런 종류의 윈드실드 와이퍼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37 44 237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독일 특허 제197 38 232호에는 탄성의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의 무관절형 지지 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와이퍼 고무날을 고정하며 무부하 상태에서 특정한 만곡률을 갖는데, 이 만곡률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 중에 와이퍼 고무날이 완전하게 앞유리에 밀착될 때, 균일한 압박력이 나타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단부에는 프로파일의 차단부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캡이 조립된다. 또한 스프링강 재질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유사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공지되어 있다.다음에서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는 전술된 의미의 지지 부재 및 클립 시스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얇은 부품이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동측 내측 구간과 외측 구간 사이의 큰 속도 차이로 인해 상이한 마찰 양상이 나타나며, 마찰력이 크고 저속일 때 스틱슬립 현상(stick slip effect)이 발생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진동한다. 따라서 특히 낮은 마찰 속도가 나타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내측 원호에서 원치 않는 측방 밀림 동작이 나타나는데, 이런 측방 동작은, 특정한 한계를 초과할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에 접촉하거나 떨림으로 인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가 건조하거나 더럽고 결빙되거나 또는 충분히 젖지 않은 상태인 경우 또는 윈드실드 글라스에 눈이 쌓인 경우에, 이런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떨림으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단기간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와의 접촉을 상실할 수 있고, 수분 및 오염물이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윈드실드 글라스로 이탈될 수 있으므로, 불량한 세척 양상이 나타난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클립 부품이 많을수록 와이퍼 블레이드의 떨림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프링 강성이 약한 경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렇지 않은 와이퍼 블레이드보다 불리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길이가 550밀리미터인 비교적 긴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 사이의 조인트에서의 안내가 이런 진동을 억제할 정도로 안정적이지 못하다.
또한 독일 특허 제197 31 683호에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를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내측 원호의 인접 구간에 존재하는 발톱형 클립의 접촉부 구간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납땜, 클립 결합, 클램프 결합 등을 통해 와이퍼 암의 힌지부와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장치의 제1 부품은 안내벽을 갖는데, 이 안내벽은 발톱형 클립의 힌지부를 감싸며 이 힌지부를 와이퍼 암에 대해 안내한다. 제2 부품도 안내벽을 갖는데, 이 안내벽 사이에는 제1 부품이 텔레스코프 형태로 안내되므로, 이 제1 부품의 측벽이 짧게 고정될 수 있고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가 심하게 만곡된 경우에도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와의 충돌(collision)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제1 부품은 예를 들어 탄성의 부재를 통해 장치로부터 망실될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부품은 스프링 텅그(spring tongu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스프링 텅그는, 제1 부품이 윈드실드 와이퍼의 동작 방향에서 강직성으로 안내되고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의 수직 방향으로는 와이퍼 암에 대해 휘어질 수 있도록, 제1 부품을 상기 장치와 결합시킨다. 물론 제2 부품으로서 스프링 텅그와 안내 측벽 사이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프링 텅그는 휠 수 있는 탄성 부재의 기능을 이행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판재로 제작되고 조립될 수 있지만, 적합한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품으로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를 위한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하며, 따라서 제조 및 조립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재료 비용이 발생한다. 공차와 관련된 와이퍼 암의 형태, 즉 예를 들어 와이퍼 로드의 오프셋(offset)으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 사이에서 힌지부(hinge part)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안내면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도 떨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측방 진동은 억제되지만 와이핑 과정 중에 측방 접촉면에서의 소음은 억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접힌 상태에서 윈드실드 글라스의 주차 위치로 복원되는 경우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상기 장치의 안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번거롭다. 이 경우 오기능 또는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다른 이점은 다음의 도면을 통해 설명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면, 설명 및 청구항에는 조합된 복수의 특징이 포함된다. 전문가는 이런 특징을 개별적으로 분류하고 다른 조합으로 요약할 수 있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1은 힌지식으로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포함된 와이퍼 암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라인 II에 포함된 두 개의 가이드 바를 갖는 장치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며,
도3은 아답터가 포함된 도2에 따른 장치의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4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포함된 힌지부의 도3에 따른 아답터의 변형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5는 도2의 변형인 구형의 피벗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도2에 따른 하나의 가이드 바가 포함된 변형에 대한 도면이며,
도7은 도6의 라인 VII-VII을 따라 절개한 도식적 횡단면이고,
도8은 도7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9는 도7의 화살표 IX로 표시된 구간으로서, 탄성 부재가 포함된 가이드 바의 부분단면도이고,
도10은 도9의 화살표 X로 표시된 구간으로서, 가이드 바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바의 양측 단부에 피벗 베어링이 배치되는데,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베어링 암의 종방향으로의 동작이 상기 피벗 베어링을 통해 허용된다. 가이드 바의 단부에 존재하는 피벗 베어링이 와이퍼 암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상대적 행정 동작을 제어하므로, 큰 행정 동작에도 불구하고 상기 장치의 부품이 윈드실드 글라스와 접촉하는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장치는 특히 높이가 낮은 새로운 디자인의 가이드 바에 적합하며, 이런 새로운 가이드 바에서 이 장치는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와이퍼 암의 프로파일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와이퍼 블레이드 단부에서 윈드실드 글라스에 인접한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날을 감싸므로 안내부가 마모되는 경향이 감소한다.
와이퍼 암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피벗 베어링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피벗 베어링은 종방향에서 종방향 안내부를 갖는데, 이 종방향 안내부는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를 측방으로 안내하는 기능하지 않고 행정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만을 이행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안내부는, 장치의 부품이 와이퍼암의 폴딩 상태(folding position)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된 클립에서 해당 안내면과 연동하는 가이드 바의 안내면이 와이퍼 블레이드를 측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클립은 엔드캡으로서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품이다. 이 클립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연결점과 단부 사이의 구간 또는 단부에서 와이퍼 고무날 또는 무관절형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에 삽입된다. 상기 안내면은 컴팩트한 구조를 실현시키기 위해 피벗 베어링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바와 고정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피벗이 와이퍼 블레이드 측의 피벗 베어링을 형성한다. 상기 피벗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클립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수용홈에 지지된다. 상기 피벗은 수용홈에서 충분한 동작 여유 공간을 가지므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지지력(bearing strength)은 피벗 베어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피벗은 잠금 고리를 통해 수용홈에 고정되는데, 이 잠금 고리는 피벗을 수용홈으로 삽입할 때 탄성으로 휘어지고 수용홈의 개방된 단부를 차단한다.
단 하나의 피벗 베어링이 하나의 종방향 안내부를 가지므로, 힌지부의 함몰부 또는 지지구 또는 이 힌지부와 결합된 아답터 내에 지지되고 측방 접촉면을 통해 안내되는 회전축을 통해, 피벗 베어링이 와이퍼 암측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 또는 아답터는, 윈드실드 글라스 방향으로 개방되고 일반적으로 U-자형인, 힌지부 또는 와이퍼 로드의 프로파일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의 측벽의 탄성은, 회전축이 힌지부의 지지구 또는 함몰부로 잠기도록,회전축의 탄성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간접적으로 아답터를 통해 힌지부 또는 여기에 주조된 와이퍼 로드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이 아답터는 두 개의 아답터 부품을 포함하며, 이 아답터 부품은, V-자형 홈을 통해 윈드실드 글라스 방향으로 개방된 회전축을 위한 지지구를 가지며, 대향측에서 커버된 상태로 힌지부의 U-자형 프로파일 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이 V-자형 홈을 통해 지지구로 삽입될 수 있다. 아답터 부품은 형태 및 재질에 따라서 힌지부와 접착, 용접 또는 납땜될 수 있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향 배치된 아답터 부품이 탄성 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자신의 외측면에서 힌지부의 해당 홈 또는 함몰부에 삽입되는 핀을 갖는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를 위한 장치가 간단하고 안전하게 저비용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평행하게 진행되는 두 개의 가이드 바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가이드 바는, 자신의 대향측에서 클립의 측방 안내면에 접하는 안내면을 갖는다. 클립의 면에서 피벗 베어링을 형성하는 피벗은 이 가이드 바와 결합된다. 이 피벗은 중앙이 분할되거나 또는 가이드 바의 지지를 위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결합부를 통해 다른 피벗 베어링의 구간에서 보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방 가이드를 준수되어야 하는 제조 공차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 와이핑 방향에서 가이드 바의 측방 유연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를 위한 장치가 단 하나의 가이드 바를 갖는데, 이 가이드 바는 피벗 베어링 내에서 지지되고 클립의 측벽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안내부를 통해 안내된다. 와이퍼 암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방 오프셋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바는 클립의 중앙 또는 종방향 중심면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경우에서 상기 목적은 가이드 바의 오프셋을 통해 실현되거나 또는 지원된다.
간단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의 횡단면은 환형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는 모든 방향에서 좌굴(bending)에 대한 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갖는다. 가이드 바의 횡단면을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횡단면으로 설계함으로써 방향에 따라 다른 저항 모멘트를 얻을 수 있으며, 투입 조건에 따라 저항 모멘트를 적응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난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이 적합하다. 또한 이런 형태의 횡단면은 안내면 형성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외에도 이런 횡단면은 안내면 구간에서 압착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 바의 안내면과 클립의 안내면 사이의 공차는 매우 작게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런 공차가 피벗 베어링의 베어링 공차와는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공차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안내면이 대응 안내면과 접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가 안내면 중 하나에 포함되어야 한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윈드실드 글라스의 방향으로 어떤 힘도 가하지 않으므로, 이 장치는 와이퍼 고무날의 지지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와이퍼 고무날이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벗이 종방향에서 구형으로 실시되고 클립의상응하는 안내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도 피벗은 가이드 바의 베어링 핀에 지지되는 구형의 롤러로서 형성될 수 있다. 구형 피벗과 상응하는 안내홈 사이의 공차는, 측방 안내력이 가이드 바에서 클립으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도1에는 와이퍼 암(wiper arm)(10)의 힌지부(12) 및 와이퍼 로드(wiper road)(14)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퍼 로드의 고리형 단부(16)가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20)의 힌지핀(18)을 감싸며 이로서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와이퍼 암(10)과 힌지식으로 결합한다.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고무날(24)을 포함하는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22)를 갖는다.
와이퍼 암(10)의 힌지부(12)와 와이퍼 블레이드(20) 사이에는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바(guide bar)(32)를 포함하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측방 안내를 위한 장치(28)가 장착된다(도2). 이 가이드 바(32)의 단부는 피벗 베어링(pivot bearing)(86, 88)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지된다. 와이퍼 암(10) 측 피벗 베어링(86)은, 가이드 바(32)와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두 개의 측방 피벗(pivot)을 포함할 수 있는 회전축(34)을 갖는다. 상기 회전축(34)은 원피스형으로 장치(28)의 중앙 부재(hub member)(40)를 삽입할 수도 있다. 회전축은 가이드 바(32) 및 중앙 부재(40)와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와이퍼 암(10) 내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지되거나 또는 와이퍼 암(10)과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가이드 바(32)는 중앙 부재(40)를 통해 회전축(34)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지된다.
회전축(34)은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26) 방향으로 개방된, 와이퍼 암(10)의 U-자형 프로파일(profile)로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은 와이퍼 암(10)과 결합된 아답터(adapter)(62) 또는 와이퍼 암(10)의 U-자형 프로파일의 상응하는 함몰부 또는 홈에 잠긴다. 와이퍼 암(10) 내에서 상기 장치(28)를 측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회전축(34)의 구간에 정지판(stop face)(36)이 장착되는데, 이 정지판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암(10) 측 정지판과 연동한다. 중앙 부재(40)에는 가이드 바(32)의 종방향으로 결합부(38)가 연결되는데, 이 결합부는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바(32)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장치의 측방 유연성(compliance)이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 바(32)의 대응측 단부에 존재하는 피벗 베어링(88)은, 양측 가이드 바(32)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중앙이 분할될 수 있는 피벗(4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피벗(42)은 엔드캡(end cap)으로서 형성된 클립(clip)(30)의 수용홈(48)에 삽입된다. 상기 엔드캡(30)은 와이퍼 고무날(24) 또는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22)의 와이퍼 암(10) 대응측 단부로 장착되며, 수용홈(48)은 와이퍼 고무날(24)의 종방향으로 진행한다. 가이드 바(32)는 피벗(48)을 통해 수용홈(48) 내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지되며, 또한 피벗(42)은 수용홈(48) 내에서 와이퍼 고무날(24)의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바(32)가 회전축(3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길이 조정이 이루어진다. 와이퍼 암(10)의 접힌 상태(folding position)에서 피벗(42)이 의도치 않게 수용홈(4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28)의 조립 시 탄력적으로 휘어지고 수용홈(48)의 개방된 측면을 차단하는 잠금 고리(locking look)(50)가 장착되므로,피벗(42)이 수용홈(48) 내에서 잠긴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정확하게 장착한 후에는 오작동 및 오기능이 발생하지 않는다.
용이한 조립을 위해, 두 개의 아답터 부품(adapter piece)(52)을 포함하는 간단한 형태의 아답터(62) 내에 회전축(34)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 상기 회전축은 와이퍼 암(10)의 U-자형 프로파일의 내측 측벽에 형성되며 지지구(bearing bore)(60)를 갖는데, 이 지지구는 V-자형 홈(58)을 통해 윈드실드 글라스(26) 방향 또는 와이퍼 암(10)의 종방향으로 개방된다. 회전축(34)은 V-자형 홈(58)을 통해 지지구(60)에 잠기는데, 이때 V-자형 홈(58)의 양측면에 존재하는 아답터 부품(52)의 레그(leg)(54, 56)가 탄성에 의해 휘어진다.
도4에 도시된 아답터(62)의 실시예에서 아답터 부품(52)은, 와이퍼 암(10)의 U-자형 프로파일의 측벽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spring element)(64)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조립 시 탄성 부재(64)가 휘어짐으로써 와이퍼 암(10)의 상응하는 홈 또는 함몰부에 잠기는 핀(pin)(66)이 아답터 부품(52)의 외측에는 형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더 큰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회전축 방향의 피벗(68)을 구형으로 제작하고 상응하는 안내홈(70)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엔드캡(30) 및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벗(68)은, 가이드 바(32)의 베어링 핀(72)을 통해 지지되는 구형의 롤러로서 실시될 수 있다(도5).
도6에 따른 변형은, 지지 앵글(76)을 통해 중앙 부재(40)에 연결되는 단 하나의 가이드 바(74)를 포함하는 장치(28)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자신의 대응측 단부에서 엔드캡(78)으로서 형성된 클립의 양측 측벽(82) 사이의 안내부(80)를 통해 안내된다. 상기 안내홈(80)(도6) 및 안내면(44, 46)(도2)은 피벗 베어링(86, 88) 사이에 배치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와이퍼 암(10) 사이에서의 상대적 운동 시 장치(28)의 어떤 부품도 윈드실드 글라스(26)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8에 따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32, 74)의 횡단면은 환형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좌굴(bending)에 대한 저항 모멘트는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다. 각 조립 여건에 맞게 저항 모멘트를 적응시키기 위해, 도7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32, 74)의 횡단면이 원형가 다른 횡단면, 즉 예를 들어 난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안내부(80)에서 접촉면 및 안내면(44)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이드 바(32)의 안내면(44)과 엔드캡(30)의 안내면(46) 사이 또는 안내부(80)의 측벽과 가이드 바(74) 사이의 공차는 장치(28)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매우 작게 선택될 수 있다(도6). 공차 없이 안내하기 위해서는, 대응면에서 지지되는 탄성 부재(84)를 면(44, 46, 80) 중 하나 또는 가이드 바(74)의 측벽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면(44, 46, 88)의 마모 시에도 공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상기 탄성 부재(84)를 통해 실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이용가능하다.
<각 부의 명칭>
10 와이퍼 암 50 잠금 고리
12 힌지부 52 아답터 부품
14 와이퍼 로드 54 레그(leg)
16 고리형 단부 56 레그
18 힌지핀 58 V-자형 홈
20 와이퍼 블레이드 60 지지구
22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 62 아답터
24 와이퍼 고무날 64 탄성 부재
26 윈드실드 글라스 66 핀
28 장치 68 피벗
30 엔드캡(end cap) 70 안내홈
32 가이드 바(guide bar) 72 베어링 핀
34 회전축 74 가이드 바
36 정지판 76 지지 앵글
38 결합부 78 엔드캡
40 중앙 부재 80 안내부
42 피벗 82 측벽
44 안내면 84 탄성 부재
46 안내면 86 피벗 베어링
48 수용홈 88 피벗 베어링

Claims (17)

  1. 가이드 바(32, 74)의 단부가 와이퍼 암(10)의 힌지부(12)에서 윈드실드 글라스(26)에 대해 약간 수직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바(32, 74)가 측방 안내면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20)의 부품에 접하며, 와이퍼 고무날 지지대(22) 및 와이러 고무날(24)을 포함하고, 가이드 바(32, 74)를 포함하는 장치(28)를 통해 와이퍼 암(10)에 대해 측방으로 안내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20)에 있어서,
    피벗 베어링(86, 88)이 상기 가이드 바(32, 74)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며, 이 피벗 베어링 중 하나에 의해 와이퍼 암(10) 방향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20) 방향에으로의 동작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32, 74)와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42)이 와이퍼 블레이드(20) 측에서 피벗 베어링(88)을 형성하고, 상기 피벗(42)이 와이퍼 블레이드(20)에 장착되는 클립(30, 78)에서 와이퍼 블레이드(20)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수용홈(48)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 78)이 엔드캡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성의 잠금 고리(50)가 힌지핀(18)의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홈(48) 내에서 상기 피벗(42)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베어링(86)이 와이퍼 암(10) 측에서 회전축(3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힌지부(12)의 함몰부 또는 지지구 또는 상기 힌지부와 결합된 아답터(52, 62) 내에서 지지되며 측방 정지판(36)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86)이 사익 와이퍼 암(10) 측에서 상기 와이퍼 암(10)과 고정적으로 결합된 회전축(34)에 의해 형성되고, 가이드 바(32, 74)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측방 정지판(36)에 의해 안내되는 중앙 부재(40)가 이 회전축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62)가 두 개의 대향하는 아답터 부품(52)을 포함하며, 상기 아답터 부품은, 힌지부(12)의 측벽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윈드실드 글라스(26) 방향으로 개방된 V-자형 홈(58)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34)이 삽입 및 고정되는, 단부에 배치된 지지구(60)가 V-자형 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도3).
  8. 제7항에 있어서, 아답터 부품(52)이 탄성 부재(64)에 의해 결합되고, 자신의 외측면에는 힌지부의 상응하는 홈 또는 함몰부에 삽입되는 핀(6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면(44, 46)이 가이드 바(32, 74) 또는 클립(30, 78)에서 상기 피벗 베어링(86, 8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30)의 측방 안내면(46)에 접하는 상기 안내면(44)이 상기 가이드 바의 대응측에 포함되는,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두 개의 가이드 바(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도2).
  11.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78)의 안내부(80) 내에서 안내되는 가이드 바(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32, 74)가 결합부(38) 또는 지지 앵글(76)을 통해 상호간에 또는 중앙 부재(40) 또는회전축(34)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32, 74)가 환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32, 74)가 원형이 아닌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32, 74)의 안내면(44) 또는 클립(30, 78)의 안내면(46, 80)이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안내면이 이 탄성 부재를 통해 각각 다른 안내면(44, 46, 80)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도9, 도1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68)이 종방향에서 구형으로 실시되고 클립(30)의 상응하는 안내홈(7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도5).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68)이 상기 가이드 바(32)의 베어링 핀(7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47004168A 2001-11-21 2002-10-14 와이퍼 블레이드 KR100928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7130.5 2001-11-21
DE10157130A DE10157130A1 (de) 2001-11-21 2001-11-21 Wischarm mit einem gelenkig verbundenen Wischblatt
PCT/DE2002/003874 WO2003045746A1 (de) 2001-11-21 2002-10-14 Wischbla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186A true KR20040058186A (ko) 2004-07-03
KR100928904B1 KR100928904B1 (ko) 2009-11-30

Family

ID=770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168A KR100928904B1 (ko) 2001-11-21 2002-10-14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03990B2 (ko)
EP (1) EP1448414B1 (ko)
JP (1) JP4038178B2 (ko)
KR (1) KR100928904B1 (ko)
CN (1) CN1278892C (ko)
AU (1) AU2002347079A1 (ko)
BR (1) BR0206578B1 (ko)
DE (3) DE10157130A1 (ko)
RU (1) RU2293034C2 (ko)
WO (1) WO2003045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7057A1 (en) * 2004-04-06 2005-10-06 Honda Motor Co., Ltd. Wiper apparatus and wiper structure
DE102006016809A1 (de) * 2006-04-10 2007-10-1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
US20080263805A1 (en) * 2007-04-26 2008-10-30 Gary Sebring Camper shell windshield wiper unit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DE102010001900A1 (de) * 2010-02-12 2011-08-18 Robert Bosch GmbH, 70469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ischblatts
DE102010030880A1 (de) 2010-07-02 2012-01-05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DE102010064161A1 (de) * 2010-12-27 2012-06-28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wischvorrichtung
DE102011005171A1 (de) * 2011-03-07 2012-09-1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nwischvorrichtung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DE102011078174A1 (de) * 2011-06-28 2013-01-03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DE102011078175A1 (de) * 2011-06-28 2013-01-03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DE102011079470A1 (de) * 2011-07-20 2013-01-2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system
FR2978406B1 (fr) * 2011-07-27 2014-11-21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ssuie-glace a position de securit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DE102011090100A1 (de) * 2011-12-29 2013-07-0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1090099A1 (de) * 2011-12-29 2013-07-0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einheit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RU2548691C2 (ru) * 2013-05-29 2015-04-20 Григо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одоксик Очиститель окон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9649913B2 (en) * 2015-01-21 2017-05-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wl louver clip assemblies for cowl louver structures for supporting windshields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800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10678364B (zh) * 2017-03-02 2023-01-31 西门子交通有限公司 用于交通工具的减小弧的风挡刮水器系统
FR3067313B1 (fr) * 2017-06-08 2019-07-05 Valeo Systemes D'essuyage Embout d'extremite pour balai d'essuyage de vehicule automobile
KR101956249B1 (ko) * 2018-05-31 2019-03-0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꼬리 떨림 방지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CN109050476B (zh) * 2018-07-27 2021-04-06 宁波鑫神泽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用鸟粪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849A (en) * 1964-03-10 o shei
DE2128677C3 (de) * 1971-06-09 1974-01-1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ür gekrümmte Scheiben, vorzugsweise Lichtaustrittscheiben von Kraftfahrzeugleuchten
DE3744237A1 (de) 1987-12-24 1989-07-06 Swf Auto Electric Gmbh Scheibenwischer und fuehrungselement fuer einen scheibenwischer
SU1572869A1 (ru) 1988-08-16 1990-06-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594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3829343C2 (de) 1988-08-30 1996-03-21 Teves Gmbh Alfred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Wischanlagen an Kraftfahrzeugen
DE19605428A1 (de) 1996-02-14 1997-08-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eibenwischer mit Wischblatt-Stützeinrichtung
DE19731683A1 (de) 1997-07-23 1999-01-28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DE19738232A1 (de) 1997-09-02 1999-03-04 Bosch Gmbh Robert Tragelement für eine zu einem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gehörenden Wischleist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103889A1 (de) 2001-01-30 2002-08-22 Bosch Gmbh Robert Wischarm mit einem gelenkig verbundenen Wischblatt
DE10142997A1 (de) * 2001-09-01 2003-03-27 Bosch Gmbh Robert Wischarm mit einem gelenkig verbundenen Wisch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93034C2 (ru) 2007-02-10
US20040134011A1 (en) 2004-07-15
US7203990B2 (en) 2007-04-17
DE50208022D1 (de) 2006-10-12
AU2002347079A1 (en) 2003-06-10
KR100928904B1 (ko) 2009-11-30
CN1278892C (zh) 2006-10-11
DE10157130A1 (de) 2003-06-05
JP2005510401A (ja) 2005-04-21
EP1448414B1 (de) 2006-08-30
RU2003120449A (ru) 2005-02-10
CN1498174A (zh) 2004-05-19
BR0206578A (pt) 2003-12-16
WO2003045746A1 (de) 2003-06-05
EP1448414A1 (de) 2004-08-25
BR0206578B1 (pt) 2011-05-17
DE10295475D2 (de) 2004-10-14
JP4038178B2 (ja)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9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923460B1 (ko) 힌지형으로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갖는 와이퍼 암
KR10113563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4550287B2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をワイパアームにヒンジ結合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JP4856714B2 (ja) プラスチックから成るジョイントアーム
JP4014654B2 (ja) 自動車において案内されて往復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を備えた、自動車ガラス用のワイパ装置
JP4076163B2 (ja) ワイパアームを備えたウインドシールドワイパ
RU2244645C2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EP1514752B1 (en) A windscreen wiper arm
JP3984547B2 (ja) ワイパアームに対してワイパブレードを側方で案内するための装置
US726374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6393654B2 (en) Articulation system between windscreen wiper components
KR20010043911A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20010075414A (ko) 복귀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차창쪽으로 가압되는와이퍼 암을 구비한 자동차의 차창용 와이퍼 장치
KR20010075450A (ko) 전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윈드실드 쪽으로밀착되는 와이퍼 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드실드용 와이핑장치
KR970706149A (ko) 자동차 유리창의 와이퍼 시스템용 4중 죠인트 와이퍼 아암(quadruple-joint wiper arm for a windscreen wiper system of a motor vehicle)
JP5084500B2 (ja) ワイパーレバーとワイパーレバー支持体との間の関節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関節装置を備えるワイパーアーム
KR20100131497A (ko) 탄성을 가지고 길다랗게 형성된 이동부재와, 윈드스크린에 접하여 위치되는 유연한 재료의 길다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6301741B1 (en) Support for the joint hinge of a wiper blade
KR20030031158A (ko) 윈도우 와이퍼 블레이드용 스포일러
KR101355500B1 (ko) 바람막이 유리 와이퍼
KR20060025144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와이퍼 아암
US115776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10024434A (ko) 와이퍼 장치
KR100489023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