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810B1 -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810B1
KR100587810B1 KR1020040026670A KR20040026670A KR100587810B1 KR 100587810 B1 KR100587810 B1 KR 100587810B1 KR 1020040026670 A KR1020040026670 A KR 1020040026670A KR 20040026670 A KR20040026670 A KR 20040026670A KR 100587810 B1 KR100587810 B1 KR 10058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uel line
retainer
mounting bracket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446A (ko
Inventor
이봉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81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펌프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로 안내하기 위한 연료 라인의 도중을 엔진의 고정측 보스에 부착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엔진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연료 라인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와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엔진 룸에 탑재되는 엔진의 연료 라인의 도중을 엔진의 고정측 보스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연료 라인의 도중을 잡는 마운팅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과 고정측 보스의 볼트공을 일치시켜 볼트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 도중에 환형상의 리테이너 안치공간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 안치공간에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리테이너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운팅 브라켓, 리테이너, 리턴 스프링

Description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Mounting apparatus of fuel l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연료 라인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2 : 보스
13 : 볼트공 20 : 연료 라인
24 : 체결 볼트 30 : 마운팅 브라켓
32 : 체결공 34 : 리테이너 안치공간
40 : 리테이터 42 : 관통공
44 : 스프링 시트 50 : 리턴 스프링
d : 작동구간
본 발명은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펌프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로 안내하기 위한 연료 라인의 도중을 엔진의 고정측 보스에 부착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엔진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연료 라인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와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운행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에는 엔진 룸의 전방에 마련되며, 이 엔진 룸에 엔진이 길이방향 혹은 가로방향으로 탑재된다. 특히 엔진이 차량의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기계의 방향이 전방에 위치되느냐 후방에 위치되느냐에 따라서 엔진이 흡배기역전을 구분하게 된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서 엔진의 흡기계가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될 때를 흡배기역전방식으로 엔진이 탑재되었다라고 한다.
이와 같이, 엔진을 흡배기역전방식으로 탑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엔진의 배기계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서 배기가스규제에 대응하고 흡기측의 온도를 저감함으로서 엔진의 성능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엔진의 흡기계 방향이 어느 방향을 향하든 엔진의 양측에는 각각 흡기 포트와 배기 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흡기 포트 및 배기 포트에는 흡기 및 배기가스의 안내를 위한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폴드가 각각 형성된다.
특히, 엔진의 흡기계 측에는 엔진의 구동에 가장 중요한 연료의 공급을 위한 연료공급계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료공급계는 엔진의 각 연소실을 향하도록 매설되는 인젝터와, 상기한 각각의 인젝터로 고른 양의 연료가 분배되도록 하기 위한 딜 리버리 파이프가 중요 구성요소를 이루게 된다.
상기한 딜리버리 파이프의 일측으로는 연료 라인이 연결되어 있어서 연료 펌프에서 펌핑된 연료가 연료 필터를 거쳐 정화된 후, 상기한 딜리버리 파이프에서 각각의 인젝터로 분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인젝터는 보다 정확한 분사타이밍에 의해 보다 정확한 분사량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제어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상기한 딜리버리 파이프의 일측에는 연료펌프에서 펌핑된 연료의 압력이 소정 압력으로 유지된 채로 인젝터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딜리버리 파이프를 엔진의 일측 고정측에 장착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30)의 일단은 딜리버리 파이프 등의 연료 라인(20)의 도중 외주를 감싸고, 다른 일단은 엔진(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보스(12)에 볼트(24)로써 고정된다. 미설명 부호 22는 인젝터를 지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엔진의 연료공급계가 장착된 경우에, 차량의 운행 도중에 충돌사고 등을 당하여 엔진 또는 상기한 연료공급계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별도의 대비책이 없었으므로서 엔진의 연료공급계가 파손되어 연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되곤 하였다. 이와 같은 엔진 연료공급계의 파손으로 인하여 누출되는 연료는 엔진 및 주변의 전기장치들에 의한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등의 2차 사고가 뒤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 펌프에서 펌핑된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로 안내하기 위한 연료 라인의 도중을 엔진의 고정측 보스에 부착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엔진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연료 라인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와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엔진 룸에 탑재되는 엔진의 연료 라인의 도중을 엔진의 고정측 보스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연료 라인의 도중을 잡는 마운팅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과 고정측 보스의 볼트공을 일치시켜 볼트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 도중에 환형상의 리테이너 안치공간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 안치공간에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리테이너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테이너는 체결 볼트의 도중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공이 그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측에는 리턴 스프링의 상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가 환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 라인 마운팅 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연료 라인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리테이너를 지시하는 것이며,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부호가 그대로 사용된다.
상기한 리테이너(40)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의 중앙에는 체결 볼트(24)의 도중이 통과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공(4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는 후설할 리턴 스프링(50)의 상측 일부 구간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44)가 환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리테이너(40)의 장착을 위해서 딜리버리 파이프를 포함한 연료 라인(20)의 도중을 잡아주는 마운팅 브라켓(30)의 체결공(32) 상부측에는 환형상의 리테이너 안치공간(34)이 형성된다. 이 리테이너 안치공간(34)의 깊이는 리테이너(40)의 길이보다 큰 깊이로 형성되어, 마운팅 브라켓(30)을 엔진(10)의 보스측(12)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테이너(40)를 리테이너 안치공간(34)에 위치시킨 후 체결 볼트(24)를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리테이너(40)의 하부측에 마련된 스프링 시트(44)와 리테이너 안치공간(34)의 바닥면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50)이 개재된다. 이 리턴 스프링(50)은 엔진의 보스측(12)과 마운팅 브라켓(30) 사이에서 고체의 매질을 통하여 진동 및 외부충격이 전달될 때에 이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리테이너 안치공간(34)의 바닥면과 리테이너(40)의 하단 사이에는 충격완충을 위한 소정길이의 작공구간(d)이 마련되므로서, 외부의 충격전달시에 충격완충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엔진으로 이어지는 연료 라인(20)을 마운팅하는 마운팅 브라켓(20)에 의하면, 엔진의 보스측(12)과 마운팅 브라켓(30)의 매질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한 리턴 스프링(50)과 리테이너(40)에 의해서 완충되므로서 차량의 충돌사고와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즉, 외부충격으로 인한 연료 라인(20)의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이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연료 라인 및 인젝터가 보호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일측에 부착되는 딜리버리 파이프를 포함한 연료 라인 및 인젝터가 엔진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조에서 차량의 추돌사고 등과 같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금속 매질을 통하여 연료 라인 및 인젝터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연료누출과 같은 2차적인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엔진 룸에 탑재되는 엔진의 연료 라인의 도중을 엔진의 고정측 보스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연료 라인의 도중을 잡는 마운팅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과 고정측 보스의 볼트공을 일치시켜 볼트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30)에 형성된 체결공(32)의 상부 도중에 환형상의 리테이너 안치공간(34)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 안치공간(34)에는 리턴 스프링(50)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리테이너(40)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24)가 체결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리테이너(40)는 체결 볼트(24)의 도중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공(42)이 그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그 몸체의 하부측에는 리턴 스프링(50)의 상측 일부 구간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44)가 환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리테이너(40)의 하단과 리테이너 안치공간(34)의 저면 사이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작동구간(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KR1020040026670A 2004-04-19 2004-04-19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KR10058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70A KR100587810B1 (ko) 2004-04-19 2004-04-19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70A KR100587810B1 (ko) 2004-04-19 2004-04-19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46A KR20050101446A (ko) 2005-10-24
KR100587810B1 true KR100587810B1 (ko) 2006-06-12

Family

ID=3727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670A KR100587810B1 (ko) 2004-04-19 2004-04-19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1808B2 (ja) * 2018-04-24 202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2873A (ja) 1985-12-17 1987-06-26 Matsushita Seiko Co Ltd 圧縮機の防振装置
KR930009101U (ko) * 1991-10-15 1993-05-25 기아자동자 주식회사 실린더헤드커버의 체결구조
JPH06323252A (ja) * 1993-05-11 1994-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防振支持装置
KR19980037803A (ko) * 1996-11-22 1998-08-05 양재신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20010054497A (ko) * 1999-12-07 2001-07-02 이계안 밀봉성 향상을 위한 로커카바 장착구조
KR20040023409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2873A (ja) 1985-12-17 1987-06-26 Matsushita Seiko Co Ltd 圧縮機の防振装置
KR930009101U (ko) * 1991-10-15 1993-05-25 기아자동자 주식회사 실린더헤드커버의 체결구조
JPH06323252A (ja) * 1993-05-11 1994-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防振支持装置
KR19980037803A (ko) * 1996-11-22 1998-08-05 양재신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20010054497A (ko) * 1999-12-07 2001-07-02 이계안 밀봉성 향상을 위한 로커카바 장착구조
KR20040023409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46A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609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060162699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motor vehicle
JP4670518B2 (ja) エンジンの衝突保護構造
EP3561289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87810B1 (ko) 외부충격 흡수를 위한 연료 라인의 마운팅 구조
CN107701343B (zh) 内燃发动机
JP5565145B2 (ja) 車両のエンジンカバー構造
CN111033015B (zh) 发动机的盖部件安装构造
CN107701342B (zh) 内燃发动机
CN110761888A (zh) 柔性护风圈
KR100748648B1 (ko)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진동 저감장치
KR100570003B1 (ko) 딜리버리 파이프의 마운팅 구조
KR20040037922A (ko) 머플러의 충격파 소음 감쇄장치
KR0131154Y1 (ko) 머플러 고정용 행거
JP2019027401A (ja) 車両用内燃機関の燃料供給部品保護構造
JP2009013803A (ja) 燃料ポンプの取付構造
KR100716316B1 (ko) 자동차의 연료라인 소음저감용 댐퍼
KR100192336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JP3966285B2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KR19980062517U (ko) 자동차용 사일렌서 행거 브라켓의 행거러버
KR20070109687A (ko) 연료유동음 저감을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장착구조
KR200418698Y1 (ko) 자동차용 악셀러레이트 페달의 악셀러레이트 케이블엔드장치
KR200210790Y1 (ko) 배기계의 레조네이터 장착 구조
JP2022131170A (ja) プロテクタ
KR100254341B1 (ko) 블럭고무식 엔진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