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257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257B1
KR100569257B1 KR1020030096808A KR20030096808A KR100569257B1 KR 100569257 B1 KR100569257 B1 KR 100569257B1 KR 1020030096808 A KR1020030096808 A KR 1020030096808A KR 20030096808 A KR20030096808 A KR 20030096808A KR 100569257 B1 KR100569257 B1 KR 10056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agnetron
radiation
microwave oven
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768A (ko
Inventor
노다마사루
후쿠나가에이지
다카하시카쯔나오
하야미카쯔아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2Radiators or antennas
    • H05B6/725Rotatabl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피가열물에 알맞게 가열실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형태를 변화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전자레인지는 본체 틀 5 안에 가열실 1 0 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의 하방에는 방사 안테나 1 5 가 설치되어 있다. 방사 안테나 1 5 는 안테나의 구동 박스 1 6 내에 수용된 부재가 적당 동작하는 것에 의해 본체 틀 5 의 저면 5 X 와의 거리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그네트론 1 2 의 발진하는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 방사 안테나 1 5 를 통해서 가열실 1 0 내에 공급된다. 방사 안테나 1 5 의 높이 위치가 변경되면 방사 안테나 1 5에서 가열실 1 0 으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형태가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실 1 0 내의 국소적으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거나 가열실 1 0 내 전체에 고르게 마이크로파가 공급되거나 한다.
전자레인지, 마이크로파, 방사 안테나, 가열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ELECTRONIC OVEN}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전자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I I I - I I I 선에 따른 시시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I V - I V 선에 따른 시시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저판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저판이 떼어진 본체 틀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가열실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도 5 의 V I I I - V I I I 선에 따른 시시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3 의 방사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1 0 은, 도 3 의 방사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1 1 은, 도 3 의 방사 안테나의 구부려 꺾어진 선과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2 는, 도 1 1 의 방사 안테나의 화살표 X 1 1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 3 은, 도 3 의 안테나 구동 박스 및 그 근방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4 는, 도 1 3에서 재치대를 생략한 경우의 도이다.
도 1 5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안테나 구동 박스, 재치대, 안테나 회전 모터,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및 방사 안테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6 은, 도 3 에 있어서 방사 안테나를 상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 7 은, 도 1 4 의 안테나 구동 박스 내의 회전부재와 안테나 검지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1 8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9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전원을 투입되고 나서부터 가열 조리까지의 사이에 제어회로가 실행하는 스탠바이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 0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의 피가열물을 가열할 때에 제어회로가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 1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에서의 방사안테나의 위치의 제어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자레인지, 5 본체 틀, 5 A 요부, 5 B 저판지지부, 5 C 우부(隅部), 5 X 저면, 6 조작패널, 9 저판, 1 0 가열실, 1 2 마그네트론, 1 2 A 마그네트론 안테나, 1 5 방사 안테나, 1 5 A 축, 1 5 B 부착부재, 1 5 P, 1 5 Q, 1 5 R 개구, 1 6 안테나 구동 박스, 1 9 도파관, 3 0 제어회로, 3 4 안테나 회전 모터, 3 5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6 안테나 검지 스위치, 7 0 회전부재
본 발명은 가열조리장치에 관하여 특히 피가열물에 알맞게 가열실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 형태를 변화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마그네트론을 구비해, 해당 마그네트론이 발진하는 마이크로파를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가열실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가 있었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가열물의 형상에 알맞게 회전 안테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집중적으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높이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것에 의해 피가열물에 있어서의 가열이 고르지 못하는 것을 해소하려는 것이 있었다.
또, 이러한 전자레인지에서는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듯이 마그네트론이 발진하는 마이크로파를 가열실에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를 판금을 구부려서 구성하고, 또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열실의 중앙저부가 과가열이 되는 것을 회피하려는 것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실개소 5 6 - 1 1 5 8 9 5 호 공개
[특허문헌 2 ]
실개소 6 0 - 1 3 0 0 9 4 호 공개
그러나 종래의 전자레인지와 같이 집중적으로 가열되는 위치의 높이만을 변경하여도 피가열물의 형태의 변화에 충분히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의 중앙 저부가 집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좋을 경우도 있으면 반대로 중심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면 좋은 경우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실의 중앙저부의 과가열의 회피가 피가열물의 종류, 형상, 또는 가열실 내의 배치형태에 따라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관계된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피가열물에 알맞게 가열실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상태를 변화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식품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가열실 내에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위하여, 해당 가열실내에 설치된 방사안테나와, 상기 방사 안테나를 이동시키는 안테나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 안테나는, 상기 가열실의 내벽에 대향하는 제 1 의 면과, 상기 내벽과 대향해서 상기 제 1 의 면 보다도 상기 내벽측에 위치하는 제 2 의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의 면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내벽과의 거리를 변경시킴으로써, 주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를 방사시키는 제 1 의 위치와 해당 방사 안테나의 상기 제 1 의 면 및 상기 제 2 의 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를 방사시키는 제 2 의 위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이동부가 방사 안테나의 내벽과의 거리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와 내벽의 사이의 공간의 마이크로파에 관한 임피던스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안테나 이동부에 의해 방사 안테나를 가열실로, 그 일부에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상태 또는 그 전역에서 마이크로파를 공급시키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피가열물에 알맞게 가열실로 마이크로파의 공급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열실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고 싶은 경우, 가열실 전체에 고르게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와 상기 제 2 의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가 회전하지 않고 이동되는 일이 적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안하게 생각하는 장면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방사 안테나를 소정의 형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시키고 나서 마그네트론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사 안테나를 제 1 의 위치와 제 2 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무한의 위치에 위치시키면서 마이크로파가 발진하는 것이 회피되고, 따라서 무한의 전자계 분포 패턴을 존재시키는 것을 회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이 종료했을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미리 정한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쉬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방사 안테나의 위치에 알맞게 온/오프가 전환되고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오프되어 있는 스위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스위치의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만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의 이동부에 의한 방사 안테나의 위치의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 및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회수를 기억하는 횟수 기억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전자레인지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 중에서 상기 횟수 기억부에서 많은 횟수가 기억되는 쪽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효율있게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 및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를 기억하는 횟수 기억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의 이동부는, 상기 전자레인지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 중에서 상기 횟수 기억부에서 많은 횟수가 기억되고 있는 쪽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효율 있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 및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를 기억하는 횟수 기억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이 종료했을 때에 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 중에서 상기 횟수 기억부에서 많은 횟수가 기억되고 있는 쪽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효율 있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방사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 및 /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안테나 위치 검지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소정시간 이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테나 위치 검지부의 점지출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의 이동이 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위해서 동작이 계속되는 사태를 회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트론 제어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가 상기 방사 안테나를 소정시간 이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테나 위치 검지부의 검지출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방사 안테나의 이동이 정상으로 실행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위하여 동작이 계속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가 상기 안테나 위치 검지부의 검지출력을 얻을 수 없는 것에 의해 상기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정지시켰 을 때에 그 뜻을 통보하는 통지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의 이동이 정상으로 실행되지 않는 사실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트론 제어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의 제어부는 상기 방사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가열실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형태가 정확히 제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인 전자레인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특기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명칭 및 기능도 같다. 따라서 그것들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 은 전자레인지의 사시도이다. 전자레인지 1 은 주로 본체 2 와 도어 3 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2 는 그 외곽을, 외장부 4 에 덮여있다. 또 본체 2 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전자레인지 1 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판넬 6 이 구비되어 있다. 또 본체 2 는 복수의 다리 8 에 지지되어 있다.
도어 3 은 하단을 축으로 하여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3 의 상 부에는 손잡이 3A 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에 도어 3 이 개상태로 되었을 때의 전자레인지 1을 전방에서 본 전자레인지 1 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체 2 내부에는 본체 틀 5 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 틀 5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의 우측면 상부에는 구멍 1 0 A 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 1 0 A 에는 가열실 1 0 의 외측에서 검지 경로 부재 4 0 이 접속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의 저부에는 저판 9 가 구비되어 있다.
도 3 에 도 1 의 I I I - I I I 선에 따른 시시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4 에 , 도 1 의 I V - I V 선에 따른 시시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또 참조해서 구멍 1 0 A 에 접속된 검지 경로 부재 4 0 은 개구를 가지며 해당 개구를 구멍 1 0 A 에 접속된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검지 경로 부재 4 0 의 해당 상자 형상의 저면에는 적외선 센서 7 이 부착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 7 은 적외선을 캐치하기 위한 검지 구멍 2 1 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검지 경로 부재 4 0 을 구성하는 상자 형상의 저면상에 있어서 적외선 센서 7 의 검지 구멍 2 1 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검지 창 1 1 이 형성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 7 은 가열실 10 내에 시야를 가지고 있다. 적외선 센서 7 을 가열실 1 0 의 폭방향으로 각도 θ 만큼 흔들고 속으로 가는 방향으로 각도 α 만큼 흔드는 것에 의해 시야 7 0 0 이 가열실 1 0 의 저면 전체를 커버하고 있다.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의 우하(右下)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 2 가 구비되어 있다. 또 가열실 1 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론 1 2 와 본체 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 9 가 구비되어 있다. 마그네트론 1 2 는 도파관 1 9 내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론 안테나 1 2 A 를 구비하고 있다. 마그네트론 1 2 는 마그네트론 안테나 1 2 A 로부터 마이크로파를 발하고 해당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 를 통해서 가열실 1 0 에 공급된다.
본체 틀 5 X 와 저판 9 사이에는 회전 안테나 1 5 가 구비되어 있다. 도파관 1 9 의 하방에는 회전 안테나 1 5 의 회전 등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구동 박스 1 6 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1 5 는 축 1 5 A 로 안테나 구동 박스 1 6 과 접속되어 있다. 부착 부재 1 5 B 는 축 1 5 A 를 본체 틀 5 에 부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것으로 회전 안테나 1 5 는 부착 부재 1 5 B 및 축 1 5 A 에 의해 본체 틀 5 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축 1 5 A 는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을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하는 작용을 가진다.
저판 9 외주에는 실리콘 9 9 가 구비되어 있다. 실리콘 9 9 가 구비되어있는 것에 의해 저판 9 의 외주는 실 (seal) 로 막히게 된다.
가열실 1 0 안에서는 저판 9 위에 식품이 재치된다. 마그네트론 1 2 의 발진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 를 통해서 회전 안테나 1 5 에 의해 확산되면서 가열실 1 0 내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저판 9 위의 식품이 가열된다.
또 가열실 1 0 의 후방에는 히터 유닛 1 3 0 이 구비되어 있다. 히터 유닛 1 3 0 에는 후술하는 히터 1 3 및 히터 1 3 가 발하는 열을 가열실 1 0 내에 효율 있게 보내기 위한 팬이 수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저판 9 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저판 9 의 평면도이다.
저판 9 는 투명한 유리에 의해 구성되어 그 표면에는 인쇄가 덧붙여져 있다. 도 5 에서는 저판 9 에 있어서 인쇄가 덧붙여져 있는 부분은 사선을 덧붙이고 있다. 보다 더 자세하게는 저판 9 의 중앙에는 원상으로 검게 색칠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인쇄부 9 A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부 9 A 의 외주부에는 인쇄가 덧붙여져 있지 않은 도너츠상의 영역인 투명부 9 B 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투명부 9 B 의 외측에는 검게 색칠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인쇄부 9 C 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 9 가 이처럼 인쇄를 덧붙이고 있는 것에 의해 가열실 1 0 에 있어서 회전 안테나 1 5 의 부착을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부착부재 1 5 B 등의 조리에 직접관계가 없는 눈에 거슬리는 부품을 숨킬 수 있다. 즉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저판의 중앙부의 인쇄를 저판 중앙보다도 조금 (10mm정도) 전방으로 뒤로 옮겨 덧붙이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시계 (視界) 로부터 저판 중앙의 안테나 부착부를 보다 효율있게 숨킬 수 있다. 이것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은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도어 3 을 개상태로 하고 본체 틀 5 의 저면을 저판 9 를 떼어내어 전상방에서 본 도이다. 또 도 7 은 저판 9 가 부착되어있는 상태에서의 가열실 10 의 저면을 전상방에서 본 도이다. 또 도 7 에 있어서 저판 9 위의 인쇄를 덧붙인 부분에는 사선을 덧붙이고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해서 회전 안테나 1 5 는 원상의 판을 여러 곳 도려내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회전 안테나 1 5 중앙의 위에는 해당 회전 안테나 1 5 와 축 1 5 A 를 접속시키기 위한 자릿쇠 1 5 C 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1 5 는 자릿쇠 1 5 C 를 중심으로 수평면상에서 회전한다.
본체 틀 5 의 저면 5 X 에는 요부 5 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요부 5 A 의 외주면에는 저판 9 의 외주부분 (저판 9 의 최외에 위치하는 폭 2∼3cm 정도의 부분) 에 대응하는 저판 지지부 5 B 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 지지부 5 B 는 본체틀 5 의 해당 저판 지지부 5 B 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우부 (隅部) 5 C에 대해서 저판 9 의 두께 정도만 낮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저판 9를 그 외주부분이 저판 지지부 5 B 에 대응하도록 부착하면 저판 9 와 우부 5 C 가 동일평면을 구성한다.
회전 안테나 1 5 는 요부 5 A 의 거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가열실 1 0 을 저판 9 를 떼어낸 상태에서 본 경우, 회전 안테나 1 5 , 부착 부재 1 5 B , 자릿쇠 1 5 C 등을 보게 된다. 또 이 경우 사용자는 요부 5 A 의 외주부에 존재하는 배수구멍이나 자릿쇠의 연결부분 및 해당 연결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여러 나사 등도 보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해서 가열실 1 0 의 저면에 저판 9 가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열실 1 0 의 내부에서는 부착 부재 1 5 B , 자릿쇠 1 5 C , 요부 5 A 외주의 판금의 연결부분 및 해당 연결의 여러 나사가 인쇄부 9 A , 9 C 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또 저판 9 가 부착되어도 가열실 1 0 의 내부로부터 투명부 9 B 를 통하여 회전 안테나 1 5 의 외주부분은 볼 수 있다. 회전 안테나 1 5 의 중에서 인쇄부 1 5 A 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 부분은 회전 안테나 1 5 의 안에서 해당 회전 안테나 1 5 의 반경의 반의 반경을 가지는 원내에 포함되는 부분이다. 또 도 7 에 있어서 투명부 9 B 의 외주원은 안테나 부착부에 의해서 1 0 m m 정도 중심을 앞으로 옮기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시계에서는 회전 안테나 1 5 의 외주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전자레인지 1 에서는 저판 9 에는 투명부 9 B 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안테나 1 5 의 회전 모습을 가열실 1 0 안에서 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안테나 1 5 가 고장 등에 의해 회전해야 할 때 정지 한 상태의 경우에는 그 요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자레인지 1 은 회전 안테나 1 5 가 가열실 1 0 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실 1 0 의 저부에 위치하는 저판 9 에 투명부 9 B 가 설치되었다. 또 회전 안테나 1 5 가 가열실 1 0 의 측방에 설치되어 이는 경우이면 마찬가지로 가열실 1 0 의 측벽을 회전 안테나 1 5 의 회전을 시인할 수 이는 투명한 부분을 가지는 판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가열실 1 0 의 저면에 회전 안테나 1 5가 구비된 타입의 전자레인지 1 에서는 피가열물인 식품을 턴 테이블 등으로 이동시키는 일 없이 마그네톤 1 2 에 의한 가열조리에 있어서 가열이 고르지 못하는 것을 어느정도 회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시판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실에 구비되어 있는 것 같은 턴테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한편으로 사용자가 가열실 내에 회전하는 부재를 보지 못하는 것에 의해 조리가 충분히 실행되는가 라는 불안감을 가지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레인지 1 에서는 투명부 9 B 를 통해서 회전 안테나 1 5 의 회전을 인식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가열실 1 0 내에 조리중에 회전하는 부재가 있다는 안심감을 줄 수가 있다.
또 저판 9 에는 부분적으로 눈가리개용 인쇄가 덧붙여져 있다. 따라서 조리 할 때 눈에 거슬리는 부품을 사용자의 시계에서 가릴 수 있다.
또 저판 9 위의 인쇄는 요부 5 A 상에 부착된 감추고 싶은 부품의 바로 위보다도 조금 (1 0 m m 정도)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전방에 덧붙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감추고 싶은 부품과 그것을 감추기 위한 저판 9 위에 인쇄를 옮기는 것은 사용자가 저판 9 를 가열실 1 0 의 전방에서 보기 위함이다. 즉 이처럼 감추고 싶은 부품과 저판 9 위의 인쇄의 수직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금 옮기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해당 인쇄를 해당 부품에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저판 9 는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한 판에 의해 구성된다. 그 재료로서 내열온도가 높고 열충격에 강하고 유전손실이 낮고 또 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온도가 높지 않으면 식품이 가열된 경우에 저판 9 가 파괴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충격이 강하지 않으면 어떤 식품의 가열에 의해 저판 9 가 고온이 되어 있을 때 다음 식품의 가열을 실행하기 위해서 차가운 식품을 저판 9 에 재치하면 저판 9 가 파괴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열충격성이란 예를 들어 어떤 물질을 오븐 등으로 뜨겁게 한 후 냉수에 넣어서 계출 되는 값에 의해 평가되는 성질이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표 1 에 있어서는 열충격이 1 0 0 ℃ 인 경우에는 1 1 0 ℃ 로 뜨겁게 한 후 1 0 ℃ 의 물 안에 넣어도 파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유전손실이 높으면 마그네트론 1 2 의 발진하는 마이크로파를 저판 9가 흡수해서 가열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또 강도가 낮으면 저판 9 위에 식품이 재치되었을 때 저판 9 가 파괴해버리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한 저판 9 에 구해지는 특성은 회전 안테나가 가열실의 저면측 이외 (천면측, 측방 등) 에 설치되어 저판 9 에 대응하는 판체가 해당 회전 안테나를 덮듯이 설치된 경우에도 같은 모양으로 구해진다. 즉 내열온도와 열충격에 대해서는 가열대상으로 되는 식품이 비등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열실의 측면 등에 튀는 경우도 생각했기 위함이다. 또 유전손실에 대해서는 가열실에 있으면 저면이라도 측면이라도 천면이라도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강도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식품의 용기 등이 가열실의 측면 등에 충돌하는 경우를 생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특성을 충족시키는 재료로서는 방계산 유리를 들 수 있다. 방계산 유리 중에도 강하된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 1 에 강화된 방계산 유리를 예로서 파이렉스 (등록상표) 강화 유리 및 템팩스플롯 (등록상표) 강화 유리의 특성을 든다. 도 표 1에는 강화된 소다 유리, 네오세럼 및 코지라이트의 특성도 든다. 또 네오세럼, 코지라이트는 시판의 전자조리기에 있어서 냄비를 재치하는 찬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불투명하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1 의 저판 9 로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표 1]
유리 항목 파이렉스 강화 텐팩스플롯 강화 소다유리 강화 네오세럼 코지라이트
내열온도 (℃) 290 280 250 850 1200
열충격 (℃) 304 280 220 600 250
유전손실 (×10-4) 50 37 ― (∼100) 260 53
구부림강도 (N/mm2) 70 110 100 170 150
표 1을 참조해서 방계산 유리인 파이렉스 (등록상표) 강화 유리 및 텐팩스플롯 (등록상표) 강화 유리는 네오세럼이나 코지라이트에 필적할 정도의 강도 (구부림 강도) 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더해서 유전손실에 대해서는 네오세럼 보다도 압도적으로 낮고 코지라이트에 대해서도 낮은 수치를 가지고 있다.
또, 파이렉스 (등록상표) 강화유리, 텐팩스플롯 (등록상표) 강화 유리는 투명한 유리인 강화된 소다 유리와 같은 정도의 강도 (구부린 강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파이렉스 (등록상표) 강화유리, 텐팩스플롯 (등록상표) 강화유리는 각각 4 0 ℃ 또는 3 0 ℃ 만 내열온도가 높고 열충격에 대해서는 각각 8 4 ℃ 또는 6 0 ℃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다. 또 표 1 에는 강화된 소다유리의 유전손실의 값은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거의 1 0 0 × 1 0 -4 정도로 생각된다. 즉, 파이렉스 (등록상표) 강화 유리, 텐팩스플롯 (등록상표) 강화 유리에 대해서 꽤 낮은 유전손실을 가진다.
이상에 의해 저판 9 의 재질로서는 방계산 유리, 그 중에서도 특히 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 저판 9 는 그 단면에 인쇄된다. 일반적으로 판상의 물건의 단면에 인쇄 가 덧붙여지면 인쇄를 덧붙여진 면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균열에 잉크가 들어가 내부에 침투해 간다. 그 때문에 인쇄 이면에서의 힘이 더해지면 그 힘은 균열이 퍼져가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다. 이것을 도 8을 참조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은 도 5 의 V I I I - V I I I 선에 따른 사시 단면도이다.
저판 9 는 인쇄를 덧붙인 인쇄면 9 D 와 그 이측에 위치하는 이면 9 E 를 가지고 있다. 인쇄면 9 D 상에는 잉크 9 0 이 도포되어 있다. 또 이 때 이면 9 E 로부터 충격의 강도는 인쇄면 9 D 에 잉크 9 0 이 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보다도 저하한다.
또 인쇄면 9 D 에서는 도 5 에 나타낸 패턴으로 인쇄가 덧붙여 있기 때문에, 즉 그 표면에는 잉크 9 0 이 도포되는 장소와 분포되지 않는 장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면 9 E 보다도 표면의 요철의 차가 커진다.
저판 9 는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실 1 0 내에 부착되는 경우 그 인쇄면 9 D 를 위로 향하게 해서 부착할 수도 있으면 아래로 향하게 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인쇄면 9 D 가 식품에 접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 9 E 가 식품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저판 9 를 인쇄면 9 D 가 식품에 접하도록 부착하면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식품과 접하는 면의 강도를 확보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이 경우 식품과 접하는 면상에 요철이 있기 때문에 식품이 저판 9 위에서 쉽게 미끄러지 않는 안전함이란 이점도 있다.
한편으로는 저판 9 를 이면 9 E 가 식품에 접하도록 부착하면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식품을 재치하는 면에 요철이 적기 때문에 해당면의 청소가 쉽고 위생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또, 식품을 저판 9 위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저판 9 의 식품을 재치하는 면에 표면이 꺼끄럽게 하는 가공을 덧붙이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공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판 9 의 재료를 롤러로 늘리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저판 9 의 표면에는 롤러 결이 붙는다. 이 롤러 결에 의해 저판 9 의 표면은 꺼끄러워 지는 것이다.
도 9 는 방사 안테나 1 5 의 평면도이다. 방사 안테나 1 5 에는 축 1 5 A 를 통과되는 구멍 1 5 X 와 개구 1 5 P , 1 5 Q , 1 5 R 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서는 개구 1 5 Q 와 구멍 1 5 X 의 최단경로가 선 L 1 로 표시되어 개구 1 5 R 과 구멍 1 5 X 의 최단경로가 선 L 2 로 표시되어 있다. 선 L 1 및 선 L 2 의 길이는 각각 4 5 mm 정도이다.
다음으로 방사 안테나 1 5 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0 은 방사 안테나 1 5 의 사시도이다. 도 1 0 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방사 안테나 1 5 는 꺾어 구부려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 1 에 꺾어 구부러진 선과 함께 기재된 방사 안테나 1 5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 2 에 도 1 1 의 화살표 X I I 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방사 안테나 1 5 는 선 1 5 0 1 , 1 5 0 3 , 1 5 0 5 , 1 5 0 8 , 1 5 1 0 , 1 5 1 2 에서 각각 중심의 구멍 1 5 X 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밑에 위치하도록 꺾어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방사 안테나 1 5 는 구멍 1 5 X 에 대해서 이들 선 보다도 외측에 있는 선 1 5 0 2 , 1 5 0 4, 1 5 0 6 , 1 5 0 7 , 1 5 0 9 , 1 5 1 1 로 각각 중심의 구멍 1 5 X 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원래의 평면에 되돌려 놓듯이 꺾어 구부려져 있다. 선 1 5 0 1 ∼ 1 5 1 2 에서 상기와 같이 꺾어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는 같은 높이 위치에 있는 평면 1 5 1 , 1 5 2 및 평면 1 5 1 , 1 5 2 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평면 1 5 4 , 1 5 5 를 구비하게 된다. 또 방사 안테나 1 5 는 선 1 5 1 5 에서 산으로 형성되고 선 1 5 1 4 에서 골로 형성되고, 그리고 선 1 5 1 3 에서 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는 선 1 5 1 5 와 선 1 5 1 4 로 좁혀진 평면 1 5 6 과 선 1 5 1 4 와 선 1 5 1 3 으로 좁혀진 평면 1 5 3 을 또한 구비하게 된다.
다음으로 안테나 구동 박스 1 6 의 내부를 포함한 방사 안테나 1 5를 구동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3 은 안테나 구동 박스 1 6 및 그 근방의 부재의 사시도이다. 안테나 구동 박스 1 6 은 재치대 6 1을 상부에 덮여져 있다. 축 1 5 A 는 재치대 6 1을 관통하도록 직립되어 있다. 또 도 3 에서는 생략했지만 재치대 6 1 위에 있어서 도파관 1 9 의 하방에는 안테나 회동 모터 3 4 와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가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 회전 모터 3 4 는 방사 안테나 1 5 를 수평면상에서 회전시킬 때 구동되는 모터이다.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는 방사 안테나 1 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구동되는 모터이다.
안테나 구동박스 1 6 내부에 있어서 재치대 6 1 의 하방에는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부재가 수용되어 있다. 도 1 4 에 도 1 3 으로부 터 재치대 6 1 을 생략한 경우의 도를 나타낸다. 또 도 1 5 에 안테나 구동 박스 1 6 , 재치대 6 1 , 안테나 회전 모터 3 4 ,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및 방사 안테나 1 5 가 조립되어 있는 것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안테나 구동 박스 1 6 내부에는 복수의 톱니바퀴 6 2 ∼ 6 9 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안테나 회전 모터 3 4 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해당 모터에 접속되어 있는 톱니바퀴 6 6 이 회전한다. 톱니바퀴 6 6 이 회전하면 톱니바퀴 6 6 에 맞물려있는 톱니바퀴 6 8 이 회전한다. 톱니바퀴 6 8 이 회전하면 톱니바퀴 6 8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톱니바퀴 6 7 이 회전한다. 톱니바퀴 6 7 이 회전하면 톱니바퀴 6 7 이 맞물린 톱니바퀴 6 9 가 회전한다. 톱니바퀴 6 9 가 회전하면 톱니바퀴 6 9 에 부착되어 있는 축 1 5 A 가 회전한다. 축 1 5 A 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가 회전한다.
톱니바퀴 6 5 의 상부에 부착된 회전부재 7 0 은 타원형의 통상이고 그 외연부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장소에 의해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축 1 5 A 는 회전 부재 7 0 의 외연부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고 있다.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해당 모터에 접속되어 있는 톱니바퀴 6 2 가 회전한다. 톱니바퀴 6 2 가 회전하면 톱니바퀴 6 2 에 맞물려있는 톱니바퀴 6 3 이 회전한다. 톱니바퀴 6 3 이 회전하면 톱니바퀴 6 3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톱니바퀴 6 4 가 회전한다. 톱니바퀴 6 4 가 회전하면 톱니바퀴 6 4 에 맞물려있는 톱니바퀴 6 5가 회전한다. 톱니바퀴 6 5 가 회전하면 회 전 부재 7 0이 회전한다. 회전 부재 7 0 이 회전하면 회전부재 7 0 에 있어서 축 1 5 A 를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가 달라진다.
회전 부재 7 0 에 있어서의 축 1 5 A 를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가 변화하면 그것에 알맞게 회전 안테나 1 5 의 높이도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던 회전 안테나 1 5 가 회전 부재 7 0 에 있어서 축 1 5 A 를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가 변화하면 , 도 1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높은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전자레인지 1 에서는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이 계속 되면 그 기간중 방사 안테나 1 5 의 높이 위치의 변화도 계속 된다.
또 회전 안테나 1 5 에서는 도 9 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 1 5 A 와 접속되는 구멍 1 5 X 과 선 L 1 , L 2 에서 묶인 위치에 개구 1 5 Q , 1 5 R 의 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낸 상태의 전자레인지 1 에서는 축 1 5 A 내에서 마이크로파가 전파되는 거리와 선 L 1 또는 선 L 2 의 길이와의 합 X 는 마그네트론 1 2 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 파의 파장을 λ 로 하고 n을 정수로 하면 식 ( 1 ) 로 나타난다.
X=2n×λ/2 …(1)
또 도 3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방사 안테나 1 5 와 본체틀 5 의 저면 5 X 와 거리가 비교적 짧고 방사 안테나 1 5 와 저면 5 X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인피던스가 비교적 낮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까지 전파해 온 마이크로파 해당 방사 안테나 1 5 의 외연부로부터 가열실 1 0 으로의 전파가 억제되고 그 대신에 선 L 1, L 2 와 개구 1 5 Q , 1 5 R 과의 교점부근 (도 1 1 에서 영역 1 5 M , 1 5 N에서 나타난 영역)에서 많은 마이크로파가 가열실 1 0 으로 전파된다. 또 도 3 에 나타난 상태에서는 본체틀 5 의 저면 5 X 와 평면 1 5 1 , 1 5 2 와의 수직방향의 거리는 1 5 m m 이고 평면 1 5 4, 1 5 5 의 수직방향의 거리는 1 0 m m 이다.
한편 도 1 6 에 나타난 상태에서는 방사 안테나 1 5 는 도 3 에 나타난 상태보다도 5 mm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도 1 6 에 나타난 상태에서는 본체 틀 5 의 저면 5 X 와 평면 1 5 1 , 1 5 2 와의 수직방향의 거리는 2 0 mm 이고 평면 1 5 4 , 1 5 5 와의 수직방면의 거리는 1 5 mm 이다. 그리고 도 1 6 에 나타난 상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난 상태보다도 저면 5 X 와 방사 안테나 1 5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인피던스가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까지 전파해 온 마이크로파는 해당 방사 안테나 1 5 의 각 단부로부터 가열실 1 0 으로 전파해 간다.
즉, 전자레인지 1 에서는 가열실 1 0 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방사 안테나 1 5 는 도 3 에 나타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제어되어 가열실 1 0 의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방사 안테나 1 5 는 도 1 6 에 나타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또 방사 안테나 1 5 의 높이는 축 1 5 A 가 회전부재 7 0 에 지지되는 높이에 의존한다. 또 축 1 5 A 가 회전부재 7 0 에 지지된 높이는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의 정지위치에 의존한다. 그리고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의 정지위치는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도 1 7 에 안테나 구동 박스 1 6 내의 회전부재 7 0 과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회전부재 7 0 은 상부에서 보면 타원형상을 가지고 중심 7 0 X 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은 버튼 3 6 A 를 압압되는 것에의해 검지출력을 출력한다.
도 1 7 에서는 회전의 정지위치의 다른 회전부재 7 0 이 각각 실선과 일점 파선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것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 7 0 의 회전 정지위치에 의해서 버튼 3 6 A 가 회전부재 7 0 에 의해서 압압되거나 압압되지 않거나 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1 에서는 버튼 3 6 A 가 압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전부재 7 0 의 회전위치가 특정 위치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버튼 3 6 A 가 압압 되고 나서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까지의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재 7 0 의 회전 정지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부재 7 0 이 회전하고 사용 빈도가 높다고 상정되는 미리 정해진 소정위치에 방사암전이 위치했을 때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방사 안테나 1 5 가 제일 하방에 위치했을 때 회전부재 7 0 이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버튼 3 6 A 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버튼 3 6 A 에 대기시에 힘이 부세되지 않고 필요할 때만 부세되기 때문에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도 1 8 은 전자레인지 1 의 제어 블록도 이다. 전자레인지 1 은 해당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 3 0 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 3 0 은 마이크로 컴퓨터 3 0 0 및 적당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3 0 1 을 포함한다.
제어회로 3 0 은 조작 패널 6 , 적외선 센서 7 , 및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회로 3 0 은 그 입력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마그네트론 팬모터 3 1 , 고내등 3 2 ,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3 3 , 안테나 회전 모터 3 4 ,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및 표시부 6 0 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그네트론 팬모터 3 1 은 마그네트론 1 2를 냉각하기 위한 팬이다. 고내등 3 2 는 가열실 1 0 내를 밝히는 전등이다.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3 3 은 마그네트론 1 2 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표시부 6 0 은 조작 패널 6 에 구비되어 적당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1 9 에서는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전원을 투입되고 나서 가열조리까지의 사이에 제어회로 3 0 이 실행되는 스탠바이 처리 플로 차트 이다.
전자레인지 1 에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회로 3 0 은 먼저 스텝 S 1 (이하, 스텝을 생략한다.)에서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은 S 2 로,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검지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을 체크한다.
다음으로 S 3 에서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이 O N 에서 O F F 로 변화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또 안테나 스위치 3 6 은 버튼 3 6 A 가 압압되어 있는 기간 중은 O N 의 검지출력을 압압이 제거되면 O F F 의 검지출력을 제어회로 3 0 으로 보낸다. 그리고 S 3에서 그와 같은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S 4 로 처리가 이행되어 그와 같은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없었다고 판단되면 S 6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 4 에서는 안테나 상하구동모터 3 5 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방사안테나 1 5 의 상하방향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S 5 에서 전자레인지 1 을 동작 스탠바이상태로서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S 6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이 O F F에서 O N 으로 변화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S 6 에서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S 2 로 처리가 돌아가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S 7 로 처리가 이행된다.
S 7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전자레인지 1 에 전원이 투입되면서 1 0 초가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1 0 초가 경과했으면 S 8 에 처리를 이행하고 아직 1 0 초가 경과하지 않으면 처리를 S 2 에 돌린다.
S 8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S 9 에서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를 구동시킴에도 불구하고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을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이 정상으로 검지하지 않은 요지를 통보해서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 이 경우의 통보에서는 표시부 6 0 으로 특정의 표시를 실행하지 않아도 좋고 전자레인지 1 에 음성회로를 구비시켜서 특정의 음성을 출력시켜도 좋다.
도 1 9 를 사용해서 설명한 스탠바리 처리에 의해 전자레인지 1 에서는 가열조리가 실행되기 전에 방사 안테나의 높이 위치의 변경이 정상으로 실행되는가 아닌가, 즉 가열실 1 0 내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형태의 변경이 정상으로 실행되는가 아닌가가 체크되어, 그리고 이상이 있으면 그 요지가 통보된다.
도 2 0 은 가열실 1 0 내의 피가열물을 가열할 때에 제어회로 3 0 이 실행하는 가열 조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전자레인지 1 이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 조작 패널 6 에 대해서 가열을 개시하기 위한 조작이 되면 제어회로 3 0 은 S A 1 에서 해당 조작에 따른 각종 설정을 실행하여 운전지시 (조작패널 6 에 구비된 스타트 버튼으로의 조작) 에 의해 마그네트론 1 2 의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개시시켜서 가열동작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2 로 방사안테나 1 5 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 1 2 의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3 으로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4 로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을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5 으로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이 O F F 에서 O N 으로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S A 5 로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S A 6 에 처리가 이행되어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S A 1 4 로 처리가 이행된다.
S A 6 으로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7 로 마그네트론 1 2 에 마이크로파 발진을 재개시킨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8 로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을 정지시켜도 좋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이 조작패널 6 등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만 실행되는가 아닌가 또는 적외선 센서 7 에 의해 검출된 피가열물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가열을 정지시켜도 좋다고 판단되면 S A 9 에 처리를 진행 할 수 있다.
S A 9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마그네트론 1 2 에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3 0 은 S A 1 0 에서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를 구동시켜서 방사 안테나 1 5 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1 1 에서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을 체크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 3 0 은 S A 1 2 에서 안테나 검지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이 O N 에서 O F F 로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S A 1 2 에서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S A 1 3 으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러한 검지 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S A 1 8 로 처리가 이행된다.
S A 1 3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의 구동을 정지시켜 방사 안테나 1 5를 정지시키고 가열 조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 A 1 8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 출력이 O F F 에서 O N 으로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S A 1 8 에서 그 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S A 1 1 로 처리가 돌아가고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S A 1 9 로 처리가 이행된다.
S A 1 9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S A 3 에서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의 구동을 개시해서 1 0 초가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1 0 초가 경과했으면 S A 2 0 에 처리를 이행하고 아직 1 0 초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처리를 S A 1 1 로 돌린다.
S A 2 0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구동모터 3 5 의 정지 및 가열동작의 중지를 위해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S A 2 1 에서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를 구동시킴에도 불구하고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을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이 정상으로 검지하지 않는 요지를 통보해서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S A 1 4 에서,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출력이 O F F 에서 O N 으로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S A 1 4 에서 그러한 검지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S A 4 에 처리가 돌아가고 그러한 검지 출력의 변화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S A 1 5 에 처리가 이행된다.
S A 1 5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S A 3 에서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 의 구동을 개시하고 1 0 초가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1 0 초가 경과했으면 S A 1 6 으로 처리를 이행하고 아직 1 0 초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처리를 S A 4 로 돌린다.
S A 1 6 에서는,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의 정지 및 가 열동작의 중지를 위해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S A 1 7 로 제어회로 3 0 은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를 구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회전부재 7 0 의 회전을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이 정상으로 검지하지 않은 요지를 통보해서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의 가열 조리 처리에서는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를 소정시간 (1 0 초) 구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에서 기대되는 검지 신호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마그네트론 1 2 의 구동이 정지되어 또 이상이 통지된다.
또 이상 설명한 가열 조리 처리에서는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가 구동할 때에는, 즉 방사 안테나 1 5 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마그네트론 1 2 의 운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열실 1 0 내로 마이크로파의 공급 형태가 변화할 때에는 가열실 1 0 으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이 정지되게 된다.
또 이상 설명한 가열 조리 처리에서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이 실행될 때의 방사 안테나 1 5 의 상하 방향 위치는 S A 1 에 있어서 접수되는 조작 패널 6 에 대한 설정에 따라 결정되고 제어된다. 예를 들어 조작 패널 6 에 대해서 가열실 1 0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공급시켜야 하는 조리 메뉴의 실행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S A 6 에서 방사 안테나 1 5 의 상하방향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때 S 5 에서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 출력을 얻을 수 있고 나서 방사 안테나 1 5 가 도 1 6 에 표시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안테나 상하 구동 모터 3 5 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 조작 패널 6 에 대해서 마이크로파를 국소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조리메뉴의 실행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S A 6 에서 방사 안테나 1 5 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때, S 5 에서 안테나 검지 스위치 3 6 의 검지 출력을 얻을 수 있고 나서 방사 안테나 1 5 가 도 3 에 나타난 상태가 되기 위해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안테나 상하 운동 모터 3 5 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 가열 조리를 종료시키기 위해서 S A 9 에서 마그네트론 1 2 의 구동이 정지한 후에도 S A 1 0 ∼ S A 1 3 , S A 1 8 , S A 1 9 의 처리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방사 안테나 1 5 는 도 3 또는 도 1 6 에 나타난 위치 중 지금까지의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의 가열조리에 있어서 제어된 횟수가 많은 쪽의 위치에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 안테나 1 5 는 다음의 가열 조리까지의 대기 위치를 사용빈도가 높은 위치로 되기 때문에 전자레인지 1 에서의 방사안테나 1 5 의 이동제어의 간략화가 가능해 진다. 또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조리처리에 있어서 가열의 개시 때마다 방사 안테나 1 5 의 높이 위치를 확인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안테나 상하구동 모터 3 5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제어가 실행되어도 좋다.
또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전자레인지 1 에서는 도 3 또는 도 1 6 에 표시했듯이 방사 안테나 1 5 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가열실 1 0 에 대한 마이크로파의 공급형태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하에 이러한 방사 안테나의 위치의 제어에 의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2 에 도 2 1 에 표시했듯이 가열실 1 0 내에 상하로 겹쳐서 쌓은 두 개의 비커 1 0 1 , 1 0 2 안의 물 (1 0 0 c c) 의 4 0 초 가열을 실행했을 때의 상승온도를 나타낸다. 또 비커 1 0 1 , 1 0 2 의 형상은 같고 비커 1 0 1 , 1 0 2 의 사이에는 마이크로파를 통과시키는 수지제 판 1 0 0 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2 에 가열실 1 0 내에서 설치된 상태의 비커 1 0 1 , 1 0 2 및 판 1 0 0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이 경우의 가열은 마그네트론 1 2 의 출력을 1 0 0 0 W 로서 실행되었다. 또 표 2 중 의 「 안테나 위치 : 상 」이란 방사 안테나 1 5 가 도 1 6 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 안테나 위치 : 하 」 란 방사 안테나 1 5 가 도 3 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표 2]
수부하 (상단) 수부하 (하단) 온도차 (하단-상단)
안테나 위치 : 상 19.8 deg. 22.2 deg. 2.4 deg.
안테나 위치 : 하 19.1 deg. 28.9 deg. 9.8 deg.
표 2를 참조해서 안테나 위치가 「상」의 경우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면 상단에 배치된 비커 1 0 1 내에 물의 온도는 1 9 . 8 degree 상승하고 하단에 배치된 비커 1 0 2 내에 물의 온도는 2 2 . 2 degree 상승한다. 즉 하단의 비커 1 0 2 내의 물의 상승온도는 상단의 비커 1 0 1 내의 물의 상승온도보다도 2 . 4 degree 큰 것이 된다.
한편 안테나의 위치가 「하」인 경우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면 상단에 배치된 비커 1 0 1 내의 물의 온도는 1 9 . 1 degree 상승하고 하단에 배치된 비커 1 0 2 내에 물의 온도는 2 8 . 9 degree 상승한다. 즉 하단의 비커 1 0 2 내의 물의 상승온도는 상단의 비커 1 0 1 내의 물의 상승온도보다도 9 . 8 degree 큰 것이 된 다.
즉 안테나 위치가 「하」의 경우에는 안테나 위치가 「상」의 경우보다도 가열실 1 0 내에 재치된 식품을 하의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 안테나의 위치가 「상」의 경우에는, 안테나의 위치가 「하」의 경우보다도, 가열실 내의 특히 상하방향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골고루 식품을 가열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방사 안테나 1 5 는 피가열물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본체 틀 5 의 저면 5 X 와의 거리를 변화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들어 방사 안테나 1 5 는 가열실 1 0 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해당 측면과의 거리가 가변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처럼 방사 안테나 1 5 가 설치되어도 전자레인지 1 에서는 가열실 1 0 내에 국소적으로도 전체적으로도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도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실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다.

Claims (13)

  1. 식품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진한 마이크로파를 전파하는 도파관과,
    상기 식품을 재치(載置)하기 위하여 가열실 저부(底部)에 배치된 저판(底板)과,
    상기 저판의 하방에 설치된 오목부와,
    상기 도파관에 전파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가열실 내에 방사하기 위하여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된 방사 안테나와,
    상기 방사 안테나를 이동시키는 안테나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 안테나는,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대향하는 제 1면과, 상기 저면과 대향하여 상기 제 1면보다도 상기 저면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면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의 상기 제 1면과 상기 오목부의 저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방사 안테나의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의 단부로부터의 상기 마이크로파의 방사가 억제되고, 또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파를 방사시켜서 상기 식품의 하부를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1위치보다 상방 위치에서 상기 방사 안테나의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는 제 2위치와
    의 사이에서 상기 방사 안테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 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안테나를 회전시키는 전자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와 상기 제 2 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방사 안테나를 소정의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전자레인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이 종료했을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이미 정해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전자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안테나의 위치에 응하여 온/오프가 전환되고,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오프되어 있는 스위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만 정지시키는 전자레인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 및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를 기억하는 횟수 기억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전자레인지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사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 중에서 상기 횟수 기억부에서 많은 횟수가 기억되고 있는 쪽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전자레인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 및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된 횟수를 기억하는 횟수 기억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이 종료했을 때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 중에서 상기 횟수 기억부에서 많이 횟수가 기억되고 있는 쪽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전자레인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 및/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안테나의 위치 검지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이동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를 소정시간 이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테나 위치 검지부의 검지출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전자레인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트론 제어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이동부가 상기 방사 안테나를 소정시간 이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테나 위치 검지부의 검지출력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발진을 정지시키는 전자레인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이동부가 상기 안테나 위치 검지부의 검지 출력을 얻을 수 없음에 의해 상기 방사 안테나의 이동을 정지시켰을 때에, 그 요지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트론 제어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 제어부는 상기 방사 안테나가 상기 제 1 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 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는 전자레인지.
KR1020030096808A 2002-12-27 2003-12-24 전자레인지 KR100569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80661A JP4024145B2 (ja) 2002-12-27 2002-12-27 電子レンジ
JPJP-P-2002-00380661 200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768A KR20040060768A (ko) 2004-07-06
KR100569257B1 true KR100569257B1 (ko) 2006-04-10

Family

ID=3246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808A KR100569257B1 (ko) 2002-12-27 2003-12-24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12443B2 (ko)
EP (1) EP1434466B1 (ko)
JP (1) JP4024145B2 (ko)
KR (1) KR100569257B1 (ko)
CN (1) CN1271374C (ko)
AT (1) ATE298187T1 (ko)
DE (1) DE603008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18278D1 (de) * 2005-04-12 2010-12-30 Technology Partnership Plc Melbourn Kochgerät
US8653482B2 (en) 2006-02-21 2014-02-18 Goji Limited RF controlled freezing
US8839527B2 (en) 2006-02-21 2014-09-23 Goji Limited Drying apparatus and methods and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US10674570B2 (en) 2006-02-21 2020-06-02 Goj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electromagnetic energy
WO2008102334A1 (en) 2007-02-21 2008-08-28 Rf Dynamics Ltd. Rf controlled freezing
ES2425395T3 (es) 2006-02-21 2013-10-15 Goji Limited Calentamiento electromagnético
JP5116260B2 (ja) 2006-06-19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4807187B2 (ja) * 2006-08-30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2008190752A (ja) * 2007-02-02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加熱装置
JP4809280B2 (ja) * 2007-04-09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194561B2 (ja) * 2007-05-28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IL184672A (en) 2007-07-17 2012-10-31 Eran Ben-Shmue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electromagnetic energy on a remotely-located object
US9131543B2 (en) 2007-08-30 2015-09-08 Goji Limited Dynamic impedance matching in RF resonator cavity
EP2376154A2 (en) 2008-11-10 2011-10-19 Goji Ltd Method and system for heating and/or thawing blood products
KR101584397B1 (ko) 2009-11-10 2016-01-11 고지 엘티디. Rf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920993B2 (ja) 2010-05-03 2016-05-24 ゴジ リミテッド モーダル解析
EP2393340B1 (en) 2010-06-04 2015-09-02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with rotatable antenna and method thereof
JP5641895B2 (ja) * 2010-11-17 2014-12-17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CN103563482A (zh) * 2012-03-26 2014-02-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微波加热装置
CN103591619B (zh) * 2012-08-16 2016-03-2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及其控制方法
CN106465490B (zh) * 2014-07-10 2019-11-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微波加热装置
CN104676674A (zh) * 2014-07-29 2015-06-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及其激励器、波导
US11229095B2 (en) * 2014-12-17 2022-01-18 Campbell Soup Company Electromagnetic wave foo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JP6461656B2 (ja) * 2015-03-16 2019-01-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4819491A (zh) * 2015-03-20 2015-08-05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微波炉底盘玻璃
JP2018022428A (ja) * 2016-08-05 2018-02-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Rfidタグ読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83183B2 (en) * 2016-12-05 2019-08-13 Hall Labs Llc Microwave oven with oscillating magnetr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5895A (en) 1980-02-19 1981-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rtex flow fan
US4327266A (en) * 1980-09-12 1982-04-27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s for uniform heating
FR2532510B1 (fr) 1982-08-31 1986-05-23 Bosch Siemens Hausgeraete Appareil de chauffage a haute frequence
JPS60130094A (ja) 1983-12-15 1985-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US4642435A (en) * 1985-12-26 1987-02-10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ting slot antenna arrangement for microwave oven
DE3811063A1 (de) * 1988-03-31 1989-10-19 Berstorff Gmbh Masch Hermann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erwaermen, pasteurisieren oder sterilisieren von lebensmitteln oder dergleichen
US5182426A (en) * 1991-12-17 1993-01-26 Raytheon Company Microwave oven having an improved antenna
FR2798549B1 (fr) 1999-09-10 2002-01-11 Brandt Cooking Antenne pour four a micro ondes
JP2001244064A (ja) * 2000-02-29 2001-09-07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4466B1 (en) 2005-06-15
CN1271374C (zh) 2006-08-23
JP4024145B2 (ja) 2007-12-19
DE60300855T2 (de) 2006-05-11
JP2004213976A (ja) 2004-07-29
US6812443B2 (en) 2004-11-02
DE60300855D1 (de) 2005-07-21
CN1512106A (zh) 2004-07-14
ATE298187T1 (de) 2005-07-15
KR20040060768A (ko) 2004-07-06
EP1434466A1 (en) 2004-06-30
US20040134905A1 (en)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257B1 (ko) 전자레인지
KR0139278Y1 (ko) 전자렌지의 히터위치조절장치
EP1753266A2 (en) Microwave cooker
JP3970115B2 (ja) 電子レンジ
JP5124200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02039539A (ja) 高周波加熱装置
JP4017534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5066063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8321378A (ja) 高周波加熱装置
JP3901350B2 (ja) 電子レンジ
JP2009097836A (ja) 加熱調理器
JP4010958B2 (ja) 加熱調理器
JP5593710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JP2004245441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3545329B2 (ja) 調理器
JPH0821631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381164B1 (ko) 전자레인지의 히팅 장치 및 방법
JP3749112B2 (ja) 加熱調理装置
JP2004044846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200199628Y1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JPH11166735A (ja) 電子レンジ
KR0154641B1 (ko) 전자렌지의 리플렉터 위치 제어장치
KR960002030Y1 (ko) 전자레인지
KR20050089319A (ko) 전자렌지
JP2003065544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