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628Y1 -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628Y1
KR200199628Y1 KR2019970029700U KR19970029700U KR200199628Y1 KR 200199628 Y1 KR200199628 Y1 KR 200199628Y1 KR 2019970029700 U KR2019970029700 U KR 2019970029700U KR 19970029700 U KR19970029700 U KR 19970029700U KR 200199628 Y1 KR200199628 Y1 KR 200199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motor
bracket
cooking cha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321U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9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6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히터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히터 브라켓에 스토퍼를 설치한 후, 회전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스토퍼가 모터 브라켓에 걸리면서 회동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요구되는 설치공간이 크며, 조립성이 용이하지 못하며, 회전 모터에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리실(100) 상판(200)의 구멍(210)에 히터(300)가 설치된 히터 브라켓(310)을 삽설하되, 히터 브라켓(310)의 상부에는 모터 브라켓(410)의 일측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기어(421)가 축설된 회전 모터(400)를 설치하며, 기어(421)에는 지지대(500)의 일측을 편심되도록 핀설하고, 지지대(500)의 타측은 조리실(100) 상판(200)에 핀설시킴에 따라 회전 모터(400)를 구동시키게 되면, 기어(421)가 회동되면서, 기어(421)에 설치된 지지대(500)의 타측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대(500)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어, 히터(300)를 중심점으로 모터 브라켓(410)이 일측과 타측으로 번갈아 회동됨에 따라 회전 모터(400)는 일방향으로만 회동하게 되고, 히터(300)는 제자리에서 일측과 타측을 번갈아 회동하게 되어 회전 모터(400)도 보호하면서 음식물에 복사열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조리실 상부에 설치되어 고주파와 함께 복사열로서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리실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가 회전 모터에 의해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번갈아 회동되도록 함에 따라 히터의 복사열을 음식물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키며,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일측면 전장실에는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 고압콘덴서 등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실의 바닥에는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트레이의 하부에는 트레이를 회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 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트레이를 따라 그 위에 놓여진 조리용기가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조리실로 조사되는 고주파가 용기 속의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만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해동하거나 데우기 및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렌지와, 조리실 상단에 히터를 설치하거나, 후면에 컨벡션팬을 설치하여 상기의 고주파에 의한 조리외에 그릴요리와 오븐요리를 병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전자렌지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기능과 다기능으로 구분되는 전자렌지는 모두 조리물의 중량에 따라 고주파나 히터의 강약조절 및 가동시간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자렌지의 전면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며, 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출력조절용 노브와 타이머용 노브 및 도어 오픈용 버튼이 설치된다.
따라서 마그네트론은 상기 출력용 노브와 타어머용 노브의 선택에 따라 정해진 시간동안 강이나 약에 해당하는 고주파를 발진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진된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해 조리실내의 음식물에 조사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렌지의 전장실 후미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팬을 설치하여 냉각팬에서 생성되는 바람이 전면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을 식힌 후, 흡기덕트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바람은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조리실의 타측벽에 설치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리가 진행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도어의 투시창을 통해 조리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램프를 램프홀더에 의해 흡기덕트나 배기덕트에 설치하여 램프가 켜지면 램프의 불빛이 조리실에 천공된 배기공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를 밝혀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기능 전자렌지에서는 고주파는 물론 조리실 상부에 육류등과 같이 오랜시간이 걸리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실 상부에 히터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히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로 육류의 겉부분을 노릇노릇하게 익혀주며, 이는 주 가열원인 고주파와 더불어 보조 가열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의 열 발생원인은 그 내부에 전기저항이 큰 니크롬선이 설치되어 있어 전기가 상기 히터의 단자부로 인가되면 니크롬선내의 전자가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원자와 충돌횟수가 많아져 그 충돌로 인하여 열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히터는 조리실의 상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의 단자부가 조리실의 측판에 관통되어 도선에 연결되어 있고, 히터의 자체 무게를 이기고 지지될 수 있도록 조리실 상판에 홀더를 설치하여 상기 히터의 소정부위를 걸러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조리실 상부에 히터가 고정되어 있어 트레이 위에 올려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히터의 형상에 따라 복사열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음식물을 국부적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도어를 열고 음식물을 적당하게 움직여 골고루 가열되도록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0) 상판(20) 구멍(21)에 히터(30)가 설치되어 있는 히터 브라켓(31)을 삽설하고, 모터 브라켓(41)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회전 모터(40)의 축(42)을 상기 히터 브라켓(31)에 축설되도록 하며, 상기 히터 브라켓(31)의 일측에는 스토퍼(32)를 설치함에 따라 회전 모터(40)의 회동에 의하여 히터(3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터 브라켓(31)에 설치된 스토퍼(32)가 모터 브라켓(41)의 일측 및 타측에 걸리면서 회전 모터(40)의 회동방향을 바꾸어주게 되므로 히터(30)가 일측으로 회동되다가 다시 타측으로 회동되는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조리실(10) 내부의 음식물에 복사열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요구되는 설치공간이 크며, 작업공정수가 많고, 조립성이 용이하지 못하며, 스토퍼(32)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 모터(40)의 방향을 바꾸게 되므로 회전 모터(40)에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공간을 적게 할 수 있으며,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회전 모터가 일 방향으로만 계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공정수를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 모터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실 상판의 구멍에 히터가 고정되어 있는 히터 브라켓을 삽설하되, 상기 히터 브라켓의 상부에는 모터 브라켓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모터 브라켓의 타측에는 회전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 모터의 축에는 기어를 설치하고, 기어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곳에는 지지대의 일측을 핀설하고, 지지대의 타측은 조리실 상판에 고정되어 있는 일측 보스에 핀설시키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히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 모터에 상면 일측에 편심되어 핀설되어 있는 지지대의 타측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의 일측이 조리실 상판에 고정되어 있어, 히터를 중심점으로 모터 브라켓이 일측으로 회동되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회전 모터는 일 방향으로만 연속적으로 회동하게 되고, 히터는 제자리에서 일측과 타측을 번갈아 회동하게 되어 회전 모터도 보호하면서 조리실내의 요리물에 히터의 복사열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3a,3b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리실 200 : 상판
210 : 구멍 220 : 보스
300 : 히터 310 : 히터 브라켓
400 : 회전 모터 410 : 모터 브라켓
420 : 축 421 : 기어
500 : 지지대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라 히터브라켓이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며, 도 3 b는 본 고안에 따라 히터브라켓이 타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실(100) 상판(200) 구멍(210)에 히터(300)가 설치된 히터 브라켓(310)을 삽설하되, 상기 히터 브라켓(310)의 상부에는 일측에 회전 모터(400)가 취부되어 있는 모터 브라켓(41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 모터(400)의 축(420)에는 기어(421)를 설치하며, 기어(42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곳에는 지지대(500)의 일측을 핀설하고, 지지대(500)의 타측은 조리실(100) 상판(200)의 일측 보스(220)에 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0)은 조리실(100) 상판(200)과 모터 브라켓(4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윤활성 소재의 링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조리실(10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300)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음식물에 복사열이 국부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발생되는 조리편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회전 모터(400)를 사용하여 히터(300)를 회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회전 모터(400) 방향을 강제로 바꾸어 히터(300)를 회동시키지 않고, 회전 모터(40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히터(3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회전 모터(40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요리물의 조리편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실(100) 상판(200)에 형성된 구멍(210)으로 히터(300)가 설치되어 있는 히터 브라켓(310)을 삽설한 후, 상기 히터 브라켓(310)의 상부에 모터 브라켓(410)의 일측을 설치하고, 모터 브라켓(410)의 타측에는 축(420)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회전 모터(400)를 설치하며, 상기 축(420)에는 기어(421)를 설치하고, 그 기어(42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곳에는 지지대(50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500)의 타측은 조리실(100) 상판(200)의 일측에 설치된 보스(220)에 역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200)의 구멍(210)에 히터 브라켓(310)이 삽설한 후, 그 히터 브라켓(310)에 모터 브라켓(410)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판(200)과 모터 브라켓(410)의 사이에는 윤활성이 좋은 테플론(teflon)소재의 링(600)을 설치하므로서 모터 브라켓(410)이 회동될 때 조리실(100) 상판(200)과의 마찰을 최대한 감소시켜 모터 브라켓(41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히터(30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모터(400)를 구동하게 되면 회전 모터(400)에 축설된 기어(421)가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어(421)의 상면에 편심되도록 핀설된 지지대(500)의 일측이 원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500)의 타측은 회동될 수 없도록 조리실(100) 상판(200)의 보스(2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히터 브라켓(310)이 설치되어 있는 모터 브라켓(410)의 일측을 중심으로 모터 브라켓(410)의 타측이 회동면서 회전 모터(400)가 1 회전 하는 동안 모터 브라켓(410)은 일측으로 회동되었다가,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모터 브라켓(4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히터(300) 또한 일측 및 타측으로 번갈아 회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회전 모터(400)의 구동이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면서 히터(300)를 일측 및 타측으로 번갈아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 모터(400)의 수명이 쉽게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음식물에 히터(300)의 복사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편차를 줄이고 조리효율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를 회동시켜 조리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조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전 모터로서 히터를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 모터가 일방향으로 연속 회동되면서, 히터 브라켓이 일측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회동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서, 히터가 일측으로 회전되었다가, 타측으로 회전되면서 조리물에 복사열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조리편차를 줄이고 조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히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를 회동시켜 조리물의 조리편차를 줄이도록 하는 회동식 히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리실(100) 상판(200) 구멍(210)에 히터(300)가 설치된 히터 브라켓(310)을 삽설하고, 그 상부에 모터 브라켓(410)의 일측을 고정시키며, 타측의 상면에는 회전 모터(400)를 설치하고, 회전 모터(400)의 축에는 기어(421)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42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곳에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대(500)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지지대(500)의 타측은 조리실(100) 상판(200)에 설치한 보스(220)에 역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실(100) 상판(200)과 모터 브라켓(410)의 일측 사이에는 윤활성이 좋은 테플론 소재의 링(600)을 설치하여 모터 브라켓(41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2019970029700U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200199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00U KR200199628Y1 (ko)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00U KR200199628Y1 (ko)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21U KR19990016321U (ko) 1999-05-25
KR200199628Y1 true KR200199628Y1 (ko) 2000-12-01

Family

ID=1951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700U KR200199628Y1 (ko)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6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21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278Y1 (ko) 전자렌지의 히터위치조절장치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200199628Y1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19990010444U (ko) 전자렌지의 전장실
KR100293343B1 (ko) 전자렌지의회동식히터
KR19990028129A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19990028126A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KR19990014044U (ko)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KR100277966B1 (ko) 전자렌지의 송풍팬 각도 조절 장치
KR19990028127A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960006981B1 (ko) 전자렌지의 컨백션팬 및 도파관 설치구조
EP1902255B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970004461Y1 (ko) 오븐렌지
KR200227312Y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구동장치
KR19990030582U (ko) 전자렌지용 히터의 고정 브라켓
KR19990017343U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허브
KR200182326Y1 (ko)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KR970003077Y1 (ko) 컨벡션 및 스터러겸용 팬이 구비된 전자렌지
KR200372451Y1 (ko) 전자레인지용 스터러팬어셈블리
KR200204137Y1 (ko) 전자렌지의 열감지스위치
KR100233197B1 (ko) 전자레인지
KR19990017325U (ko) 전자렌지용 트레이모터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