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326Y1 -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326Y1
KR200182326Y1 KR2019990027808U KR19990027808U KR200182326Y1 KR 200182326 Y1 KR200182326 Y1 KR 200182326Y1 KR 2019990027808 U KR2019990027808 U KR 2019990027808U KR 19990027808 U KR19990027808 U KR 19990027808U KR 200182326 Y1 KR200182326 Y1 KR 200182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eat
grill
cooking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조리실(100)의 하부를 이루며, 내측으로는 주연 상부에 돌출부(1)를 갖는 원형 절개공(5)을 형성한 저판(10); 상기 원형 절개공(5) 내측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모터(70)의 회전축과 연결된 허브(75)가 노출되도록 관통공(15)을 형성한 내열 유리판(20); 상기 내열 유리판(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반복 굴곡된 형상의 열선 삽입홈(21)을 갖는 단열 내장재(25)를 결합시킨 케이싱(30); 및 상기 열선 삽입홈(21)에 삽입된 전열선(40)으로 이루어진 그릴(50)을 상기 조리실(100)의 하부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음식물(F)의 조리과정에서 전열선(40)의 열이 직접 음식물(F)의 하부로 전도되므로 음식물(F)에 대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그릴(50)의 직화열에 의해 음식물(F)을 조리함으로써 음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A MICRO-WAVE OVEN HAVING A GRILL}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렌지의 조리실 하부에 전열선을 갖는 그릴을 설치함으로써 전열선의 열이 직접 음식물의 하부로 전도됨에 따라 음식물에 대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그릴의 직화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도나 열복사에 의한 조리기구와 달리 초고주파를 음식물에 조사함으로써 음식물중에 함유된 물분자의 병진운동에 따른 유전가열로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이라는 초고주파 발진관에 고압전기를 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초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초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렌지(200)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와 같은 전자렌지(200)는 정면으로부터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20)의 후방으로 초고주파의 조사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150)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리실(150)의 저부에는 음식물이 안치되는 트레이(145)가 구비된다.
상기한 트레이(145)는 도시 안된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조리실(150)의 저부를 통해 노출된 허브(141)와 결합된 트레이 가이드(143)의 상부에 안치됨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정역회전함으로써 음식물에 대한 초고주파의 조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렌지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는 음식물중에 함유된 물분자의 병진운동에 따른 유전가열에 의해 조리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는 관계로 수분함량이 적은 음식물은 초고주파에 의한 가열이 불가능하므로 통상적인 전자렌지에서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에 제한을 받는다.
특히, 종래의 전자렌지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조리가 가능할 경우에도 트레이(145)와 접한 음식물의 하부는 트레이에 의해 초고주파의 전달이 차단되어 음식물의 중심부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짐으로써 음식물의 조리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한편, 이에 따라 음식물의 부위별로 조리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한편, 근래에 개발된 전자렌지에서는 조리실의 상부에 전열선이 내장된 그릴을 설치함으로써 초고주파에 의한 음식물의 내부 가열과 병행하여 전열선의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의 표면을 갈변(browning)시킴에 따라 음식물의 맛과 모양을 고려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릴을 채용한 전자렌지에서도 그릴과 근접한 부위에만 전열선의 복사열이 집중됨으로써 음식물의 하부와 같이 트레이와 접한 부분에서는 전열선의 복사열은 물론, 트레이에 의해 초고주파의 전달이 차단되어 음식물의 가열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이와 함께 그릴의 복사열이 조리를 요하는 음식물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해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많은 전력의 낭비가 따르며, 특히 그릴의 단독사용만으로는 음식물을 내부까지 완전히 익히는 것이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렌지의 조리실 하부에 전열선을 갖는 그릴을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그릴의 직화열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에 대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그릴의 단독 사용에 따라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실의 하부를 이루며, 내측으로는 주연 상부에 돌출부를 갖는 원형 절개공을 형성한 저판;
상기 원형 절개공 내측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허브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내열 유리판;
상기 내열 유리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반복 굴곡된 형상의 열선 삽입홈을 갖는 단열 내장재를 결합시킨 케이싱; 및
상기 열선 삽입홈에 삽입된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그릴을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전자렌지의 조리실로부터 트레이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그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을 전자렌지의 조리실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전자렌지의 조리실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도 4a는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트레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출부 5 : 원형절개공
10 : 저판 15 : 관통공
20 : 내열 유리판 21 : 열선 삽입홈
25 : 단열 내장재 30 : 케이싱(casing)
40 : 전열선 50 : 그릴(grill)
70 : 모터 75 : 허브
100 : 조리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그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을 전자렌지의 조리실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마그네트론으로부터 조사된 초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의 하부에 전열선(40)의 발열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시키는 그릴(5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그릴(50)은 전자렌지의 조리실(100) 하부를 구성하는 저판(10)과, 상기한 저판(10)에 의해 지지되는 내열 유리판(20)과, 상기한 내열 유리판(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케이싱(30)과, 상기한 케이싱(30)에 내장되어 전원공급에 따라 발열하는 전열선(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판(10)은, 주연 상부에 돌출부(1)를 갖는 원형 절개공(5)이 내측에 형성되어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내열 유리판(20)의 외주면을 고정지지시키며, 상기한 원형 절개공(5)의 외부에는 원형 절개공(5)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는 원형요홈(7)을 형성함으로써 조리실(100)의 저부에 트레이(60)가 안치된 트레이 가이드(5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원형요홈(7)의 상부와 트레이 가이드(55)의 롤러(51)가 밀착하는 한편, 이에 따라 트레이 가이드(55)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저판(10)의 원형 절개공(5)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열 유리판(20)은, 상기한 원형 절개공(5)과 정확히 밀착되도록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트레이(60)를 정역회전시키는 허브(75)가 노출되도록 관통공(15)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내열 유리판(20)은 열전도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전열선(40)의 발열과정에서 신속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리효율을 높이며, 이와 함께 과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내열 유리판(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저판(10)과 함께 내열 유리판(20)을 고정지지하는 케이싱(30)은, 내부에 결합된 단열 내장재(25)의 상부에 반복 굴곡된 형상의 열선 삽입홈(21)이 형성되며, 상기한 열선 삽입홈(21)의 내부에는 전열선(40)이 삽입된다.
상기한 전열선(40)은 통상적인 전열히터와 같이 저항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자렌지의 조리모드에 따라 마그네트론과 병행하여 동작하거나 단독 사용과정에서 도시안된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음식물을 가열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살펴 보면, 저판(10)의 원형 절개공(5)의 내측으로 내열 유리판(20)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한 내열 유리판(20)의 하부에는 단열 내장재(25)의 열선 삽입홈(21)으로 전열선(40)의 삽입이 완료된 케이싱(30)을 부착시킨다.
이때, 트레이(60)를 구동시키는 모터(70)는 회전축에 결합된 허브(75)가 케이싱(30)의 상부를 통해 돌출되도록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트레이(60)를 지지하는 트레이 가이드(55)를 그릴(5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트레이 가이드(55)의 축(55A)이 내열 유리판(20) 관통공(15)을 경유하여 허브(75)와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모터(7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 가이드(55)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함으로써 상기한 트레이 가이드(55)의 상부에 결합된 트레이(6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a는 조리실(100)의 내부에 트레이(6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와 같이 그릴(50)의 상부에 트레이 가이드(55) 및 트레이(60)를 각각 결합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트레이(60)에 안치된 음식물(F)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하는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조사된 초고주파에 의한 유전가열에 의해 음식물(F)의 내부가열이 시작된다.
이때 제어부에서는 마그네트론의 동작과 함께 전열선(4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조리실(100)의 내부에는 초고주파의 조사와 함께 전열선(40)의 발열이 시작되며, 이에 따라 전열선(40)의 열이 내열 유리판(20)을 통해 트레이 가이드(55) 및 트레이(60)로 전도되어 상기한 트레이(6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레이(60)와 밀착됨에 따라 초고주파가 원활히 조사되지 않거나 초고주파의 전달이 차단된 음식물(F)의 하부는 트레이(60)로부터 전도된 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음식물(F)에 대한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00)로부터 트레이 가이드(55) 및 트레이(60)를 분리시킨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열 유리판(20)의 상부에 안치된 음식물(F)에 통해 전열선(40)의 열이 직접 전도됨으로써 통상적인 쿡탑형 그릴과 같이 전열선(40)의 직화열에 의해 조리가 가능하므로 통상의 전자렌지와 달리 수분 함량이 적은 음식물도 조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전자렌지를 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조리실(100) 하부에 전열선(40)을 갖는 그릴(50)을 설치하여 음식물(F)의 조리과정에서 전열선(40)의 저항에 의해 발생한 직화열에 의해 음식물(F)의 하부를 가열시킴으로써 조리과정에서 음식물(F)에 대한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쿡탑형 그릴과 같이 마그네트론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그릴(50)의 단독 사용이 가능하므로 수분 함량이 적은 음식물도 조리가 가능한 한편, 이에 따라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조리실(100)의 하부를 이루며, 내측으로는 주연 상부에 돌출부(1)를 갖는 원형 절개공(5)을 형성한 저판(10);
    상기 원형 절개공(5) 내측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모터(70)의 회전축과 연결된 허브(75)가 노출되도록 관통공(15)을 형성한 내열 유리판(20);
    상기 내열 유리판(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반복 굴곡된 형상의 열선 삽입홈(21)을 갖는 단열 내장재(25)를 결합시킨 케이싱(30); 및
    상기 열선 삽입홈(21)에 삽입된 전열선(40)으로 이루어진 그릴(50)을 상기 조리실(100)의 하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KR2019990027808U 1999-12-10 1999-12-10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KR200182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08U KR200182326Y1 (ko) 1999-12-10 1999-12-10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08U KR200182326Y1 (ko) 1999-12-10 1999-12-10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326Y1 true KR200182326Y1 (ko) 2000-05-15

Family

ID=1960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808U KR200182326Y1 (ko) 1999-12-10 1999-12-10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3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585B1 (ko) 전자 레인지의 히팅장치
US4262183A (en) Combination microwave/forced convection oven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200182326Y1 (ko) 저면에 그릴을 갖는 전자렌지
KR100367584B1 (ko) 전자 레인지의 히팅장치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200182329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의 전열히터 결합구조
KR200327739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
KR200327740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
KR100423151B1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회전장치
KR100293343B1 (ko) 전자렌지의회동식히터
KR20080005014U (ko) 조리장치
KR100403501B1 (ko) 전자렌지용 바베큐봉의 결합구조
KR200269395Y1 (ko) 전자레인지
KR100403500B1 (ko) 전자렌지용 바베큐 조리구
KR200183818Y1 (ko) 전자렌지용 컨벡션 팬
KR20070053566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20040019621A (ko) 전자레인지의 히터장치
KR100288917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장착구조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KR100208571B1 (ko) 전자렌지의 회동히터
KR200182325Y1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가이드
KR20020089905A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커플러
KR200327751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의 전열히터 결합구조
KR2001823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열반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