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44U -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44U
KR19990014044U KR2019970027367U KR19970027367U KR19990014044U KR 19990014044 U KR19990014044 U KR 19990014044U KR 2019970027367 U KR2019970027367 U KR 2019970027367U KR 19970027367 U KR19970027367 U KR 19970027367U KR 19990014044 U KR19990014044 U KR 199900140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tor
rotating motor
rota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7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044U/ko
Publication of KR19990014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44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회동식 히터를 구성하고 있는 회동모터와 그 브라켓을 체결함에 있어서, 브라켓의 나사공과 회동모터의 체결공을 정확히 일치시켜 체결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불편하고, 특히 회동모터와 브라켓을 체결하고 있는 나사의 결합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져 회동모터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동모터(100)를 취부하기 위한 브라켓(200)을 구성하되, 브라켓(200)의 설치부(210) 상면에는 돌기(212)를 형성하고,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는 삽입공(112)을 형성함에 따라 브라켓(200)의 설치부(210) 상면에 형성된 돌기(212)에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삽입공(112)이 삽입되도록 하면, 설치부(210)의 나사공(211)과 플랜지부(110)의 체결공(111)이 자연적으로 일치되므로 나사(30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체결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동모터(100)를 장시간 동안 사용할 때, 나사(300)의 결합력이 약해져 회동모터(100)가 유동되는 경우에도 회동모터(100)의 유동을 방지하여 회동모터(100)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본 고안은 회동식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터가 연속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동식 히터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회동모터와 브라켓의 체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회동모터를 장시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회동모터와 브라켓의 체결력이 약해져 회동모터가 진동하면서 유동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일측면의 전장실에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 고압콘덴서 등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되는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실의 바닥에는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트레이의 하부에는 트레이를 회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따라 그 위에 놓여진 조리용기가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조리실로 조사되는 고주파가 용기 속의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만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해동하거나 데우기 및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렌지와, 조리실 상단에 히터를 설치하거나, 후면에 컨벡션팬을 설치하여 상기의 고주파에 의한 조리외에 그릴요리와 오분요리를 병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전자렌지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기능과 다기능으로 구분되는 전자렌지는 모두 조리물의 량에 따라 고주파나 히터의 강약조절 및 가동시간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자렌지의 전면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며, 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출력조절용 노브와 타이머용 노브 및 도어오픈용 버튼이 설치된다.
따라서 마그네트론은 상기 출력용 노브와 타이머용 노브의 선택에 따라 정해진 시간동안 강이나 약에 해당하는 고주파를 발진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진된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해 조리실내의 음식물에 조사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렌지의 전장실 후미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팬을 설치하여 냉각팬에서 생성되는 바람이 전면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을 식힌 후, 흡기덕트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바람은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조리실의 타측벽에 설치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리가 진행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도어의 투시창을 통해 조리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램프를 램프홀더에 의해 흡기덕트나 배기덕트에 설치하여 램프가 켜지면 램프의 불빛이 조리실에 천공된 배기공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를 밝혀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기능 전자렌지에서는 고주파는 물론 조리실의 상부에 육류 등과 같이 오랜시간이 걸리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실 상부에 히터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히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로 육류의 겉부분을 노릇노릇하게 익혀주며, 이는 주 가열원인 고주파와 더불어 보조 가열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의 열 발생원인은 그 내부에 전기저항이 큰 니크롬선이 설치되어 있어 전기가 상기 히터의 단자부로 인가되면 니크롬선내의 전자가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원자와 충돌횟수가 많아져 그 충돌로 인하여 고열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히터는 조리실의 상판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히터의 단자부가 조리실의 측판에 관통되어 도선에 연결되어 있고, 히터의 자체 무게를 이기고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리실 상판에 홀더를 설치하여 상기 히터의 소정부위를 걸어주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조리실 상부에 히터가 고정되어 있어 트레이 위에 올려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히터의 형상에 따라 복사열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음식물을 국부적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도어를 열고 음식물을 적당하게 움직여 골고루 가열되도록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리효율을 높히기 위해서는 히터를 연속하여 회동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이 히터를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회동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20)의 설치부(21) 상면에 나사공(21a)을 형성한 후, 상기 회동모터(10) 양단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a)을 상기 브라켓(20) 설치부(21)의 나사공(21a)에 일치시키고 나사(30)로 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30)로 체결하려면 브라켓(20)의 설치부(21)에 형성된 나사공(21a)과 회동모터(10)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a)을 정확히 일치시킨 후, 체결해야 함에 따라 조립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브라켓(20)에 회동모터(10)가 설치된 후 회동모터(10)의 작동에 따라 회동모터(10)가 진동을 하게 되면서 브라켓(20)과 회동모터(10)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30)의 체결력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회동모터(10)가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히터를 연속적으로 회동시켜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식 히터에 있어서, 상기 회동모터를 브라켓의 설치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회동모터가 브라켓에 설치된 후, 회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모터가 유동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식 히터에 있어서, 회동모터를 취부하기 위한 브라켓을 구성하되, 브라켓의 설치부 상면에 형성된 나사공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회동모터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나사공과 일치되어 나사로서 결합되는 체결공의 일측에 삽입공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회동모터를 브라켓에 체결함에 있어서, 브라켓의 설치부 상면에 형성된 돌기에 회동모터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삽입공이 삽입되도록 하면, 설치부의 나사공과 플랜지부의 체결공이 자연적으로 일치되므로 나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체결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동모터를 장시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나사의 결합력이 약해져 회동모터가 유동되는 경우에도 설치부의 돌기가 플랜지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어 쉽게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동모터 110 : 플랜지부
111 : 체결공 112 : 삽입공
200 : 브라켓 210 : 설치부
211 : 나사공 212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히터를 연속적으로 회동시켜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식 히터에 있어서,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200)의 설치부(210)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211) 일측에 돌기(212)를 형성하고,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1) 일측에는 삽입공(11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0)은 회동모터(100)와 브라켓(200)을 체결하는 나사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이미 제안된 바 있는 회동식 히터에 있어서, 회동모터(100)를 취부할 수 있도록 조리실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00)에 상기 회동모터(100)를 체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회동모터(100)를 장시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회동모터(100)와 브라켓(200)을 체결하고 있는 나사(300)의 풀림으로 회동모터(100)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유동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의 상판에 설치되는 브라켓(200)의 설치부(210) 상면에는 돌기(212)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200)에 체결되는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는 삽입공(112)을 형성함에 따라 브라켓(200)과 회동모터(100)를 체결시, 상기 브라켓(200)의 설치부(210)에 형성된 돌기(212)에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삽입공(112)이 삽입되도록 하면 브라켓(200)의 설치부(21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211)과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이 자연적으로 일치하게 되므로 상기 일치된 나사공(211)과 체결공(111)에 나사(300)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동모터(100)의 브라켓(200)에 설치하는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회동모터(10)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자체의 진동에 의해 회동모터(10)와 브라켓(20)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30)가 풀려 회동모터(10)와 브라켓(20)의 체결력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회동모터(10)가 브라켓(20)으로부터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브라켓(200)의 설치부(210)에 형성된 돌기(212)에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삽입공(112)이 삽입되어 있어 브라켓(200)과 회동모터(100)를 결합시키고 있는 나사(300)의 결합력이 약해지더라도 회동모터(100)가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실 상판에 설치된 히터가 연속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동식 히터에 있어서, 브라켓의 설치부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회동모터의 플랜지부에는 삽입공을 형성하여, 브라켓과 회동모터를 나사로서 체결시, 상기 브라켓의 돌기와 회동모터의 삽입공을 일치시켜 삽입되도록 하면 자연적으로 브라켓의 설치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회동모터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체결공이 일치되어 나사의 체결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회동모터의 설치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렌지를 장시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회동모터와 브라켓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경우, 회동모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회동모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회동모터의 회동에 히터를 연속적으로 회동시켜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식 히터에 있어서,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200)의 설치부(210)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211) 일측에 돌기(212)를 형성하고, 회동모터(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1) 일측에는 삽입공(11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용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KR2019970027367U 1997-09-30 1997-09-30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KR199900140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67U KR19990014044U (ko) 1997-09-30 1997-09-30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67U KR19990014044U (ko) 1997-09-30 1997-09-30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44U true KR19990014044U (ko) 1999-04-26

Family

ID=6967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367U KR19990014044U (ko) 1997-09-30 1997-09-30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0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32B1 (ko) * 2002-04-04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도파관용 용접홀 차폐구조
KR101291424B1 (ko) * 2011-11-01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32B1 (ko) * 2002-04-04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도파관용 용접홀 차폐구조
KR101291424B1 (ko) * 2011-11-01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4044U (ko) 회동식 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의 회동모터 취부용 브라켓
KR19990010444U (ko) 전자렌지의 전장실
KR200199628Y1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100277966B1 (ko) 전자렌지의 송풍팬 각도 조절 장치
KR100293343B1 (ko) 전자렌지의회동식히터
KR19990028127A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19990028129A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19990030582U (ko) 전자렌지용 히터의 고정 브라켓
KR200337670Y1 (ko)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구조
KR100285860B1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고정 구조
KR19990028126A (ko) 전자렌지의 회동식 히터
KR101052094B1 (ko)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200213185Y1 (ko) 전자레인지의 하 히티 히터홀더 고정구조
KR19990010453U (ko) 전자렌지용 램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램프홀더
KR0154645B1 (ko) 전자렌지의 회전식 히터
KR100299831B1 (ko) 전자렌지의서모스위치취부구조
KR0146404B1 (ko) 전자렌지의 출력 조절장치
KR19990007157U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가열기 설치구조
KR19990030581U (ko) 전자렌지의 히터
KR19990062140A (ko) 전자렌지용 송풍팬장치
KR19990010458U (ko) 전자렌지의 냉각팬 설치구조
KR19990003172U (ko) 카드형 전자렌지의 카드 판독기 취부구조
KR19990007153U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트레이 장치
KR19990017320U (ko) 전자렌지용 램프의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