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300B1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300B1
KR100568300B1 KR20040021906A KR20040021906A KR100568300B1 KR 100568300 B1 KR100568300 B1 KR 100568300B1 KR 20040021906 A KR20040021906 A KR 20040021906A KR 20040021906 A KR20040021906 A KR 20040021906A KR 100568300 B1 KR100568300 B1 KR 10056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ayer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509A (ko
Inventor
조동현
코이케마사요시
이마이유지
김민호
오방원
함헌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300B1/ko
Priority to JP2004212480A priority patent/JP4048191B2/ja
Priority to US10/898,204 priority patent/US8664687B2/en
Publication of KR2005009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300B1/ko
Priority to US14/152,980 priority patent/US201401278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75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87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389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47Lateral overgrow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lN로 이루어진 다결정 또는 비정질 기판과, 상기 AlN기판 상에 형성되며, 스트라이프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유전체 패턴과, 상기 유전체 패턴이 형성된 AlN기판 상에 측면성장법으로 형성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파이어기판 또는 SiC기판에 비해 우수한 열전도성과 기계적 특성을 갖는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과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고품질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특성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AlN 다결정기판(AlN polycrystal substrate), 측면성장법(lateral epitaxial overgrowth)

Description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도1은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 AlN 다결정 기판 32: 버퍼층
33: 유전체 패턴 34: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
35: n형 질화물 반도체층 36: 활성층
37: p형 질화물 반도체층 38: 투명전극층
39a,39b: n 및 p측 전극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 기판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화물 반도체 결정은 가시광 전체영역뿐만 아니라, 자외선 영역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D)형태의 가시광 및 자외선 LED와 청록색 광소자를 제조하는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질화물 반도체 결정은 보다 고효율의 광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질화물 반도체를 고품위의 단결정 박막으로 성장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Ⅲ족 질화물 반도체는 그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에 적합한 기판이 보편적이지 않으므로, 단결정 박막을 성장하는 자체에 어려움이 있다.
질화물 반도체 결정을 성장하기 위해서, 사파이어(Al2O3)기판 또는 SiC기판와 같은 제한된 기판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기판 상에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MOCVD) 및 분자빔 에피택시법(MBE) 등을 이용한 헤테로- 에피택시(heteroepitaxy)법을 질화물 반도체 결정을 성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 기판을 사용하더라도, 격자상수 및 열 팽창계수의 불일치로 인하여 고품질의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을 직접 성장하기 어려우므로, 저온핵생성층과 버퍼층이 추가로 사용된다. 도1은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10)는 사파이어 기판(11) 상에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5), 다중우물구조인 활성층(16)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17)을 포함한다.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7)과 상기 활성층(16)의 일부영역이 제거되어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5)영역에는 n측 전극(19a)이 형성되고, p형 GaN 반도체층(17) 상에는 Ni과 Au을 포함한 투명전극(18)과 p측 전극(19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파이어기판 상에는 고품질의 질화물 반도체결정을 성장하기 위해서 소정의 버퍼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퍼층으로는 AlxGa1-xN(0≤x≤1)과 같은 저온핵성장층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사파이어 기판 위에 저온핵생성층을 형성한 후에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을 성장시키더라도,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은 약 109 ∼ 약 1010-2의 결정결함을 가지며, 특히 이러한 결함은 수직방향으로 전파되어, 누설전류의 원인이 되는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사파이어기판 또는 SiC기판은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에 비해 고가이며, 열전도도 및 기계적 특성이 낮으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소자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 은 질화물단결정층을 성장시키기 위해 적합하지 않으므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기판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 상에 측면성장법(lateral epitaxial overgrowth: LEO)으로 성장된 고품질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 상에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lN로 이루어진 다결정 또는 비정질 기판과, 상기 AlN기판 상에 형성되며, 스트라이프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유전체 패턴과, 상기 유전체 패턴이 형성된 AlN기판 상에 측면성장법으로 형성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lN 기판은 소정의 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상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상기 AlN기판 상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퍼층은 AlxGa1-xN(0≤x≤1)인 물질로 이루어진 저온핵성장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은 소정의 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상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유전체패턴은 SiO2 또는 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측면성장되는 질화물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동일한 도전형인 클래드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이며, 상기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전기적 저항이 낮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캡핑층(capping layer)으로 사용하므로, 오믹콘택을 위한 투명전극층을 생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새로운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AlN로 이루어진 다결정 또는 비정질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AlN기판 상에 스트라이프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유전체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패턴이 형성된 AlN기판 상에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 상에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lN 기판 상에 소정의 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도록, 상기 AlN 기판 상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AlN기판 상에 NaOH를 포함한 에칭액을 이용하여 습식에칭을 적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유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AlN 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퍼층은 AlxGa1-xN(0≤x≤1)인 물질로 이루어진 저온핵성장층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버퍼층 상에 소정의 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도록, 상기 버퍼층 상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패턴은 SiO2 또는 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이며, 상기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은 Al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층인 경우에,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Cl계 가스 또는 Br계 가스를 주입하면서,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Br계 가스 또는 Cl계 가스로는, Br2, Cl2, CBr4, CCl4, HBr 및 HCl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파이어기판 또는 SiC기판을 대체하여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 상에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질화물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즉,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상인 유전체패턴을 이용한 측면성장법을 통해 고품질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 기판 상에 NaOH과 같은 소정의 에칭액을 적용하여 원하는 면방향을 갖는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20)는 AlN 다결정 기판(21)을 포함한다. 상기 AlN 다결정기판(21) 상에는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상으로 복수개의 유전체패턴(23)이 나란히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유전체 패턴이 형성된 AlN 다결정기판(21) 상에는 측면성장법으로 성장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24)이 제공되며, 상기 질화물 반도체(24) 상에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25), 다중우물구조인 활성층(26)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7)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7) 상에는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Ni/Au과 같은 투명전극층(28)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전극층(28)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25)영역에는 각각 p측 전극(29b)과 n측 전극(29a)이 제공된다.
상기 AlN 다결정기판(21) 상에 형성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24)은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상인 유전체패턴(23)을 이용한 측면성장법(lateral epitaxial overgrowth: LEO)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종물질의 계면 사이에 발생된 전위는 측방향을 따라 유전체패턴(23) 상으로 결정성장되므로, 통상의 성장방식과 달리, 수직방향으로 진행되는 결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활성층 등까지 전파되는 전위를 감소시킴으로써 결정결함으로 인한 누설전류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패턴(23)은 SiO2 또는 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24)은 언도프 질화물 반도체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그 상부에 형성된 질화물 반도체층(25)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측면성장함으로써 n형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24)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상부에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25)과 일체로 n측 클래드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달리,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AlN 다결정 기판과 활성층 사이에 배치하고,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활성층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저항을 가지므로, 도2에서 p형 질화물 반도체층(27) 상부에 형성된 투명전극구조(28)를 생략할 수 있다.
도3a 내지 도3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우선, 도3a와 같이, AlN 다결정기판(31)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파이어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높은 열전도도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AlN 다결정기판(31)을 사용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AlN 다결정기판(31)의 상면에 대해 원하는 결정면을 갖는 요철부(31a)가 형성되도록 에칭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결정면 방향에 따라 에칭률이 다르므로, NaOH 등과 같은 에칭액을 이용하여 습식에칭을 적용함으로써 불규칙한 각 요철부(31a)는 특정 면방향으로 주된 면방향을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31a)의 주된 면방향은 후속공정에서 질화물 단결정층을 형성하는데 보다 유리한 성장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요철형상은 AlN 다결정기판(31) 상에 NaOH 에칭액을 약 60℃에서 10분간 적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어, 도3b와 같이, AlN 다결정 기판(31) 상에 버퍼층(3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퍼층(32)은 보다 우수한 질화물 결정을 얻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32)으로는 조성식 AlxGa1-xN(0≤x≤1)을 만족하는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lN, GaN 또는 AlGaN 등으로 구성되는 저온핵성층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버퍼층(32) 상에 원하는 결정면을 갖는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에칭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설명한 AlN 다결정기판에 대한 에칭공정과 같이, 특정 결정면방향이 주된 면방향으로 갖는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후속공정에서의 질화물 단결정층 성장조건을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요철부형성을 위한 에칭공정은 AlN 다결정기판(31)에서 실시하지 않고, 본 단계에서만 실시할 수도 있으나, 둘 단계에서 모두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c와 같이, 상기 버퍼층(32) 상에 스트라이프형상 또는 격자형 상을 갖는 복수개의 유전체패턴(33)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 패턴(33)은 상기 버퍼층(32) 전체 상면에 SiO2 및 Si3N4와 같은 유전체 물질을 증착한 후에, 이어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을 이용하여 스트라이프패턴(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달리, 상기 버퍼층(32)이 없는 경우에는, AlN 다결정기판(31) 상면에 직접 유전체 패턴(33)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 도3d와 같이, 상기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상의 유전체패턴(33)을 이용한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질화물 반도체 결정(34)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성장공정은 통상의 MOCVD, MBE 등의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측면성장공정에서는, 상기 유전체패턴(33) 사이에 노출된 상기 버퍼층(32)영역에 질화물 단결정이 1차적으로 성장하고, 이어, 그 성장두께가 유전체 패턴(33)의 높이에 이르며, 유전체 패턴(33)위로 측방향 성장이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유전체패턴(33)을 덮는 측면성장 질화물층(34)을 얻을 수 있다.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34)이 AlGaN와 같은 Al을 함유한 질화물 단결정일 경우에는 Al원소가 SiO2 또는 Si3N4와 같은 유전체패턴(33)과 반응성이 높고, 흡착원자(adatom)의 표면이동도(surface mobility)가 낮아 유전체 상에서도 결정이 성장되므로, 고품질 질화물 결정을 성장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Cl계 가스 또는 Br계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3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Br계 가스 또는 Cl계 가스로는, Br2, Cl2, CBr4, CCl4, HBr 및 HCl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한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3e와 같이,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34) 상에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 활성층(36) 및 n형 질화물 반도체층(37)을 성장시킨다. 본 성장공정은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34)과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OCVD챔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질화물반도체층(35,36,37)을 도3d에서 설명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34)과 함께 연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도3d에서 설명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34)은 언도프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과 같은 p형 불순물을 포함한 층으로 형성되어,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과 일체로 일측의 클래드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최종적으로, n형 질화물 반도체층(37)과 활성층(36)의 일부영역을 메사에칭하여 노출된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 영역에 p측 전극(39a)을 형성하고, n형 질화물 반도체층(37) 상면에는 Ni/Au와 같은 n측 전극(39b)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와 달리, AlN 다결정 기판 상에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먼저 형성하고, 활성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활성층 상에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저항을 가지므로, p형 질화물 반도체층(37) 상 부에 형성된 투명전극구조(38)를 생략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파이어기판 또는 SiC기판에 비해 우수한 열전도성과 기계적 특성을 갖는 AlN 다결정 또는 비정질기판을 이용하고, 그 위에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고품질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특성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AlN로 이루어진 다결정 기판;
    상기 AlN기판 상에 형성되며,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유전체 패턴;
    상기 유전체 패턴이 형성된 AlN기판 상에 측면성장법으로 형성된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lN 다결정기판의 상면은 결정면에 따라 형성된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lN기판 상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AlxGa1-xN(0≤x≤1)인 물질로 이루어진 저온핵성장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상면은 결정면에 따라 형성된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패턴은 SiO2 또는 SiN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이며, 상기 제2 도 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9. AlN로 이루어진 다결정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AlN기판 상에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유전체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패턴이 형성된 AlN기판 상에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층 상에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lN 다결정기판 상에 결정면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도록, 상기 AlN 기판 상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AlN기판 상에 NaOH를 포함한 에칭액을 이용하여 습식에칭을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AlN 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AlxGa1-xN(0≤x≤1)인 물질로 이루어진 저온핵성장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 상에 결정면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도록, 상기 버퍼층 상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층 상에 NaOH를 포함한 에칭액을 이용하여 습식에칭을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 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패턴은 SiO2 또는 SiN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이며, 상기 제2 도전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은 Al을 포함한 질화물 반도체층이며,
    상기 측면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Cl계 가스 또는 Br계 가스를 주입하면서, 측면성장법을 이용하여 상기 측면 성장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r계 가스 또는 상기 Cl계 가스는,
    Br2, Cl2, CBr4, CCl4, HBr 및 HCl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20040021906A 2004-03-31 2004-03-3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6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1906A KR100568300B1 (ko) 2004-03-31 2004-03-3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4212480A JP4048191B2 (ja) 2004-03-31 2004-07-21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98,204 US8664687B2 (en) 2004-03-31 2004-07-26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14/152,980 US20140127848A1 (en) 2004-03-31 2014-01-10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ting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1906A KR100568300B1 (ko) 2004-03-31 2004-03-3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509A KR20050096509A (ko) 2005-10-06
KR100568300B1 true KR100568300B1 (ko) 2006-04-05

Family

ID=3505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1906A KR100568300B1 (ko) 2004-03-31 2004-03-3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664687B2 (ko)
JP (1) JP4048191B2 (ko)
KR (1) KR100568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874A1 (ko) * 2008-02-19 2009-08-27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버퍼층을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8146B1 (ko) 2008-07-16 2010-10-18 주식회사 실트론 화합물 반도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합물반도체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94B1 (ko) * 2004-08-17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기판을 표면 처리하는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KR100664988B1 (ko) * 2004-11-04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광추출효율이 향상된 반도체 발광소자
KR100887067B1 (ko) * 2006-02-14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나노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70145386A1 (en) 2004-12-08 2007-06-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24449B1 (ko) 2004-12-08 2006-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192239B2 (ja) 2005-02-04 2013-05-08 ソウル オプト デバイ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複数の発光セルを有する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9142B1 (ko) * 2005-04-20 2007-01-15 (주)더리즈 발광 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KR100715011B1 (ko) * 2005-12-15 2007-05-09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버퍼층이 형성된 발광소자와 그의 제조방법
KR100659373B1 (ko) * 2006-02-09 2006-12-19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패터닝된 발광다이오드용 기판 및 그것을 채택하는 발광다이오드
KR20070081184A (ko) 2006-02-10 2007-08-16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836B1 (ko) * 2006-09-12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DE102006043400A1 (de) * 2006-09-15 2008-03-2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KR100836455B1 (ko) * 2007-01-11 2008-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93188B1 (ko) * 2007-03-13 2009-04-16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92664B1 (ko) * 2007-06-29 2009-04-1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KR20100030472A (ko) 2008-09-10 201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
JPWO2010100942A1 (ja) * 2009-03-05 2012-09-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モジュール、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灯具ユニット
KR101125397B1 (ko) * 2009-10-20 2012-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087B1 (ko) 2009-10-26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585830B2 (ja) * 2010-08-24 2014-09-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101492350B1 (ko) * 2010-09-27 2015-02-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GaN 베이스 반도체 결정 성장용 다결정 질화알루미늄 기재 및 그것을 이용한 GaN 베이스 반도체의 제조 방법
TWI480926B (zh) * 2010-09-28 2015-04-11 Nat Univ Chung Hsing Preparation method of epitaxial element
WO2012082729A1 (en) * 2010-12-14 2012-06-21 Hexatech, Inc. Thermal expansion engineering for polycrystalline aluminum nitride sintered bodies, and application to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s
CN102610717B (zh) * 2011-01-20 2015-02-25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半导体发光芯片及其制造方法
KR101855063B1 (ko) * 2011-06-24 2018-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KR101407698B1 (ko) * 2012-12-28 2014-06-16 한국광기술원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9112101B2 (en) * 2013-04-25 2015-08-18 Epistar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3545412A (zh) * 2013-10-30 2014-01-29 华南理工大学 一种具有混合图案的led图形优化衬底及led芯片
KR102328457B1 (ko) 2015-05-29 2021-11-18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소자,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312B2 (ja) * 1991-07-30 2001-03-07 株式会社東芝 六方晶半導体の結晶成長方法
JP3761935B2 (ja) 1994-09-19 2006-03-29 株式会社東芝 化合物半導体装置
JP3410863B2 (ja) 1995-07-12 2003-05-26 株式会社東芝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化合物半導体発光装置
JPH0936427A (ja) 1995-07-18 1997-02-07 Showa Denko Kk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348096B1 (en) * 1997-03-13 2002-02-19 Nec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s
JP3898798B2 (ja) * 1997-05-27 2007-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6091083A (en) * 1997-06-02 2000-07-18 Sharp Kabushiki Kaisha Gallium nitride type compou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having buffer layer with non-flat surface
JP4032538B2 (ja) * 1998-11-26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薄膜およ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3889910B2 (ja) 2000-03-10 2007-03-07 三菱化学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89911B2 (ja) 2000-03-10 2007-03-07 三菱化学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84782B2 (ja) * 2000-03-16 2003-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41808B2 (en) * 2000-06-23 2005-01-11 Toyoda Gosei Co., Ltd. Group III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556916B2 (ja) * 2000-09-18 2004-08-2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半導体基材の製造方法
JP3679720B2 (ja) * 2001-02-27 2005-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および窒化物系半導体の形成方法
JP2002261392A (ja) * 2001-02-27 2002-09-13 Sanyo Electric Co Ltd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および窒化物系半導体の形成方法
CA2446656A1 (en) * 2001-06-15 2002-12-27 Cree, Inc. Gan based led formed on a sic substrate
JP3786054B2 (ja) 2001-09-07 2006-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光素子および半導体レーザ
US7105865B2 (en) * 2001-09-19 2006-09-1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lxInyGa1−x−yN mixture crystal substrate
US6724013B2 (en) 2001-12-21 2004-04-20 Xerox Corporation Edge-emitting nitride-based laser diode with p-n tunnel junction current injection
JP3971192B2 (ja) 2002-01-11 2007-09-05 株式会社アルバック Cvd装置
US7078735B2 (en) * 2003-03-27 2006-07-18 Sanyo Electric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illuminator
KR20050023540A (ko) * 2003-08-28 2005-03-10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874A1 (ko) * 2008-02-19 2009-08-27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버퍼층을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8146B1 (ko) 2008-07-16 2010-10-18 주식회사 실트론 화합물 반도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합물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7848A1 (en) 2014-05-08
JP2005294793A (ja) 2005-10-20
US20050218416A1 (en) 2005-10-06
JP4048191B2 (ja) 2008-02-13
KR20050096509A (ko) 2005-10-06
US8664687B2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300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555500B2 (ja) Iii族窒化物半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380051B1 (en)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529846B2 (ja) Iii−v族窒化物系半導体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455877B1 (en) III-N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JP3139445B2 (ja) GaN系半導体の成長方法およびGaN系半導体膜
JP4740903B2 (ja) シリコン基板上の窒化物単結晶成長方法、これを用いた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8869B1 (ko) 질화물계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GaN기판 및 수직구조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방법
JP4412827B2 (ja) 窒化物半導体厚膜基板
JP2000156524A (ja) 半導体装置、半導体基板とそれらの製造方法
US7872268B2 (en) Substrate buffer structure for group III nitride devices
US20090261376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H11135832A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96833B2 (ja) Iii−v族化合物半導体の成長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682272B1 (ko) 질화물계 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질화물계 기판
KR100616543B1 (ko) 실리콘기판 상에 질화물 단결정성장방법, 이를 이용한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148178B2 (en) Method of growing nitride single crys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4743989B2 (ja)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KR100506739B1 (ko) 알루미늄(Al)을 함유한 질화물 반도체 결정 성장방법
KR100691176B1 (ko)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 성장방법
KR100304733B1 (ko) 질화물 반도체의 구조 및 그 결정성장방법
JP3685838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74651A (ja) Iii 族窒化物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3388A (ja) 発光素子
JP2005064255A (ja)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