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354B1 - 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354B1
KR100567354B1 KR1020040008546A KR20040008546A KR100567354B1 KR 100567354 B1 KR100567354 B1 KR 100567354B1 KR 1020040008546 A KR1020040008546 A KR 1020040008546A KR 20040008546 A KR20040008546 A KR 20040008546A KR 100567354 B1 KR100567354 B1 KR 10056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drying
brown rice
te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505A (ko
Inventor
유영군
기준상
유수진
Original Assignee
(주)대나무건강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나무건강나라 filed Critical (주)대나무건강나라
Priority to KR102004000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3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茶)용 조성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죽엽과,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조, 죽엽, 현미, 차

Description

차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ea}
본 발명은 차(茶)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죽엽과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죽엽과 현미가 약리학적으로 그리고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즉 죽엽은 오래 전부터 범열, 소갈증, 열독풍 등에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미는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를 벗겨낸 쌀인데 가공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어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B1·B2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약리학적으로 그리고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죽엽과 현미의 섭취를 촉진하고자, 죽엽과 현미를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여 본 결과, 그 맛, 향, 색깔이 예상외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죽엽과 현미가 가지는 약리적·영양학적 성분들의 섭취를 촉진시킬 수 있고, 맛과 향 그리고 색깍이 우수한 죽엽과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건조된 죽엽과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조된 죽엽이란 수확 직후의 생(生) 죽엽이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되어진 것을 말한다.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되어지기만 한다면 그 건조된 죽엽에서 그 수분 함량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즉 수확 직후의 생 죽엽의 수분 함량을 100 중량부로 보았을 때 상기 건조된 죽엽의 수분 함량은 100 중량부 미만이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건조된 죽엽이란 그 수분 함량을 불분하고 수확 직후의 생 죽엽보다 수분 함량이 적은 모든 죽엽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진다.
다만, 차는 경험상 차잎의 수분 함량이 적절히 낮아야만 우수한 맛과 향을 낸다 점에서 상기 건조된 죽엽은 그 수분 함량이 건조된 죽엽의 전체 중량 %에 대해서 20 중량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중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 중량 % 이하인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된 죽엽은 그 수분 함량이 그 하한에 있어서는 건조된 죽엽의 전체 중량 %에 대해서 최소 0.5 중량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건조된 죽엽이 그 전체 중량 %에 대해서 극단적으로는 수분 함량이 0 중량 %인 건조된 죽엽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경험상 죽엽이 가지는 약리적·영양 학적 성분들이 변성과 파괴를 방지하고 차로서 보다 우수한 맛과 향 등을 지니도록 하기 위해서는 건조된 죽엽에서 그 수분 함량은 최소 상기 중량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차잎의 수분 함량이 적절히 낮아야만 차가 우수한 맛과 향을 낸다는 점 등이 비록 널리 알려진 사실이긴 하나, 상기 구체적인 수치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이 우수한 맛과 향을 낸다는 것은 순전히 본 발명자(들)의 수십번의 반복 실험을 통하여 얻어낸 결과이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의 이유들에서 죽엽을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건조된 죽엽의 전체 중량 %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의 죽엽을 얻어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건조된 죽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되어 얻어지는 모든 죽엽을 포함하지만, 수분 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과 죽엽이 가지는 식용으로서의 부적절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상기 건조된 죽엽은 인공적으로 건조되어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적으로 건조되어 얻어진 죽엽이란 a) 죽엽을 증제하는 단계, b) 증제된 죽엽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조 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죽엽을 말한다.
여기서 증제(steam-boiling) 단계란 수증기(steam)로 찌는(boiling) 단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증제 단계는 죽엽을 식용으로 하기에 거부감을 줄 수 있는 죽엽이 가지는 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죽엽이 가지는 여러 약리학적·영양학적 성분들의 효능을 최대로 보존하면서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증 제 단계는 고온의 증기로 짧은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증제 단계를 약 60 내지 150 ℃ 수증기로 약 1 내지 10분 동안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 공정에서 건조 단계는 죽엽이 가지는 수분 함량을 조절하고 죽엽이 차로서 가지는 맛과 향을 최적으로 하기 위한 단계로서, 이러한 건조 단계에 의해서 원하는 수분 함량을 지니면서 맛과 향이 최적인 건조된 죽엽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건조 단계의 여러 건조 조건들을 조합하고 여러 단계들로 나누어 위 건조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해 봄으로써, 맛과 향이 최적인 건조된 죽엽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온도 범위와 건조 시간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한 최적의 온도 범위와 건조 시간 범위를 갖는 건조 단계는 구체적으로 i) 상기 증제된 죽엽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 ii) 급속 냉각된 죽엽을 약 6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약 3분 내지 30분 동안 제1차 건조시키는 단계, iii) 상기 제1차 건조된 죽엽을 약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약 10분 내지 40분 동안 제2차 건조시키는 단계, iv) 상기 제2차 건조된 죽엽을 약 60 내지 140 ℃의 온도에서 약 3분 내지 10분 동안 제3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v) 상기 제3차 건조된 죽엽을 약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약 20분 내지 30분 동안 제4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또한 위 여러 건조 단계들에 있어서, 제1차 건조 단계와 제3차 건조 단계는 열풍 건조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차 건조 단계는 제1차 건조된 죽엽을 회전시키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4차 건조 단계는 철판 등에서 볶음(parching)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조 공정은 건조 단계 후, 또는 건조 단계 중에 죽엽을 분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분쇄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죽엽의 크기는 그 평균 지름이 0.1 내지 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지름이란 분쇄된 죽엽 파편들 중에서 가장 많은 숫자로 존재하는 죽엽 파편이 가지는 평균 지름으로서 정의된다. 또 지름이란 죽엽 파편이 가장 큰 길이 차원을 기준으로 한 길이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분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이 실제 이용될 때, 죽엽의 가지는 내부 성분이 잘 우러나오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 단계는 제1차 건조 단계 후와 제2차 건조 단계 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복적으로 비비는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복적인 비비기 과정은 죽엽 표면의 수분과 내부 수분의 함량을 균일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죽엽의 세포 조직을 적당히 파괴해 내부 성분이 잘 우러날 수 있는 죽엽 상태를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서, 유념 과정이라고도 표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복적인 비비기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든 그에 적합하게 개발된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든 무관하지만, 원하는 크기의 죽엽을 얻을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이 실제 차로서 이용될 때 죽엽의 내부 성분이 보다 잘 우러나게 할 수 있는 점 등에서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 제조 공정에서 건조된 죽엽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죽엽은 대나무의 종류와 죽엽의 종류를 불문한다. 즉 분죽의 죽엽이든, 왕대의 죽엽이든, 조리대의 죽엽이든 불문하며, 죽엽이면, 그것이 유엽(幼葉)이든 성엽이든 불문하다. 다시 말 해서 위 제조 공정에서 건조된 죽엽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죽엽은 모든 종류의 대나무의 죽엽과 모든 종류의 죽엽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에서 건조된 죽엽 대신에 또는 건조된 죽엽과 함께 건조된 죽간(竹竿)이나 건조된 대나무 줄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건조된 죽간이나 건조된 대나무 줄기의 수분 함량, 그것들의 제조 공정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건조된 죽엽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유효하다.
한편,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은 건조된 죽엽 이외에 건조된 현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 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건조된 현미는 전술한 건조된 죽엽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현미를 말한다. 또한 전술한 건조된 죽엽과 마찬가지로, 상기 건조된 현미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되어지기만 한다면 그 건조된 현미에서 그 수분 함량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건조된 현미란 전술한 건조된 죽엽과 마찬가지로 그 수분 함량을 불분하고, 수확 후의 벼가 현미로서 가공되어진 후라면(즉 탈곡하고 나서 왕겨를 벗겨낸 후) 그 가공되어 얻어진 현미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적은 모든 현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진다. 즉 수확 후의 벼가 현미로서 가공되어진 직후의 현미의 수분 함량을 100 중량부로 보았을 때 상기 건조된 현미의 수분 함량은 100 중량부 미만이면 되는 것이다. 보다 우수한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다면,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건조된 현미의 바람직한 수분 함량은 건조된 현미 전체 중량 %에서 15 중량 % 이하이며, 더 바람직한 수분 함량은 10 중량 % 이하이다. 또한 그 하한에 있어서도 보다 우수한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봤을 때 0.5 중량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이 수분 함량 0 중량 %인 현미를 배제한다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람직한 수분 함량의 범위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태양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며, 또한 건조된 죽엽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모두 본 발명자(들)이 수십 차례의 반복 실험을 통하여 보다 우수한 맛과 향의 차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경험에 기초하여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의 이유들에서 현미를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건조된 현미의 전체 중량 %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의 현미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건조된 현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연적으로 건조되어 얻어지는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지만, 인공적으로 건조되어 얻어지는 건조된 현미가 더 바람직하다. 그것은 건조된 죽엽을 인공적으로 건조시켜 얻는 이유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적으로 건조시켜 건조된 현미를 얻는 제조 공정은 a) 현미를 증제하는 단계, 및 b) 증제된 현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제의 의미는 앞서 설명한 증제와 동일한 의미이며, 그러한 증제는 60 내지 150 ℃ 수증기로 30 내지 120분 정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단계는 여러 단계로 나누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i) 증제된 현미를 5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약 20분 내지 60분 동안 제1차 건조시키는 단계, ii) 상기 제1차 건조된 현미를 약 2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약 5분 내지 20분 동안 제2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제2차 건조된 현미를 약 150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약 5분 내지 20분 동안 제3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차 건조 단계는 열풍 건조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차 건조 단계 및 제3차 건조 단계는 철판 등을 사용하여 볶음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건조 단계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고 특정 범위의 온도와 특정 범위의 수행 시간으로 실시한 이유는, 전술한 건조된 죽엽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우수한 맛과 향 등을 지닌 차를 얻을 수 있었다는 본 발명자(들)의 수십 차례의 반복 실험의 결과였다.
한편, 상기 제조 공정은 건조 단계 후, 또는 건조 단계 중에 현미를 분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분쇄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현미의 크기는 그 평균 지름이 0.1 내지 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지름이나 지름의 정의는 앞서 죽엽 파편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분쇄 단계는 전술한 죽엽의 분쇄 단계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을 실제 이용할 때, 현미의 내부 성분이 보다 잘 우러나오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에 있어서 건조된 죽엽은 20 ~ 80 중량 %로 포함되고, 건조된 현미는 80 ~ 2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 비율도 본 발명(들)자이 보다 우수한 맛과 향을 지닌 차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 십번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은 이용상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티 백(Tea Bag)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건조된 죽엽과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의 제조.
1. 건조된 죽엽의 제조
죽엽은 분죽의 유엽(幼葉)과 성엽(成葉)), 왕대의 유엽과 성엽, 조리대의 유엽과 성엽, 산죽의 유엽과 성엽, 분죽의 죽간(줄기 포함)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죽엽의 제조 공정은 먼저 채취된 죽엽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죽엽을 2cm∼5cm 크기로 고르게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죽엽을 증제하는 단계, 상기 증제된 죽엽을 급속 냉각시킨 후 열풍 건조 방식으로 건조하는 제1차 건조 단계, 상기 열풍 건조된 죽엽을 회전식 유념기(명칭: J-120, 일본 데라다사에서 구입)로 반복적으로 비벼 유념하는 단계, 상기 유념된 죽엽을 회전형 건조기(명칭: 중유기, 일본 데라다사에서 구입)로 건조하는 제2차 건조 단계, 상기 회전형 건조기로 건조된 죽엽을 콘베이어식 건조기(명칭: 오찌아이식 5호, 일본 데라다사에서 구입)를 사용하여 다시 열풍 건조 방식으로 건조하는 제3차 건조 단계, 및 상기 열풍 건조된 죽엽을 볶는 제4차 건조 단계로 이루어진다.
위 제조 공정에서 상기 증제 단계, 유념 단계, 제1차 내지 제4차 건조 단계의 수행 조건은 사용된 죽엽에 따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제조 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죽엽의 수분 함량을 하기 <표 1>에 함께 표시하였다.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1
2. 건조된 현미의 제조
현미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찰현미를 사용하였다. 건조된 현미의 제조 공정은 먼저 구입한 현미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현미를 증제하는 단계, 상기 증제된 현미를 열풍 건조하는 제1차 건조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현미를 볶는 제2차 건조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현미를 다시 볶는 제3차 건조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증제 단계, 제1차 내지 제3차 건조 단계의 수행 조건은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또한 상기 제조 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현미의 수분 함량을 하기 <표 1>에 함께 표시하였다.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2
3. 건조된 죽엽과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1. 및 2. 에서 각각 얻어진 건조된 죽엽과 건조된 현미를 하기 <표 3>과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특히 건조된 죽엽은 분죽의 유엽과 왕대의 성엽에서 얻어진 건조된 죽엽만을 대표적으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3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4
실험예. 제조된 차용 조성물의 관능 검사
전남 담양 군민 10명의 관능검사원을 선발하여 미리 검사훈련을 실시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의 차용 조성물에 온수를 부어 제조된 차에 대하여 맛, 향, 색깔 및 총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내지 14로 이루어진 시료는 세자리 숫자로 된 코드명을 부여하여 무작위 순서로 제공되었다. 관능검사는 맛, 향기, 색깔 및 총기호도에 대하여 아주 나쁘다(1점), 나쁘다(2점), 보통이다(3점), 좋다(4점), 아주 좋다(5점)를 기준 점수로 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맛, 향, 색깔, 총기호도에 대해서 각각 하기 <표 5>, <표 6>,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5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6
Figure 112004005399936-pat00007
전술한 바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죽엽과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은 그 맛, 향, 색깔 등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맛, 향, 색깔 등에서 우수한, 건조된 죽엽과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는 차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죽엽; 및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현미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된 죽엽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조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a) 죽엽을 증제하는 단계
    b) 증제된 죽엽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
    c) 급속 냉각된 죽엽을 6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3분 내지 30분 동안 제1차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제1차 건조된 죽엽을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40분 동안 제2차 건조시키는 단계;
    e) 상기 제2차 건조된 죽엽을 60 내지 140 ℃의 온도에서 3분 내지 10분 동안 제3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3차 건조된 죽엽을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30분 정도 제4차 건조시키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죽엽은 건조된 죽엽의 전체 중량 %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범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제하는 단계는 60 내지 150 ℃ 수증기로 1 내지 1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제3차 건조시키는 단계는 열풍 건조 방식으로 수행되고, 제2차 건조시키는 단계는 제1차 건조된 죽엽을 회전시키면서 수행되고, 제4차 건조시키는 단계는 볶음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죽엽의 제조 공정은 상기 건조하는 단계 중에 또는 상기 건조하는 단계 후에 건조되어진 죽엽을 분쇄하는 단계를 추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반복적인 비비기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죽엽은 그 평균 지름이 0.1 내지 3.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용 조성물은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건조된 죽간 및 대나무 줄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현미는 그 현미의 전체 중량 %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 범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현미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a) 현미를 수증기로 증제하는 단계; 및
    b) 증제된 현미를 건조하는 단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제하는 단계는 60 내지 150 ℃ 수증기로 30 내지 120분 정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i) 증제된 현미를 5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60분 정도 제1차 건조시키는 단계;
    ii) 상기 제1차 건조된 현미를 2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5분 내지 20분 동안 제2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제2차 건조된 현미를 150 내지 250 ℃의 온도에서 5분 내지 20분 정도 제3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건조시키는 단계는 열풍 건조 방식으로 수행되고, 제2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제3차 건조시키는 단계는 볶음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현미의 제조 공정은 상기 건조하는 단계 중에 또는 건조하는 단계 후에 건조된 현미를 분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현미는 그 평균 지름이 0.1 내지 3.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죽엽은 20 ~ 80 중량 %로 포함되고,
    상기 건조된 현미는 80 ~ 2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19.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용 조성물은 티백 형태로 제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 조성물.
  20. 삭제
KR1020040008546A 2004-02-10 2004-02-10 차용 조성물 KR10056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546A KR100567354B1 (ko) 2004-02-10 2004-02-10 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546A KR100567354B1 (ko) 2004-02-10 2004-02-10 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505A KR20050080505A (ko) 2005-08-17
KR100567354B1 true KR100567354B1 (ko) 2006-04-04

Family

ID=3726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546A KR100567354B1 (ko) 2004-02-10 2004-02-10 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02B1 (ko) 2010-07-27 2010-11-19 경상남도 죽순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죽순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02B1 (ko) 2010-07-27 2010-11-19 경상남도 죽순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죽순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505A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463B1 (ko) 모링가 커피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44925B1 (ko) 깻잎차의 제조방법
KR100567354B1 (ko) 차용 조성물
KR100552493B1 (ko)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263332B (zh) 绿茶的茶叶的制造方法
KR102470595B1 (ko) 솔잎향을 나타내는 자숙오징어의 제조방법
KR102413725B1 (ko) 초벌 막창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599B1 (ko) 차(茶)용 인삼가공절편 및 제조방법
KR20110066269A (ko) 인삼발효 홍삼 청국장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청국장
KR101143980B1 (ko) 취나물의 건조방법
KR100554299B1 (ko) 죽엽 분말을 포함하는 김치 양념 조성물 및 그 김치 양념조성물로 제조되는 김치
KR100482725B1 (ko) 기호성이우수한녹차-둥굴레혼합음료조성물
KR100591662B1 (ko) 오가피를 이용한 굴비의 가공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2003614B1 (ko)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778977B1 (ko)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0902472B1 (ko) 미나리잎을 원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
KR101709234B1 (ko) 덖은 연잎 가루를 첨가한 고추장 소스 굴비의 제조방법
KR102123739B1 (ko) 냉수침출 방식을 이용한 우엉차 제조방법
KR20120136893A (ko) 젤리타입의 흑마늘 제조방법
KR102455930B1 (ko) 보리 발효곡의 제조 방법 및 보리 발효곡의 용도
KR100543168B1 (ko) 죽엽 분말을 포함하는 갈비 양념 조성물
KR102517241B1 (ko)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KR102125061B1 (ko) 다중식 추어 살 채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어 살
KR102237810B1 (ko) 건두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