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153B1 - 정착용 옵션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용 옵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153B1
KR100565153B1 KR1020010083765A KR20010083765A KR100565153B1 KR 100565153 B1 KR100565153 B1 KR 100565153B1 KR 1020010083765 A KR1020010083765 A KR 1020010083765A KR 20010083765 A KR20010083765 A KR 20010083765A KR 100565153 B1 KR100565153 B1 KR 10056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xing
recording sheet
convey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680A (ko
Inventor
가바시마아키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919Special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 G03G2215/00945Copy material feeding speed varied over the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06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auxiliary devices, e.g. add-on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감광성 부재(PR)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 상에 전사하여, 이 토너 화상을 화상 형성 장치(U1)에 포함된 정착 장치(F')에 의해 기록 시트 상에 정착하고, 그 위에 정착된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 시트를 시트 배출구(Ka)를 통해 배출시키는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U1)와 착탈가능하게 접속된 정착용 옵션 장치(U3)를 설치한다. 이 정착용 옵션 장치는 시트 반입구(2a), 이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기록 시트(S)를 반입하고 이 반입된 기록 시트(S)를 정착 장치(F)를 통과시키지 않고 배출하는 제 1 시트 반송로(SH6), 기록 시트(S)를 정착 장치(F)로 통과시킨 후 기록 시트(S)를 배출하는 제 2 시트 반송로(SH7), 및 이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따라 반송되는 기록 시트(S) 상의 토너 화상을 가열하여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F)를 포함한다.
정착 장치, 시트 반송로, 기록 시트, 배출 롤

Description

정착용 옵션 장치{OPTION FIX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가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U1)의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 출력 처리의 흐름도.
도 5는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이 처리는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전원 온과 동시에 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정착용 옵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실시예 1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 및 이 정착용 옵션 장치에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실시예 1의 도 5에 나타낸 것에 대응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가 후처리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2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수단
F 벨트식 정착 장치
F' 정착 장치
G3 반송로 스위치 부재
PR 감광체
S 기록 시트
SH6 제 1 시트 반송로
SH7 제 2 시트 반송로
SL 스위치 부재 작동 부재
T' 본체측 접속 단자
T 옵션측 접속 단자
U1 화상 형성 장치
U3 정착용 옵션 장치
UIc 정착 실행 지정 스위치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 기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의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용 옵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화상과 흑색의 단색 화상과 같이 다른 화질의 화상을 정착하는 경우나, 또는 보통 종이와 OHP와 같은 다른 종류의 기록재의 화상을 정착하는 경우에,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가열 롤의 표면 온도 변화나 정착 롤(가열 롤 및 가압 롤)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하나의 정착 장치에 의해서 화질, 특히 광택(gloss)을 변화시켜 화질에 대해 유저가 원하는 요구치를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의 해결책 중 하나로 복수의 정착 장치를 사용하여 화질이 변화된 정착 화상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상기한 타입의 정착 장치에 대하여 다음의 기술 (J01)이 공지되어 있다.
(J01) 일본국 특개평11-242400호에 개시된 기술
이 공보에는 사진 화상에 가까운 높은 광택 레벨의 화상을 얻기 위하여 복수의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 하나를 벨트식 정착 장치로 하고, 이 벨트 정착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구성된다.
((J01)의 문제점)
상기 종래 기술 (J01)에서와 같이, 화질의 변화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정착 장치를 사용하는 기술에서는, 정착 처리를 받은 통상의 기록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배출 반송로, 상기 통상의 정착 기록 시트를 제 2 정착 장치에 반송하는 반송 로 및 반송로 선택기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정착 처리를 받은 통상의 기록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배출 반송로, 상기 통상의 정착 기록 시트를 제 2 정착 장치에 반송하는 반송로 및 반송로 선택기가 설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되어서,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배경 이유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001) 및 (002)를 목적으로 한다.
(001) 광택 토너 화상을 정착할 수 없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광택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002) 화상 형성 장치의 통상의 시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의 토너 화상에 대하여 소망하는 정착을 할 수 있는 정착용 옵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
이하,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그 설명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구성요소와의 대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괄호를 붙인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이 참조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록 시트(S)가 반입되는 시트 반입구(2a)와,
상기 기록 시트(S)를 배출하는 배출구(3a, 4a; 3b)와,
상기 반입된 기록 시트(S)를 상기 배출구(3a, 4a; 3b)로 반송하는 제 1 및 제 2 시트 반송로들(SH6, SH7)과,
상기 기록 시트(S)를 상기 제 1 시트 반송로(SH6)에 반송하는 제 1 스위치 위치와 상기 기록 시트(S)를 제 2 반송로(SH7)에 반송하는 제 2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반송로 스위치 부재(G3)와,
상기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S) 상의 토너 화상을 가열 정착하는 정착 장치(F), 및
반송로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반송로 스위치 부재(G3)를 상기 제 1 스위치 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 위치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스위치 부재 구동 부재(SL)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화상 형성 장치(U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토너 화상은 상기 기록 시트(S) 상에 전사되어, 상기 기록 시트(S) 상에 정착되고, 상기 기록 시트(S)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배출구(Ka)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는 상기 시트 반입구로부터 반입되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작용)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이 정착용 옵션 장치(U3)가 화상 형성 장치(U1)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S)가 시트 반입구(2a)로 반송된다. 스위치 부재 구동 부재(SL)는 반송 선택 신호에 따라 반송로 스위치 부재(G3)를 제 1 스위치 위치 또는 제 2 스위치 위치로 이동시킨다.
반송로 스위치 부재(G3)가 제 1 스위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입된 기록 시트(S)를 시트 배출구(4a; 3b)로 안내하지만, 기록 시트(S)를 정착 장치(F)로 안내하지는 않는다.
반송로 스위치 부재(G3)가 제 2 스위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입된 기록 시트(S)를 제 2 시트 반송로(SH7)로 안내한다. 제 2 시트 반송로(SH7)는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입된 기록 시트(S)를 정착 장치(F)로 안내한 후, 시트 배출구(3a; 3b)로 안내한다.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 상의 토너 화상은 적절하게 미리 설정된 정착 속도로 정착된다. 따라서, 광택이 우수한 토너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U1)에서 통상 사용되는 시트 배출구(Ka)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 상의 토너 화상을 소망하는 대로 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는 광택 토너 화상을 정착할 수 없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광택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는, 정착 장치(F)가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S) 상의 토너 화상을 가열하여 정착하는 정착 벨트(Bt)를 갖는 벨트식 정착 장치인,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작용)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는 정착 벨트(Bt)를 갖는 정착 장치(F)를 사용하기 때문에 광택이 우수한 토너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서는, 기록 시트(S)가 제 2 시트 반송로(SH7)의 정착 장치(F)를 통과할 때의 시트 반송 속도를, 기록 시트(S)가 반입될 때의 시트 반송 속도보다 느린 시트 반송 속도로 변화시키도록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하는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수단(C2)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록 시트(S)가 정착 장치(F)를 통과할 때의 시트 반송 속도는 광택 화상을 형성할 때의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착용 옵션 정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작용)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에서,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수단(C2)은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입된 기록 시트가 제 2 반송로(SH7)의 정착 장치(F)를 통과할 때, 시트 반송 속도를 기록 시트(S)가 시트 반입구(2a)에 반입될 때보다 느린 속도로 저감시켜서, 시트 반송 속도가 광택 화상을 형성할 때의 정착 속도에 대응하도록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정착 장치(F)를 통과하는 기록 시트(S)의 시트 반송 속도와 무관하게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입된 기록 시트(S)의 시트 반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입된 기록 시트(S)의 시트 반송 속도를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S)의 시트 배출 속도와 관련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U1)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화상 형성시의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Rh)과 제 2 시트 반송로(SH7)의 정착 장치(F)간의 시트 반송 거리가 사용되는 최대 사이즈를 갖는 기록 시트(S)의 반송 방향의 길이보다 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작용)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에서는, 기록 시트(S)의 후단이 배출 롤러(Rh)를 통과한 후에, 기록 시트(S)의 선단이 정착 장치(F)의 정착 영역(Q5)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 3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속도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1) 기록 시트(S)의 후단이 배출 롤러(Rh)를 통과할 때까지,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속도를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반송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 함으로써, 기록 시트(S)를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정착용 옵션 장치(U3)로 확실하며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다.
(2) 기록 시트(S)의 후단이 배출 롤러(Rh)를 통과한 후, 그리고 기록 시트의 선단이 정착 장치(F)의 정착 영역(Q5)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 반송 속도를 소망하는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시트 반송 속도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정착 장치(F)의 상류측에 제공된 정착 영역(Q5) 근방에 배치되어 기록 시트(S)의 선단을 검지하는 시트 센서(SN1)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작용)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기록 시트(S)가 정착 장치(F)의 정착 영역(Q5)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 센서(SN1)가 시트 반송 방향에서 볼 때의 상류측 위치에서 기록 시트(S)의 선단을 검지한다. 따라서, 기록 시트(S)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시트(S)의 후단이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를 통과하는 가의 여부에 대하여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기록 시트(S)의 후단이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를 통과한 후, 정착용 옵션 장치(U3) 내의 시트 반송 속도를 광택 화상을 형성하는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시트 반송 속도로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다음의 구성요소(A0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011) 상기 제 1 반송로(SH6) 및 제 2 반송로(SH7)의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 반송로(SH6, SH7)로부터 반송된 기록 시트를 배출하는 시트 배출구(3b).
(실시예 1의 작용)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후처리 장치(U4)(정착 토너 화상이 형성된 기록 시트에 대한 처리(예를 들면, 소팅, 바인딩 및 펀칭 처리)를 위한 장치)가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배출구(3b)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제 1 시트 반송로(SH6)를 통하여 반송되는 기록 시트, 및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해 반송되는 기록 시트가 정착 장치(F)에 의해서 정착 처리를 받아서 후처리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는 실시예 1에 더하여 다음의 구성요소 (A0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012) 반송로 선택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반송로 선택 부재(G3)의 스위칭 동작을 지시하는 경우에 조작되는 정착 실행 지시 스위치(U1c).
(실시예 2의 작용)
실시예 2에 따라 구성된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정착 실행 지시 스위치(U1c)의 입력에 따라 소정의 선택 위치로 상기 반송로 스위치 부재(G3)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반입구(2a)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가 광택이 있는 정착이 되는가 광택이 없는 정착이 되는가의 여부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U1)가 광택 모드 선택키(UI4)를 갖지 않더라도, 광택 토너 화상이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정착 실행 지시 스위치(U1c)를 입력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더하여 다음의 구성요소 (A013), (A0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103) 정착용 옵션 장치(U3)가 화상 형성 장치(U1)에 접속될 때, 화상 형성 장치(U1)의 본체측 접속 단자(T')와 접속되어,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정착 동작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옵션측 접속 단자(T).
(A014) 정착 동작 지령 신호가 옵션측 접속 단자(T)에 입력될 때, 반송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반송로 스위칭 제어부(C1).
(실시예 3의 작용)
상기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 3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이 정착용 옵션 장치(U3)가 화상 형성 장치(U1)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S)가 시트 반입구(2a)로 반송된다.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옵션측 접속 단자(T)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본체측 접속 단자(T')와 접속되어,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정착 동작 지령 신호를 입력받는다. 반송로 스위치 제어 부(C1)는, 정착 동작 지령 신호가 옵션측 접속 단자(T)에 입력했을 때, 반송로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반송로 선택 신호를 출력할 때, 선택 부재 작동 부재(SL)는 반송로 스위치 부재(G3)를 작동시켜, 소정의 선택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시트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의 토너 화상에 대하여 소망하는 정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옵션 정착 장치는 광택 토너 화상을 정착할 수 없는 화상 형성 장치가 광택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
본 발명의 구체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의 용이화를 위하여,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 방향으로 나타내고, 좌우 방향을 Y 방향으로 나타내며, 상하 방향을 Z 방향으로 나타낸다.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낸 방향 또는 나타낸 측을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상방, 하방 또는 앞측, 뒷측, 좌측, 우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 내에 "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뒷쪽으로부터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에 "×"가 개재된 것은 앞쪽에서 뒷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가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 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정착용 옵션 장치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자동 원고 반송기(U2)는 복사기에 의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U1)의 상단에 위치한 평판 유리(PG) 상에 배치된다.
자동 원고 반송기(U2)는 복사할 원고(Gi)가 겹쳐서 배치되는 급지 트레이(TG1)을 포함한다. 이 급지 트레이(TG1)에 놓인 원고(Gi)는 평판 유리(PG) 상의 복사 위치를 순차로 통과하여, 시트 배출 트레이(TG2) 내로 배출된다. 자동 원고 반송기(U2)는 그 후단부(-X단부)에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뻗은 힌지축(미도시)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U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자동 원고 반송기(U2z)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평판 유리(PG) 상에 원고(Gi)를 놓을 때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화상 형성 장치(U1)는 유저가, 예를 들면 복사 개시의 작용 지령 신호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전원 스위치(UI1), 표시 장치(UI2), 복사 개시키(UI3), 광택 모드 선택키(광택 모드에서 화상을 기록할 때 입력하는 키)(UI4), 양면 인쇄 모드 선택키(양면 입력 모드를 선택할 때 입력하는 키)(UI5), 복사 매수 설정키(미도시) 및 텐 키(ten key) 등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UI2)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원고 판독기(IIT)는 화상 형성 장치(U1) 상면의 투명한 평판 유리(PG) 아래 에 배치된다. 이 원고 판독기(IIT)는 평판 레지스터 위치(OPT 위치)에 배치된 노광 레지스터 센서(평판 레지스터 센서)(Sp) 및 노광 광학계(A)를 갖는다.
노광 광학계(A)는 그 이동 및 정지가 노광 레지스터 센서(Sp)의 검지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통상은 홈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자동 원고 반송기(U2)에 의해 평판 유리(PG)의 상면의 노광 위치를 통과하는 원고(Gi) 또는 수동으로 평판 유리(PG) 상에 놓여진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은 노광 광학계(A)를 통해 CCD(고체 촬상 소자)에 의해 R(적색), G(녹색) 및 B(청색)의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화상 처리 시스템(IPS)은 CCD로부터 입력된 R, G 및 B의 전기 신호를 K(흑색), Y(황색), M(마젠타색) 및 C(시안색)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안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그 후, ISP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잠상 형성용 화상 데이터로서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이 레이저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신호를 ROS(잠상 형성 장치)에 출력한다.
감광체 드럼에 의해 구성된 화상 담지체(carrying member)(PR)는 화살표 Ya 방향으로 회전한다. 화상 담지체(PR)는 제전기(charge remover)(JR)에 의해서 제전되고, 다음에 대전기(CR)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된 후, 잠상 기입 위치(Q1)에서 잠상 형성 장치(ROS)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L)에 의해 주사되어,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풀-컬러(full-color)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K(흑색), Y(황색), M(마젠타색) 및 C(시안색)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순차 형성된다. 단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K(흑색)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만이 형성된다.
그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담지체(PR)의 표면은 회전하여 현상부(Q2) 및 1차 전사부(Q3)를 순차 통과한다.
로터리식의 현상 장치(G)는 회전축(Ga)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부(Q2)를 향하여 순차로 회전되는 K(흑색), Y(황색), M(마젠타색) 및 C(시안색)의 4색의 현상 장치(GK, GY, GM, GC)를 포함한다. 이 현상 장치(GK, GY, GM, GC)는 각각 현상부(Q2)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GR)이 설치된다.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부(Q2)를 통과하는 화상 담지체(PR)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각 현상 장치(GK, GY, GM, GC)에는 토너 카트리지(Tc)(도 1 및 도 2 참조)로부터 새로운 토너가 공급된다.
화상 담지체(PR)의 아래에는 중간 전사 벨트(B), 벨트 구동 롤(Rd), 텐션 롤(Rt), 작업 롤(Rw), 아이들러 롤(자유롤)(Rf) 및 백업 롤(T2a)을 포함한 복수의 벨트 지지롤(Rd, Rt, Rw, Rf, T2a)과 더불어 1차 전사 롤(T1) 및 이것을 지지하는 벨트 프레임(미도시)이 배치된다. 중간 전사 벨트(B)는 벨트 지지롤(Rd, Rt, Rw, Rf, T2a)에 의해서 회전가능 및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제 1 칼러의 정전 잠상은 현상부(Q2)에서 제 1 컬러의 토너 화상(Tn)을 형성하기 위하여 잠상 기입 위치(Q1)에 형성된다. 토너 화상(Tn)은 1차 전사부(Q3)를 통과할 때, 1차 전사 롤(T1)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정전기적으로 1차 전사된다. 이어서, 제 2, 제 3 및 제 4 컬러의 토너 화상(Tn)이 제 1 컬러의 토너 화상(Tn)을 담지하는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순차로 겹치는 방식으로 1차 전사된다. 최종적으로, 풀-컬러로 겹쳐진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형성된다.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현상 처리를 위해 하나의 현상 장치만이 사용되고, 단색의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처리 후에, 화상 담지체(PR)의 표면에는 잔류 토너가 제전기(JR)에 의해 제전된 후, 이 표면은 화상 담지체 클리너(CL1)에 의해서 클리닝된다.
상기 백업 롤(T2a)의 아래쪽에는 2차 전사 롤(T2b)이 백업 롤(T2a)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와, 2차 전사 롤(T2b)이 백업 롤(T2a)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백업 롤(T2a)이 2차 전사 롤(T2b)과 접촉하는 접촉 부분은 2차 전사 부분(Q4)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G)에 의해 사용되는 토너와 대전 극성이 반대인 2차 전사 전압이 전원 회로(E)(도 1 및 도 2)로부터 백업 롤(T2a)로 공급된다. 전원 회로(E)는 제어기(C)에 의해서 제어된다.
급지 트레이(TR1 또는 TR2)에 수용된 기록 시트(S)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픽업 롤(Rp)에 의해 픽업되고, 시트 분리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복수의 반송 롤(Ra)에 의해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기록 시트(S)는 1차 전사된 다중 토너 화상 또는 단색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부분(Q4)으로 이동함에 동기하여 전사 전의 시트 가이드(SG1)로부터 2차 전사 부분(Q4)으로 반송된다.
2차 전사 부분(Q4)에서, 2차 전사 장치(T2)는 중간 전사 벨트(B)로부터의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S)에 정전기적으로 2차 전사한다. 2차 전사를 받은 중간 전 사 벨트(B)로부터 벨트 클리너(CL2)에 의해서 잔류 토너가 제거된다.
2차 전사 롤(T2b) 및 벨트 클리너(CL2)는 중간 전사 벨트(B)와 접촉 및 분리(이격 및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컬러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롤들은 최종 색의 미정착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B)에 1차 전사될 때까지 중간 전사 벨트(B)로부터 이격된다. 2차 전사 롤 클리너(CL3)는 2차 전사 롤(T2b)과 함께 중간 전사 벨트(B)에 대하여 접촉하거나 분리되도록 이동한다.
2차 전사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 시트(S)는 전사 후의 시트 가이드(SG2) 및 시트 반송 벨트(BH)에 의해 정착 부분(Q5)에 반송된다. 정착 부분(Q5)은 정착 장치의 가열 롤(Fh')이 가압 롤(Fp')과 가압 접촉하는 부분(닙(nip))이다. 정착 부분(Q5)을 통과하는 기록 시트(S)는 정착 장치(F')에 의해서 정착된다. 가열 롤(Fh')은 SUS 등으로 된 금속 파이프의 표면 상에 내열성의 고무로 된 내열성 탄성층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예를 들면 600W의 히터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 롤(Fh')의 표면은 약 160°로 가열된다. 가압 롤(Fp')은 SUS 등으로 된 금속 파이프의 표면에 박리성 수지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정착 부분(Q5)보다도 상류에 배치된 위치에서 가열 롤(Fh')의 외주면에는 오일 도포 장치에 의해 시트 박리용 오일이 도포된다. 가열 롤(Fh')과 가압 롤(Fp') 주위의 위치에서, 가열 롤(Fh')의 표면과 접촉하는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정착 부분(Q5)의 하류측에는 가열 롤(Fh')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시트(S)는 정착 부분(Q5) 하류측에 배치된 시트 배 출로(SH2)를 통해서 배출 롤러(Rh)로 반송되어, 화상 형성 장치(U1)의 측벽에 형성된 시트 배출구(Ka)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시트 배출로(SH2)에는 배출 롤러(Rh)의 상류측에 배치된 위치에 시트 반전로(SH3)가 접속되고, 그 접속부에는 선택 게이트(G1)가 설치된다. 선택 게이트(G1)는 시트 배출로(SH2)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S)를 배출 롤러(Rh) 또는 시트 반전로(SH3)로 선택적으로 안내한다.
시트 반전로(SH3)에는 시트 순환로(SH4)가 접속되며, 그 접속부에는 선택 게이트(G2)가 설치된다. 선택 게이트(G2)는 이 선택 게이트(G2)로부터 시트 반전로(SH3)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를 그 대로 통과시키며, 일단 통과해서 다시 스위치 백된 기록 시트를 시트 순환로(SH4)로 향하도록 한다. 시트 순환로(SH4)로 반송된 기록 시트는 급지로(SH1)를 통과해서 전사 부분(Q4)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구성요소(SH1 내지 SH4)는 시트 반송로(SH)를 구성한다. 이 구성요소(Rp, Rs, Rr, Ra, SG1, SG2 및 BH)는 시트 반송로(SH)를 구성한다.
(정착용 옵션 장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U1)와 연결된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케이스(1)를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배출구(Ka)와 위치 맞춤하여 좌측 벽(2)에는 시트 반입구(2a)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반입구(2a)에는 반입 롤러(R1)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우측 벽(3)에는 시트 배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상면에는 시트 배출구(4a) 및 상측 시트 배출 트레이(5)를 갖는 시트 배출벽(4)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벽(2)의 시트 반입부(2a)로부터 반송된 기록 용지는 반입 롤러(R1) 및 스위치 게이트(반송 스위치 게이트)(G3)에 의해서 제 1 시트 반송로(SH6) 또는 제 2 시트 반송로(SH7)로 선택적으로 반송된다. 스위치 게이트(G3)는 솔레노이드(SL)(선택 부재 작동 부재, 도 3 참조)에 의해서 작동된다.
제 1 시트 반송로(SH6)는 시트 배출벽(4)의 시트 배출구(4a)와 연결되고, 시트 배출구(4a)의 내측에는 시트 배출 롤러(R2)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시트 반송로(SH7)에는 반송 롤러(R3, R4), 정착 장치(F) 및 배출 롤러(R5)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다. 배출 롤러(R5)는 우측 벽(3)의 시트 배출구(3a)의 내측에 연결되어,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를 시트 배출구(3a)로부터 시트 배출 트레이(TR5)로 배출한다.
벨트식 정착 장치(F)는 가열 롤(Fh) 및 가압 롤(Fp)을 포함한다. 가열 롤(Fh)은 금속 파이프의 표면에 내열 고무로 된 내열성 탄성층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히터가 배치된다. 가열 롤(Fh)과 마찬가지로 가압 롤(Fp)은 금속 파이프의 표면에 박리성 수지층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히트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 롤(Fh)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정착 벨트 지지 프레임(8)의 자유단에는 텐션 롤(Ft)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열 롤(Fh) 및 텐션 롤(Ft)에는 정착 벨트(Bt)가 감긴다. 정착 벨트(Bt)와 가압 롤(Fp) 사이의 가압 접촉 부분(닙)에 의해 정착 부분(Q6)이 형성된다. 시트 반송 방향에서 볼 때, 정착 부분(Q6)의 하류측에는 시트 가이드(9)가 설치된다.
가열 롤(Fh)은 모터(M1)(도 3)에 의해서 회전되며, 정착 벨트(Bt)는 가열 롤(Fh)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가열 롤(Fh)에 의해 지지되는 정착 벨트(Bt)의 외주면 주위에서, 정착 벨트(Bt)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정착 부분(Q6)의 상류측에 있는 위치에 정착 벨트(Bt)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너(11)가 배치된다. 텐션 롤(Ft)에 지지되는 부분의 정착 벨트(Bt)의 외주면 부분에 인접하여 분리 폴(pawl)(12)이 설치된다. 이 분리 폴(12)의 선단은 정착 벨트(Bt)의 표면과 접촉하여, 기록 시트(S)를 정착 벨트(Bt)로부터 분리시킨다. 제 2 시트 반송로(SH7)에는 벨트식 정착 장치(F)의 상류측에 있는 위치에 시트 센서(SN1)가 설치되며, 벨트식 정착 유닛(F)의 하류측에 있는 위치에는 시트 센서(SN2)가 설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와 시트 센서(SN1)간의 거리는 사용되는 최대 사이즈의 기록 시트의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와 시트 센서(SN1)간의 시트 반송로의 길이는 사용되는 최대 사이즈의 기록 시트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센서(SN1)가 기록 시트의 선단을 검지할 때, 그 기록 시트의 후단은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를 통과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시트 센서(SN1)가 기록 시트의 선단을 검지할 때 까지는, 시트 반송 부재(반입 롤러(R1), 시트 배출 롤러(R2), 반송 롤러(R3), 반송 롤러(R4), 배출 롤러(R5), 가열 롤(Fh) 및 정착 벨트(Bt))의 시트 반송 속도를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의 회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설정하고, 시트 센서(SN1)가 기록 시트의 후단을 검지한 후에는, 시트 반송 부재(R1, R2, R3, R4, R5, Fh, Bt) 의 시트 반송 속도를 다른 속도 값으로 변경해도, 화상 형성 장치(U1)의 동작은 이러한 속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 센서(SN1)가 기록 시트의 선단을 검지한 후에, 시트 반송 부재(R1, R2, R3, R4, R5, Fh, Bt)의 반송 속도를 광택 정착 속도(광택 화상을 얻기에 적합한 정착 속도)에 따라 적절한 시트 반송 속도로 변경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U1)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광택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제어부의 설명)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 및 이 정착용 옵션 장치가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서, 화상 형성 장치(U1)는 제어기(C') 및 본체측 접속 단자(T')를 포함한다. 정착용 옵션 장치는 제어기(C) 및 옵션측 접속 단자(T)를 포함한다. 제어기(C', C)는 각각 외부와의 신호의 입출력 및 이 입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I/O(입출력 인터페이스),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상기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클록 발진기 등을 갖는 컴퓨터를 갖는다. 이 제어기는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체측 접속 단자(T')와 옵션측 접속 단자(T)는 탈착이 자유로운 접속 단자를 갖는 접속 케이블에 의해 상호접속된다.
(제어기(C')와 접속된 신호 입력 요소)
제어기(C')에는, 유저 인터페이스(UI')로부터 출력된 신호 및 온도 센서 등의 각종의 센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기(C')와 접속된 피제어 요소)
제어기(C')에는, 화상 담지체(PR), 중간 전사 벨트(B), 현상 장치(Gy, Gm, Gc, Gk)의 현상 롤, 정착 장치(F')의 가열 롤(Fh') 등의 구동 모터의 구동 회로(미도시), 1차 전사 롤(T1) 및 2차 전사 롤(T2)의 전사 전원(미도시) 등의 피제어 요소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기(C')는 이들 피제어 요소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기(C')의 기능)
제어기(C')는 신호 입력 요소(유저 인터페이스(UI')의 키(UI3 내지 UI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여, 피제어 요소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C')는 다음의 기능을 실현하는 수단(C')을 갖는다.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 출력수단(C'))
이 수단(C')은 다음의 수단(C1a' 내지 C1d')을 포함한다.
(작업(Job) 개시 출력 수단(C1a'))
화상 형성 장치(U1)의 복사 개시 키(UI3)가 턴 온 될 때, 이 수단(C1a')은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작업 개시를 통지한다.
(작업 종료 신호 출력 수단(C1b')
화상 형성 장치(U1)의 복사 개시 키(UI3)가 턴 온되어 실행이 개시된 작업이 종료될 때, 작업 종료 신호 출력 수단(C1b')은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작업 종료를 통지한다. 작업 종료 신호 출력는 수단(C1).
(정착 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c'))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되면, 정착 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c')은 작업 개시시에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정착 동작 명령 신호(정착 동작의 실행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정착 비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d'))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 출력 수단(C1')은 작업 개시시에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정착 비동작 지령 신호(정착 동작을 실행하지 않음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필요하다면, 정착 비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d')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착 비동작 지령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정착 동작은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초기 설정에서 금지된다. 정착 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c')이 정착 동작 지령 신호(정착 동작의 실행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만, 정착용 옵션 장치(U3)가 정착 동작을 수행한다. 이외의 경우에는, 어떠한 정착 동작도 수행되지 않는다.
(제어기(C)에 접속된 신호 입력 요소)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한다. 이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전원 스위치(UIa), 표시 장치(UIb) 및 정착 동작 실행 지정 스위치(UIc)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화상 형성 장치(U1)의 제어기(C')는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제어기(C)와 접속된다.
정착 동작 실행 지정 스위치(UIc)가 입력되면, 이 입력된 신호는 제어기(C)에 입력된다.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되면,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는 제어기(C')로부터 제어기(C)로 입력된다.
(제어기(C)와 접속된 피제어 요소)
제어기(C)는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DL), 시트 반송 모터 구동 회로(D1) 등과 접속되어, 구동 신호를 상기 회로에 출력한다.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DL):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DL)는 솔레노이드(SL)를 구동하여,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1 스위치 위치(기록 시트가 제 1 시트 반송로(SH6)로 반송되는 위치)와 제 2 스위치 위치(기록 시트가 제 2 시트 반송로(SH7)의 벨트식 정착 장치(F)로 반송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시트 반송 모터 구동 회로(D1):
시트 반송 모트 구동 회로(D1)는 모터(M1)를 구동하여, 반입 롤러(R1), 시트 배출 롤러(R2), 반송 롤러(R3), 반송 롤러(R4), 배출 롤러(R5), 가열 롤(Fh') 및 정착 벨트(Bt)를 회전시킨다.
(제어기(C)의 기능)
제어기(C)는 신호 입력 요소(화상 형성 장치(U1)의 제어기(C') 및 정착 동작 실행 지정 스위치(UIc))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여, 피제어 요소(솔레노이드 구동 회로(DL) 및 시트 반송 모터 구동 회로(D1))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를 갖는다.
즉, 제어기(C)는 다음의 기능을 갖는다.
C1: 반송로 스위치 제어 수단
반송로 스위치 제어 수단(C1)은 복사 개시키(UI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기(C')로부터의 신호, 또는 정착 동작 실행 지정 스위치(UIc)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DL)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1 스위치 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치 위치(시트를 벨트식 정착 장치(F)로 반송하는 위치)로 스위치한다.
C2: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수단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수단(C2)은 제어기(C')로부터의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에 따라 시트 반송 모터 구동 회로(D1)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M1)를 구동하고, 시트 반송 부재(반입 롤러(R1), 반송 배출 롤러(R2), 반송 롤러(R3), 반송 롤러(R4), 배출 롤러(R5), 가열 롤(Fh) 및 정착 벨트(Bt))를 회전시킨다.
벨트식 정착 장치(F)의 정착 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시트 반송 부재(R1, R2, R3, R4, R5, Fh 및 Bt)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가열 롤 및 배출 롤러(Rh)의 시트 반송 속도와 동일한 반송 속도(둘레 속도(peripheral speed))로 회전한다. 벨트식 정착 장치(F)에 의한 정착 동작이 수행되면, 시트 반송 부재는 정착 동작을 위해 소정의 시트 반송 속도로 회전한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정착용 옵션 장치(U3)가 화상 형성 장치(U1)과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측 접속 단자(T')가 옵션측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1) 통상 모드(비광택 모드)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저 인터페이스(U1')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기(C')는 통상 모드(비광택 모드)용으로 설정된 화상 형성 속도로 화상 형성 장치(U1)을 동작시켜 화상 기록(기록 시트의 반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어기(C)에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작업 개시 통지 신호, 작업 종료 통지 신호, 정착 비동작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들은 제어기(C')로부터 본체측 접속 단자(T') 및 옵션측 접속 단자(T)를 상호접속하는 케이블을 통해서 제어기(C)로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 통상 모드는 초기 설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제어기(C') 및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제어기(C)는 통상 모드(비광택 모드)에 대응하는 시트 반송 속도로 기록 시트를 반송한다.
이 때, 스위치 게이트(G3)는 이 스위치 게이트가 초기 설정된 제 1 선택 위치(기록 시트가 제 1 시트 반송로(SH6)로부터 상측 시트 배출 트레이(5)로 배출되는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배출구(Ka)로부터 시트 반입구(2a)로 반송된 기록 시트는 상측 시트 배출 트레이(5)로 배출된다. 이 때,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제어기(C)는 정착용 옵션 장치(U3) 내의 시트 반송 부재(반입 롤러(R1), 반송 배출 롤러(R2), 반송 롤러(R3), 반송 롤러(R4), 배출 롤러(R5), 가열 롤(Fh) 및 정착 벨트(Bt))를 화상 형성 장치(U1) 내의 가열 롤(Fh') 및 배출 롤러(Rh)와 같은 둘레 속도로 회전시킨다.
(2) 광택 모드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U1)의 제어기(C')는 광택 모드용으로 설정된 화상 형성 속도로 화상 형성 장치를 동작시켜 화상 기록(기록 시트의 반송)을 수행하는 동시에, 제어기(C)에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작업 개시 통지 신호, 작업 종료 통지 신호, 정착 동작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들은 제어기(C')로부터 본체측 접속 단자(T') 및 옵션측 접속 단자(T)를 통해 제어기(C)에 보내진다.
이 때,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제어기(C)는 반송로 스위치 제어 수단(C1)에 의해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DL)을 구동하여,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2 선택 위치(기록 시트가 제 2 시트 반송로(SH7)로부터 벨트식 정착 장치(F)로 반송되는 위치)로 스위치함과 동시에, 정착용 옵션 장치(U3) 내의 시트 반송 부재(R1, R2, R3, R4, R5, Fh 및 Bt)를 화상 형성 장치(U1)에서와 같은 시트 반송 속도로 회전시킨다.
정착용 옵션 장치(U3)로 반송되는 기록 시트의 후단이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를 통과하여, 기록 시트의 선단이 벨트식 정착 장치(F)의 상류측에 배치된 시트 센서(SN1)에 의해서 검지될 때, 제어기(C)는 시트 반송 부재(R1, R2, R3, R4, R5, Fh 및 Bt)의 회전 속도를 광택 정착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변경한다.
정착 부분(Q6)을 통과하는 기록 시트는 토너 화상이 기록 시트에 정착되어 정착 벨트(Bt)에 밀착한 상태에서 정착 부분(Q6)의 하류측에 있는 시트 가이드(9)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 기록 시트(S) 상의 토너 화상은 정착되고 냉각된 후, 이 시트는 분리 폴(12)에 의해서 분리된다. 따라서, 광택 토너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를 사용하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U1)에 기록 시트(S)를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반송하는 시트 반송로, 반송로 스위치 부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U1)측에서 처리 속도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U1)는 대형화되거나 및 비용이 상승되지 않는다.
정착용 옵션 장치(U3)와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U1)가 광택 모드 선택키(UI4) 및 정착 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c')의 기능을 갖지 않더라도,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정착 실행 지정 스위치(UIc)가 입력됨으로써, 실시예 1의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정착 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c')으로부터 정착 동작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정착용 옵션 장치(U3)는 또한 화상 형성 장치(U1)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화상 형성 장치(U1)는 광택 모드 선택키(UI4) 및 정착 동작 지령 신호 출력 수단(C1c')의 기 능을 갖지 않는다.
실시예 1에서는, 정착용 옵션 장치(U3)가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전송 제어를,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연결 유무에 따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1의 흐름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U1)의 정착용 옵션 장치의 제어 신호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에서의 각 스텝의 처리는 실질적으로 제어기(C')의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도 4에 나타낸 처리는 전원을 턴 온하여 개시되는 동시에,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다른 여러 가지 처리와 병행하여 멀티-태스크 방식으로 실행된다.
도 4의 ST1(스텝 1)에서, 복사 개시키가 턴 온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이 판단이 NO인 경우에, ST1을 반복 실행한다. 만약, ST1이 YES라면, ST2로 진행한다.
ST2에서, 광택 모드가 선택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제어기(C')의 광택 모드 선택키(UI4)가 입력되는 가의 여부에 따라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현재 모드는 광택 모드가 아니라서, 통상의 화상 기록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ST3로 진행한다.
ST3에서는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1)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작업 개시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2)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정착 비동작 신호(정착 동작을 실행하지 않음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ST2에서의 판단이 YES이면, 처리는 ST4로 진행한다.
ST4에서는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1)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작업 개시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2)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정착 동작 지령 신호(정착 동작의 실행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ST3 또는 ST4 다음에 ST5를 실행한다.
ST5에서, 작업이 종료했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ST5는 반복된다. 만약, 판단이 YES라면, 처리는 ST6로 진행한다.
ST6에서, 작업 종료 통지 신호를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출력한다.
이 후, 처리는 ST1으로 되돌아간다.
도 5는 정착용 옵션 장치의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T11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작업 개시 통지 신호를 입력받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ST11은 반복된다. 만약, 판단이 YES라면, 처리는 ST12로 진행한다.
ST12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정착 동작 실행 지정 스위치(UIc)가 입력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처리는 ST13으로 진행한다.
ST13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에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정착 동작 지령 신 호를 입력받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처리는 ST14로 진행한다.
ST14에서,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1 스위치 위치에 유지한다.
다음에, ST15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부재(반송 롤러(R1 내지 R5) 및 정착 벨트(Bt))를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배출 속도와 같은 시트 반송 속도로 동작시킨다.
다음에, ST16에서, 작업 종료 통지 신호가 입력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ST16을 반복 실행한다. 만약, 판단이 YES라면, S22를 실행한다.
ST12에서의 판단이 YES이거나, 또는 ST13에서의 판단이 YES라면, 처리는 ST17로 진행한다.
ST17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2 스위치 위치에 유지한다. 다음에, 처리는 ST18로 진행한다.
ST18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부재(반송 롤러(R1 내지 R5) 및 정착 벨트(Bt))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배출 속도와 같은 시트 반송 속도로 동작한다. 다음에, 이 처리는 ST19로 진행한다.
ST19에서, 시트 센서(SN1)가 턴 온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ST19를 반복한다.
만약, 판단이 YES라면, 처리는 ST20으로 진행한다.
ST20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부재(반송 롤러(R1 내지 R5) 및 정착 벨트(Bt))를 소정의 정착 속도(광택을 갖는 화상이 얻어지는 정착 속도)로 동작시킨다. 다음에, 처리는 ST21로 진행한다.
ST21에서, 시트 센서(SN2)가 턴 온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ST21을 반복한다. 만약, 판단이 YES라면, 처리는 ST22로 진행한다.
스텝 ST22에서, 작업 종료 통지 신호가 입력되는 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판단이 NO라면, 처리는 ST18로 되돌아 간다. 만약, ST22에서 판단이 YES라면, 처리는 ST23으로 진행한다.
ST23에서,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1)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1 스위치 위치에 유지한다.
(2)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 부재(반송 롤러(R1 내지 R5) 및 정착 벨트(Bt))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처리는 ST11으로 되돌아 간다.
(실시예 2)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실시예 1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 및 이 정착용 옵션 장치와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지만, 나머지 점에서는 실질적으 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도 6에서,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와 벨트식 정착 장치(F)간의 시트 반송로의 거리는 최대 사이즈의 기록 시트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 7에서,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롤러(R1), 시트 배출 롤러(R2) 및 시트 반송 롤러(R3)의 시트 반송 속도(둘레 속도)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의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러나, 반송 롤러(R4), 가열 롤(Fh) 및 정착 벨트(Bt)의 시트 반송 속도(둘레 속도)는 감속되어, 광택 정착 속도(광택을 갖도록 정착하는 시트 반송 속도로서,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의 시트 반송 속도보다 낮은 속도)의 시트 반송 속도보다 낮게 설정된다.
실시예 2에서, 시트 센서(SN1 및 SN2)는 용지 재밍(jamming) 검지용으로만 사용될 뿐, 시트 반송 속도의 제어용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2의 흐름도의 설명)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U1)의 시트 반송 처리는 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처리와 거의 같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의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실시예 1의 도 5에 나타낸 것에 대응한다. 도 8에 나타낸 처리는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전원 온과 동시에 개시된다.
도 8에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1의 ST15 및 ST18 대신에 ST15'(ST18')를 사용하고, ST16 및 ST22 대신에 ST16'(ST22')를 사용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1에서의 ST19 내지 ST21은 생략한다.
도 8에서, ST11에서의 판단이 YES이면(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작업 개시 통지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처리는 ST12로 진행한다. ST12에서 정착 동작 실행 지정 스위치(UIc)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와, ST13에서 정착 동작 지령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T14로 진행하여, 스위치 게이트(G3)를 제 1 스위치 위치에 유지한다. ST15'(ST18')에서, 시트 반송 부재(R1, R2, R3, R4, R5, Fh 및 Bt)를 구동한다. 이 때, 시트 반송 부재(R1, R2 및 R3)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의 시트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된다. 시트 반송 부재(R4, R5, Fn 및 Bt)는 광택 정착 속도에 대응한 속도(시트 반송 부재(R1, R2 및 R3)보다 낮은 속도)로 구동된다.
따라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반송되는 기록 시트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러(R3, R4) 사이에서 루프(2점 쇄선으로 나타냄)를 형성한다.
실시예 2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송로는 실시예 1에서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정착용 옵션 장치(U3) 내에서의 시트 반송 속도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트 반송 도중에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트 반송 부재의 제어가 간단해진다. 제 2 시트 반송로(SH7)의 반송 롤러(R3)와 반송 롤러(R4) 사이에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설치함으로써, 반송 방향에서 볼 때의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후처리 장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의 설명에서,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실시예 1과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은 하기의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지만, 나머지 점에서는 실질적으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정착용 옵션 장치(U3)에서, 시트 배출구(3b)는 케이스 1의 우측 벽(3)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다. 제 2 시트 반송로(SH7)는 시트 반송 방향에서 볼 때의 벨트식 정착 장치(F)의 하류측에 있는 위치와 시트 배출구(3b) 사이에 설치된다. 반송 롤러(R51 및 R52) 및 시트 배출 롤러(R53)는 제 2 시트 반송 로(SH7)에 배치된다.
스위치 게이트(G3)와 시트 배출 롤러(R53) 사이에는 제 1 시트 반송로(SH6)가 설치된다. 반송 롤러(R21, R22)는 제 1 시트 반송로(SH6)를 따라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와 벨트식 정착 장치(F)의 정착 부분(Q6) 사이의 시트(S)를 반송하기 위한 시트 반송 거리는 사용되는 최대 사이즈의 기록 시트(S)의 길이보다 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용 옵션 장치(U3)에는 후처리 장치(U4)가 연결된다. 화상 형성 장치(U1)로부터 정착용 옵션 장치(U3)로 반입되는 기록 시트는 제 1 시트 반송롬(SH6)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과하여, 광택 정착 속도로 정착되어 후처리 장치(U4)로 배출된다.
후처리 장치(U4)는 스테플러, 펀칭 기기 등을 포함한다. 시트 반입구(21) 및 시트 배출구(22, 23)는 후처리 장치(U4)의 외벽에 형성된다.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시트 반입구(21)로부터 반입된 기록 시트는 반송 롤러(R6) 및 배출 롤러(R7)에 의해서 시트 배출구(22)를 통해서 시트 배출 트레이(TR6)로 배출된다. 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기록 시트는 반송 롤러(R6) 및 배출 롤러(R8)에 의해서 컴파일 트레이(TR7)로 배출된다. 이 컴파일 트레이(TR7)에서, 이 시트는 스테플러에 의해 바인드되어 시트 배출 트레이(TR8)로 배출된다.
(실시예 3의 작용)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정착용 옵션 장치(U3)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지만, 정착용 옵션 장치(U3)로 반입된 기록 시트는 제 1 시트 반송로(SH6)를 통과하는 기록 시트와 제 2 시트 반송로(SH7)를 통과하는 기록 시트의 어느 경우에도 동일한 시트 배출구(3b)로부터 후처리 장치(U4)로 배출된다.
후처리 장치(U4)에서, 기록 시트를 후처리(예를 들면, 스테플러에 의한 바인드 처리 또는 펀칭 기기에 의한 펀칭 처리) 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또는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변형예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H01) 실시예 2(도 6 내지 도 8)에서는, 도 8에 나타낸 ST15'에서, 시트 반송 부재(R1, R2 및 R3)를 화상 형성 장치(U1)의 배출 롤러(Rh)의 시트 반송 속도와 같은 속도로 구동하는 동시에, 시트 반송 부재(R4, R5, Fh 및 Bt)를 시트 반송 부재(R1, R2 및 R3)보다 낮은 속도로 구동시킨다. 그러나, 기록 시트가 벨트식 정착 장치(F)에 가까운 소정의 위치로 반송될 때까지, 시트 반송 부재(R4, R5, Fh 및 Bt)를 시트 반송 부재(R1, R2 및 R3)와 같은 속도로 구동하고, 기록 시트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는, 시트 반송 부재(R4, R5, Fh 및 Bt)의 속도를 낮추도록 시트 반송 제어를 변경한다. 시트 반송 부재(R4, R5, Fh 및 Bt)는 벨트식 정착 장치(F)에 인접한 소정의 위치로 반송된다.
(H02) 광택을 갖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벨트식 정착 장치에서는, 기록 시트(S)로서 한 면이 코팅되는 용지의 코팅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한 면이 코팅된 시트의 양쪽에 모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특히 시트의 한 면에 단색 화상을 형성하고, 시트의 다른 면에 다색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U1)의 정착 장치(F')에 의해 기록 시트의 코팅되지 않는 면에 단색 토너 화상을 정착하고, 코팅된 면에는 다색 토너 화상을 정착한다. 다음에,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벨트식 정착 장치(F)에 의해 코팅된 면 상의 다색 토너 화상을 정착함으로써, 광택이 필요한 화상에 광택을 주게 된다.
(H03)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정착용 옵션 장치(U3)의 시트 반입구 내측에 시트 센서를 설치하고, 유저 인터페이스(UI)에 작업 개시 스위치 및 작업 종료 스위치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정착용 옵션 장치(U3)에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U1)가 정착용 옵션 장치 제어 신호 출력 수단(C1')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광택이 있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H04) 본 발명은 로터리식의 화상 형성 장치 이외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 (E01) 내지 (E03)을 갖는다.
(E01) 광택 토너 화상을 정착할 수 없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택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E02) 화상 형성 장치의 통상 사용하는 시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의 토너 화상에 대하여 소망하는 정착을 할 수 있는 정착용 옵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E03) 정착용 옵션 장치에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반송 제어를, 정착용 옵션 장치의 연결 유무에 따라 변경할 필요없는 정착용 옵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기록 시트가 반입되는 시트 반입구와,
    상기 기록 시트를 배출하는 제 1 및 제 2 배출구와,
    상기 반입된 기록 시트를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구로 각각 반송하는 제 1 및 제 2 시트 반송로와,
    상기 기록 시트를 상기 제 1 시트 반송로에 반송하는 제 1 스위치 위치와 상기 기록 시트를 제 2 반송로에 반송하는 제 2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반송로 스위치 부재와,
    상기 제 2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 위의 토너 화상을 가열 정착하는 정착 장치, 및
    반송로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반송로 스위치 부재를 상기 제 1 스위치 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 위치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스위치 부재 구동 부재
    를 포함하는 정착용 옵션 장치로서,
    상기 정착용 옵션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토너 화상은 상기 기록 시트 위에 전사되어,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기록 시트 위에 정착되고, 상기 기록 시트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기록 시트는 상기 시트 반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정착용 옵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는 상기 제 2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된 기록 시트 위의 토너 화상을 가열 정착하는 정착 벨트를 갖는 벨트식 정착 장치인 정착용 옵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시트가 상기 제 2 시트 반송로의 정착 장치를 통과할 때의 시트 반송 속도를, 상기 기록 시트가 반입될 때의 시트 반송 속도보다 느린 시트 반송 속도로 변화시키도록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하는 시트 반송 속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록 시트가 상기 정착 장치를 통과할 때의 시트 반송 속도는 광택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정착용 옵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배출 롤과 상기 제 2 시트 반송로의 상기 정착 장치간의 시트 반송 거리는 사용되는 최대 사이즈를 갖는 기록 시트의 반송 방향의 길이보다 긴 정착용 옵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정착 장치의 상류측에 마련된 정착 영역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 시트의 선단을 검지하는 시트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정착용 옵션 장치.
KR1020010083765A 2001-01-23 2001-12-24 정착용 옵션 장치 KR10056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4893 2001-01-23
JP2001014893A JP3692941B2 (ja) 2001-01-23 2001-01-23 定着用オプショ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680A KR20020062680A (ko) 2002-07-29
KR100565153B1 true KR100565153B1 (ko) 2006-03-30

Family

ID=1888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765A KR100565153B1 (ko) 2001-01-23 2001-12-24 정착용 옵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12914B2 (ko)
JP (1) JP3692941B2 (ko)
KR (1) KR100565153B1 (ko)
CN (1) CN100392532C (ko)
TW (1) TW5769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487B2 (en) * 2002-01-25 2003-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ser assembly including first and second fusers
JP3945281B2 (ja) * 2002-03-19 2007-07-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295544A (ja) * 2002-03-29 2003-10-15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電子写真式印刷装置
US7369271B2 (en) * 2002-06-28 2008-05-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and control method
US6853832B2 (en) * 2002-10-29 2005-02-08 Fuji Xerox Co., Ltd.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JP4171295B2 (ja) * 2002-12-19 2008-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JP2005049563A (ja) * 2003-07-31 2005-02-24 Canon Inc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442866B2 (ja) * 2004-03-22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42518B2 (ja) * 2004-03-29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50556B2 (ja) * 2004-04-02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92652A (ja) * 2004-04-02 2005-10-20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76164B2 (ja) * 2004-05-14 2011-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62140B2 (ja) 2004-06-07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324779B2 (en) * 2004-09-28 2008-01-29 Xerox Corporation Printing system with primary and secondary fusing devices
US7336920B2 (en) * 2004-09-28 2008-02-26 Xerox Corporation Printing system
US7672634B2 (en) * 2004-11-30 2010-03-02 Xerox Corporation Addressable fusing for an integrated printing system
JP4659504B2 (ja) * 2005-04-01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4794890B2 (ja) * 2005-04-08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33627B2 (en) * 2005-06-28 2008-10-07 Xerox Corporation Addressable irradiation of images
JP2007041025A (ja) * 2005-07-29 2007-02-15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73161B2 (ja) * 2006-07-21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86747A (ja) * 2005-08-22 2007-04-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609983B2 (en) 2005-09-13 2009-10-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heating apparatus
US7430380B2 (en) 2005-09-23 2008-09-30 Xerox Corporation Printing system
JP4933160B2 (ja) * 2006-06-06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クリア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装置
JP2008134309A (ja) * 2006-11-27 2008-06-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272743B2 (ja) * 2009-01-08 2013-08-28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2台連結型画像形成装置
US8103205B2 (en) * 2009-01-16 2012-01-2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maging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thermal stress on a substrate
US8280292B2 (en) * 2009-02-11 2012-10-0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reducing image glosser artifacts
JP2011190073A (ja) * 2010-03-16 2011-09-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5640669B2 (ja) * 2010-11-09 2014-12-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189722A (ja) * 2011-03-09 2012-10-04 Ricoh Co Ltd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862429B2 (ja) * 2012-04-05 2016-0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沢付与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482219B2 (ja) 2014-09-19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938226B2 (ja) * 2017-05-31 2021-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10041320A (ko) * 2019-10-07 2021-04-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프린터 용지의 선택적 광택 처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169A (ja) * 1990-09-27 1992-07-07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該定着装置を用いる画像記録装置
JPH05158364A (ja) * 1991-12-03 1993-06-25 Konica Corp 光沢、非光沢と、切り替えて定着する画像形成装置
US5890032A (en) * 1997-12-17 1999-03-30 Eastman Kodak Company Belt fusing accessory with selectable fused image gloss
US6272310B1 (en) * 1999-10-20 2001-08-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fuser system having post-fuser media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200A (en) * 1993-06-22 1995-04-0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lf-recovering fuser and image receptor
KR100260824B1 (ko) * 1996-08-30 2000-07-01 윤종용 축소형 복합기
US5897249A (en) 1997-12-17 1999-04-27 Eastman Kodak Company Belt fuser apparatus for preventing line art type marking particle offset
US6032017A (en) * 1999-04-09 2000-02-29 Hewlett-Packard Company Fixing device using an adjustable heater to reduce contamination on media
JP2002091046A (ja) * 2000-09-20 2002-03-27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169A (ja) * 1990-09-27 1992-07-07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該定着装置を用いる画像記録装置
JPH05158364A (ja) * 1991-12-03 1993-06-25 Konica Corp 光沢、非光沢と、切り替えて定着する画像形成装置
US5890032A (en) * 1997-12-17 1999-03-30 Eastman Kodak Company Belt fusing accessory with selectable fused image gloss
US6272310B1 (en) * 1999-10-20 2001-08-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fuser system having post-fuser media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12914B2 (en) 2003-01-28
JP2002214948A (ja) 2002-07-31
TW576956B (en) 2004-02-21
CN100392532C (zh) 2008-06-04
CN1367409A (zh) 2002-09-04
KR20020062680A (ko) 2002-07-29
US20020098022A1 (en) 2002-07-25
JP3692941B2 (ja)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153B1 (ko) 정착용 옵션 장치
EP1193567B1 (en)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US72923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76867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images and processing sheets
US600290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ntrols the image forming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recording sheet
US69856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leaning operation for special sheets
US2009030442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66517A (ja) 画像形成装置
JP3425041B2 (ja) 画像形成装置
JP4271693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30928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20082572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052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0263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623342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to sense whether media is copying-prohibited
JP2007164086A (ja) ベルト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2618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2635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シートガイド
KR20070089064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JPH1138830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200815805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80414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定着ユニット
JP515132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29774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1633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