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16B1 -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및 터미널어댑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및 터미널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16B1
KR100563716B1 KR1020027002600A KR20027002600A KR100563716B1 KR 100563716 B1 KR100563716 B1 KR 100563716B1 KR 1020027002600 A KR1020027002600 A KR 1020027002600A KR 20027002600 A KR20027002600 A KR 20027002600A KR 100563716 B1 KR100563716 B1 KR 10056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mmunication
unit
data
termina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381A (ko
Inventor
쓰지류헤이
Original Assignee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2/00Parallel handling of streams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5LAN communic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4Electronic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식별정보로서 터미널어댑터 ID와, 디스플레이유닛 ID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은, 식별정보에 의해서 통신처가 지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어,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컨트롤유닛과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고,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1이상의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갖는다. 터미널어댑터는,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터미널어댑터 ID가 자신에게 첨부된 터미널어댑터 ID와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하위의 통신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유닛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은,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자신에게 첨부된 디스플레이유닛 ID와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표시요소를 구동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디스플레이유닛, 통신회로 및 터미널어댑터{DISPLAY UNIT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DISPLAY UNIT, COMMUNICATION CIRCUIT, AND TERMINAL ADAPTER}
이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 등의 점등정보를 복수의 발광유닛인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점등정보에 따라서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갖는 발광장치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고휘도로 발광가능한 고성능의 적색, 녹색이나 청색의 LED(이하, 발광 다이오드라 한다)가 개발되어, 풀칼라의 LED 표시가 가능해졌다. 대형표시장치의 안에서도 고휘도, 수명이 길고 또한 경량 등 LED의 특징을 살린 LED 표시장치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또한, 그 용도도 다양화하여, 대형TV광고, 교통정보, 입체표시기, 조명용 등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LED가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로서는, 빌보드용 등으로 하여 옥외용의 대형디스플레이로부터, 플랫폼 등 반옥내 중, 소화면 사이즈의 것까지, 용도나 장 소에 따라서 LED 디스플레이의 화면 사이즈나 화소피치가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도록 되었다. 또한, 종래의 세로, 가로의 화면비율(어스펙트비)도 변화해가는 경향에 있고, HDTV에 대표되는 하이비젼영상을 LED 표시하는 경우, 영상데이터량의 증대, 표시 패널의 더욱 큰 대화면화에도 대응해나가야 한다. 또한, 간판광고나 상품 등을 선택적으로 비추는 조명용의 경우도, 같이 여러가지 유닛을 조합해나가야 한다(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이들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것을 포함한다). 고도정보 네트워크하에서는, 디스플레이도 그러한 통신 인프라와 접속되어, 원격조작으로 표시제어, 유지관리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하나로서, 예컨대 16 도트×16 도트정도의 LED를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시켜, 이것을 하나의 LED 유닛으로서 모듈화하고, 화면 사이즈나 세로·가로의 어스펙트비(Aspect ratio) 등에 따라서, LED 유닛을 매트릭스형상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 있다. 도 17에 구성예로서, LED 디스플레이(801)를 나타낸다. 컨트롤러(803)에 접속된 복수의 분배기(804)는, LED 유닛(802)의 각 행마다 배설되고, 표시용의 영상데이터 및 각종제어신호를 각 LED 유닛(802)에 대하여 공급한다.
제어신호(820)는, 예컨대 영상데이터의 동기 클럭,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블랭크신호, 계조기준신호, 및 영상데이터의 래치신호 등이 있으며, 컨트롤러(803)내에서 신호의 생성을 하여, 분배기(804)를 통해 각 LED 유닛(802)에 공급한다. 분배기(804)로부터 각 LED 유닛(802)으로 송신하는 표시용의 풀칼라영상데이터(810)는, 적어도 RGB(적색, 녹색, 청색)의 각 빛깔의 영상데이터를 필요로 하 여, 계조분해능력에 따라서 영상데이터의 비트폭이 결정된다.
예컨대 1색당 256계조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8비트폭의 영상 데이터버스가 3색분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 영상데이터는 LED 유닛의 수×표시 도트의 수를 시분할하여, LED 유닛(802)에 공급된다. 각 LED 유닛(802) 내의 시프트레지스터회로 (805)에서 영상데이터(810)를 비트 시프트해나가고, 어떤 소정의 데이터수를 공급한 시점에서 데이터를 래치하고, 표시용의 영상데이터(810)로서 혼잡,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LED 표시장치로서는, 컨트롤러(803), 분배기(804)와 LED 유닛(802)사이의 표시용영상데이터(810)를 신호 인터페이스로서 병렬 버스로 전송하고, 또한 동기한 동기 클럭과 각종제어신호(820)를 공급하고 있다. 그 때문에 LED 표시장치가 고선명화 혹은 대형화함에 따라서, 신호선수가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표시화면이 대형화하여 LED 유닛수가 증대하는 경향에 있는 현재에 있어서는, 신호선이 증대하여 길게 되면 계조기준신호, 영상데이터의 동기 클럭의 펄스폭 열화, 노이즈로의 영향이 큰 문제가 된다.
또한, HDTV 사양에 대응하기 위해서, 화면의 어스펙트비가 변하고, 접속하는 LED 유닛수를 더욱 늘릴 필요성이 발생하고, 영상데이터의 전송속도를 그에 따라 올려 주어야 한다. LED 유닛의 접속수가 많아지면, 각 신호의 펄스열화가 증대하고, 특히 영상데이터와 동기 클럭과의 입출력타이밍이 더욱 어려워진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LED 표시장치의 영상표시에 있어서의 화질의 요구 레벨도 해마다 높아 지고 있으며, LED의 소형화와 더불어, 세밀표시가능한 LED 디스플레이의 기술개발이 급선무가 되고 있다. 영상의 세밀표시화를 실현하고자 하기 위해서는, 계조분해능력을 올릴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표시용 영상데이터버스폭을 8 비트에서 10 비트로 하는 등의 버스수단을 변경해야 한다. 또한, 세밀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LED를 소형화하여 도트 피치폭을 작게 할 필요도 있다. 도트 피치를 작게 하면, LED 유닛사이즈가 그에 비하여 작아진다. 그 때문에 영상 데이터버스폭증대에 따라, 커넥터 등의 부품설치면적의 비율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LED 표시장치는, 예컨대 표시계조나, 1개의 LED 표시장치당의 화소수가 다른 복수의 LED 표시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통신방법에 의해서 통신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우리들은 일본특허공개공보(특개평11-126047호)에 있어서, LED 유닛에 각 LED 유닛마다의 식별정보가 부가된 ATM(비동기전송방식) 패킷의 형식에 포맷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구동하는 LED 표시장치를 제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일본특허공개공보(일본 특허공개2000-221934호)로써 LED 유닛사이의 설치의 간략화를 위해, LED 유닛을 접속후, 각 LED 유닛자체의 식별정보를 부가하는 오토 ID 부여수단을 갖는 LED 표시장치도 제언하고 있다.
그렇지만, 보다 고선명이며 보다 복잡한 LED 유닛의 조합이나 자유도가 높은 설계를 고려하면 충분하지는 않고 더욱더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발광장치, 통신방법 및 그에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터미널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식별정보에 따라서 통신처가 지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어,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1 이상의 표시요소를 배치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어,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직렬접속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갖는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이 상기 식별정보로서, 상기 터미널어댑터 ID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ID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터미널어댑터는,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터미널어댑터 ID가 자신에게 첨부된 터미널어댑터 ID와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하위의 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자신에게 첨부된 디스플레이유닛 ID와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상기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상기 컨트롤유닛이, 프레임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을, 모든 디스플레이유닛이 수신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붙여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에 따 라서 프레임동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직렬로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사이에 있더라도 프레임동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또한 적어도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갖고, 상기 메모리내의 메모리공간은, 디스플레이유닛내부의 회로구성에 따라서 데이터영역이 미리 할당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유닛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의 미리 할당된 소정의 메모리영역에 엑세스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한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의 각종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디스플레이데이터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어,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어댑터측통신부를 갖는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어,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측통신부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1 이상의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갖는다. 또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n행(n은 2 이상의 정수)에 배치되고, 각 행에 있어서 각각의 통신부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부는, m행째(1≤m≤n-1의 정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닛측에서 보아 가장 먼 위치인 끝단부에 접속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의 통신부에서, m+1행째에 있어서의 상기 m행째의 가장 먼 끝단부에 접속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같은 측의 끝단부에 배치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부에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하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하여, 저비용으로 고속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방법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고,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1 화소이상의 표시요소를 구동하여 화상의 표시를 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요소의 배치, 1 화소를 구성하는 각 빛깔의 표시계조에 따른 메모리공간을 갖는 메모리를 갖고,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어,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직렬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으로 구성된 발광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사용한 통신방법이다. 이 통신방법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이, 적어도, 터미널어댑터 ID 및 디스플레이유닛 ID를 유지하는 식별정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입력해야할 메모리공간을 지정하는 메모리공간지정영역과, 공급해야할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의 표시요소의 배치, 1화소를 구성하는 각 빛깔의 표시계조에 따른 디스플레이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데이터영역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 적어도 1개 의 표시요소로부터 구성된 화소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복수배치된 표시부와 패킷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1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표시부의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프레임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에 따라서 각 라인의 구동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블랭크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랭크신호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수평구동주기마다 읽어 내어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메모리가, 상기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의 수신후, 상기 블랭크신호를 생성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프트타이밍데이터를 더욱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의 수신후, 상기 시프트타이밍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블랭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표시요소구동개시시에 있어서의 큰 구동개시전류를, 각 라인마다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메모리가, 1 프레임마다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데이타메모리영역을 2이상 갖고, 상기 표시부가 1의 화상 데이타메모리영역에 기억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 화상 데이타메모리영역에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데이터의 수신시간을 충분히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회로는, 제1의 송신부와 제1의 수신부를 갖는 제1의 통신부와, 제2의 송신부와 제2의 수신부를 갖는 제2의 통신부와, 상기 제1의 통신부 및 상기 제2의 통신부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와, 수신한 통신데이터에 따라서 수신처리를 하는 수신처리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의 수신부 및 상기 제2의 수신부는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 또는 상기 제2의 통신부중 어느 한쪽이 수신하였을 때,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고, 상기 다른쪽의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회로는, 통신데이터의 송신처리를 하는 응답처리부와, 상기 제2의 수신부 또는 응답처리부중 어느 한쪽을 상기 제1의 송신부에 접속하는 제1의 셀렉터와, 상기 제1의 수신부 또는 응답처리부중 어느 한편을 상기 제2의 송신부에 접속하는 제2의 셀렉터와, 상기 제1의 수신부 또는 제2의 수신부중 어느 한쪽을 상기 수신처리부에 접속하는 제3의 셀렉터를 갖고 있다.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 또는 상기 제2의 통신부중 어느 한쪽에서의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취지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의 셀렉터와 상기 제2의 셀렉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3의 셀렉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 른쪽의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쌍방향통신회로가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회로는, 상기 제1의 수신부 및 제2의 수신부는, 입력된 시리얼통신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1의 송신부 및 제2의 송신부는, 입력된 병렬통신데이터를 시리얼통신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수신한 통신데이터의 소자에 의한 지연 등에 기인하는 신호의 산만함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처리부에서의 처리를 고속화할 수가 있고 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통신회로를 갖고 있고, 적어도 1개의 표시요소로부터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통신회로에 의해서 수신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따라서, 적어도 1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표시부의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미널어댑터는, 상기 통신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다른 터미널어댑터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터미널어댑터는, 또한 상기 통신회로에 의해서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한 통신데이터를 다른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컨트롤유닛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터미널어댑터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터미널어댑터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터미널어댑터의 통신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제어어드레스공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맨드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응답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형식이 다른 디스플레이영역에 분할한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개략도,
도 13은, 구면형상의 입체디스플레이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을 적용한 경우의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LED 디스플레이유닛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LED 디스플레이유닛의 메모리의 메모리공간내 의 메모리영역을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유닛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제어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도 17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하 각 구성에 관해서 상술한다.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개략)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로서는, 발광장치로서 동화나 정지 화상 등의 화상 데이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10은 표시해야할 화상 등의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이다. 디스플레이(10)는 표시부를 구성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블록(10b)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블록(10b)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3)이 배치된다. 컨트롤유닛(CU)(1)은, 표시해야할 영상 소스 등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공급하는 비디오프로세서(11), 및 제어데이터에 의해서 디스플레이(10)의 제어 등을 하는 컴퓨터(PC)(12)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제1의 통신라인(L1)을 통해 디스플레이블록(10b)에 대응하는 터미널어댑터(TA)(2)와 통신을 한다. 또한, 각 TA(2)는, 제2의 통신라인(L2)을 통해 디스플레이블록(10b)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3) 등으로 통신을 한다. 또한, 컴퓨터(12)는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여기서는 제1의 통신라인(L1)을 상위의 통신라인으로 하고, 제2의 통신라인 (L2)을 하위의 통신라인으로 한 2계층으로 구성되는 접속으로 하였지만, 통신라인의 계층은 3이상의 복수계층에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계층에 따른 터미널어댑터가 배치되어, 데이터의 왜곡을 없애면서, 보다 섬세한 표시를 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조명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명광원으로서 여러가지 장소에 개별로 설치할 수도 있다.
(터미널어댑터사이의 접속개략)
디스플레이블록(10b)에는, 그 디스플레이블록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식별하고,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필요한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송신하는 터미널어댑터(2)가 배치된다. 한편 컨트롤유닛(1)에는, 각 터미널어댑터(2)가 제1의 통신라인(L1)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다. 또,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사이는 유선의 접속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의 설치자유도가 올라가게 된다.
터미널어댑터(2)가 행마다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유닛(1)에서 보아, 어떤 m행째(m은 1이상의 정수)의 제일 처음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로부터, 순차 인접하는 터미널어댑터(2)로 제1의 통신라인(L1)이 직렬로 접속되고, 다음에 그 m행째의 제일 마지막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로부터,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m+1행째에 있어서의 터미널어댑터(2)에, 제1의 통신라인(L1)을 접속한다. 그리고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서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의 위치하는 측에 향하도록, 터미널어댑터(2)는 제1의 통신라인(L1)이 순차 인접하는 터미널어댑터(2)로 제1의 통신라인(L1)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해야할 디스플레이블록(10b)이 속하는 행의 전환에 있어서, 제1의 통신라인(L1)을 짧게 할 수가 있다. 대형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통신라인이 특히 길어지기 때문에, 통신데이터의 펄스열화나 노이즈의 영향이 특히 크고, 통신라인길이의 저감은 중요하다. 또한, 통신라인의 비용삭감에도 효과가 높다.
물론, 도 2에 도시하도록, 각 행에 있어서의 제일 처음에 접속하는 터미널어댑터를 일단에 가지런히 한 접속형태로 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란, 리드선, 통신선 등의 유선에 의한 물리적인 접속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한 상태의 접속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각 터미널어댑터에 첨부되는 TAID(터미널 ID)는, 컨트롤유닛(1)으로부터 전 터미널어댑터가 공통으로 수신하는 TAID를 포함하고 있다. TAID의 설정은, 각 터미널어댑터가 자신의 TAID를 설정해야할 취지를 나타내는 코맨드데이터인 자동 ID설정 코맨드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할 수 있다. 자동ID설정 코맨드데이터를 수신한 터미널어댑터(2)는, 수신한 자동ID설정 코맨드데이터의 제어데이터영역의 데이터에 소정의 연산을 하여, 소정의 연산을 한 결과의 데이터를 자신의 TAID로 설정하여 기억하고, 그 소정의 연산을 한 결과의 데이터를 제어데이터로서 다음 터미널어댑터에 자동ID설정 코맨드데이터를 송신한다. 예컨대, 컨트롤유닛(1)은, 자동 ID설정 코맨드데이터의 제어데이터영역을 0으로 하여 송신하고, 소정의 연산을 1가산하여도 좋고, 또 제어데이터영역의 데이터를 설정가능한 최대치로서 소정의 연산을 1씩 감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의 통신라인(L1)에 접속된 순차로, 컨트롤유닛부터의 제어에 의해서 TAID의 초기 설정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사이의 접속개략)
또한, 디스플레이블록(10b) 내에서의 각 디스플레이유닛(3)의 접속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 디스플레이유닛(3)은 제2의 통신라인(L2)에 의해서 터미널어댑터(2)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 같이 터미널어댑터와 디스플레이유닛 혹은 디스플레이유닛사이를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할 수도 있다. 컨트롤유닛으로부터 터미널어댑터까지를 무선으로 하여, 터미널어댑터로부터 하위에 있어서는 유선으로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유닛(3)이 행마다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터미널어댑터(2)에서 보아, 어떤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2의 통신라인(L2)이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3)으로부터 순차 인접하는 디스플레이유닛(3)으로 제2의 통신라인(L2)이 직렬로 접속되고, 다음에 그 m행째의 제일 마지막에 제2의 통신라인(L2)이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3)으로부터,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2의 통신라인(L2)이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3)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m+1행째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3)에 제2의 통신라인(L2)을 접속하고,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2의 통신라인(L2)이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의 위치하는 측을 향해서, 제2의 통신라인(L2)에서 디스플레이유닛(3)이 순 차 인접되도록, 디스플레이유닛(3)에 제2의 통신라인(L2)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에 도시하도록, 각 행에 있어서의 제일 처음에 접속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일단에 가지런히 한 접속형태로 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유닛(3)의 ID 설정에 관해서도, 상술한 터미널어댑터의 경우와 같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접속형태와 도 2의 접속형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터미널어댑터끼리는 도 1의 접속형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유닛끼리는 도 2의 접속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되는 행마다 도 1과 도 2의 접속형태를 혼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속의 방향은 행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세로방향, 경사 방향 등으로 하여도 좋다.
(컨트롤유닛 개략)
도 3은 컨트롤유닛(1)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유닛(1)은, 비디오프로세서(11)나 영상재생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등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화상입력 인터페이스(11b1)로 수신하여, 프레임마다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메모리(131)에 기억한다. 또한, 컨트롤유닛(1)은, 컴퓨터(12) 등의 외부의 제어기기와 접속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b2)를 갖고, 외부의 제어기기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기억한다. 컨트롤유닛(1)은,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기억된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컨트롤유닛(1)의 내부제어, 및 디스플레이유닛(3)으로의 보정데이터, 디스플레이유닛제어데이터 등의 송신, 또한 디스플레이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디스플레이유닛내부정보 등의 수신을 한다. 통 신부(11a)에서는, 터미널어댑터사이와 통신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등의 디스플레이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소정의 비동기전송방식 등으로 하여 통신 포맷에 구성하고, 터미널어댑터에의 송수신처리를 한다.
선택회로(SEL)는, 화상 데이타메모리(131)에 접속된 라인 A 또는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접속된 라인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신부(11a)에 출력한다.
컨트롤유닛(1)은, 터미널어댑터(2) 및 디스플레이유닛(3)의 접속형태에 따라서, 표시할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터미널어댑터 ID 및 디스플레이유닛 ID를 제어데이터메모리에 미리 기억한다.
(터미널어댑터 개략)
도 4는, 제2의 통신라인(L2)이 접속되는 통신부(21b)가, 복수의 통신부 (21b1,21b2,21b3)로 구성되는 터미널어댑터(분배처리부로도 부름)의 예를 게시하는 블록도이다. 각각의 제2의 통신라인(L2)에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디스플레이유닛 (3)이 접속된다. 터미널어댑터 측의 통신부(21a)는 2개의 통신 포트를 갖고, 컨트롤유닛(1)과, 터미널어댑터(3) 사이, 또는 터미널어댑터(3)와 터미널어댑터(3) 사이를 접속한다. 도 4의 예로서는, 메모리(23)가 터미널어댑터(3)의 각 통신부 (21 b1,21b2,21b3)에 각각 대응하는 메모리(231,232,233)로 구성되는 예를 게시한다. 단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통신부(21b1,21b2,21b3)에 대응하는 공통의 메모리(23)를 갖고, 예컨대 다이렉트메모리엑세스컨트롤러(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DMAC)로 구성되는 메모리어드레스제어부(22a)에 의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더라도 좋다. 한편, 제어부(22)는 터미널어댑터내부처리의 제어를 한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어댑터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LED 등의 점등유닛과 그것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네트워크로 접속시켜, 각종제어, 보정, 보수 등의 데이터의 분배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유닛으로부터 LED 유닛을 점등제어하는 패킷정보를 패킷형식인 채로 터미널어댑터를 통해 전송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되는 복수의 LED 디스플레이유닛을 제어하는 케이블을 복수 마련할 필요가 없다. 특히, LED 유닛의 수를 임의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간단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데이터전송용신호선의 크로스토크 등에 의한 신호열화를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하나의 터미널어댑터에 접속하는 LED 유닛의 수를 많게 한 경우나, 1개의 LED 유닛을 구성하는 화소수가 많은 경우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데이터 등의 열화를 없애면서, 고선명의 디스플레이 등을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터미널어댑터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사이의 전송속도보다도, 터미널어댑터와 LED 유닛사이의 전송속도를 느리게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터미널어댑터를 통해 LED 유닛측에 전송된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전송 케이블측에 방수 케이블 등 제약이 있는 경우라도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접속을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LED 유닛을 포함하는 점등블록이 각각 다른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 터미널어댑터까지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도를 높게 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LED 유닛을 구성하는 블록사이가 떨어져 있더라도, 예컨대 구성상은 떨어진 2화면의 LED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컨트롤유닛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개소에서 조사대상물을 비추는 조명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유도가 높은 설계를 할 수 있다.
또한, 점등표시되는 패킷정보를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컨트롤유닛에 접속되어 패킷정보의 분배처리를 하는 복수의 터미널어댑터와,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되어 패킷정보에 따라서 점등표시하는 복수의 LED 유닛을 갖는 경우, 패킷정보는 터미널어댑터에 대한 식별정보, 및 LED 유닛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컨트롤유닛은 각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되는 복수의 LED 유닛으로 구성되는 블록에 해당하는 패킷정보의 소정의 일부를, 점등표시하는 블록전역에 해당하는 모든 패킷정보가 공급될 때까지, 각 터미널어댑터에 대하여 터미널어댑터마다 k회(k는 2이상의 정수) 되풀이하여 송신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어댑터는, 이 터미널어댑터자신에게 접속되는 복수의 LED 유닛에 대응하는 패킷정보의 합계의 적어도 1/k를 일단 기억할 수가 있는 용량의 메모리를 갖는 것만으로 좋다. 패킷정보에 포함되는 터미널어댑터의 식별정보가, 자신에게 첨부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패킷정보를 수신한 후, 그 패킷정보를 이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된 블록이 되는 복수의 LED 유닛에 전송공급한다. LED 유닛은, 적어도 1개의 LED 유닛에 대응하는 패킷정보를 일단 기억할 수가 있는 용량의 메모리를 갖는다. 패킷정보에 포함되는 LED 유닛의 식별정보가 그 LED 유닛자신에게 첨부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패킷정보를 수신한 경우는, 패킷정보에 따라서 점등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어댑터내부의 패킷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1개의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되는 모든 LED 유닛에 있어서의 블록내부의 패 킷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용량의 합계의 적어도 1/k로 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터미널어댑터에 접속할 수 있는 LED 유닛의 수가, LED 유닛내부의 패킷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터미널어댑터와 LED 유닛과의 접속을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LED 유닛에 적어도 1개의 LED 유닛에 대응하는 패킷정보를 일단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터미널어댑터 내부의 패킷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LED 유닛의 접속형태에 관계없이 필요최소한으로 하여,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치전체로서 패킷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에 이러한 비용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패킷정보는, 화상 등의 소스가 되는 디스플레이데이터 및 LED 유닛 등의 표시기를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포함하고,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는, 디스플레이데이터 및 제어데이터의 공통의 통신라인이 되는 제1의 통신라인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터미널어댑터내부의 패킷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작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를 디스플레이데이터정보 및 제어데이터의 공통의 통신라인이 되는 제1의 통신라인에 의해 접속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신호선인 버스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접속의 간략화나 데이터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어댑터와 LED 유닛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2의 통신라인을 구비하고, 제2의 통신라인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통신이 제1의 통신라인에 있어서 행하 여지는 통신보다도 저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터미널어댑터통신부 개략)
도 6은 터미널어댑터(2)의 내부블록도를 나타낸다. 터미널어댑터(2)의 통신부(21a)는, 제1통신부(21a1) 및 제2통신부(21a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일례로서, 2계통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쌍방향통신을 하는 전2중쌍방향통신부, 또는 공통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쌍방향의 통신을 하는 반2중쌍방향통신부로 구성되며, 제1통신부 (21a1) 및 제2통신부(21a2)의 각각 수신부(21a1r,21a2r) 및 송신부(21a1t,21a2t)를 갖는다. 컨트롤유닛(1)부터의 코맨드데이터는, 어느 한쪽의 수신부가 수신처리를 한다. 예컨대 제1수신부(21a1r)가, 컨트롤유닛(1)으로부터의 코맨드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1st ACT 신호가 액티브가 되고, 통신제어부(222)는 제1수신부(21a1r)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선택하여 수신처리부(221)에 코맨드데이터로서 넣는다. 이 때, 제2수신부(21a2r)에서 수신한 수신데이터는 코맨드데이터로서 수신처리는 하지 않고, 그대로 제1송신부(21a1t)로 전송을 한다.
또한, 제2수신부(21a2r)가 액티브시에는, 코맨드데이터수신후, 제1송신부 (21a1t)로 응답처리부(223)로부터 컨트롤유닛(1)에 대하여, 응답데이터의 전송처리를 한다. 상기 처리는 제2수신부(21a2r)가 컨트롤유닛부터의 코맨드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처리를 한다. 통신제어부(222)는 1st ACT 신호 및 2nd ACT 신호에 근거하여, 어느 쪽의 수신부에서 컨트롤유닛의 코맨드데이터를 수신했 는지를 식별하고, 수신처리를 선택하는 셀렉터(SEL3), 응답처리부(223)로부터 응답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선택하는 셀렉터(SEL1) 및 셀렉터(SEL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터미널어댑터(2)의 쌍방향통신제어는, 제1,제2 어느 한쪽의 통신 포트로부터 컨트롤유닛(1)의 코맨드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수신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디스플레이블록(10b)의 접속형태를 보다 유연성이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다음에 수신처리후, 터미널어댑터(2)로부터 디스플레이유닛(3)으로의 디스플레이데이터 및 제어데이터의 전송에 관해서 설명한다. 각 터미널어댑터(2)는, 복수의 제2의 통신라인(L2)을 통해 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터미널어댑터가 제2의 통신라인(L2)에 접속되는 3가지의 통신부를 갖는 예를 게시하였지만, 도 6에 있어서는, N개의 통신부인 디스플레이유닛 인터페이스(디스플레이유닛 I/F)를 갖는 구성예를 게시한다. LINE-1, 2, 3..., LINE-N은, 접속하는 제2의 통신라인(L2)의 회선수를 나타내며, 하나의 회선에 대하여, 소정수내의 디스플레이유닛의 제어를 한다. 메모리1∼N은 각 회선에 대응하고,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축적한다. 터미널어댑터(2)는, 1화상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수신순차로 메모리1로부터 N에 축적한다. 1화상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수신후, LINE-1∼LINE-N까지의 디스플레이유닛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소정의 동기신호에 근거하여 동시에 제2의 통신라인(L2)에 전송한다. 1회선당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유닛수는, 전송속도, 및 1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동작에 필요한 디스플레이데이터량으로 결정 된다. 예컨대, 1회선당 M개의 유닛을 제어가능한 경우, 1 터미널어댑터가 표시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유닛수는 N×M으로 산출된다. 또한, TG부(224)는 타이밍제어를 한다.
터미널어댑터(2)는, 미리 초기 설정에 의해서 TAID가 설정되어, 그 터미널어댑터자신의 TAID를 기억하고 있고, 그 TAID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수신데이터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유닛 개략)
도 7은 디스플레이유닛(3)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유닛측의 통신부(31)는, 터미널어댑터에 있어서의 통신부(21a)와 같이 2개의 통신 포트를 갖고, 쌍방향통신처리를 한다. 디스플레이유닛(3)은, 디스플레이유닛내부의 회로구성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데이터, 제어데이터 등이 미리 메모리(33)내의 소정의 메모리공간에 할당되고 있다. 컨트롤유닛(1)으로부터 디스플레이유닛(3)에 대한 제어는, 각 디스플레이유닛(3)의 어떤 메모리공간을 엑세스할 것인가, 요컨대 어떤 메모리공간의 데이터영역으로 기입 혹은 읽어 내기 처리를 할 것인가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3)의 제어를 한다.
디스플레이유닛(3)은, 수신한 코맨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메모리(33)에 축적하고, 수신종료후, 제어부(3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한다. 그리고, 커먼드라이버(340)(Common Driver)의 라인제어에 동기하여, 표시대상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각 라인드라이버(LINE Driver)(341)에 전송한다. 커먼드라이버(340)의 라인제어는, 각 커먼 라인을 있는 소정의 주기로, 순차 바꿈으로써, 디스플레이(Matrix Display)(30)에 있어서의 각 라인의 표시요소열을 구동한다. 이 때, 각 라인을 표시시키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각 라인마다 할당하고, 제어부(32)는 표시대상의 라인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메모리(33)로부터 읽어 낸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3)은 매트릭스디스플레이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조도를 조절가능한 조명으로서, 외부의 제어기기에 의해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디스플레이유닛(3)에 있어서의 통신부(31)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터미널어댑터(2)로부터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3)에 송신된 시리얼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코맨드데이터는, 제1수신부(311r)에서 병렬데이터로 변환되고, 수신처리부 (321)에 입력된다. 수신처리부(321)는, 입력된 코맨드데이터의 식별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자신의 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한 ID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수신처리부(321)는, ID가 일치한 경우, 코맨드데이터에 근거하는 수신처리를 한다. 또한, 수신처리부(321)가, 입력된 코맨드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코맨드데이터의 통신시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통지하는 응답데이터를, 통신제어부 (322) 및 응답처리부(323)를 통해 컨트롤유닛(1)에 송신한다.
또한, 코맨드수신처리부(321)에 있어서 판별된 코맨드가, 컨트롤유닛(1)에 대하여 응답할 필요가 있는 코맨드이면, 코맨드에 근거하는 응답데이터를 같이 컨트롤유닛(1)에 송신한다. 이 때, 응답데이터는, 헤더부의 에러를 판별하기 위한 코트 및 데이터부의 에러를 판별하기 위해서 헤더부 CRC 및 데이터부 CRC를 응답데이터에 붙여, 응답처리부(323)로부터 컨트롤유닛(1)으로 송신된다.
(커맨드제어 개략)
도 9에 디스플레이제어 어드레스공간의 비율예를 나타낸다. 컨트롤유닛 (1)에서, 터미널어댑터(2)및 디스플레이유닛(3)을 본 경우, 제어메모리공간은 도 9와 같이 표현되어, 원하는 데이터의 제어대상디스플레이유닛으로의 송신은, 제어메모리공간의 어느 어드레스공간에 해당하는가를 식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제어 어드레스공간은, TAID에서 식별되는 터미널어댑터 제어 어드레스공간, 각 터미널어댑터(2)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유닛 ID (DUID)로 식별되는 디스플레이유닛제어 어드레스공간, 및 각 디스플레이유닛내에서 할당된 DU 메모리맵으로 구성된다. DU 메모리맵은 디스플레이유닛의 매트릭스구성, 계조비트폭, 보정데이터의 유무 등 디스플레이유닛의 성능, 기능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컨트롤유닛(1)은 미리,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3)의 타입을 인식한 뒤에, 디스플레이의 표시제어를 한다.
여기서는, 터미널어댑터 ID(TAID)가 1에서 255, 디스플레이유닛 ID (DUID)가 1에서 255까지 설정가능한 예를 게시하고 있고, 예컨대 TAID의 TA0 및 DUID의 DU0는, 각각 전 터미널어댑터에 공통의 ID 및 전디스플레이유닛에 공통의 ID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3)의 메모리(33)에 대응하는 어드레스공간은,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데이터, 면휘도조정데이터, 휘도보정데이터, 제어정보 및 초기 설정정보로 구성되는 예를 게시하였다.
(커맨드데이터(제어데이터)의 포맷)
도 10에, 컨트롤유닛(1)에서 터미널어댑터(2) 혹은 디스플레이유닛(3)에 송신되는 코맨드데이터의 패킷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낸다. 코맨드데이터의 패킷은,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구성된다. 헤더부는, 또한 통신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영역,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종별영역,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기입해넣어야하는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제어개시어드레스영역, 데이터부의 데이터형상을 나타내는 제어데이터길이 영역, 및 헤더부의 통신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헤더부 CRC 영역으로 구성된다. 식별정보영역은, 예컨대 통신처의 터미널어댑터를 지정하는 터미널어댑터 ID(TAID), 및 그 터미널어댑터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정하는 디스플레이유닛 ID (DUID)를 갖는다. 이들이 복수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별도설정, 부가하더라도 좋다. 제어종별영역은, 예컨대 초기 ID설정, 화상표시제어, 프레임동기제어, 보정데이터제어, 및 관리제어 등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코드가 첨부된다. 제어종별영역에는, 각 코맨드데이터마다 모든 제어내용을 일률적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필요한 제어내용의 데이터만을 포함시켜 놓아도 좋다.
데이터부는, 제어데이터영역과 데이터부의 통신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부 CRC 영역으로 구성되다. 데이터영역의 데이터로서는,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있어서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디스플레이데이터, 초기 설정시에 각 터미널어댑터 및 각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설정되는 ID 등의 데이터가 첨부된다.
(응답데이터의 포맷)
도 11에, 터미널어댑터(2) 및 디스플레이유닛(3)에서 컨트롤유닛(1)으로 송신되는 응답데이터의 패킷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낸다. 응답데이터의 패킷에 관해서도,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구성되다. 헤더부는 또한 자신의 터미널어댑터 ID (TAID), 혹은 디스플레이유닛 ID(DUID)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영역, 수신상황을 나타내는 수신 스테이터스/제어종별영역, 데이터부의 데이터길이를 나타내는 제어데이터길이 영역, 및 헤더부의 통신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헤더부 CRC 영역으로 구성된다. 수신 스테이터스/제어종별영역은, 예컨대 자기진단, 내부설정데이터송신, 보정데이터송신 등의 수신상황을 나타내는 코드가 첨부된다. 데이터부는, 제어데이터영역과, 데이터부의 통신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부 CRC 영역으로 구성된다. 데이터영역의 데이터로서는, 자기진단데이터, 내부설정데이터, 보정데이터 등이 첨부된다.
(점등제어의 일례인 화상표시제어)
다음에, 컨트롤유닛(1)에서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대하여 송신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의 통신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유닛(1)은 비디오레이트(예컨대 60 Hz)로 화상이 전환되는 경우, 프레임개시를 나타내는 VSync 신호마다, 프레임동기제어를 하기 위한 코맨드 패킷인 프레임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를 전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하여, 터미널어댑터(2)를 통해 송신한다.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를 수신한 각 디스플레이유닛은,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 프레임동기를 한다.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 송신후, 컨트롤유닛(1)은,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 표시해야할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데이터부에 붙인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터미널어댑터(2)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에 송신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는, 디스플레이유닛에 표시하는 화상, 예컨대 동화, 정지 화상 등의 화상정보, 혹은 디스플레이유닛을 조명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점등정보 등, 디스플레이유닛의 동작을 결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수신한 각 터미널어댑터는,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TAID와, 자신의 터미널어댑터 ID(TAID)를 대조하여, 일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메모리(23)에 기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수신한 터미널어댑터(2)는, 메모리에 기억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각각의 터미널어댑터(2)에 접속된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전송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수신한 각 디스플레이유닛(3)은, 식별정보내의 DUID와 자신의 디스플레이유닛 ID (DUID)를 대조하여, 일치하면 수신처리를 한다.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송신된 디스플레이데이터는, 각 디스플레이유닛(3)내의 메모리(33)에 기억되어, 표시제어된다. 이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유닛이, 컨트롤유닛(1)에 의해서 분배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표시를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전체로서 화상표시를 할 수 있다.
(다른 기종유닛 접속)
도 12에, 디스플레이(10)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10a)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디스플레이영역(10a)에 대응한 표시형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분할된 디스플레이영역(10a)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의 코맨드데이터를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송신함으로써, 1개의 컨트롤유닛(1)에 의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영역(10a)의 화상표시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0)를 문자표시용디스플레이영역(10a1), 동화 상표시용디스플레이영역(10a2), 및 정지 화상표시용디스플레이영역(10a3)라고 한 표기방식이 다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유닛(3)을 배치하고, 화상표시를 할 수 있다.
예로서, 문자표시용디스플레이영역(10a1)에는 24×24(24행24열)화소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RGB 각각 1색조당 2비트, 4계조표시의 디스플레이유닛, 동화상표시용디스플레이영역(10a2)에는 16×16의 도트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RGB 각각 1색조당 8비트 256계조표시의 디스플레이유닛 및 정지 화상표시용 디스플레이영역 (10a3)에는 16×16의 도트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RGB 각각 1색조당 10비트 1024계조표시의 디스플레이유닛이 각각 접속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영역(10a)은, 디스플레이블록단위로 영역을 설정하는 필요는 없지만, 디스플레이유닛단위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표시제어상 바람직하다.
(다른 기종유닛 통신)
각각의 분할된 디스플레이영역(10a)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의 코맨드데이터는, 제어데이터길이 영역에 의해서 표시계조수, 화소의 매트릭스구조, 1화소의 구성색조 등에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길이가 지정되고, 제어데이터에 각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가 첨부된다. 또한, 제어종별영역의 일부에, 제어데이터에 붙인 데이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코드를 붙여도 좋다. 이와 같이, 표시의 계조가 다른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을 1개의 컨트롤유닛(1)에 의해서 표시제어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레이트(프레임주기)를 60 Hz, 각 디스플레이유닛사이의 시리 얼전송비트레이트를 20 Mbps, 각 디스플레이유닛의 매트릭스구성을 1화소 RGB의 3가지 색조의 LED에 의해서 16×16의 매트릭스디스플레이로 한 경우, 표시계조를 10∼16 비트로 하였을 때의 최대접속유닛수는 24, 표시계조를 6∼8 비트로 하였을 때의 최대접속유닛수는 48, 표시계조를 4비트로 하였을 때의 최대접속유닛수는 96, 표시계조를 2비트로 하였을 때의 최대접속유닛수는 192, 표시계조를 1비트로 하였을 때의 최대접속유닛수는 384와, 최대접속유닛수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유닛사이의 통신방식을, 예컨대 TTL, TIA/EiA422B, TIA/EIA644B (LVDS), TIA/EIA568A 등으로 변경함으로써, 시리얼전송비트레이트 및 전송거리를 적시 설정가능해진다. 또한, 표시형식에 따라서 적시화상데이타압축방법을 선택하면, 최대접속유닛수를 더욱 증가할 수도 있다.
(입체유닛 접속)
도 13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의 적용예로서, 구면형상의 입체디스플레이(10)에 적용한 예를 게시한다. 여기서는는, 구면형상의 디스플레이 (10)는, 각 행마다 디스플레이블록(10b)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행에 있어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블록(10b) 수는 동수로 하지 않아도 좋다. 도 13의 예에서는, 첫행째와 6행째를 4개의 디스플레이블록(10b)으로서 분할하고, 2행째에서 5행째까지를 6개의 디스플레이블록(10b)으로서 분할하였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블록(10b)에서의 디스플레이유닛(3)은 동일화소 매트릭스구조로 할 필요는 없고, 형상, 위치 등에 따라서 적시디스플레이유닛(3)의 화소수 및 화소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3b는, 도13a의 구면형상의 입체디스플레이(10)를, 디스플레이블록(10b) 단위로 전개한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블록(10b)에 대응하는 ID 인 TAID는, 도 13b에 화살표점선 A에 의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의 제1의 통신라인(L1)의 터미널어댑터(2)사이의 접속과 마찬가지로, 어느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로부터 순차 인접하는 터미널어댑터(2)로 각각 1씩 TAID가 1씩 증가되어 첨부되고, 다음에 그 m행째의 제일 마지막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에서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m+1행째에 있어서의 터미널어댑터(2)로부터 m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방향의 터미널어댑터(2)에 TAID가 순차 인접하는 터미널어댑터로 1씩 증가되어 첨부된다.
도 13b의 예로서는, 1행째의 좌단의 디스플레이블록을 1로 하여 오른쪽방향으로 순차 2, 3, 4와 TAID가 첨부된다. 다음에, 1행째의 1의 디스플레이블록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2행째의 디스플레이블록을 5로 하고, 5에서 첫행째의 제일 처음에 제1의 통신라인(L1)이 접속된 터미널어댑터(2)방향, 여기서는 디스플레이블록(1)방향인 왼쪽방향으로, TAID가 순차 5, 6, 7, 8, 9, 10으로 붙여진다. 이하와 같이, 3행째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방향에 11 ∼16, 4행째는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에 17∼22, 5행째는 왼쪽에서 오른쪽방향으로 23∼28 그리고 6행째는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29∼L2로 순차 TAID가 첨부된다.
각 디스플레이블록(10b) 내의 디스플레이유닛(3)의 ID인 DUID에 관해서도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디스플레이블록(10b)의 분할과 같이, 각 행에 있어서의 분할 된 디스플레이유닛(3)수는 동수로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ID를 부착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있어서의 화소는 동일화소수로서 구성할 필요는 없고, 형상, 위치 등에 따라서 적시화소수 및 화소의 배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입체유닛통신)
각각의 분할된 디스플레이블록(10b)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의 코맨드데이터는, 디스플레이블록(10b)과 대응한 TAID에 의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블록(10b)으로 갈라지고, 1행당 접속디스플레이블록(10b)의 수가 일정하지 않아도, 표시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블록(10b)에서의 1행당의 접속디스플레이유닛의 수가 일정하지 않아도 표시제어를 할 수 있다. 코맨드데이터는, 데이터길이 지정영역 DL에 따라서 표시계조수, 화소배치, 화소수, 1화소당의 색조수 등에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길이가 지정되고, 제어데이터에 각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가 첨부된다. 또한, 제어종별영역의 일부에, 제어데이터에 붙인 데이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코드를 부여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1행당 접속디스플레이블록, 디스플레이유닛의 수가 일정하지 않은 디스플레이통신시스템에 있어서도, 1개의 컨트롤유닛(1)에 의해서 표시제어를 할 수 있다.
(관리시스템)
또한, 각 디스플레이유닛(3)에 드라이버의 이상, 단선 등의 이상, 통신이상, 온도감시 등의 기능을 갖게 하고, 각각의 기능에 관한 데이터를 응답데이터로서, 컨트롤유닛(1)에 통지하는 통지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컨트롤유닛(1)에 접속된 정 보처리장치를 통하여 각 디스플레이유닛의 제어 및 감시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전류출력이상, 드라이버 IC의 내부온도이상, 프레임동기장해 등의 각종 장해정보, 혹은 디스플레이유닛(3)의 제어부의 레지스터정보등의 내부설정정보, 혹은 디스플레이유닛(3) 내부의 구동기판표면 등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감시정보, 혹은 디스플레이유닛(3)으로의 공급전원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원감시정보에 근거하여, 컨트롤유닛(1)과 접속된 컴퓨터(11) 등에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유닛(3), 터미널어댑터(2) 혹은 전원 등의 제어 및 감시를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전송에 비동기통신방식(ATM)이 사용된 구체적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미널어댑터사이의 제1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디스플레이유닛사이의 제2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된다. 여기서는, 디스플레이유닛(3)으로서 LED 디스플레이유닛을 사용하고, 각각의 통신에 시리얼통신을 사용한 예를 게시한다.
또한, 제1의 통신라인(L1)은, 고속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광대역통신을 터미널어댑터사이에서 하여, 각 디스플레이블록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유닛사이의 제2의 통신라인(L2)에는, 저속전송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터미널어댑터 사이를 장거리전송가능하게 하고,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블록을 유연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컨트롤유닛)
컨트롤유닛(1)은, 비디오프로세서, 혹은 영상재생기기로부터 영상 소스를 화상입력인터 페이스(11b1)로 수신하고, 화상 데이터 등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프레임마다, 디지털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타메모리(131)에 기억한다. 또한, 컨트롤유닛(1)은, 컴퓨터(12) 등의 외부의 제어기기와 접속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2b)를 가지며, 외부의 제어기기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기억한다. 컨트롤유닛(1)은,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기억된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컨트롤유닛의 내부제어, 및 디스플레이유닛으로의 휘도보정데이터, 디스플레이유닛제어데이터 등의 송신, 또한 디스플레이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디스플레이유닛내부정보 등의 수신을 한다. 통신부(11a)에서는, 터미널어댑터(2)와 통신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소정의 통신포맷으로 구성하여, 터미널어댑터(2)에의 송수신처리를 한다.
컨트롤유닛(1)은, 통신부(11b1)에 있어서, 영상 소스인 비디오프로세서(11)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처리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데이터로서 수신하고, 화상 데이터메모리(131)에 기억한다. 또한, 컨트롤유닛(1)은, 통신부(11b2)에 있어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기억한다.
컨트롤유닛(1)은,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 및 메모리(13)에 기억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근거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 등의 코맨드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통신부(11a)는, 송신해야할 데이터를 데이터스트로브방식의 ATM 통신의 패킷형식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11a)는, 터미널어댑터(2) 및 디 스플레이유닛(3)에서 송신된 데이터스트로브방식의 ATM 통신의 패킷형식의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데이터메모리(132)에 입력한다.
(터미널어댑터)
터미널어댑터(2)는, 컨트롤유닛(1) 혹은 다른 터미널어댑터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21a), 디스플레이유닛(3)과 통신을 하는 통신부(21b), 통신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23), 메모리(23)의 기입 및 읽어내기와 내부제어를 하는 제어부 (22)로 구성된다. 터미널어댑터(2)는, 미리 초기 설정에 의해서 TAID가 설정되고, 그 터미널어댑터 자신의 TAID를 기억하고 있고, 그 TAID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수신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수신데이터를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3)에 전송한다. 또한, 터미널어댑터(2)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 인터페이스를 갖는 경우는, 수신한 수신데이터를 어느 한쪽의 디스플레이유닛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전송한다.
(표시기로서의 LED 디스플레이유닛)
도 14는 LED 디스플레이유닛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부(31)는 터미널어댑터에 있어서의 통신부(21a)와 같이 2개의 통신 포트를 갖아, 쌍방향통신처리를 한다.
디스플레이유닛(3)은, 디스플레이유닛 내부의 회로구성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 등의 디스플레이데이터, 휘도보정데이터, 제어데이터 등이 미리 메모리(33)내의 소정의 메모리공간에 할당되어 있다. 컨트롤유닛(1)에서 디스플레이유닛(3)에 대한 제어는, 각 디스플레이유닛(3)의 어느 메모리공간을 엑세스할 것인지, 요컨대 어떤 메모리공간의 데이터영역으로 기입 혹은 읽어 내기 처리를 할 것인지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3)의 제어를 행한다.
디스플레이유닛(3)의 통신부(31)에 있어서 수신한 코맨드데이터는, 코맨드데이터의 DUID와 자신의 기억하는 DUID와가 일치한 경우, 제어 어드레스 및 제어데이터길이에 의해서 지정된 메모리영역에 제어데이터를 기입한다.
코맨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갖는 경우는, 1화상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메모리에 축적하고, 수신종료후, 제어부에서 디스플레이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한다. 그리고, 커먼드라이버(340)의 라인제어에 동기하여, 표시대상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LED 드라이버(341)에 전송한다. 커먼드라이버의 라인제어는 각 커먼 라인을 있는 소정의 주기에서, 순차 바꿈으로써서, 각 라인의 LED를 구동한다. 이 때, 각 라인을 표시시키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각 라인마다 할당을 행하고, 제어부(32)는 표시대상의 라인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메모리(33)로부터 읽어 낸다.
이와 같이 각 화소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3)의 매트릭스디스플레이(30)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 디스플레이(30)의 일례로서, RGB에 대응하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도트에 의해서 구성된 화소가 1개의 커먼드라이버와 4개의 LED 드라이버로 구동되는 예를 게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LED 디스플레이유닛(3)에 있어서의 메모리(33)는, 2개의 메모리영역(331,332)으로 구성된다. 이 2개의 메모리영역은 예컨대 2개의 SRAM에 의해서 구성하여도 좋다. 메모리에는, 각각 표시해야할 디스플레이데이터가 1 프레임마다 어느 한쪽의 메모리영역에 교대로 기억된다. 각각의 메모리영역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영역 com adr 0, 1, 2, 3으로 구성된다. 한쪽의 메모리영역에 기억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이 LED 디스플레이유닛(3)에 있어서 1 프레임주기시간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다른쪽의 메모리영역에 다음 프레임주기시간에 표시헤야할 디스플레이데이터가 코맨드데이터로서 수신되고 기억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자신의 TAID, 각 LED의 휘도보정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EEPROM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를 더욱 갖고 있어도 좋다.
(커맨드제어개략)
컨트롤유닛(1)으로부터, 터미널어댑터(2) 및 디스플레이유닛(3)을 본 경우, 원하는 데이터의 제어대상디스플레이유닛으로의 송신은, 제어메모리공간의 어느 어드레스공간에 해당하는가를 식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제어 어드레스공간은, TAID에서 식별되는 터미널어댑터 제어 어드레스공간, 각 터미널어댑터(2)에 있어서는 DUID에서 식별되는 디스플레이유닛제어 어드레스공간, 및 각 디스플레이유닛 내에서 할당된 DU 메모리맵으로 구성된다. DU 메모리맵은 디스플레이유닛의 매트릭스구성, 계조 비트폭, 휘도보정데이터의 유무 등 디스플레이유닛의 성능,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컨트롤유닛(1)은 미리,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3)의 타입을 인식한 뒤에, 디스플레이의 표시제어를 한다.
(디스플레이유닛의 화상표시제어)
도 16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1 프레임내의 디스플레 이데이터의 통신의 일례를 나타낸다.
컨트롤유닛(1)은 비디오레이트(예컨대 60 Hz)로 화상이 전환될 때에, 1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나타내는 Vsynd마다, 프레임동기제어를 하기 위한 코맨드 패킷인 프레임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를 전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하여 송신한다. 계속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 표시해야할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데이터부에 붙인 코맨드데이터인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디스플레이(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유닛 DU 하여 2, 3, ..., n에 대응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1, ddp2, ddp3, ..., ddpn으로서 순차 1 프레임주기내에 송신한다. 여기서, 컨트롤유닛(1)에서 송신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1, ddp2, ddp3, ..., ddpn에는, 터미널어댑터(2) 및 디스플레이유닛(3)의 접속형태에 따른 식별정보가 첨부되고 있다.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를 수신한 각 디스플레이유닛(3)은 프레임동기를 한다. 이 때, 각 디스플레이유닛(3)은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에 대한 응답처리, 응답데이터 res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를 수신한 각 디스플레이유닛(3)은, 식별정보와 자신의 디스플레이유닛 ID(DUID)를 대조하여, 일치하면 수신처리를 한다. 각 디스플레이유닛에 의해서 수신된 디스플레이데이터는, 각 디스플레이유닛(3)의 메모리(33)내의 2개메모리(331,332)의 한쪽으로 기억되고, 다음 프레임주기에 있어서 표시제어된다.
도 16에, 디스플레이유닛(DU1∼3)에 있어서의 표시제어의 일례를 타이밍 챠트에 따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유닛(DU1)은,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를 수신하 면, 프레임동기신호 Vsync를 일으킨다. 프레임동기신호 Vsync의 기동에 따라서, 매트릭스디스플레이(30)의 라인매의 점등주기에 대응하는 블랭크신호 블랭크가 생성된다. 블랭크신호 블랭크에 따라서, 전의 프레임주기에 있어서 기억한 메모리내의 어드레스 com adr 0, 1, 2, 3의 각 데이터에 따라서, 커먼드라이버(340)와 각각 대응하는 LED 드라이버(341)에 의해서 각 LED가 점등제어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각 화소가 행마다 구동되는 1/4 duty이며, 1 프레임주기를 1/2 프레임주기로 분할하고, 각각의 1/2 프레임주기에 같은 화상이 표시되는 2배속점등제어가 예를 게시하였다. 이 배속점등에 의해서, 화상의 깜빡거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LED 드라이버(341) 또는 LED의 구동하는 구동라인을 랜덤으로 구동하고, 화상의 깜빡거림을 방지하여도 좋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유닛(3)은 점등개시타이밍을 디스플레이유닛내에서 프레임동기신호 Vsync의 기동에서 블랭크신호 blank의 생성타이밍을 도 16중의 DU2, DU3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Td만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LED 점등개시시에 있어서의 큰 구동개시전류를 LED 드라이버마다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리셋갭은 프레임주기개시 패킷 csp와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 ddp 및 각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사이에 소정의 시간비전송구간을 마련하여, 각 통신 패킷을 수신측에서 동기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인 LED가 복수화소배치된 매트릭스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나타내었으나, 디스플레이유닛은 1화소 이상에 해당하는 표시요소가 배치된 구성으로서도 좋다. 표시요소는, 액정, EL소자, PDP, 전광 게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네온관등의 조명을 표시요소로 하여, 조명강도의 계조를 디스플레이데이터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어플리케이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예컨대, 표시계조, 화소수 혹은 형상 등이 다른 디스플레이유닛를, 공통의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에 의해서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어플리케이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터미널어댑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식별정보에 의해서 통신처가 지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어,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어댑터측 통신부를 가지는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1 이상의 표시요소를 배치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어,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갖는 발광장치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이 상기 식별정보로서, 상기 터미널어댑터 ID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ID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터미널어댑터는,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터미널어댑터 ID가 자신에게 첨부된 터미널어댑터 ID와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하위의 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자신에게 첨부된 디스플레이유닛 ID와 일치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상기 표시요소를 구동하며,
    상기 터미널어댑터측 통신부에 의한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에 의한 하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며 비동기전송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닛은, 프레임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을, 모든 디스플레이유닛이 수신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붙여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에 따라서 프레임동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더욱 적어도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내의 메모리공간은, 디스플레이유닛내부의 회로구성에 따라서 데이터영역이 미리 할당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유닛은, 통신 패킷을 송신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의 미리 할당된 소정의 메모리영역에 엑세스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에 대한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어,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어댑터측 통신부를 갖는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어,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측통신부를 갖고,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1 이상의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갖는 발광장치이며,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n 행(n은 2 이상의 정수)에 배치되고, 각 행에 있어서 각각의 통신부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부는, m 행째 (1≤m≤n-1의 정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닛측에서 보아 가장 먼 위치인 끝단부에 접속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부에서, m+1행째에 있어서의 상기 m행째의 가장 먼 끝단부에 접속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같은 측의 끝단부에 배치된 상기 터미널어댑터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통신부에 접속되며,
    상기 터미널어댑터측 통신부에 의한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에 의한 하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며 비동기전송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삭제
  6.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 ID가 첨부되어, 상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터미널어댑터와,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서, 배치된 1화소이상의 표시요소를 구동하여 화상의 표시를 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요소의 배치, 1화소를 구성하는 색조수 및 표시계조에 따른 메모리공간을 갖는 메모리를 갖고,
    디스플레이유닛 ID가 첨부되어, 하위의 통신라인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직렬접속된 디스플레이유닛으로 구성되는 발광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패킷을 사용한 통신방법이며,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하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고, 비동기전송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터미널어댑터 ID 및 디스플레이유닛 ID를 유지하는 식별정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입력해야할 메모리공간을 지정하는 메모리공간지정영역과,
    공급해야할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의 표시요소의 배치, 1 화소를 구성하는 색조수 및 표시계조에 따른 디스플레이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데이터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7. 적어도 1개의 표시요소로부터 구성된 화소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복수배치된 표시부와, 패킷통신을 하는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와, 적어도 1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표시부의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유닛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터미널어댑터와 접속가능하며, 상기 터미널어댑터는 컨트롤유닛과 접속가능하며, 상기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의 사이의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에 의한 디스플레이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의 사이의 하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고, 비동기전송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가 수신한 프레임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에 따라서 각 라인의 구동주기의 개시를 나타내는 블랭크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랭크신호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디스플레이데이터를 라인마다 읽어 내고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의 수신후, 상기 블랭크신호를 생성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프트타이밍데이터를 더욱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주기개시 패킷의 수신후, 상기 시프트타이밍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블랭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유닛.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1 프레임마다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데이타메모리영역을 2 이상 가지며, 상기 표시부가 1의 화상 데이타메모리영역에 기억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 화상 데이타메모리영역에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유닛.
  10. 제1의 송신부와 제1의 수신부를 갖는 제1의 통신부와,
    제2의 송신부와 제2의 수신부를 갖는 제2의 통신부와,
    상기 제1의 통신부 및 상기 제2의 통신부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와,
    수신한 통신데이터에 따라서 수신처리를 하는 수신처리부를 갖고,
    상기 제1의 수신부 및 상기 제2의 수신부는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 또는 상기 제2의 통신부중 어느 한쪽이 수신하였을 때,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고,
    상기 다른쪽의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또한,
    통신데이터의 송신처리를 하는 응답처리부와,
    상기 제2의 수신부 또는 응답처리부중 어느 한쪽을 상기 제1의 송신부에 접속하는 제1의 셀렉터와,
    상기 제1의 수신부 또는 응답처리부중 어느 한쪽을 상기 제2의 송신부에 접속하는 제2의 셀렉터와,
    상기 제1의 수신부 또는 제2의 수신부중 어느 한쪽을 상기 수신처리부에 접속하는 제3의 셀렉터를 갖고 있고,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 또는 상기 제2의 통신부중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취지의 신 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의 셀렉터와 상기 제2의 셀렉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3의 셀렉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른쪽의 통신부가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상기 수신처리부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통신데이터를 수신한 통신부의 송신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로.
  12. 제 10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신부 및 제2의 수신부는, 입력된 시리얼통신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1의 송신부 및 제2의 송신부는, 입력된 병렬통신데이터를 시리얼통신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로.
  13. 상기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통신회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유닛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터미널어댑터와 접속가능하며, 상기 터미널어댑터는 컨트롤유닛과 접속가능하며, 상기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의 사이의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에 의한 디스플레이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의 사이의 하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고, 비동기전송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디스플레이유닛은, 적어도 1개의 표시요소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통신회로에 의해서 수신한 디스플레이데이터에 따라서, 적어도 1 프레임분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표시부의 각 표시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갖는 디스플레이유닛.
  14. 상기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통신회로를 갖는 터미널어댑터로서,
    터미널어댑터는 디스플레이유닛 및 컨트롤유닛과 접속가능하며, 상기 컨트롤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의 사이의 상위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통신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측 통신부에 의한 디스플레이유닛과 터미널어댑터와의 사이의 하위의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보다도 고속의 통신이 사용되고, 비동기전송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다른 터미널어댑터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터미널어댑터는, 또한,
    상기 통신회로에 의해서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한 통신데이터를 다른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어댑터.
KR1020027002600A 2000-06-30 2001-06-29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및 터미널어댑터 KR100563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9420 2000-06-30
JPJP-P-2000-00199420 2000-06-30
PCT/JP2001/005686 WO2002003365A1 (en) 2000-06-30 2001-06-29 Display unit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display unit, communication circuit, and terminal 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381A KR20020059381A (ko) 2002-07-12
KR100563716B1 true KR100563716B1 (ko) 2006-03-28

Family

ID=1869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600A KR100563716B1 (ko) 2000-06-30 2001-06-29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및 터미널어댑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019723B2 (ko)
EP (2) EP1298632B1 (ko)
JP (2) JP5098129B2 (ko)
KR (1) KR100563716B1 (ko)
CN (1) CN1176450C (ko)
AU (1) AU2001267889A1 (ko)
CA (1) CA2383635C (ko)
HK (1) HK1048877A1 (ko)
TW (1) TW582015B (ko)
WO (1) WO2002003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64B1 (ko) * 2019-10-31 2020-03-30 주식회사 애즈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량된 이더넷 망으로 연결한 전광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2209B2 (en) * 2000-08-07 2007-11-06 Rast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an array of optical elements
GB0212566D0 (en) * 2002-05-31 2002-07-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JP2004013145A (ja) * 2002-06-07 2004-01-15 Moriwakitto Japan:Kk 大規模表示装置
JP4700900B2 (ja) * 2002-06-28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U2003250527A1 (en) * 2002-08-22 2004-03-11 Micro-D Ltd. Thin display device
US8749561B1 (en) 2003-03-14 2014-06-10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ed data execution using a primary graphics processor and a secondary graphics processor
US7034776B1 (en) * 2003-04-08 2006-04-25 Microsoft Corporation Video division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WO2004095406A1 (ja) * 2003-04-23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EP1480195B1 (en) * 2003-05-23 2008-05-07 Barco N.V. Method of displaying images on a large-sc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display used therefore
AU2003252297A1 (en) * 2003-07-31 2005-02-15 Fujitsu Frontech Limited Video display device
JP2005055909A (ja) * 2003-08-07 2005-03-03 Barco Nv Oledディスプレイ素子、それ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耐用年数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
EP1513059A1 (en) * 2003-09-08 2005-03-09 Barco N.V. A pixel module for use in a large-area display
EP1513060A1 (en) * 2003-09-08 2005-03-09 Barco N.V. Large-area display system, modular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TWI270043B (en) * 2004-03-19 2007-01-01 Au Optronics Corp Integrated display module
EP1628282A1 (en) * 2004-08-20 2006-02-22 Dialog Semiconductor GmbH Display controller with DRAM graphics memory
US7450085B2 (en) * 2004-10-07 2008-11-11 Barco, Naamloze Vennootschap Intelligent lighting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n intelligent lighting module
US8743019B1 (en) * 2005-05-17 2014-06-03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bstracting computer displays across a host-client network
US20070171165A1 (en) * 2006-01-25 2007-07-26 Ching-Yun Chuang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iming sequences for displays of such devices
US8775704B2 (en) * 2006-04-05 2014-07-08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ary processor and an auxiliary display subsystem of a notebook
KR100738497B1 (ko) * 2006-04-18 2007-07-11 인포스퀘어 주식회사 멀티싱크 영상 출력 시스템
KR100809699B1 (ko) * 2006-08-25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데이터 구동 장치, 데이터 출력 장치 및디스플레이용 데이터 구동 방법
US8775452B2 (en) 2006-09-17 2014-07-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tandard real world to virtual world links
JP4361080B2 (ja) * 2006-11-28 2009-11-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データ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JP5119655B2 (ja) * 2006-12-13 2013-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10519814A (ja) * 2007-02-19 2010-06-03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ータ通信ユニット、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復号化方法
AU2008201153C1 (en) * 2007-03-28 2011-01-0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Modular Visual Output Component
US20080267504A1 (en) * 2007-04-24 2008-10-30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grating code-based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ies into a mobile visual search
US20080268876A1 (en) * 2007-04-24 2008-10-30 Natasha Gelfand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Point of Interest Based Scheme for Improving Mobile Visual Searching Functionalities
US20080267521A1 (en) * 2007-04-24 2008-10-30 Nokia Corporation Motion and image quality monitor
ITBO20070358A1 (it) 2007-05-16 2008-11-17 Radio Marconi Srl Dispositivo di guida per cartone a modulo continuo
CN101329841A (zh) * 2007-06-20 2008-12-24 上海仙视电子有限公司 Lcd大屏幕中拼接电路模块及其控制方法
CN101378432B (zh) * 2007-08-31 2012-05-30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显示装置及方法
US9285670B2 (en) * 2007-09-14 2016-03-15 Capso Vision, Inc. Data communication between capsulated camera and its external environments
KR100881142B1 (ko) * 2008-01-08 2009-02-02 (주)엘이디웍스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86895A (ja) * 2008-02-08 2009-08-20 Panasonic Corp 表示ユニット
WO2009136731A2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테라칩스 클럭 발생 방법, 확인자 부여 방법 및 데이터 입수 방법
US20110101739A1 (en) * 2008-05-12 2011-05-05 Radio Marconi S.R.L. Multimedia and Multichannel Information System and Element for Supporting the System
US8736617B2 (en) * 2008-08-04 2014-05-27 Nvidia Corporation Hybrid graphic display
KR100913748B1 (ko) * 2008-09-09 2009-08-24 주식회사 유일씨엔티 간판용 조명장치 및 제어 방법
US8248203B2 (en) * 2008-09-15 2012-08-21 Martin James Hanwright Remote monitor/control for billboard lighting or standby power system
US8400570B2 (en) * 2008-10-09 2013-03-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videos on a single display
US8689343B2 (en) 2008-10-24 2014-04-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transmitting video data
US8799425B2 (en) * 2008-11-24 2014-08-05 Nvidia Corporation Configuring display properties of display units on remote systems
US8441574B2 (en) * 2009-02-16 2013-05-1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Visual identifier for images on an electronic display
WO2010094039A2 (en) * 2009-02-16 2010-08-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characteristic feedback loop
US9812047B2 (en) 2010-02-25 2017-11-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the operating life of electronic displays
WO2010099178A2 (en) * 2009-02-24 2010-09-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videos on a single display
CA2753583A1 (en) * 2009-02-24 2010-09-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istributing a plurality of unique video/audio streams
US9075559B2 (en) * 2009-02-27 2015-07-07 Nvidia Corporation Multiple graphics processing unit system and method
JP2010281911A (ja) * 2009-06-02 2010-12-1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
US9337100B2 (en) * 2009-06-03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to fabricate an electronic device
US9135675B2 (en) * 2009-06-15 2015-09-15 Nvidia Corporation Multiple graphics processing unit display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FR2948482A1 (fr) * 2009-07-21 2011-01-28 Newstep Dispositif d'affichage commande a distance
US8766989B2 (en) * 2009-07-29 2014-07-01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dding and removing display modes coordinated across multiple graphics processing units
US9111325B2 (en) * 2009-12-31 2015-08-18 Nvidia Corporation Shared buffer techniques for heterogeneous hybrid graphics
US8780122B2 (en) * 2009-09-16 2014-07-15 Nvid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transferring graphics data from system memory to a discrete GPU
CN101877207B (zh) * 2009-11-18 2015-11-25 北京巨数数字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系统和控制方法
KR101632572B1 (ko) * 2009-11-25 2016-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시스템
US8836713B2 (en) * 2010-03-0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Driving and synchronizing multiple display panels
CN102157141B (zh) * 2010-08-09 2013-09-11 深圳市大象视界科技有限公司 Led大屏幕显示控制系统及方法
JP2012118832A (ja) * 2010-12-02 201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87041B2 (ja) * 2010-12-09 2015-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9086838B2 (en) * 2012-09-03 2015-07-21 Nvidia Corporation Synchronous media display through automatic hardware profiles across multiple display units
US9081535B2 (en) * 2012-09-03 2015-07-14 Nvidia Corporation Automatic topology configuration through automatic hardware profiles across multiple display units
JP6343138B2 (ja) * 2012-11-30 2018-06-13 ローム株式会社 Led表示装置
US9818379B2 (en) 2013-08-08 2017-11-14 Nvidia Corporation Pixel data transmission over multiple pixel interfaces
US9842532B2 (en) 2013-09-09 2017-12-12 Nvidia Corporation Remote display rendering for electronic devices
CN103474029B (zh) * 2013-09-10 2015-10-07 苏州君嬴电子科技有限公司 Led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10319408B2 (en) 2015-03-30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US10922736B2 (en) 2015-05-15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mart electronic display for restaurants
US10269156B2 (en) 2015-06-05 2019-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lending order confirmation over menu board background
CN104865477B (zh) * 2015-06-12 2018-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检测方法和电源适配器检测装置
US9747872B2 (en) * 2015-07-13 2017-08-29 Sct Technology, Ltd. 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812059B2 (en) * 2015-07-13 2017-11-07 Sct Technology, Ltd. Display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and LED system
US9704430B2 (en) * 2015-07-13 2017-07-11 Sct Technology, Ltd. 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639653B2 (ja) 2015-09-10 2020-02-05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リソーシ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エラーのシステム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03901B1 (ko) * 2015-11-12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578162B (zh) * 2015-11-25 2017-04-11 光遠科技股份有限公司 發送指令給串接顯示器的方法
CN108713226B (zh) * 2016-02-09 2020-11-13 三菱电机株式会社 视频显示装置及视频数据传输方法
US10319271B2 (en) 2016-03-22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yclic redundancy check for electronic displays
CN107306463B (zh) * 2016-04-21 2019-05-03 矽诚科技股份有限公司 两脚点控灯串系统
WO2017210317A1 (en) 2016-05-31 2017-12-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remote im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8031717A2 (en) 2016-08-10 2018-02-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for lcd array
JP6685869B2 (ja) * 2016-09-09 2020-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CN106251806B (zh) * 2016-09-29 2019-04-02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8109577B (zh) * 2016-12-06 2023-05-23 广州硅芯电子科技有限公司 Led系统和用于操作led系统的方法
CN108074518A (zh) * 2016-12-06 2018-05-25 广州硅芯电子科技有限公司 Led显示装置及其构造方法
US20180240409A1 (en) * 2017-02-21 2018-08-23 Sct Technology, Ltd. Led microdisplay
TR201722533A2 (tr) * 2017-12-28 2019-07-22 Arcelik As Bi̇r vi̇deo duvari si̇stemi̇ ekran düzenleme yöntemi̇
US10593256B2 (en) 2018-03-22 2020-03-17 Sct Ltd. 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908863B2 (en) 2018-07-12 2021-02-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co-located operations data for an electronic display
US11645029B2 (en) 2018-07-12 2023-05-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electronic displays
KR102531676B1 (ko) * 2018-09-12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535037B1 (ko) 2018-09-12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107965B1 (ko) * 2018-12-31 2020-05-07 주식회사 인터엠 발광 다이오드 도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패널, 이를 구동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402940B2 (en) 2019-02-25 2022-08-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the status of a touchscreen
WO2020176416A1 (en) 2019-02-25 2020-09-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the status of a touchscreen
US10872044B1 (en) * 2019-07-30 2020-12-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gies, Inc. Distributed processing via open ring bus structure
US10950194B1 (en) * 2019-10-04 2021-03-16 Solomon Systech (Shenzhen) Limited Display panel with distributed driver network
KR20210047475A (ko) 2019-10-2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를 구비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18980A (ja) * 2020-04-01 2020-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CN111462674B (zh) * 2020-04-28 2024-01-23 西安青松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系统的发送卡分组控制方法、发送卡及显示控制系统
CN111585912B (zh) * 2020-04-30 2021-12-10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流量整形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led显示屏
TWI731691B (zh) * 2020-05-21 2021-06-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系統及模組
US11620968B2 (en) * 2020-07-31 2023-04-04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nto LED panels
US11495195B2 (en) * 2020-07-31 2022-11-08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in display images unto LED panels
US20220036807A1 (en) * 2020-07-31 2022-02-03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eshing process in displaying images unto led panels
CN112133246A (zh) * 2020-10-10 2020-12-25 天长市辉盛电子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系统的控制方法及led显示屏系统
KR20220089197A (ko) * 2020-12-21 2022-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한 확장 표시장치
US11921010B2 (en) 2021-07-28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US11965804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CN113763818B (zh) * 2021-09-07 2023-06-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TW202326653A (zh) * 2021-10-26 2023-07-01 日商索尼集團公司 資訊處理系統及資訊處理方法
US11895362B2 (en) 2021-10-29 2024-02-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roof of play for images displayed at electronic displays
TW202332243A (zh) * 2021-12-10 2023-08-01 日商索尼集團公司 資訊處理方法、資訊處理系統、及程式
US11972672B1 (en) 2022-10-26 2024-04-3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providing open and unlatched alert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7A (en) * 1861-04-09 Improved garden-hoe
US4139149A (en) * 1977-08-31 1979-02-13 Ncr Corporation Display system
DE3224406A1 (de) * 1981-07-01 1983-01-20 Canon K.K., Tokyo Bilduebertragungssystem
JPS62163164A (ja) * 1986-01-13 1987-07-18 Sony Corp マルチプロセツサ
US5165036A (en) * 1989-01-31 1992-11-17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el processing development system with debugging device includes facilities for schematically displaying execution state of data driven type processor
JP2759120B2 (ja) 1989-04-05 1998-05-28 株式会社三陽電機製作所 ネオン灯点滅装置
JP3334211B2 (ja) * 1993-02-10 2002-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
US5646959A (en) * 1993-09-09 1997-07-08 Nec Corporation Terminal adapter capable of reducing a memory capacity of a buffer memory
US5739869A (en) * 1993-09-10 1998-04-14 Figaro, Inc. Electronic libret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3471454B2 (ja) * 1994-06-20 2003-12-0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システム
JPH0823536A (ja) 1994-07-07 1996-01-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6175342B1 (en) 1996-04-15 2001-01-16 Aadco, Inc. Enhanced modular message board
US5914698A (en) 1996-04-15 1999-06-22 Addco Manufacturing, Inc. Modular message board
AU688038B2 (en) 1994-09-27 1998-03-05 Shinsuke Nishida Display
JP3209483B2 (ja) 1995-01-30 2001-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8223514A (ja) * 1995-02-20 1996-08-30 Fujitsu General Ltd マルチパネルシステム
JPH08328514A (ja) 1995-05-31 1996-12-1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3407838B2 (ja) 1995-09-05 2003-05-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US5675813A (en) * 1995-10-26 1997-10-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a universal serial bus
JPH09247592A (ja) 1996-03-06 1997-09-19 Sony Corp 液晶プロジエクタ装置及びエンタテイメントシステム
US5748734A (en) * 1996-04-02 1998-05-05 Lucent Technologies Inc.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cryptographic keys
AU2651497A (en) * 1996-05-07 1997-11-26 Yamah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US5986622A (en) * 1996-05-24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Inc. Panel display of multiple display units for multiple signal sources
KR100193737B1 (ko) * 1996-07-19 1999-06-1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제어방법
US5898827A (en) * 1996-09-27 1999-04-27 Hewlett-Packard Co. Routing methods for a multinode SCI computer system
US6687221B1 (en) * 1997-02-21 2004-02-03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management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H10333631A (ja) 1997-06-02 1998-12-18 Daichiyuu Denshi:Kk 拡張型表示装置および拡張型表示装置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US6091771A (en) * 1997-08-01 2000-07-18 Wells Fargo Alarm Services, Inc. Workstation for video security system
JPH11126047A (ja) * 1997-10-21 1999-05-11 Nichia Chem Ind Ltd Led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373668B1 (ko) 1997-11-13 2003-02-2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020042A (ja) * 1998-07-01 2000-01-21 Nec Corp 映像表示システム
JP3582382B2 (ja) * 1998-11-13 200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3417326B2 (ja) 1999-01-29 2003-06-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Led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led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3540187B2 (ja) 1999-02-25 2004-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64B1 (ko) * 2019-10-31 2020-03-30 주식회사 애즈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량된 이더넷 망으로 연결한 전광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3538A (zh) 2002-12-04
CA2383635C (en) 2010-02-09
HK1048877A1 (zh) 2003-04-17
WO2002003365A1 (en) 2002-01-10
CA2383635A1 (en) 2002-01-10
EP1298632B1 (en) 2016-11-02
US7138991B2 (en) 2006-11-21
CN1176450C (zh) 2004-11-17
JP5704119B2 (ja) 2015-04-22
US20050179616A1 (en) 2005-08-18
KR20020059381A (ko) 2002-07-12
JP5098129B2 (ja) 2012-12-12
EP1298632A4 (en) 2006-02-15
US7019723B2 (en) 2006-03-28
EP1298632A1 (en) 2003-04-02
AU2001267889A1 (en) 2002-01-14
US20020163513A1 (en) 2002-11-07
TW582015B (en) 2004-04-01
EP1816630B1 (en) 2016-12-07
EP1816630A1 (en) 2007-08-08
JP2012208503A (ja)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716B1 (ko) 디스플레이유닛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디스플레이유닛,통신회로 및 터미널어댑터
EP1306827B1 (en) Display and display drive circuit or display drive method
TWI595470B (zh) 顯示裝置及配置其影像資料之方法
US20050052375A1 (en) Configurable large-area display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JP2002311881A (ja) 画像表示装置
TW201802789A (zh) 發光二極體顯示裝置
JP5261858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led表示器
JP2002229502A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11282430B2 (en) Image display system
JP4244607B2 (ja) Led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ledディスプレイ
JP2010243990A (ja) 小型マトリクス発光パネルブロック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4283807B2 (ja) 映像表示装置
JP2004062115A (ja) 画像表示装置の分配処理装置
JP4196631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led駆動用通信制御回路
WO2014092217A1 (ko) 경관 조명 표출 시스템에서의 선형 배치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기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경관 조명 표출 시스템
JP5104627B2 (ja) Led表示装置用の通信制御装置
KR100818385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1125539A (ja) 画像データ補正機能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