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유체제어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구조의 것이 있다.
도 22의 유체제어기는 입구유로(A)와 출구유로(B)를 구비한 밸브본체(C), 격막(diaphragm: D), 이 격막(D)의 주연부를 협지고정(挾持固定)하는 본네트(E), 및 격막(D)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조작기구(G)로 이루어져 있고, 조작기구(G)를 조작하여 격막(D)을 판좌(弁座: F)에 대해 접촉하고 분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입구유로(A)와 출구유로(B)를 폐쇄상태 혹은 연통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체제어기에서는 입구유로(A)와 출구유로(B)의 사이에 판좌(F)가 돌기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입구유로(A)와 출구유로(B)가 굴곡되어 밸브본체(C)의 상면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유로를 가공할 때에는 횡혈(橫穴), 즉 입구유로(A) 및 출구유로(B)와 밸브본체(C)의 중심가공을 정밀하게 합칠 필요가 있어, 가공성이 매우 나쁘다.
또한 유로가 판좌(F)의 부분에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내부에 유체의 고임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더불어 이러한 유체제어기에 용접 등을 행하여 분지판으로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본체를 경사지게 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가공성이 매우 나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320378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일본 특개평 1-320378호에 개시된 기술은, 입구유로와 출구유로를 동일축 선상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러한 입구유로와 출구유로를 돌기없는 연락유로로서 연결하고, 이 연락유로의 하부 내면에 대해서 격막을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동일축 선상에 배치된 입구유로와 출구유로가 돌기없는 연락유로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종래의 유체제어기와 비교하여 유로의 가공성이 양호하고, 더불어 유로의 굴곡이 없기 때문에 배관내부에 걸리는 유체의 고임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우수하였으나, 격막의 중심과 연락유로의 폭방향 중심을 일치시키기 때문에 위치모음을 정밀하게 행하지 않으면 확실하게 유로를 폐쇄할 수 없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모음 작업이 필요하였다.
한편, 파이프라인 시스템 등의 배관에는 유체를 샘플링하기 위해 주통로와 그 주통로에 직교하는 분지통로를 가지는, 평면상으로 T자형인 유체제어기가 배관에 접촉되어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분지통로를 가지는 유체제어기에서는 분지통로로부터 실기재(seal base)에 도달하는 연락면에 단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지통로를 대략 수평으로, 주통로를 하방으로 향하도록 사용한 경우에는 이 단차부분에 고임이 발생하여, 잡균번식 등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기술로서는 일본특허 제2591876호 (PCT/GB91/01025)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일본특허 제2591876호(PCT/GB91/01025)의 기술은 평면상으로 T자형인 유체제어기에 있어서, 분지통로를 대략 수평으로 하고 주통로를 하방으로 향하게 한 때에, 분지통로로부터 실(seal) 기재에 도달하는 연락면이 수평 또는 주통로측에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개시기술에 의하면 종래에 존재하였던 단차가 없게 되는 것에 의해 단차에 의한 고임 발생이 방지되기는 하였으나, 가공성이 매우 나쁘고, 단차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유체내의 고임발생의 방지와 양호한 가공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유체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밸브본체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밸브본체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밸브본체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밸브본체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를 분지판으로 하여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A-A선의 단면도,
도 14는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제3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제4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평면도,
도 18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하측 격막의 저면도,
도 19는 하측 격막의 단면도,
도 20은 제1실시예의 유체제어기에서, 격막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22는 종래의 유체제어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측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는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을 구비한 밸브본체(4), 그 밸브본체(4)의 상면과 본넷트(5)의 하면 사이에 협지고정(挾持固定)된 격막(6), 및 그 격막(6)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조작기구(7)로 구성되어 있다.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축 선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는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는 이와 같이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가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로내에 고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의 밸브본체(4)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밸브본체(4)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밸브본체(4)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8은 도 4의 단면도에, 도 7 및 도 9는 도 5의 단면도에 각각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본체(4)는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가 동일축 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점과,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가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는 공통되나, 본체 상면으로부터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를 향하여 천설(穿設)되어 있는 구멍의 형태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즉, 제1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본체(4)에서는 본체 상면으로부터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를 향하여 천설된 구멍(9)의 입구유로측 구멍(91)과 출구유로측 구멍(92)의 사이에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본체의 상부에 있어서 유로내면에 단차가 약간 존재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의 평면상에서 입구유로측 구멍(91)과 출구유로측 구멍(92)으로 나누어진 형태로 보여진다.
도 4에 연락통로(8)의 내측면에,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의 내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부호 81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2 및 제3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본체(4)에서는 본체 상면으로부터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를 향하여 천설된 구멍(9)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의 상부에서 유로내면에 단차가 없는, 완전한 하나의 구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평면상에서 입구유로측 구멍과 출구유로측 구멍이 하나로 되어 보인다.
그리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구멍(9)이, 본체 상면으로부터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를 향하여 유로방향의 폭이 대략 동일한 상태로 연락통로(8)의 내하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수직하게 천설되어 있고(도 6 참조), 제3실시형태에서는 구멍(9)이 본체 상면으로부터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를 향하여 유로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천설되어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밸브본체(4)는 어느 것도 횡혈(橫穴), 즉 입구유로(2) 및 출구유로(3)의 가공과 밸브본체(4)의 중심가공을 독립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분지배관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1)를 분지판으로 하여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밸브본체(4) 쪽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는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가 동일축 선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입구유로(2)와 출구유로(3)가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유로측 구멍(91) 또는 출구유로측 구멍(92)을 그대로 하향으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수직배관이 가능하며, 또한 입구유로측 구멍(91) 또는 출구유로측 구멍(92)을 그대로 수평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수평배관이 가능하게 되어, 분지배관에 관련된 용접작업성이 우수하다.
도 11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는 유체의 입구 및 출구로 되는 유로를 구비한 밸브본체(4), 그 밸브본체(4)의 상면과 본넷트(5)의 하면 상에 협지고정된 격막(6), 및 그 격막(6)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조작기구(7)로 구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가 제1실시예의 것과 다른 점은 밸브본체(4)에 구비된 유로가 밸브본체(4)를 관통하는 관통유로(12)와 그 관통유로(12)로부터 분지된 분지유로(13)로 이루어진 T자상 유로로 되어 있는 점이다.
그리하여 관통유로(12)와 분지유로(13)는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유로내의 고임발생을 완전히 방지하고 있다.
또한 관통유로(12)와 분지유로(13)의 내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고, 관통유로(12)의 저면은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락통로(8)의 저면과 면일치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관통유로(12)와 그 분지유로(13) 측의 내면이 밸브본체(4)의 중심보다도 분지유로(13)의 반대방향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중의 부호 93은 밸브본체(4)의 상면으로부터 관통유로(12)에 도달하 는 구멍이고, 부호 94는 밸브본체(4)의 상면으로부터 분지유로(13)에 도달하는 구멍이다.
제2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도, 관통유로(12) 및 분지유로(13)의 가공과 밸브본체(4)의 중심가공을 독립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가공성이 우수하다.
도 14는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3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평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는 유체의 입구 및 출구로 되는 유로를 구비한 밸브본체(4), 그 밸브본체(4)의 상면과 본넷트(5)의 하면 사이에 좁게 유지된 격막(6), 및 그 격막(6)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조작기구(7)로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도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형태로 밸브본체(4)에 구비된 유로가 밸브본체(4)를 관통하는 관통유로(12)와 그 관통유로(12)로부터 분지된 분지유로(13)로 이루어진 T자상 유로로 되어 있고, 관통유로(12)와 분지유로(13)는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리하여 관통유로(12)는 그 분지유로(13) 측의 내면이 밸브본체(4)의 중심보다 분지유로(13)의 반대방향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가 제2실시예의 것과 다른 점은 관통유로(12)의 직경이 분지유로(13)의 직경의 약 2배의 크기로 되어, 관통유로(12)와 그 중심축선이 연락통로(8)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위치되어 있는 점이다.
그리하여 관통유로(12)로부터 연락통로(8)에 도달하는 연결면(14)은 관통유로(12)를 수평으로 하고 분지유로(13)를 하향으로 한 때에 수평 혹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인해 관통유로(12)와 분지유로(13)가 돌기 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구성에 따라, 관통유로(12)를 수평으로 하고 분지유로(13)를 하향으로 한 때에, 유로내에 고임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중의 부호 93은 밸브본체(4)의 상면으로부터 관통유로(12)에 도달하는 구멍이고, 부호 94는 밸브본체(4)의 상면으로부터 분지유로(13)에 도달하는 구멍이다.
제3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도, 관통유로(12) 및 분지유로(13)의 가공과 밸브본체(4)의 중심가공을 독립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가공성이 우수하다.
도 16은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제4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의 밸브본체의 평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는 유체의 입구 및 출구가 되는 유로를 구비한 밸브본체(4), 그 밸브본체(4)의 상면과 본넷트(5)의 하면 사이에 협지고정된 격막(6), 및 이 격막(6)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조작기구(7)로 구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도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형태로 밸브본체(4)에 구비된 유로가 밸브본체(4)를 관통하는 관통유로(12)와 그 관통유로(12)로부터 분지된 분지유로(13)로 이루어지는 T자상 유로로 되어 있고, 관통유로(12)와 분지유로(13)는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리하여 관통유로(12)는 그 분지유로(13) 측의 내면이, 밸브본체(4)의 중심보다도 분지유로(13)의 반대방향으로 약간 빗나간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가 제2실시예의 것과 다른 점은 관통유로(12)의 지름이 분지유로(13) 지름의 약 4∼5배의 크기로 되어 관통유로(12)는 그 중심축선이 연락통로(8)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위치되어 있는 점이다.
그리하여 관통유로(12)로부터 연락통로(8)에 도달하는 연락면(14)은 제3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로 관통유로(12)를 수평으로 하고 분지유로(13)를 하향으로 한 때에 수평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제4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도, 관통유로(12)와 분지유로(13)가 돌기없는 연락통로(8)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구성에 따라, 관통유로(12)를 수평으로 하고 분지유로(13)를 하향으로 한 때에 유로 내로의 고임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중의 부호 93은 밸브본체(4)의 상면으로부터 관통유로(12)에 도달하는 구멍이고, 부호 94는 밸브본체(4)의 상면으로부터 분지유로(13)에 도달하는 구멍이다.
제4실시예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도 관통유로(12) 및 분지유로(13)의 가공과 밸브본체(4)의 중심가공을 독립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1)(제1 내지 제4실시예)에 있어서, 격막(6)은 매달린 돌출부(11)의 선단이 이설된 하측 격막(61)과 그 하측 격막(61)의 상면에 밀착하여 설치된 상측 격막(62)의 2층구조로 되어 있다.
하측 격막(61)로서는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수지(PTFE) 등으로 되는 합성수지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측 격막(62)로서는 천연고무 및 니트릴고무, 스티렌고무, 불소고무(FPM), 에틸렌 프로필렌고무(EPDM) 등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무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 내의 하측 격막(61)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그 종단면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격막(61)의 외연부 근방에는 외환돌조(外環突條: 66)와 내환돌조(內環突條: 64)로 이루어지는 원환상 돌조와, 외환돌조(64)를 종단하는 종단돌조(縱斷突條: 65)가 형성되어 있다.
외환돌조(66)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격막(61)을 밸브본체(4)와 본넷트(5)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있고, 내환돌조(64)와 상측 격막(62)를 본넷트(5) 하면과의 사이에서 확실하게 협지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종단돌조(65)는 격막(6)의 하강시에 하측 격막(61)의 하면을 연락통로(8)에 확실히 밀접시켜서 유로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격막(6)은 하강시에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하측 격막(61)의 하면이 연락통로(8)에 밀접하여 유로를 폐쇄한다.
또한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격막(6)을 상승시킨 때에는 도 11, 도 14,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솟은 외연부 근방이 융기하여 단면이 대략 M자 상으로 된다. 이 때문에 격막 융기부의 외방상면(63)은 본넷트(5)의 격막 협지부(51)의 내방(중심축방향) 하면에서 형성된 만곡면(52)에 밀접한다.
이처럼 격막 상승시에 격막 융기부의 외방상면이 본넷트의 격막 협지부의 외방하면에 형성된 만곡면에 밀접하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제조시에 밸브본체(4)와 본넷트(5)의 위치 모음을 지극히 용이하고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구성에 빗나감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발명에 관한 유체제어기(1)에서 격막(6)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조작기구(7)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콤프레서를 사용하는 공압작동식으로 하여도 좋고, 도 11 및 도 21에 나타난 것처럼 수동조작식의 것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한 다른 공지의 조작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