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260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260B1
KR100555260B1 KR1020040079310A KR20040079310A KR100555260B1 KR 100555260 B1 KR100555260 B1 KR 100555260B1 KR 1020040079310 A KR1020040079310 A KR 1020040079310A KR 20040079310 A KR20040079310 A KR 20040079310A KR 100555260 B1 KR100555260 B1 KR 10055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radiator
air
rectifying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814A (ko
Inventor
오베미쯔히꼬
아사다아끼히로
고바야시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9672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01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622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01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62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01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5009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 F01P2070/52Details mounting heat-exchangers

Abstract

주행차체(7)와, 상기 주행차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엔진룸(E)을 덮는 동시에, 다수의 제1 통기 구멍(101)이 형성된 전방면부와 다수의 제2 통기 구멍(102)이 각각 형성된 좌우 측면부를 갖는 본네트(14)와, 상기 본네트 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20)를 구비한 작업차이며, 이 라디에이터를 향해 상기 제1 통기 구멍 및 제2 통기 구멍으로부터 외기가 흡입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기 구멍(102)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각 측면부의 개공율이 상기 제1 통기 구멍(10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전방면부의 개공율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주행차체, 엔진룸, 본네트, 라디에이터, 작업차, 공랭 보조 기기

Description

작업차 {WORK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차의 좌측면 개략도이며, 작업차의 일예로서 트랙터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네트 내의 공랭 보조 기기의 배치도.
도3은 콘덴서 및 우측의 정류판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4는 본네트 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5는 본네트 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6은 구획 프레임 근방의 정면 개략도.
도7은 본네트 본체의 측면도.
도8은 본네트 본체의 정면도.
도9는 도8의 Ⅸ-Ⅸ선 단면도.
도10은 도8의 X-X선 단면도.
도11은 전방부 그릴 부재의 정면도.
도12는 전방부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13은 전방부 그릴 부재의 측면도.
도14는 전방부 그릴 부재의 바닥면도.
도15는 측부 그릴 부재의 측면도.
도16은 측부 그릴 부재의 정면도.
도17은 측부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18은 하부 그릴 부재의 정면도.
도19는 하부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20은 하부 그릴 부재의 측면도.
도21은 하부 그릴 부재의 바닥면도.
도22는 전방부 그릴 부재 또는 하부 그릴 부재의 통기 구멍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23은 측부 그릴 부재의 통기 구멍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도23의 측부 그릴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도23의 측부 그릴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본네트 내에 배치되는 주요 부재를 분해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27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네트 내부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8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네트 내부 배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29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시버 부근을 도시하는 정면 개략도.
도3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본네트 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31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덴서의 좌측의 정면 개략도.
도3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본네트 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정류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도면이며, 본네트 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랙터
5 : 엔진
7 : 주행차체
8 : 캐빈
11 : 지지 부재
14 : 본네트
15 : 피봇 부재
20 : 라디에이터
21 : 인터 쿨러
22 : 오일 쿨러
23 : 콘덴서
24 : 리시버
25 : 배터리
26 : 구획 프레임
E : 엔진룸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차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엔진룸을 덮는 본네트를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 등의 작업차에는 본네트 내에 라디에이터가 설치되고, 본네트의 좌우 측면부 및 전방면부에 각각 다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통기 구멍을 통해 본네트의 좌우 측면부 및 전방면부로부터 상기 라디에이터를 향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본네트 구조에서는 본네트의 각 측면부와 전방면부 사이에서 개공율(삽통 구멍 형성 부분의, 단위 면적에 대한 구멍 형성 면적의 비율)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네트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각 통기 구멍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배치 밀도(단위 면적당의 통기 구멍의 개수)도 동일하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개공율이 그릴 부재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게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2002-192961호 공보 참조).
그러나, 본네트 내의 라디에이터는, 본네트의 좌우 측면부에 대해서는 근처에 있고, 본네트의 전방면부에 대해서는 먼 쪽에 위치하므로, 본네트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의 쪽이 본네트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으 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에 비해 강해진다. 이로 인해, 본네트의 측면부측으로부터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이 강해지므로, 본네트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에 풀이나 벌레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생기기 쉬워져 본네트 내의 엔진 등에의 냉각풍이 부족해, 엔진의 오버히트나 에어컨의 냉각 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본네트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이 막힘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주행차체와,
상기 주행차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엔진룸을 덮는 본네트와,
상기 본네트 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네트는 다수의 제1 통기 구멍이 형성된 전방면부와, 다수의 제2 통기 구멍이 각각 형성된 좌우 측면부를 갖고,
상기 라디에이터를 향해 상기 제1 통기 구멍 및 제2 통기 구멍으로부터 외기가 흡입되며,
상기 제2 통기 구멍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각 측면부의 개공율이 상기 제1 통기 구멍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전방면부의 개공율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양 개공율에 차이를 부여함으로써, 본네트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이 본네트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으로부 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에 가까운 것이 되어 본네트의 측면부측으로부터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이 종래 구조의 것보다도 약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되는 외기의 풍속이 대략 균일화되므로, 본네트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에 풀이나 벌레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네트 내의 엔진 등으로의 냉각풍이 부족해, 엔진의 오버히트나 에어컨의 냉각 불량을 일으키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양 개공율에 차이를 부여하기 위해,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측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통기 구멍의 배치 밀도가 상기 전방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기 구멍의 배치 밀도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제1 통기 구멍이 각 제2 통기 구멍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통기 구멍이 상기 전방면부에 설치한 제1 그릴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 구멍이 상기 각 측면부에 각각 설치한 제2 그릴 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 그릴 부재를, 예를 들어 철망, 펀칭 메탈 또는 다공의 합성 수지판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개공율을 갖는 통기 구멍을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방측에 적어도 1개의 공랭 보조 기기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라디에이터의 좌우측부에 이 라디에이터의 측방으로부터 흡입된 외기 를 상기 공랭 보조 기기에 작용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엔진룸의 측부 공간으로부터 라디에이터로 들어가고자 하는 공기는 정류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한편, 라디에이터의 전방으로부터는 공기가 원활하게 취입된다. 따라서,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되는 외기의 풍속의 균일화가 조장되므로, 본네트의 측면부의 통기 구멍의 막힘 발생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본네트 구조에서는 라디에이터의 전방으로부터의 공기 취입량이 부족한 것에 기인하여 콘덴서, 오일 쿨러, 인터 쿨러 등의 공랭 보조 기기의 냉각을 충분히 행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정류 부재에 의해 라디에이터의 측방으로부터 라디에이터로 들어가고자 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켜 그 공기를 정류 부재의 전방으로 우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 우회시킨 공기를 라디에이터의 전방으로부터 취입하여 공랭 보조 기기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네트 내의 엔진 등에의 냉각풍이 부족해, 엔진의 오버히트나 에어컨의 냉각 불량을 일으키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다가 상기 정류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주행차체의 전방 차축 프레임에, 종축 주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개폐 가능한 정류 부재를 개방 자세로 함으로써 엔진룸 내의 메인터넌스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정류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주행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해도 그 정류 부재를 인출함으로써 엔진룸 내의 메인터넌스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 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공랭 보조 기기에 상기 개폐 가능한 정류 부재에 있어서의 자유단부의 상하 중도부를 외측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가 설치된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개폐 가능한 정류 부재와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 사이에 이 정류 부재의 전단부측을 폐쇄 자세로 지지하는 폐쇄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폐쇄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 설치된 결합 부재와, 상기 정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 가능한 클립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적합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작업차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 방향(도1에 있어서 종이면 관통 방향)을 횡방향이라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에 있어서, 작업차의 일예인 트랙터(1)는 조타 및 보조 주행 구동에 이용되는 좌우 한 쌍의 전륜(2)과, 주행 구동에 이용되는 좌우 한 쌍의 후륜(3)을 구비하고, 엔진(5)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또한, 상기 트랙터(1)는 절환 수단에 의해 2륜 구동(후륜 구동)과 4륜 구동(전ㆍ후륜 구동)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엔진(5), 미션 케이스(6) 등에 의해 주행차체(7)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행차체(7)의 후방부에는 운전석 및 조종부를 내포한 독립 탑재형의 캐빈(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차체(7)의 전방부에는 엔진(5) 및 좌우 한 쌍의 전륜(2)의 차축을 지지하는 전방 차축 프레임(1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10)의 상방은 금속판 또는 수지를 박스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본네트(14)에 의해 덮여 있고, 이에 의해 캐빈(8)의 전방에는 본네트(14)에 의해 덮인 엔진룸(E)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10)은,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5)의 하부로부터 좌우 한 쌍의 전륜(2)보다도 전방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11, 11)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11, 11)의 상부에 배치된 평판형의 부착 플레이트(12)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12)를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11, 11)에 연결하는 복수의 블래킷(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4)의 후방 상부는 캐빈(8)의 구획벽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피봇 부재(15)를 거쳐서 캐빈(8)의 구획벽의 전방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본네트(14)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개방 자세에 있어서는 엔진룸(E)을 전체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본네트(14)의 전방부에는 전방면 그릴 부재(제1 그릴 부재에 상당)(82)가 형성되고, 본네트(14)의 좌우측부에는 측면 그릴 부재(제2 그릴 부재에 상 당)(8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 그릴 부재(83)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라디에이터(20)의 전방부에 직렬로 배치된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콘덴서(23), 리시버(24) 등의 공랭 보조 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룸(E) 내에 있어서는 라디에이터(20)의 전방에 엔진(5)에의 흡기 냉각용 인터 쿨러(21)가 배치되고, 상기 인터 쿨러(21)의 전방에 오일 쿨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쿨러(22)의 전방에는 캐빈(8)의 내부에 배치된 냉난방 에어컨의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23)가 배치되고, 상기 콘덴서(23)의 좌측부에 리시버(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23)의 전방에 배터리(25)가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25)의 상부에 에어 클리너(27)가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0)는 엔진(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전방측으로부터 공기를 취입하여 후방의 엔진(5)으로 냉각풍을 이송하는 전방 흡입식을 채용하고 있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전방 차축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11, 11)에 블래킷(13a)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0)는 그 후방에 통형의 풍동(19)과 라디에이터 팬(20a)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엔진(5)을 거쳐서 구동되는 벨트 전동 수단에 의해 라디에이터 팬(20a)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라디에이터(20)는 도2에 도시하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 및 측면부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외기를 흡입하고, 이에 의해 엔진룸(E)의 내부에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또한,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0)의 전방면의 외부 모 서리부는 본네트(14)의 내면의 근방까지 신장하는 평판형의 구획 프레임(26)에 덮이고, 상기 구획 프레임(26)의 외부 모서리에는 탄성 수지제의 웨더스트립(28)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웨더스트립(28)이 폐쇄 자세의 본네트(14)의 내면에 배치된 문형 프레임(16)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문형 프레임(16)과 구획 프레임(26) 사이의 밀봉이 실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룸(E)은 구획 프레임(26)을 경계로 하여 배터리(25), 콘덴서(23), 오일 쿨러(22), 인터 쿨러(21) 등을 구비한 엔진룸 전방부와, 라디에이터(20), 라디에이터 팬(20a), 엔진(5) 등을 구비한 엔진룸 후방부로 구획되게 되어 라디에이터 팬(20a)에 의해 라디에이터(20)의 후방으로 송풍된 공기가 엔진룸 전방부로 유입되는 일은 없고, 상기 공기가 다시 라디에이터(20)에 취입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및 콘덴서(23)는 공랭을 필요로 하는 공랭 기기로,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및 콘덴서(23)는 라디에이터(20)의 전방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 부재(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 부재(30)는 좌우 한 쌍의 지주(31, 31)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주(31, 3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평판형의 바닥판(32)과, 상단부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33)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 부재(33)에는 인터 쿨러(21) 및 오일 쿨러(22)의 상단부면을 덮어 라디에이터(20)로 신장하는 프레임 부재(3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34)에 형성된 두갈래형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블래킷 (34a, 34a)의 선단부는 체결 부재를 거쳐서 라디에이터(20)의 상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인터 쿨러 부착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 쿨러 부착부(35)는 좌우 한 쌍의 지주(31, 31) 사이를 신장하는 상하 한 쌍의 연결 바아(36, 36)와, 연결 바아(36)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신장하는 스테이(37)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 한 쌍의 연결 바아(36, 36)의 각 스테이(37)에 인터 쿨러(21)의 상하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인터 쿨러 부착부(35)의 상측의 연결 바아(36)의 하방에는 상기 연결 바아(36)와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지주(31, 31)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8)가 걸쳐져 있고, 상기 연결 부재(38)와 상기 하측의 연결 바아(36)에는 인터 쿨러(21)를 향해 신장하는 오일 쿨러 부착 블래킷(39)이 각각 배치되어 상하 한 쌍의 오일 쿨러 부착 블래킷(39, 39)에 오일 쿨러(22)의 상하단부를 각각 연결함으로써 오일 쿨러(22)는 인터 쿨러(21)의 전방에서 지지 프레임 부재(3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전방부에는 콘덴서 부착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덴서 부착부(40)는 바닥판(32)의 상면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는 단면 원형의 바(41)와, 좌우 한 쌍의 지주(31, 31)의 중앙부에 걸쳐진 측면으로부터 보아 U자형의 레일(42)과, 상기 레일(42)의 좌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신장하는 설부재(4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설부재(43)에는 좌측단부 모서리로부터 중앙에 걸쳐서 절결된 절결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23)는 평판형의 콘덴서 본체(51)와, 상기 콘덴서 본체(51)의 전방면 을 덮는 네트(52)와, 상기 네트(52) 및 콘덴서 본체(51)의 상하단부 및 측부를 포위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53)는 상기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콘덴서 부착부(40)의 바(41) 상에 적재되는 직사각 형상의 하부 프레임(54)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측프레임(55)을 각각 기립시키고, 좌우 한 쌍의 측프레임(55, 55)의 상단부를 직사각형의 상부 프레임(56)으로 연결함으로써 정면으로부터 보아 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53)의 좌측 측프레임(55)에는 통형의 리시버 부착 부재(57)가 체결 부재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리시버 부착 부재(57)에 리시버(24)를 부착함으로써 리시버(24)는 콘덴서(23)의 좌측 후방부에 지지된다. 또한, 리시버(24)는 금속제의 호스(24a)를 거쳐서 콘덴서 본체(51)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리시버(24) 내의 냉매를 콘덴서 본체(51) 내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53)의 하부 프레임(54)의 하면에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L자형의 앵글 부재(54a)가 상기 하부 프레임(54)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부착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53)의 상부 프레임(56)에는 그 후방단부를 상방을 향해 굴곡시켜 형성되는 평판형의 돌기 부재(56a)가 형성되는 동시에, 좌측단부의 상면에는 나비 나사(58)를 나사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나사부(5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23)는 프레임 부재(53)의 하부 프레임(54)의 하면 및 앵글 부재(54a)의 돌출부를 상기 바(41)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프레임 부재(53)의 상부 프레임(56)의 돌기 부재(56a)를 상기 레일(4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상 태에서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콘덴서 부착부(40)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콘덴서(23)는 레일(42) 및 바(41)에 따라서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 부재(30)에 지지되게 되고, 콘덴서 부착부(40)의 설부재(43)의 절결부(43a)에 콘덴서(23)의 프레임 부재(53)의 상부 프레임(56)에 형성된 나사부(56b)를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나비 나사(58)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설부재(43)는 나비 나사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 체결되고, 이에 의해 콘덴서(23)는 엔진룸(E) 내에서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전방에 지지된다.
또한, 나비 나사(58)를 풀어 상기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콘덴서(23)는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 상태가 되고, 도3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23) 및 리시버(24)를 엔진룸(E)의 외측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프레임 부재(30)에 지지된 콘덴서(23)(공랭 기기)와 라디에이터(20) 사이에는 이들 콘덴서(23)와 라디에이터(20)의 대향면 사이의 측방을 폐쇄하여 상기 측방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규제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정류 부재의 일예)(61, 62)이 배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판재를 굴곡시켜 형성한 것이고, 좌측의 정류판(61)은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0)를 향하는 것에 따라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전단부가 콘덴서(23)의 프레임 부재(53)의 좌측의 측프레임(55)에 고정 부재를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의 정류판(61)은 콘덴서(23)와 함께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좌우 일방향(좌측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고, 콘덴서(23)를 인출함으로써 상기 대향면 사이의 좌측의 폐쇄 상태는 해제된다.
또한, 좌측의 정류판(61)의 후단부에는 웨더스트립(61a)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웨더스트립(61a)은 콘덴서(23)를 지지 프레임 부재(30) 전방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 프레임(26)의 전방면에 고정된 종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사각형의 앵글 부재(26a)의 선단부와 접촉하고 있고, 이에 의해 좌측의 정류판(61)과 앵글 부재(26a) 사이의 밀봉이 실시되게 된다.
우측의 정류판(62)은,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향면 사이의 우측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단부가 지지 프레임 부재(3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전후 중도부가 상기 대향면 사이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고, 후단부가 라디에이터(20)의 우측 모서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여 구획 프레임(26)에 근접하고 있다.
상기 우측의 정류판(62)의 후단부에는 동일 축심을 갖는 상하 한 쌍의 피봇 핀(종축)(63, 63)이 정류판(62)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도5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피봇 핀(63)은 상기 구획 프레임(26)에 체결 부재를 거쳐서 고정된 블래킷(26b)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하측의 피봇 핀(63)은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10)의 부착 플레이트(12)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의 정류판(62)은 라디에이터(20)의 외부 모서리를 덮는 구획 프레임(26)의 근방에서 상하 한 쌍의 피봇 핀(63, 63)에 의해 형성되는 종축 주위에 피봇되게 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의 정류판(62)의 전단부측을 콘덴서(23)의 측방에 지지하여 상기 대향면 사이의 우측을 폐쇄한 폐쇄 자세로부터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단부측을 엔진룸(E)의 외측으로 개방하여 상기 대향면 사이를 개방한 개방 자세 사이에서 그 자세를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정류판(62)과 전방 차축 프레임(10) 사이에는 상기 우측의 정류판(62)을 상기 폐쇄 자세로 지지하는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은 전방 차축 프레임(10)의 부착 플레이트(12)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폴을 굴곡시켜 형성되는 결합 부재(71)와, 우측의 정류판(62)의 내면에 고정 부재를 거쳐서 부착되어 상기 결합 부재(71)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립 부재(7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립 부재(72)를 결합 부재(71)에 결합시킴으로써 우측의 정류판(62)은 상기 폐쇄 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클립 부재(72)와 결합 부재(71)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우측의 정류판(62)은 요동 가능 상태가 된다.
도1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네트(14)는 천정판부와 전방면부와 좌우 한 쌍의 측면부를 갖는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네트(14)는 본네트 본체(81)와, 그 내부에 배치된 도시를 생략한 골조와, 본네트(14)의 전방면부에 설치한 전방부 그릴 부재(제1 그릴 부재에 상당)(82)와,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측부 그릴 부재(제2 그릴 부재에 상당)(83)와, 본네트(14)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그릴 부재(제1 그릴 부재에 상당)(84)를 갖고 있다.
본네트 본체(81)는 판금 또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 본체(81)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에는 공기 취입용 전방부 개구(86)와 좌우 한 쌍의 측부 개구(87)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개구(86)는 본 네트(14)의 측면부의 전단부 사이에 걸쳐져 있다. 전방부 개구(86) 및 측부 개구(87)의 하방에는 길고 가는 하부 개구(88)가 형성되어 있다. 본네트 본체(81)의 전방부 개구(86)와 하부 개구(88) 사이에는 헤드 램프 등을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본네트 본체(81)에는 측부 개구(87)의 상하의 개구 모서리부로부터 후단부측의 개구 모서리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 내측으로 몰입한 부착 오목부(91)가 마련되고, 이 부착 오목부(91)에는 복수의 부착 구멍(9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방부 개구(86)의 상하의 개구 모서리부에는 내측으로 몰입한 부착 오목부(93)가 마련되고, 좌우의 측부 개구(87)와 전방부 개구(86)의 경계 부분에는 종방향의 부착 프레임부(94)가 설치되고, 이 부착 프레임부(94)에는 부착 구멍(96a, 96b)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개구(88)의 외주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 개구(88)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몰입한 부착 오목부(95)가 마련되어 있다.
도11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그릴 부재(82)는 철망, 펀칭 메탈 또는 다공의 합성 수지판 등으로 구성되어 좌우 양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역ㄷ자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외주에 후방 또는 좌우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 절곡 모서리부(97a), 하부 절곡 모서리부(97b), 좌우 외측 절곡 모서리부(97c)가 설치되고, 이들 절곡 모서리부(97a, 97b, 97c)에 부착 부재(98a, 98b, 98c)가 돌출 설치되고, 이들 부착 부재(98a, 98b, 98c) 및 부착 구멍(96a) 등을 거쳐서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본네트 본체(81)의 개구 모서리부[부착 오목부(93), 부착 프레임부(94) 등]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전방부 그릴 부재(82)는 전방부 개구(86)를 막도록 본네트 본체(81)에 부착되고,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전방면 및 외측면은 본네트 본체(81)의 전방면 및 외측면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상하 방향 중도부에는 내측에 원호형으로 오목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리브(100)가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절곡 모서리부(97a, 97b, 97c) 및 리브(100)를 제외한 대략 전체면이 통기 구멍 형성 부분이 되고, 여기에 다수의 통기 구멍(제1 통기 구멍의 일예)(1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다수의 통기 구멍(101)을 통해 본네트(14)의 전방면부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그릴 부재(83)는 철망, 펀칭 메탈 또는 다공의 합성 수지판 등으로 구성되어 측부 개구부(87)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 그릴 부재(83)의 외주에 후방 또는 좌우 방향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 모서리부(103a, 103b, 103c)가 설치되고, 측부 그릴 부재(83)의 절곡 모서리부(103b) 또는 외주부에 부착 부재(104a, 104b)가 설치되고, 이들 부착 부재(104a, 104b) 및 부착 구멍(92, 96b)을 거쳐서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본네트 본체(81)의 측부 개구(87)의 개구 모서리부[부착 오목부(91) 및 부착 프레임부(94)]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측부 그릴 부재(83)는 본네트 본체(81)의 측부 개구(87)를 막도록 본네트 본체(81)에 부착되고, 측부 그릴 부재(83)의 외측면은 본네트 본체(81)의 외측면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측부 그릴 부재(83)의 상하 방향 중도부에는 내측에 원호형으로 오목한 전후 방향의 리브(106)가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측부 그릴 부재(83)의 절곡 모서리부(103a, 103b, 103c) 및 리브(106)를 제외한 전체면이 통기 구멍 형성 부분이 되고, 여기에 다수의 통기 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측부 그릴 부재(83)의 다수의 통기 구멍(101)을 통해 본네트(14)의 측면으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8 내지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그릴 부재(84)는 좌우 양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역ㄷ자형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상단부, 하단부 및 좌우 외측단부)에 후방 또는 좌우 방향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 모서리부(상부 절곡 모서리부, 하부 절곡 모서리부, 좌우 외측 절곡 모서리부)(109a, 109b, 109c)가 설치되고, 하부 그릴 부재(84)의 절곡 모서리부(109b) 또는 절곡 모서리부(109a)에 부착 부재(110a, 110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그릴 부재(82)는 부착 부재(110a, 110b)를 거쳐서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본네트 본체(81)의 부착 오목부(95) 등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하부 그릴 부재(84)는 본네트 본체(81)의 하부 개구(88)를 막도록 본네트 본체(81)에 부착되고, 하부 그릴 부재(84)의 전방면 및 외측면은 본네트 본체(81)의 전방면 및 외측면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하부 그릴 부재(84)의 절곡 모서리부(109a, 109b, 109c)를 제외한 전체면이 통기 구멍 형성 부분이 되고, 여기에 다수의 통기 구멍(101)(제1 통기 구멍에 상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그릴 부재(84)의 다수의 통기 구멍(101)을 통해 본네트(14)의 전단부측 하단부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통기 구멍(제1 통기 구멍에 상당)(101)은 직경 1.5 ㎜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고, 통기 구멍(101) 사이의 피치가 2.0 ㎜로 설정되어 있다. 하부 그릴 부재(84)의 통기 구멍(101)도 전방부 그릴 부재(82)와 마찬가지로 직경 1.5 ㎜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고, 통기 구멍(101) 사이의 피치가 2.0 ㎜로 설정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그릴 부재(83)의 통기 구멍(102)(제2 통기 구멍에 상당)은 직경 1.5 ㎜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고, 통기 구멍(102) 사이의 피치가 2.3 ㎜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본네트의 각 측면부와 전방면부 사이에서 개공율(삽통 구멍 형성 부분의 단위 면적에 대한 구멍 형성 면적의 비율)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즉, 그릴 부재(82, 83, 84)의 위치에 따라서 통기 구멍(101, 102)의 배치 밀도(단위 면적당의 통기 구멍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이 균일화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본네트(14) 내의 라디에이터(20)는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의 근처에 있고, 본네트(14)의 전방면부에 대해 먼 곳에 위치하므로, 정류판(61, 62)이 있어도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이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 및 전단부 하부측의 통기 구멍(101)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에 비해 강해진다. 이로 인해, 통기 구멍의 크기를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상태에서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의 배치 밀도(단위 면적당의 통기 구멍의 개수) 를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 및 전단부 하부측의 통기 구멍(101)의 배치 밀도에 비해 작게 하고,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을 균일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이 전방면부측에 비해 통기 구멍 형성 부분(범위)에 대한 통기 구멍(101)의 형성 면적의 비율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라디에이터(20)와 콘덴서(23)의 대향면 사이의 측방을 폐쇄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을 엔진룸(E)에 배치한 것에 의해, 상기 대향면 사이의 좌우측으로부터 라디에이터(20)로 취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에 충돌함으로써 그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콘덴서(23)의 전방으로 우회한다.
따라서, 본네트(14)의 측부 그릴 부재(83)로부터 라디에이터(20)의 전방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콘덴서(23)의 전방으로부터 취입되게 되고, 이에 의해 라디에이터(20)는 물론, 상기 라디에이터(20)의 전방부에 직렬로 배치된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콘덴서(23) 등의 공랭 보조 기기도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에 의해 라디에이터(20)의 좌우측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입이 억제되므로, 본네트(14)의 측부 그릴 부재(83)로부터 취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되어 측부 그릴 부재(83)의 그릴면의 벌레나 먼지 등의 부착이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감소된다.
또한, 라디에이터(20),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등의 정비 점검을 행 하는 경우, 우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4)를 폐쇄 자세로부터 개방 자세로 설정하여 엔진룸(E)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전방에 지지된 콘덴서(23)의 상부 프레임(56)의 나사부(56b)에 나사 결합된 나비 나사(58)를 풀어 나비 나사(58)와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콘덴서 부착부(40)의 설부재(43)와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콘덴서(23)는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도3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23)를 전방 차축 프레임(10)의 좌측으로 인출함으로써 콘덴서(23) 및 리시버(24)를 엔진룸(E)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콘덴서(23)의 배면과 대향하고 있던 오일 쿨러(22)의 전방면이 노출된다.
또한, 콘덴서(23)를 인출함으로써 좌측의 정류판(61)이 콘덴서(23)와 함께 엔진룸(E)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대향면 사이의 좌측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인터 쿨러(21) 및 오일 쿨러(22)의 좌측면이 노출된다.
또한, 우측의 정류판(62)의 클립 부재(72)를 결합 부재(71)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우측의 정류판(62)의 폐쇄 자세는 해제되고, 도2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정류판(62)을 폐쇄 자세로부터 개방 자세까지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대향면 사이의 우측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인터 쿨러(21) 및 오일 쿨러(22)의 우측면이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의 정류판(61)을 콘덴서(23)와 함께 엔진룸(E)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동시에, 우측의 정류판 (62)을 폐쇄 자세로부터 요동시켜 엔진룸(E)의 외측으로 개방하는 용이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인터 쿨러(21) 및 오일 쿨러(22)의 양측부 및 전방부는 노출되고, 작업자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을 제거하는 일 없이 오일 쿨러(22) 및 인터 쿨러(21)의 정비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라디에이터(20)의 전방부에 방충망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방충망의 교체나 메인터넌스가 쉽게 가능해진다.
또한, 우측의 정류판(62)의 전단부측은 상술한 폐쇄 자세 결정적 수단(70)을 거쳐서 폐쇄 자세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거식 체결 부재 등에 의해 상기 우측의 정류판(62)을 폐쇄 자세로 지지할 필요는 없고, 또한 상기 폐쇄 자세를 해제하기 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우측의 정류판(62)이 상기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에 의해 폐쇄 위치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취입된 공기의 풍압에 의한 상기 우측의 정류판(62)의 진동이나 요동은 억제되고, 상기 진동에 의한 소리의 발생이나 상기 우측의 정류판(62)의 덜걱거림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다수의 통기 구멍(101) 및 측부 그릴 부재(83)의 다수의 통기 구멍(102)을 통해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 및 전방면부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외기가 흡입된다. 또한, 하부 그릴 부재(84)의 다수의 통기 구멍(101)을 통해 본네트(14)의 전단부측 하부로부터 라디에이터(20)를 향해 외기가 흡입된다. 이 때, 본네트(14) 내의 라디에이터(20)는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의 근처에 있고, 본네트(14)의 전방면부에 대해 먼 곳에 위치하므로,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이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 및 전단부측 하부의 통기 구멍 (101)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힘에 비해 강해지지만, 측부 그릴 부재(83)의 통기 구멍(102)의 배치 밀도를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통기 구멍(101)의 배치 밀도 및 하부 그릴 부재(84)의 배치 밀도에 비해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이 균일화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본네트(14)의 측면부측으로부터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이 강해지는 일은 없어져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에 풀이나 벌레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통기 구멍(102)의 막힘에 의해 본네트(14) 내의 엔진(16) 등에의 냉각풍이 부족하지 않게 되어 엔진(16)의 오버히트나 에어컨의 냉각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네트(14)의 측면부에 대해서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 구멍의 크기를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로 하고,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을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 및 전단부 하부측의 통기 구멍(101)에 비해 배치 밀도(단위 면적당의 통기 구멍의 개수)를 작게 하고 있다.
이것 대신에,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을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 및 전단부 하부측의 통기 구멍(101)에 비해 작게 형성하고, 이에 의해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을 전방면부측에 비해 통기 구멍 형성 부분(범위)에 대한 통기 구멍의 형성 면적의 비율을 작게 해도 좋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그릴 부재(83)의 통기 구멍(102)(제2 통기 구멍에 상당)은 도22에 도시하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 및 전단부 하부측의 각 통기 구멍(제1 통기 구멍에 상당)(101)의 직경 1.5 ㎜에 비해 절반인 직경 0.75 ㎜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102) 사이의 피치에 대해서는 전방면부측 및 전단부 하부측의 각 통기 구멍(101)의 피치와 동일하게 2.0 ㎜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을 균일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또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의 배치 밀도(단위 면적당의 통기 구멍의 개수)를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의 배치 밀도 및 전단부 하부측의 통기 구멍(101)의 배치 밀도에 비해 작게 하고, 또한 본네트(14)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의 크기를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 및 전단부 하부측의 통기 구멍(101)에 비해 작게 하고, 이에 의해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을 균일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그릴 부재(83)의 통기 구멍(102)(제2 통기 구멍에 상당)은 도22에 도시하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 및 전단부 하부측의 각 통기 구멍(제1 통기 구멍에 상당)(101)의 직경 1.5 ㎜에 비해 절반인 직경 0.75 ㎜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부 그릴 부재(83)의 통기 구멍(102)(제2 통기 구멍에 상당) 사이의 피치가 도22에 도시하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 및 전단부 하부측의 각 통기 구멍(제1 통기 구멍에 상당)(101)의 피치 2.0 ㎜에 비해 큰 2.3 ㎜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을 균일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
또한, 정류판에 대해서도 이하의 변형예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들 변형예를 제4 실시 형태 내지 제7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다.
도26 내지 도29를 참조하면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콘덴서(23), 리시버(24) 등의 공랭 보조 기기는 라디에이터(20)의 전방측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의해 전방 차축 프레임(10) 상에, 또한 측면 그릴 부재(83)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차축 프레임(10)은 지지 프레임 부재(124)나 지지 프레임 부재(124)의 전방측에 설치된 배터리(25) 등을 부착하는 부착 플레이트(127)를 갖고 있다. 라디에이터(20)는 엔진(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도1 참조), 전방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의 엔진(5)으로 냉각풍을 이송하는 전방 흡입식을 채용하고 있고, 그 하부가 전방 차축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0)의 전방부에는 그 전방면을 덮도록 직사각형의 방충망(130)이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거쳐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20)의 전방측 상부에는 부착 부재(132)가 설치되고, 이 부착 부재(132)에는 밀봉 재(1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밀봉재(133)는 그 전방측에 설치되어 본네트(14)에 부착된 문형 프레임(16)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문형 프레임(16)과 라디에이터(20) 사이는 밀봉재(133)로 밀봉되어 라디에이터 팬(20a)에 의해 엔진(5)측으로 송풍된 바람이 라디에이터(20)의 전방측으로 복귀되고, 다시 라디에이터(20)로부터 흡입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덴서(23)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콘덴서 본체(51)를 프레임 부재(53)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콘덴서 본체(51)의 전방면은 네트(52)로 덮인다.
이 프레임 부재(53)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 상에 적재되는 직사각형의 하부 부재(139)로부터 좌우 한 쌍의 기립 부재(140)를 기립시키고, 그 기립 부재(140)의 상단부를 상부 부재(141)로 연결함으로써 정면으로부터 보아 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141)의 좌우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나사부(142)가 설치되어 있다.
기립 부재(140)에는 리시버(24)를 부착하는 리시버 부착부(143)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 부재를 거쳐서 통형의 리시버 부착 금속 부재(144)를 부착함으로써 리시버(24)를 콘덴서(23)의 후방부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와 라디에이터(20)의 전후 사이이고 또한 라디에이터(20)의 좌우측부에는 라디에이터(20)의 전방의 좌우측부 공간을 폐쇄하여 라디에이터(20)의 측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규제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정류판은 판형 부재를 굴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각 정 류판의 전방부는 지지 프레임 부재(30)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여 그 전후 중도부로부터 라디에이터(20)로 감에 따라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각 정류판의 후방부는 라디에이터(20)의 전방측에서 라디에이터(20)의 좌우측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여 라디에이터(20)에 근접하고 있다.
좌측의 정류판(61)에 있어서는 그 후방측 하부(라디에이터측의 하단부)에 피봇 핀(63)(종축)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피봇 핀(63)을 전방 차축 프레임(10)의 부착 플레이트(12)에 삽입함으로써 정류판(61)의 후방부가 종축 주위에 피봇되어 측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우측의 정류판(62)은 그 후방부가 부착 플레이트(12)나 문형 프레임(16) 등에 고정되어 있고, 좌우 방향 개폐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는 부착 플레이트(12)에 부착되는 판형의 베이스부(150)로부터 상방으로 좌우 한 쌍의 지주(151)를 기립시키고, 이 지주(151)에 라디에이터(20)나 각 공랭 보조 기기를 부착하는 복수의 부착부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의 부착 플레이트(12) 상에는 콘덴서(23)의 후방부와 접촉하는 막대형의 접촉부(153)가 설치되어 있다.
정류판(61)의 전방측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와 계지하는 상부 피계지부(1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피계지부(148)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설치된 상부 계지부(155)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의 지주(151)의 좌우 일측에 설치된 이 상부 계지부(155)는 지주(151)의 상하 중도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중도부에서 후방으로 굴곡되어 이 굴곡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정류판(61)의 전방측 하부에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와 계지하는 하부 피계지부(149)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피계지부(149)는 정류판(61)의 하부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굴곡되어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설치된 하부 계지부(156)에 결합하는 계지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150)에 설치된 이 하부 계지부(156)는 정류판(61)의 하부 피계지부(149)가 삽입되는 걸림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설치되어 라디에이터(20)의 상부를 부착하는 라디에이터 부착부(152a)는 지주(15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라디에이터 부착부(152a)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후방부측에서 좌우로 두갈래형으로 분기하고, 후방부에 라디에이터(20)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설치되어 인터 쿨러(21)의 상하부를 부착하는 상하 한 쌍의 인터 쿨러 부착부(152b)는 라디에이터 부착부(152a)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인터 쿨러 부착부(152b)는 지주(151)를 상하 중도부에서 좌우로 연결하는 상하 한 쌍의 연결 바아(158)에 설치되어 있다. 이 인터 쿨러 부착부(152b)는 연결 바아(15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인터 쿨러(21)를 라디에이터(20)의 전방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오일 쿨러(22)도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부착부가 연결 바아(15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오일 쿨러(22)를 인터 쿨러(21)의 전방측에서 지주(15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설치되어 콘덴서(23)의 상부를 부착하는 콘덴서 부착부(152d)는 상하 한 쌍의 연결 바아(15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콘덴서 부착부(152d)의 좌우 일측에는 부착 프레임(137)의 상부 부재(141)가 하측으로부터 접촉하는 블래킷(15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블래킷(159)은 지주(151)보다도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블래킷(159)의 좌우측부에는 콘덴서(23)의 상부 부재(141)에 설치된 나사부(142)를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삽입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착 프레임(137)의 하부 부재(139)를 부착 플레이트(127)의 전방부에 적재하는 동시에, 하부 부재(139)의 후방부를 지지 프레임 부재(124)의 접촉부(153)에 접촉하고, 상부 부재(141)의 나사부(142)를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블래킷(159)의 삽입부에 삽입하고, 이 나사부(142)를 그 상단부에 설치한 나비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콘덴서(23)는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부착된다. 또한, 이 나비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부착 프레임(137)은 좌우 일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콘덴서(23) 및 리시버(24)를 본네트(14)의 외측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 부착 프레임(137)을 거쳐서 리시버(24)를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부착하였을 때에는, 리시버(24)를 부착하고 있는 리시버 부착 금속 부재(144)는 지주(151)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정류판(61)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이 정류판(61)을 좌우 외측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정류판(61)이 압박되는 압박 부분[정류판(61)과 리시버 부착 금속 부재(144) 사이]에는 고무 등의 쿠 션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리시버 부착 금속 부재(144)의 외주면에는 정류판(61)의 상하 중도부를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정류판(61)을 폐쇄하면 정류판(61)의 상하 피계지부(148, 149)가 지지 프레임 부재(124)의 상부 계지부(155), 하부 계지부(156)에 계지하고, 정류판(61)의 내측이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접촉한다. 그리고, 부착 프레임(137)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장착하면 리시버(24)의 압박부(162)로 정류판(61)의 전방부를 외측으로부터 압박할 수 있다. 이 때, 정류판(61)의 전방부가 압박되면 전방부가 내측으로 약간 휘어지므로, 정류판(61)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디에이터(20) 전방의 좌우의 측부 공간을 폐쇄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을 설치한 것으로, 지지 프레임 부재(124)와 라디에이터(20) 사이의 좌우측으로부터 라디에이터(20)로 들어가고자 하는 공기는 이 정류판(61, 62)에 의해 규제할 수 있어 라디에이터(20)의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원활하게 취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프레임 부재(124)와 라디에이터(20) 사이의 좌우측으로부터 라디에이터(20)로 들어가고자 하는 공기는 정류판(61, 62)에 있어서 그 유속이 감소되어 정류판(61, 62)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라디에이터(20)의 전방으로 우회한다.
따라서, 라디에이터(20)의 측방으로부터의 공기를 라디에이터(2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콘덴서(23) 등의 공랭 보조 기기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20)의 좌우측으로부터의 공기가 억제되므로, 본네트의 측부에 설치한 측면 그릴 부재(83)로부터 취입되는 외기의 유속이 감소된다. 이로부터, 측면 그릴 부재(83)가 벌레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빠른 시기에 막히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 쪽 정류판(61)을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정류판(61)을 개방 자세로 하면, 오일 쿨러(22), 인터 쿨러(21)의 메인터넌스를 간단히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터(20)의 전방부에 설치한 방충망(130)의 교체나 메인터넌스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30 내지 도31에 도시하는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리시버(24)에 설치한 압박부(162)를 최선의 공랭 기기[예를 들어 콘덴서(23)]에 설치한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과 상이하다.
이 압박부(162)는 콘덴서(23)의 좌우 방향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콘덴서(23)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정류판(61)의 전방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 압박부(162)의 선단부는 정류판(61)의 전방부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된 쿠션재(16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정류판(61)을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콘덴서(23)의 부착 프레임(137)을 외측으로부터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삽입하고, 정류판(61)을 폐쇄하면서 부착 프레임(137)을 좌우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정류판(61)의 상하 중도부를 외측으로부터 콘덴서(23)로 설치한 압박부(162)로 압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덴서(23)를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부착할 때에 정류판(61)의 상하 중도부를 좌우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여 정류판(61)을 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정류판(61)의 진동음의 저감을 할 수 있다.
또한, 콘덴서(23)에 설치한 압박부(162)로 정류판(61)의 상하 중간부를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실시 형태]
도32에 나타내는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 한 쪽의 정류판(61)을 전방 차축 프레임(10)에 개폐 가능하게 피봇하지 않고, 이 좌우 한 쪽의 정류판(61)의 전방부를 좌우 방향 인출 가능한 공랭 보조 기기[예를 들어 콘덴서(23)]에 부착하고, 이 정류판(61)의 후방부를 라디에이터(20)나 전방 차축 프레임(10)에 고정하지 않고 자유단부로 하여 라디에이터(20)에 근접시키고 있다.
따라서, 콘덴서(23)의 부착 프레임(137)을 지지 프레임 부재(124)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인출함으로써 정류판(61)을 취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정류판(61)을 콘덴서(23)와 함께 슬라이드시키면 오일 쿨러(22), 인터 쿨러(21)의 메인터넌스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상기 제4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콘덴서(23)나 리시버(24)를 부착하였을 때에 정류판(61)을 외측으로부터 압박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것 대신에,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 쿨러(21)의 좌우 일측에 스프링(163)(예를 들어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163)의 돌출부를 정류판(61)에 관통시켜 스프링 (163)의 외측단부를 정류판(61)의 외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스프링(163)의 스프링력으로 정류판(61)을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압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들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판(61)의 하부 내측을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접촉하였지만,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차축 프레임(10)으로부터 상방으로 핀(164) 등을 돌출시키고, 이 핀(164)에 정류판(61)의 하부 내측을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제8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우측의 정류판(62)과 마찬가지로 좌측의 정류판(61)도 피봇 회전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판(61)의 후단부가 구획 프레임(26)의 근방에 종축 주위에 피봇되고, 정류판(61)과 차축 프레임(10) 사이에는 정류판(61)을 폐쇄 자세로 지지하는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이 배치된다.
또한, 이 정류판(61)의 전단부 모서리는 폐쇄 자세로 콘덴서(23)의 배면과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콘덴서(23)를 인출한 후에 좌측의 정류판(61)을 폐쇄 자세로부터 개방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구성에 있어서도 엔진룸(E)의 정비 점검을 행할 때에 인터 쿨러(21) 및 오일 쿨러(22)의 양측부 및 전방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이하와 같 은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1) 또한,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으로부터 측면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통기 구멍의 배치 밀도(단위 면적당의 통기 구멍의 개수)를 서서히 작게 하고, 또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측으로부터 측면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통기 구멍의 크기를 서서히 작게 하도록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에 설치한 전방부 그릴 부재(82)와, 본네트(14)의 좌우의 측면부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측부 그릴 부재(83)와, 본네트(14)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그릴 부재(84)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 대신에, 하부 그릴 부재(84)를 생략하여 본네트(14)에 전방부 그릴 부재(82)와 좌우 한 쌍의 측부 그릴 부재(83)를 설치하여 전방부 그릴 부재(82)의 통기 구멍(101)과 좌우 한 쌍의 측부 그릴 부재(83)의 통기 구멍(102)으로부터만 본네트(14) 내에 외기를 흡입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네트(14)의 전방면부의 전방부 그릴 부재(82)와,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의 측부 그릴 부재(83)를 별개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본네트(14)의 전방면부로부터 좌우 측면부에 걸쳐서 1개의 그릴 부재를 설치하고, 이 그릴 부재의 측부측의 통기 구멍(102)의 배치 밀도를 전방부측의 통기 구멍(101)의 배치 밀도에 비해 작게 하고, 또는 측부측의 통기 구멍(102)의 크기를 전방부측의 통기 구멍(101)의 크기에 비해 작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을 균일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네트(14)의 측면부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규제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 정류판(61, 62)을 생략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1)과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에서 그들의 배치 또는 크기를 보다 크고 다르게 하도록 하여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전방면부에 걸쳐서 흡입하는 외기의 풍속을 균일화시키도록 하면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네트(14)의 좌우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102)과 전방면부측의 통기 구멍(101)과 전단부 하부측의 연통 구멍(101)을 둥근 구멍에 의해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연통 구멍(101)을 사각, 삼각 등의 각(角) 구멍, 그 밖의 것에 의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6)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판(61)의 상하 내측을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접촉하여 상하 중도부의 외측을 공랭 보조 기기 등으로 압박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착탈 가능한 정류판의 상하 내측을 지지 프레임 부재(124)에 접촉하여 상하 중도부의 외측을 공랭 보조 기기 등으로 압박하도록 해도 좋다.
(7) 또한, 개폐식 정류판에 있어서는 그 후방부 하측을 종축[피봇 핀(63)] 주위에 피봇함으로써 이 정류판(61)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정류판의 후방측의 상부 또는 하부를 종축으로 피봇해도 좋다. 또한, 이 종축은 라디에이터(20)나 그 밖의 기기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8)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정류판(61)이 기기 본체 좌우 방향에 엔진 룸(E)의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우측의 정류판(62)의 쪽을 인출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고, 또는 좌우 양자 모두 인출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9)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정류 부재로서는 평탄한 판형의 정류판(61, 62)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형 판형의 것이나 부분 원주형의 것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류 부재에도 그릴 부분에 형성한 것보다 소직경의 통기 구멍을 마련해도 좋다.
(10) 콘덴서(23)를 엔진룸(E)의 우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이에 수반하여 우측의 정류판(62)을 콘덴서(23)에 부착하고, 좌측의 정류판(61)을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여 좌측의 정류판(61)과 전방 차축 프레임(10) 사이에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을 마련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11) 나타낸 각 실시 형태에서는 인터 쿨러(21), 오일 쿨러(22) 및 콘덴서(23)의 3개의 공랭 보조 기기가 라디에이터(20)의 측으로부터 기재순으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었다. 이들 3개의 공랭 보조 기기는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공랭 기기와 라디에이터(20)의 대향면 사이의 측방을 좌우 한 쌍의 정류판(61, 62)에 의해 폐쇄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순서로 라디에이터(20)의 전방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네트의 측면부측의 통기 구멍이 막힘을 일으키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주행차체(7)와,
    상기 주행차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엔진룸(E)을 덮는 본네트(14)와,
    상기 본네트 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20)를 포함하고,
    상기 본네트는 다수의 제1 통기 구멍(101)이 형성된 전방면부와, 다수의 제2 통기 구멍(102)이 각각 형성된 좌우 측면부를 갖고,
    상기 라디에이터를 향해 상기 제1 통기 구멍 및 제2 통기 구멍으로부터 외기가 흡입되는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기 구멍(102)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각 측면부의 개공율이 상기 제1 통기 구멍(10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전방면부의 개공율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통기 구멍(102)의 배치 밀도가 상기 전방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기 구멍(101)의 배치 밀도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통기 구멍(101)의 크기가 각 제2 통기 구멍(102)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 구멍(101)이 상기 전방면부에 설치한 제1 그릴 부재(82, 84)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 구멍(102)이 상기 각 측면부에 각각 설치한 제2 그릴 부재(8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방측에 적어도 1개의 공랭 보조 기기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라디에이터의 좌우측부에 이 라디에이터의 측방으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상기 공랭 보조 기기에 작용하는 좌우 한 쌍의 정류 부재(61, 6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주행차체의 전방 차축 프레임(10)에 종축(63) 주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랭 보조 기기에 상기 개폐 가능한 정류 부재에 있어서의 자유단부의 상하 중도부를 외측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16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가능한 정류 부재와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 사이에 이 정류 부재의 전단부측을 폐쇄 자세로 지지하는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 결정 수단(70)은 상기 전방 차축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 설치된 결합 부재(71)와, 상기 정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 가능한 클립 부재(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의 다른 쪽이 상기 주행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040079310A 2004-03-29 2004-10-06 작업차 KR100555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6720 2004-03-29
JP2004096720A JP4200116B2 (ja) 2004-03-29 2004-03-29 作業車
JPJP-P-2004-00162273 2004-05-31
JP2004162273A JP4200122B2 (ja) 2004-05-31 2004-05-31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JPJP-P-2004-00162272 2004-05-31
JP2004162272A JP4200121B2 (ja) 2004-05-31 2004-05-31 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14A KR20050096814A (ko) 2005-10-06
KR100555260B1 true KR100555260B1 (ko) 2006-03-03

Family

ID=3495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310A KR100555260B1 (ko) 2004-03-29 2004-10-06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75081B2 (ko)
KR (1) KR100555260B1 (ko)
FR (1) FR2868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670B2 (ja) * 2004-08-24 2008-12-17 ヤンマー株式会社 ローダや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US7984778B2 (en) * 2007-11-20 2011-07-26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Packaging arrangement for a fluid tank for a machine
JP5184387B2 (ja) * 2009-01-09 2013-04-17 ヤンマー株式会社 ボンネット構造
US20100212997A1 (en) * 2009-02-26 2010-08-2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Engine room for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noise trap
US20100301638A1 (en) * 2009-05-29 2010-12-02 Hinshaw Eric J Integrated Air Intake System
GB0911287D0 (en) * 2009-06-30 2009-08-12 Agco Sa Tractor cooling package
JP5250497B2 (ja) * 2009-07-29 2013-07-31 日立建機株式会社 防塵ネットの配設構造
US8276699B2 (en) * 2010-09-30 2012-10-02 Deere & Company Mounting arrangement for tractor front grille to shroud
EP2792795B1 (en) * 2013-02-22 2015-04-08 Komatsu Ltd. Wheel loader
US9073581B2 (en) * 2013-03-07 2015-07-07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JP6080717B2 (ja) * 2013-07-18 2017-02-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20200092427A (ko) * 2014-03-28 2020-08-03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CN104039576B (zh) * 2014-03-31 2016-08-3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275552B2 (ja) 2014-05-29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WO2016002552A1 (ja) 2014-06-30 2016-01-07 ヤンマー株式会社 ボンネット及びボンネットを備えるトラクタ
WO2016012030A1 (en) * 2014-07-21 2016-01-28 Agco International Gmbh Cooling arrangement on an agricultural vehicle
GB2531544A (en) * 2014-10-21 2016-04-27 Daimler Ag Grill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commercial vehicle as well as a vehicle
CN104829949B (zh) * 2015-05-29 2017-01-25 重庆工商职业学院 一种汽车保险杠
US9676271B1 (en) 2016-01-14 2017-06-13 Agco International Gmbh Vehicle cooling arrangement
JP7100605B2 (ja) * 2019-04-25 2022-07-13 株式会社クボタ 整流板の取付構造及び作業車
CN111605632A (zh) * 2020-04-26 2020-09-01 江苏朗鸿机电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用于涡轮发动机的导流罩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1600A (en) * 1933-05-30 Automobile hood
US1156017A (en) * 1915-02-12 1915-10-05 D Mcra Livingston Combination-hood for automobiles.
US2059626A (en) * 1935-01-16 1936-11-03 Willys Overland Co Vehicle construction
US2127321A (en) * 1937-02-18 1938-08-16 Chrysler Corp Motor vehicle
US2197503A (en) * 1938-04-30 1940-04-16 Oliver Farm Equipment Co Air intake for air cleaners
US2711341A (en) * 1953-10-28 1955-06-21 Clark Equipment Co Unitary body and frame construction for towing tractors
US3067829A (en) * 1961-06-27 1962-12-11 Massey Ferguson Inc Fuel tank mounting
US3762489A (en) * 1971-04-19 1973-10-02 Caterpillar Tractor Co Acoustical engine enclosure for earthmoving vehicles
JPS50106532U (ko) * 1974-01-31 1975-09-01
US3921603A (en) * 1974-03-18 1975-11-25 Caterpillar Tractor Co Centrifugal fan cooling system
US4071009A (en) * 1976-06-28 1978-01-31 Caterpillar Tractor Co. Combined noise suppressing and air flow guide enclosure for engines
US4086976A (en) * 1977-02-02 1978-05-02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Isolated clean air chamber and engine compartment in a tractor vehicle
US4081050A (en) * 1977-02-02 1978-03-28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Front engine tractor having transverse midship mounted heat exchanger
JPS59105025A (ja) 1982-12-07 1984-06-18 Unitika Ltd 耐熱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US4969533A (en) * 1988-07-29 1990-11-13 Deere & Company Work vehicle
FR2637549B1 (fr) 1988-10-07 1993-05-21 Kubota Ltd Systeme de refroidissement pour moteur monte sur un vehicule
DE4105844A1 (de) * 1991-02-25 1992-09-03 Deere & Co Verkleidung fuer den motorbereich eines kraftfahrzeuges
JPH07205666A (ja) 1994-01-17 1995-08-08 Kubota Corp 農作業車のボンネット
US5495910A (en) 1994-10-05 1996-03-05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Radiator seals for rear hinged tractor hood
JP3053059B2 (ja) * 1994-11-30 2000-06-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A2173528A1 (en) 1995-08-11 1997-02-12 Lloyd Arnold Wykhuis Air intake structure
JP3445113B2 (ja) 1997-09-26 2003-09-08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の冷却空気流通構造
US6202777B1 (en) 1999-05-21 2001-03-20 Deere & Company Engine enclosure with cooling air baffle
JP2002021565A (ja) * 2000-07-11 2002-01-23 Komatsu Ltd 建設車両のエンジン囲い
JP2002079957A (ja) 2000-09-07 2002-03-19 Kubota Corp ボンネット及びこの構成板材
JP3631423B2 (ja) 2000-09-07 2005-03-23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
JP3623918B2 (ja) 2000-12-27 2005-02-23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の冷却空気流通装置
US20040216934A1 (en) 2003-01-27 2004-11-04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having a 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14A (ko) 2005-10-06
US20050211487A1 (en) 2005-09-29
FR2868021A1 (fr) 2005-09-30
FR2868021B1 (fr) 2007-06-22
US7575081B2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260B1 (ko) 작업차
KR100519953B1 (ko) 보닛을 구비한 작업차
WO2016189939A1 (ja) 作業車
JP4200122B2 (ja)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JP5583608B2 (ja) 作業機用空調機の外気導入装置
JP2015122974A (ja) 収穫機
JP2001227814A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装置
JP40858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06872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4200121B2 (ja) トラクタ
JPH1178506A (ja) 空気調和装置のエバポレータ取付構造
KR20160036651A (ko) 콤바인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4224274A (ja)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JP4200116B2 (ja) 作業車
JP2004268799A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KR20040057983A (ko) 공기 조화기
JP2004237779A (ja) 作業車のボンネット
KR102372205B1 (ko) 콤바인
JPH0678027U (ja) 空調装置のフィルター取付構造
JP2603355Y2 (ja) 自動車用空調フィルター取付構造
JP3872184B2 (ja) 空気調和装置のエバポレータ取付構造
JP3943375B2 (ja) キャビンの構造
JP5214257B2 (ja) 車両用シートの空調ユニット排気構造
JPH087301Y2 (ja) 空調吹き出し口のモー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