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856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856B1
KR100552856B1 KR1020040028156A KR20040028156A KR100552856B1 KR 100552856 B1 KR100552856 B1 KR 100552856B1 KR 1020040028156 A KR1020040028156 A KR 1020040028156A KR 20040028156 A KR20040028156 A KR 20040028156A KR 100552856 B1 KR100552856 B1 KR 10055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sulating film
semiconductor device
ai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855A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856B1/ko
Priority to US11/024,731 priority patent/US7030005B2/en
Publication of KR2005010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2Capaci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집적 소자의 배선 사이의 기생 캐패시턴스 증가를 억제하여 신호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소자를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하부 절연막이 형성되고, 하부 절연막 상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선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배선 사이의 하부 절연막 및 배선 상부 표면에 제 1 및 제 2 워터마크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워터마크를 에어버블로 변형시키는 단계; 기판 전면 상에 저유전율의 제 1 절연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에어버블을 성장시켜 배선 사이의 간격 및 배선 상부에 제 1 및 제 2 에어갭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에어갭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제 2 에어갭을 매립하도록 제 1 절연막 상에 저유전율의 제 2 절연막을 형성하여 층간절연막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배선, 에어갭, 기생 캐패시턴스, 층간절연막, PE-CVD, SOG, 유전율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종래 반도체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차적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반도체 기판 21 : 하부절연막
22 : 제 1 Ti/TiN막 23 : Al막
24 : 제 2 Ti/TiN막 25a, 25b : 워터마크
26a, 26b : 에어버블 27a, 27b : 에어갭
28 : 제 1 절연막 29 : 제 2 절연막
200 : 배선 300 : 층간절연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 사이를 절연하는 층간절연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 기술은 집적회로(Intergated Circuit; IC)에서 트랜지스터 의 상호 연결회로,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의 통로를 구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른 선폭 감소로 인해 배선 사이의 간격은 점점 더 좁아지는 반면 높이는 상대적으로 더 증가하면서, 배선 사이의 간격(gap) 매립 공정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배선 사이를 절연하는 층간절연물질로 종래에는 갭매립 특성이 우수한 비피에스지(BoroPhospho-Silicate Glass; BPSG)막을 사용하였으나, 고온 공정의 문제로 인해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sma; HDP)를 이용한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한 실리콘산화막(SiO2)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의 하부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하부절연막(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연막(11) 상에는 배선(10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선(100)은 접착층으로서의 제 1 티타늄/티타늄나이트라이드(Ti/TiN)막(12), 배선금속막으로서의 알루미늄(Al)막(13) 및 난반사코팅(Anti-Reflective Coating; ARC)막으로서의 제 2 Ti/TiN막(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100) 상에는 배선(100) 사이의 간격을 매립하도록 HDP-CVD에 의한 SiO2막으로 이루어진 층간절연막(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신호의 전파속도는 배선(100)의 저항(R)과 배선(100) 사이의 기생 캐패시턴스(C)에 의해 결정되고, 신호지연(T)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식(1)로 표현된 다.
T ∝ RC ‥‥‥‥‥‥‥‥식(1)
그런데, 고집적화가 가속화되면서 배선(100) 사이의 간격(d)이 예컨대, 0.2㎛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하기의 식(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선(100) 사이의 기생 캐패시턴스(C)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C =εS/d ‥‥‥‥‥‥‥‥‥식(2)
여기서, ε는 층간절연막의 유전율, S는 배선 면적, d는 배선 간격이다.
따라서, 기생 캐패시턴스(C)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배선면적(S) 및 유전율(ε)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반도체 소자에서는 층간절연막(15)이 SiO2막(ε= 3.7∼4)으로 이루어지고, 배선(100)의 저항(R)을 고려할 때 배선면적(S)을 증가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집적화에 따른 신호지연(T) 증가는 피할 수 없으므로 고속 소자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집적 소자의 배선 사이의 기생 캐패시턴스 증가를 억제하여 신호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소자를 용이하게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하부 절연막이 형성되고, 하부 절연막 상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선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배선 사이의 하부 절연막 및 배선 상부 표면에 제 1 및 제 2 워터마크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워터마크를 에어버블로 변형시키는 단계; 기판 전면 상에 저유전율의 제 1 절연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에어버블을 성장시켜 배선 사이의 간격 및 배선 상부에 제 1 및 제 2 에어갭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에어갭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제 2 에어갭을 매립하도록 제 1 절연막 상에 저유전율의 제 2 절연막을 형성하여 층간절연막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먼저, 도 2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의 하부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20) 상에는 하부 절연막(21)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절연막(21) 상에는 배선(20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선(200)은 접착층으로서의 제 1 Ti/TiN막(22), 배선금속막으로서의 Al막(23) 및 ARC막으로서의 제 2 Ti/TiN막(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200) 사이의 간격에는 공기로 이루어져 유전율이 1인 제 1 에어갭(air gap; 27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에어갭(27a) 및 배선(200) 상에는 종래 SiO2 보다 낮은 약 2 내지 3 정도의 저유전율을 가지는 층간절연막(30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층간절연막(300)은 배선(200)을 노출시키는 제 2 에어갭(27b)을 구비하고 제 1 에어갭(27a)을 유지하면서 제 1 에어갭(27a) 및 배선(200) 상에 형성된 저유전율의 제 1 절연막(28)과, 제 2 에어갭(27b)을 매립하면서 제 1 절연막(28) 상에 형성된 저유전율의 제 2 절연막(29)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절연막(28)은 제 1 에어갭(27a) 유지가 용이하도록 플라즈마강화(Plasma-Enhanced; PE)-CVD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플로린이 첨가된 실리카 글래스(Fluorinated Silica Glass; FSG)막 또는 실리콘탄화산화(SiOC)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절연막(29)은 제 2 에어갭(27b) 매립이 용이하도록 스핀온글래스(Spin On Glass; SOG)에 의해 도포 후 어닐링된 것으로, 예컨대, 플로린이 도핑된 폴리이미드(F doped polyimide)막, 나노-다공성 실리콘(Nano-porous Si)막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폴리에테르(Aromatic hydrocarbon, poly ether)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의 하부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20) 상에 하부 절연막(21)을 형성한다.
그 다음, 하부 절연막(21) 상에 접착층으로서 Ti/TiN막(22)을 증착하고, Ti/TiN막(22) 상부에 배선금속막으로서 Al막(23)을 증착한 후, Al막(23) 상부에 ARC막으로서 제 2 Ti/TiN막(24)을 증착한다.
그 후, 포토리소그라피 및 식각 공정에 의해 제 2 Ti/TiN막(24), Al막(23) 및 제 2 Ti/TiN막(22)을 서로 이격되도록 패터닝하여 배선(200)을 형성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200)이 형성된 기판(20)을 HCl 용액에 의해 세정하고, 세정된 기판(20)을 스핀건조(spin dry)에 의해 건조시킨 후, 건조된 기판(20)을 공기 중에 노출시켜, 배선(200) 사이의 하부 절연막(21) 및 배선(200) 상부 표면에 제 1 및 제 2 워터마크(water mark; 25a, 25b)를 형성한다.
이때, 스핀건조는 1000rpm 이하로 속도를 다단계 감속하여 수행하고, 공기 중 노출 시간은 약 4시간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시튜(in-situ)로 제 1 및 제 2 워터마크(25a, 25b)가 형성된 기판(20)을 300 내지 500℃, 바람직하게 400℃의 온도에서 Ar, He, Xe, Kr, Ne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어닐링(annealing)하여, 워터마크(25a, 25b)를 제 1 및 제 2 에어버블(26a, 26b)로 변형시킨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시튜로 제 1 및 제 2 에어버블(26a, 26b)이 형성된 기판 전면 상에, 종래 SiO2 보다 낮은 약 2 내지 3 정도의 저유전율을 가지는 제 1 절연막(28)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에어버블(26a, 26b)을 성장시켜 제 1 및 제 2 에어갭(27a, 27b)을 형성한다.
이때, 배선(200) 사이에서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 1 에어버블(26a)이 더 크게 성장하므로 배선(200) 사이의 간격이 대부분 제 1 에어갭(27a)으로 채워지게 된다.
또한, 제 1 절연막(28)은 PE-CVD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플로린이 첨가된 실리카 글래스(Fluorinated Silica Glass; FSG)막 또는 실리콘탄화산화(SiOC)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기계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에 의해 배선(200) 상부 표면의 제 2 에어갭(29b)이 노출되도록 제 1 절연막(28)의 상부를 제거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제 2 에어갭(29b)을 완전히 매립하도록 제 1 절연막(28) 상에 종래 SiO2 보다 낮은 약 2 내지 3 정도의 저유전율을 가지는 제 2 절연막(29)을 형성하여 층간절연막(300)을 완성한다.
이때, 제 2 절연막(29)은 SOG에 의해 도포 후 어닐링된 것으로, 예컨대 플로린이 도핑된 폴리이미드(F doped polyimide)막, 나노-다공성 실리콘(Nano-porous Si)막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폴리에테르(Aromatic hydrocarbon, poly ether)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집적 소자의 배선 사이 간격은 유전율이 매우 낮은 에어갭으로 채우고 저유전율을 가지는 절연막으로 층간절연막을 형성하 기 때문에, 배선 사이의 유전율 및 기생 캐패시턴스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RC에 의해 유도되는 신호지연(T)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고속 소자 구현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상부에 하부 절연막이 형성되고, 하부 절연막 상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선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선 사이의 하부 절연막 및 상기 배선 상부 표면에 제 1 및 제 2 워터마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워터마크를 에어버블로 변형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 상에 저유전율의 제 1 절연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버블을 성장시켜 상기 배선 사이의 간격 및 배선 상부에 제 1 및 제 2 에어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에어갭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에어갭을 매립하도록 제 1 절연막 상에 저유전율의 제 2 절연막을 형성하여 층간절연막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선이 형성된 기판을 HCl 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
    상기 세정된 기판을 스핀건조에 의해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기판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건조는 1000rpm 이하로 속도를 다단계 감속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중 노출 시간은 약 4시간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버블은 상기 워터마크가 형성된 기판을 3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어닐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는 Ar, He, Xe, Kr, Ne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플라즈마강화-화학기상증착(PE-CVD)에 의해 플로린이 첨가된 실리카 글래스(Fluorinated Silica Glass; FSG)막 또는 실리콘탄화산화(SiOC)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스핀온글래스(SOG)에 의해 플로린이 도핑된 폴리이미드(F doped polyimide)막, 나노-다공성 실리콘(Nano-porous Si)막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폴리에테르(Aromatic hydrocarbon, poly ether)막을 도포 후 어닐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40028156A 2004-04-23 2004-04-23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5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156A KR100552856B1 (ko) 2004-04-23 2004-04-23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1/024,731 US7030005B2 (en) 2004-04-23 2004-12-30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156A KR100552856B1 (ko) 2004-04-23 2004-04-23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855A KR20050102855A (ko) 2005-10-27
KR100552856B1 true KR100552856B1 (ko) 2006-02-22

Family

ID=3513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156A KR100552856B1 (ko) 2004-04-23 2004-04-23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30005B2 (ko)
KR (1) KR100552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1420B2 (en) 2012-09-06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8476B4 (de) * 2005-02-24 2006-12-21 Infineon Technologies Ag Leitbahnanordnung sowie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US7649239B2 (en) * 2006-05-04 2010-01-19 Intel Corporation Dielectric spacers for metal interconnects and method to form the same
US7772702B2 (en) * 2006-09-21 2010-08-10 Intel Corporation Dielectric spacers for metal interconnects and method to form the same
US9343651B2 (en) * 2010-06-04 2016-05-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rganic packaging carrier
KR101767654B1 (ko) 2011-05-19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갭 절연 구조를 갖는 관통전극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4025263B (zh) 2011-12-30 2018-07-03 英特尔公司 自封闭的非对称互连结构
US8772938B2 (en) 2012-12-04 2014-07-08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rconnect structures
CN103151301A (zh) * 2013-02-25 2013-06-12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CN106653758B (zh) 2015-10-28 2020-04-07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快闪存储器的制作方法
US11342498B2 (en) * 2018-01-08 2022-05-24 Integrated Silicon Solution (cayman) Inc. High density 3D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cell integration using wafer cut and transfer
CN112086398A (zh) * 2019-06-14 2020-12-1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形成方法
CN113223997A (zh) * 2020-01-21 2021-08-06 夏泰鑫半导体(青岛)有限公司 半导体元器件及其制备方法及电子装置
JP2021150341A (ja) * 2020-03-16 2021-09-27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143A (en) * 1998-01-22 1999-09-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interconnect structure with air gap for reducing intralayer capacitance in metal layers in damascene metalization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1420B2 (en) 2012-09-06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30005B2 (en) 2006-04-18
US20050239280A1 (en) 2005-10-27
KR20050102855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85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622380B1 (en) Method of improving adhesion between two dielectric films
JP5186489B2 (ja) デュアル配線型集積回路チップ
JP4538272B2 (ja) 湿式洗浄によるアタックを防止でき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8502142A (ja) 相互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H08148559A (ja) 絶縁膜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80012470A (ko) 집적 회로에서의 저 캐패시턴스 구조를 위한 수소 실세스키옥산 박막
KR100430114B1 (ko)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
KR100815952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84905B1 (ko) 다마신 공정의 방법
KR100887118B1 (ko)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US7579286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plasma to form an insulating film
US9502232B2 (en) Inhibiting diffusion of elements between material layers of a layered circuit structure
KR101443999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593650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94550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6358845B1 (en) Method for forming inter metal dielectric
JP200918220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582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및 그 형성 방법
KR100431741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641581B1 (ko) 반도체 소자의 패시베이션층 형성 방법
CN108550528B (zh) 半导体器件制造方法
KR100599436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KR10057456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10060208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