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226B1 -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226B1
KR100552226B1 KR1020030046750A KR20030046750A KR100552226B1 KR 100552226 B1 KR100552226 B1 KR 100552226B1 KR 1020030046750 A KR1020030046750 A KR 1020030046750A KR 20030046750 A KR20030046750 A KR 20030046750A KR 100552226 B1 KR100552226 B1 KR 10055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magnet
rotor
pole portion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696A (ko
Inventor
미야와키마코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2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then in opposite direction to close,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6/00Machines adapted to function as torque motors, i.e. to exert a torque when stalled

Abstract

구동장치는, 링형상을 가진 회전가능한 로터와,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 및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는 코일을 구비한다. 로터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분할하여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갖는다. 제 1자극부는 로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부의 면을 향하여 형성된다. 제 2자극부는,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서 자석부를 샌드위치하고,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부의 다른 면에 대향한다. 코일은 로터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치한다. Y가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중심각도에 대한 제 1자극부의 각각의 중심각도의 비이고, X가 회전축의 방향으로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의 비인 경우, 조건 -0.333X + 0.9 < Y 를 만족한다.

Description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LIGHT-AMOUNT REGULATING APPARATUS, AND LENS DRIV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량조절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전류를 코일에 공급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C-C단면도.
도 4는 소정의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코일에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C-C단면도.
도 5는 도 4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코일에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C-C단면도.
도 6은 자석의 회전위치와 코깅토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자석의 크기, 자석에서 자화된 부분의 중심각도 및 고정자에서 자극부의 중심각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도 7의 모터모델의 구조를 설명하는 표.
도 9는 코깅토크, 전류-공급토크 및 회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코깅토크, 전류-공급토크 및 회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코깅토크, 전류공급토크 및 회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실험모터모델의 자석의 크기, 상기 자석의 자화된 부분의 중심각도 와 상기 모터모델의 고정자에서 자극부의 중심각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구동장치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셔터블레이드구동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다른 종래예의 셔터블레이드구동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형성된 셔터디바이스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동장치 및 광량조절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배경기술>
촬상소자로서 CCD 등을 사용하여, 피사계상을 광전변환해서 기록매체에 정지화상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디지털카메라가 더욱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하, 이들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촬영전에 주전원이 최초로 투입되고 촬상소자가 동작상태로 되며, 따라서 셔터블레이드는 촬상소자를 노광할 수 있는 개구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전하의 축전, 방전 및 전사는 촬상소자에 의해 반복되고, 피사계의 관찰은 화상모니터에 의해 가능하다.
해제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에서의 촬상소자의 출력에 따라서 조리개값과 노광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노광개구의 직경을 좁게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리개블레이드가 구동되어 소정의 조리개값으로 설정된다. 축전전하의 개시가 지시되어 축전된 전하가 방전되는 촬상소자로 전송된다. 동시에, 트리거신호로서 개시지시를 수신할 때, 노광시간를 제어하는 회로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소정의 노광시간이 경과된 후, 셔터블레이드는 촬상소자의 노광을 차단하는 닫힌 위치로 구동된다. 촬상소자의 노광을 차단한 후, 축전전하는 전송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화상정보는 화상기입장치를 통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촬상소자의 노광은 전하 전송동안 차단되어, 상기 전송시간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광으로 인하여 초래된 전하의 변화를 방지한다.
도 16은 소형조리개장치 또는 셔터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에서, 조리개블레이드 또는 셔터블레이드를 구동하는 모터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광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조리개장치 및 셔터장치의 외부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에 있어서, (101)은 외부면이 교호적으로 N 및 S극으로 자화되는 원통로터를 표시한다. (102a) 및 (102b)는 로터를 샌드위치하는 로터의 축방향을 따라서 각각 배치되는 코일을 표시한다. (103a) 및 (103b)는 자성재료로 형성된 고정자를 표시한다. 고정자(103a)는 코일(102a)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여자되고, 고정자(103b)는 코일(102b)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여자된다. 각각의 고정자 (103a) 및 (103b)는 외부실린더와 내부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외부실린더는 평면형상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외부자극부를 갖으며, 외부자극부는 로터(101)의 외부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내부실린더는 또한, 평면형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자극부를 가지며, 내부자극부는 로터(101)의 내부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104a) 및 (104b)는, 각각 고정자(103a) 및 (103b)의 내부실린더에 고정된 보조고정자를 표시한다. (105)는 비자성재료로 형성된 커플링을 표시하고, 소정의 위상전이로 상호간에 고정자(103a) 및 (103b)를 결합시킨다. 코일(102a) 및 (102b)에 전원을 공급할 때, 고정자(103a) 및 (103b)의 외부자극부와 보조고정자(104a) 및 (104b)가 여자되고, 로터(101)는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106)은 로터(101)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로터(101)와 함께 회전하는 출력링을 표시한다. (107)은 핀을 출력링(106)에 맞물리게 하는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표시한다. 이들 홈은 출력링(106)의 회전범위를 규제한다. (108a) 및 (108b)는, 각각 출력링(106)의 핀으로 맞물린 셔터블레이드를 표시하고, 열린 상태는 로터(101)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변화한다.
도 17은, 모터의 외부직경은 내부부분이 비어 있지 않으면서 크게 감소되는 종래의 다른 구조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7에서, (201)은, 부분(201a) 및 (201b)가 각각 N극 및 S극으로 자화되는 원통형로터(201)를 표시한다. (201c)는 로터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암을 표시한다. 구동핀(201d)은 로터(201)의 회전축방향으로 암(201c)으로 부터 연장한다. (202)는 로터(201)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코일을 표시한다. (203)은 연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코일(202)에 의해 여자되는 고정자를 표시한다. 고정자(203)는 로터(201)의 외부면을 향하는 외부자극부(203a)와, 로터(201)로 삽입되는 내부실린더를 갖는다. (204)는 고정자(203)의 내부실린더에 고정되고, 로터(201)의 내부면을 향하는 보조고정자를 표시한다. 코일(202)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외부자극부(203a)와 보조고정자(204)는 여자되고, 로터(201)는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된다. (207) 및 (208)은 셔터블레이드를 표시하고, (205)는 플레이트를 표시한다. 셔터블레이드 (207), (208)는, 플레이트(205)의 핀(205b) 및 (205c)의 각각이 삽입되는 구멍부분 (207a) 및 (208a)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구동핀(201d)는 긴구멍 (207b) 및 (208b)에 의해 접동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206)은 로터(201)에 탄성력이 부여되어, 구동핀(201d)이 긴구멍(207b) 및 (208b)의 단부에 대하여 눌려질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을 표시한다. 전원이 코일(202)에 공급되어 비틀림스프링(206)의 탄성력에 대하여 로터(201)와 함께 구동핀(201d)이 회전하는 경우, 셔터블레이드(207) (208)는 각각 구멍부(207a)(208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플레이트(205)의 개구부(205a)는 열리거나 닫힌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측면에 의하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분할되고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회전가능한 링형상의 로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서,
로터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부의 면에 향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와 제 1자극부 사이에 자석부를 끼우고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부의 다른면에 향하는 제 2자극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Y가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중심각도에 대한 제 1자극부의 중심각도의 비이고, X가 회전축의 방향으로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의 비인 경우, 조건 -0.333X + 0.9 < Y 를 만족한다. 상기 구조에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코깅토크에 기인하여 로터는 그 회전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로터는 공급된 전류의 방향을 변화함으로써 상호간에 대향하는 방향중 한쪽에서 상기 회전위치를 선택적으로 회전된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 개구부를 가진 플레이트 및 광량규제부재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량은 공급된 전류의 방향을 변화함으로써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 렌즈, 렌즈유지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렌즈는 전류공급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시킬 수 있으며, 로터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광빔의 초점길이는 공급된 전류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목적과 이점에 대하여, 수반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 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에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는 청구항은 상세한 설명 다음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량규제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광량규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전류가 코일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C-C단면도이고, 도 4는 소정의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코일에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C-C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코일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코일에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C-C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에서, 보빈 및 코일은 도시하지 않았고, 자석(1)에 형성된 구동핀(1h)에 근접한 부분(후술함)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1)은 가운데가 빈 원형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링형상의 자석을 표시한다. 자석(1)은 플래스틱 자석재료로 형성되고, 링의 중심위치를 개재하여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1)의 양 대향면은,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서 16개의 N 및 S자극으로 교호적으로 자화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된 부분 (1a) 및 (1c)는 N극으로 자화되지만, 자화된 부분 (1b) 및 (1d)는 S극으로 자화된다. 그들의 이면부분은, 각각 대향 자극으로 자화된다. (2)는 링형상의 코일을 표시한다. 코일(2)은 자석(1)의 외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코일(2)은 전기절연재로 이루어진 보빈(2a)를 감는 도전성배선을 포함한다. 회전축의 방향으로 보빈(2a)의 두께는 자석(1)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광량규제장치의 구동장치는 하나의 위상구동방식을 채택하므로 하나의 코일이면 충분하다.
(3)은 연자성재료로 형성된 제 1고정자를 표시한다. 제 1고정자(3)는 그들 사이의 공간에 의해 45도 등각형태로 형성된 8개의 제 1자극부 (3a)(3b)(3c)(3d)(3e)(3f)(3g) 및 (3h)를 포함한다. 바꿔말하자면, 자석(1)의 자극의 개수가 NA인 경우, 제 1자극부의 NA/2개는 그들 사이에 720/NA도의 각도공간으로 형성된다.
(4)는 연자성재료로 형성된 제 2고정자를 표시한다. 제 2고정자(4)는 그들 사이의 공간에 의해 45도 등각형태로 형성된 8개의 제 2자극부 (4a)(4b)(4c)(4d)(4e)(4f)(4g) 및 (4h)를 포함한다. 바꿔말하자면, 자석(1)에서 자극의 개수가 NA인 경우, 제 2자극부의 NA/2개는 그들 사이에 720/NA도의 각도공간으로 또한 형성된다.
원통형결합부(3i)는 제 1고정자(3)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결합부(3i)는 서로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를 결합시킨다. 결합부(3i) 이외의 제 1고정자(3)의 일부와 제 2고정자(4)는, 각각 평면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기어형상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자극부 (3a) 내지 (3h) 및 (4a) 내지 (4h)는, 각각 이들 평면플레이트에서 비스듬이 절단한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형성된다. 코일(2) 및 자석(1)은 결합된 제 1 및 제 2고정자(3)(4)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배치된다. 제 1고정자(3) 및 자석(1)의 한쪽 면, 제 2고정자(4) 및 자석(1)의 다른쪽 면은, 각각 그들 사이의 소정을 공간에 의해 서로 대향된다.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는 경우, 모든 제 1자극부 (3a) 내지 (3h)는 동일한 자극으로 자화되지만, 모든 제 2자극부(4a) 내지 (4h)는 제 1자극부(3a) 내지 (3h)에 대향하는 자극으로 자화된다.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는 공통위상으로 결합되어 제 1자극부(3a) 내지 (3h)는, 각각 제 2자극부(4a) 내지 (4h)를 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고정자(3)(4)는 결합부(3i)에 의해 결합되고, 코일(2)은 자석회로를 구성한다. 제 1고정자(3) 및 제 2고정자 중 한쪽은 비스듬하게 절단된 부분없이 평면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지만 다른쪽 고정자에만 자석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바로 위에서 설명한 구조보다 제 1 및 제 2고정자(3)(4)의 양쪽에 자극부를 가진 구조에서 회전토크가 크다.
(11)은 자석(1)의 내주부에 고정된 베어링 링을 표시한다. (12)는 제 1고정자(3) 및 제 2고정자(4) 사이에 고정된 베어링을 표시한다. 베어링 링(11)은 베어링(12)의 외주면에서 맞물리고, 상기 면위를 접동하지만 자석(1)은 계속적으로 위치결정되어 소정의 공간이 자석(1)과 제 1고정자(3) 사이에 형성되고, 자석(1)과 제 2고정자(4)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5)는 광량규제장치의 플레이트(5)를 표시한다. 광로를 형성하는 개구부(5a)는 플레이트(5)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 1고정자(3)는 플레이트(5)의 면에 고정되고, 개구부(6a)를 가진 정면플레이트(6)는 플레이트(5)의 다른면에 고정된다. 플레이트(5)와 정면플레이트(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블레이드부재 (7)(8)(9) 및 (10)은 상기 공간에 배치된다.
두 개의 구동핀(1h)(1i)는 제 1고정자(3)를 향하는 자석(1)의 면에 형성된다. 이들 구동핀(1h)(1i)은 플래스틱 자석재료로 구성된 자석(1)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들 구동핀(1h)(1i)는 구동핀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위치적착오가 감소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자석에 장착된다. 이들 구동핀(1h)(1i)는 플레이트(5)에 형성된 아치형의 긴구멍(5d)(5e)으로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들 연장구멍(5d)(5e)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재(7)(9)의 원형구멍(7a)(9a)은, 각각 플레이트(5)의 핀(5b)(5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긴구멍(7b)(9b)은 자석(1)의 구동핀(1h)에 의해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또한, 블레이드부재(8)(10)의 원형구멍(8a)(10a)은, 각각 플레이트(5)의 핀(5f)(5g)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긴구멍(8b)(10b)은 자석(1)의 구동핀(1i)에 의해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자석(1)이 회전되는 경우, 블레이드부재(7)(9)는 구동핀(1h)에 의해 눌려지고, 핀(5b)(5c)에 의해 맞물려서 원형구멍(7a)(9a)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또한, 블레이드부재(8)(10)는 구동핀(1i)에 의해 눌려지고, 핀(5f)(5g)에 의해 맞물려서 원형구멍(8a)(10a)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따라서, 블레이드부재(7)(8)(9) 및 (10)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는 변하며, 따라서 플레이트(5)의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부재(7)(8)(9) 및 (10)를 구동하는 모터의 광축방향으로의 두께는, 자석의 두께보다 약간 큰 보빈(2a)의 두께와, 제 1고정자(3) 및 제 2고정자(4)의 두께의 합계가 될 뿐이다. 따라서 매우 얇은 구동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자석부와 제 2자석부의 한쪽으로부터 흐르는 대부분의 자속은 한쪽의 자속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다른쪽의 자석부로 흐른다. 따라서, 자속은, 이들 자극부 사이에 개재된 자석(1)에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커다란 회전토크를 얻을 수 있다.
자석(1)의 회전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의 C-C단면도이다. 도 3은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하에서의 자석(1)의 회전각도를 도시한다.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 1 고정자(3) 및 제 2고정자(4)중 어느 쪽으로도 자속은 흐르지 않는다. 회전조리개위치는, 자석(1)과 제 1 및 제 2고정자(3)(4) 사이에 생성된 토크를 코깅함으로써 결정된다. 코깅토크(cogging torgue)는, 각각 자석(1)과 제 1 및 제 2자극부 사이에 발생된 자력에 기인한 흡인력이다. 도 3에서, 자석(1)의 인접한 자극부(N극과 S극 사이의 경계)사이의 경계위치가 제 1 및 제 2자극부의 중심위치를 대향하는 위치에서 자석(1)은 코깅토크에 의해 정지된다.
도 3의 상태에서 코일(2)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제 1고정자(3)는 전류흐름의 방향에 따라서 N극 또는 S극으로 자기적으로 여자된다. 동시에 제 2고정자(4)는 제 1고정자(3)의 N극 또는 S극에 대향하는 자극으로 여자된다. 따라서, 자석(1)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방향으로 전류가 코일(2)로 공급되고 제 1고정자(3)의 제 1자극부가 N극으로 여자되는 경우, 자석(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석(1)의 이면(도 3, 4 및 5에서, 자석(1)의 이면은 제 1고정자(3)의 제 1자극부를 향함)의 S극의 중심위치는 제 1자극부의 중심위치를 향한다. 구동핀(1h)이 플레이트(5)의 연장구멍(5d)의 측벽을 접하는 위치에서 자석(1)이 정지한다. 한 편, 소정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고 제 1고정자(3)의 제 1자극부가 S극으로 자기적으로 여자되는 경우, 자석(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석(1)의 이면의 N극의 중심위치는 제 1고정자(3)의 제 1자극부의 중심위치를 향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핀(1h)이 플레이트(5)의 연장구멍(5d)의 다른 측벽을 접하는 위치에서 자석(1)은 정지한다.
도 6은 제 1 및 제 2고정자(3)(4) 사이에서 작용하는 코깅토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세로좌표는 자석(1)과 제 1 및 제 2고정자(3)(4) 사이에서 생성된 자력(흡인력)의 크기를 표시하고, 가로좌표는 자석(1)의 회전위상을 표시한다.
자석(1)이 점 (E1)(E2) 및 (E3)으로 표시되는 회전위치내에 있는 경우, 자석(1)이 외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반시계방향으로 자석(1)를 회전시킬 수 있는 코깅토크가 자석(1)에 작용한다. 자석(1)이 외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면, 시계방향으로 자석(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코깅토크는 자석(1)에 작용한다. 따라서, 자석(1)은 점 (E2)로 복귀한다. 결과로서, 자석(1)이 점 (E1)(E2) 및 (E3)로 표시되는 회전위치내에 있는 경우,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라도, 자석(1)은 코깅토크에 의해 그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점(F1)(F2)으로 표시되는 회전위치는, 코깅토크의 작용방향이 이와 같은 경계점에서 대향방향으로 절환된다는 관점에서 점(E1)(E2)(E3)으로 표시되는 회전위치가 유사하지만, 코깅토크의 작용방향은 점(E1)(E2),(E3)에 대향한다. 자석(1)의 회전위치가 점 (F1) 또는 (F2)에 일치하면, 코깅토크의 크기는 0이다. 그러나, 회전위치는, 장치의 진동 및 자세의 약간의 변화에 의하여, 점 (F1) 또는 (F2)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코깅토크가 자석(1)에 작용하여 점 (F1)(F2)와 가장 근접한 점 (E1)(E2)(E3)중 하나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은, 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환경을 고려하면, 코깅토크에 의해 점 (F1)(F2)에서 자석(1)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자석의 자극의 개수가 NA인 경우, 점 (E1)(E2) 및 (E3)에 의해 표시되는 것 처럼, 자석(1)이 코깅토크에 의해 안정하게 유지되는 회전위치는 360/NA의 간격으로 존재한다. 이들 안정한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는 점(F1) 및 (F2)와 같이 불안정한 위치이다.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모의실험의 결과로부터, 자석(1)의 크기, 자석(1)에서 자극의 각각의 각도(자석(1)에서 자화된 부분의 중심각도인 도 3에서 도시된 부분(B)), 및 자석에 대향하는 제 1자극부(로터의 회전중심위치와 제 1자극부에 의해 형성된 아치형상의 중심각도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분(A))의 대향각도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코일에 통전이 없는 때의 자석(1)과 제 1 자극부 사이의 흡입상태가 변화하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결과에 따라서, 안정점 (E1)(E2)(E3)의 위치는, 자석의 크기, 자석의 자화된 부분의 중심각도 및 제 1자극부의 중심각도에 따라서 변한다. 바꿔말하자면, 그들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중심이 제 1자석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에서, 자석(1)의 자화된 부분의 중심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가 제 1자석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에서, 자석(1)의 자화된 부분 사이의 경계가 안정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개별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상황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서, 횡좌표는 자석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에 대한 자석의 두께(그 회전축의 방향으로의 두께)의 비를 표시하고, 세로좌표는 자석의 자극의 각각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향하는 자극부의 각각의 대향각도의 비를 표시한다(즉, 자석의 극성의 각각의 중심각도에 대한 자극부분의 각각의 중심각도의 비).
예를 들면, 자석의 외부직경이 18mm, 그 두께는 0.05mm이고, 자석에서 자극의 개수가 16개인 경우, 자석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는 18 X π/16이므로, 자석의 극성의 각각의 외주길이에 대한 자석의 두께비의 횡좌표값은 0.141로 된다. 또한, 자극부의 각각의 중심각도가 13.5도인 경우, 자석의 극성의 각각의 중심각도가 22.5도이므로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향하는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도의 비의 세로좌표의 값은 0.600이다.
도 7에서, 각각 플롯점은 최소 코깅토크를 가진 모델의 자석의 극성의 각각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향하는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도의 비를 표시한다. 도 7은 도 8의 표에 도시된 모터의 14개 타입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가로좌표 X는 자석의 극성의 각각의 외주길이에 대한 자석의 두께의 비를 표시하고, 그 세로좌표 Y는 자석의 극성의 각각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향하는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도의 비를 표시하고, 상기 점은, Y = -0.333X + 0.7에 근사한 선(1)과 Y = 0.333X + 0.9에 근사한 선(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내에 있다.
도 7에서, 선(1) 이하의 범위(즉, Y < -0.333X + 0.7의 범위)에서, 상기 중심이 자극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로 자석의 극성의 중심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선(2) 이상의 범위(즉, Y > -0.333X + 0.7의 범위)에서, 상기 경계가 자극부의 중 심을 향하는 위치로 자석의 극성 사이의 경계는 안정하게 유지된다.
선(1) 및 선(2)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즉, -0.333X + 0.7 < Y < -0.333X + 0.9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서, 코깅토크는 가장 작아지므로 자석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점 (E1)(E2) 및 (E3)는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도 9, 10 및 11에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도 9, 10 및 11에서, 도 6과 마찬가지로, 세로좌표는 자석(1)과 제 1 및 제 2고정자(3)(4)사이에 생성된 자석력(흡인력)의 크기, 즉, 코깅토크를 표시하고, 가로좌표는 자석(1)의 회전위상을 표시한다. 코일(2)에 통전하지 않는 때의 코깅토크와 3V의 전압이 코일(2)의 단자에 인가되는 경우 생성된 통전토크를 도시한다. 모터모델에서, 자석의 외부직경은 16mm이고, 자석의 내부직경은 14mm이며, 자석에서 자극의 개수는 40이고, 코일의 감긴수는 105턴(turn)이며, 저항은 1065Ω이고, 고정자의 외부직경은 19.1mm이다.
도 9에서, 자극부의 중심각도(도 3 및 도 4에서 A로 도시)는 4.5도이고, X = 0.455이며, Y = 0.50이다. 도 10에서 자극부의 중싱각도는 5.63도이고, X=0.455이며 Y=0.625이다. 도 11에서, 자극부의 중심각도는 7.2도이며 X=0.455이며, Y=0.80이다.
선 (1) 및 (2)를 도시하는 도 12에서, 도 9, 10 및 11의 구조는 각각, A, B, C에 의해 표시된다.
도 9에서 도시된 구조적특징을 가진 장치에서(자극부의 중심각도A가 4.5도인 장치), X = 0.455이며 Y = 0.50이다. 그러므로, 조건 Y < -0.333X + 0.7 를 만족하 고, 자석의 안정위치는, 자화된 부분의 극성중심이 자극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구조적특징을 가진 장치(자극부의 중심각도 A가 5.63도인 장치)에서, X=0.455이고 Y=0.60이다. 그러므로, -0.333X + 0.7 < Y < -0.333X + 0.9인 조건을 만족하고, 코깅토크는 매우 작다.
도 11에서 도시된 구조적특징을 가진 장치(즉, 자극부의 중심각도 A가 7.2도인 장치)에서, X = 0.455이며 Y = 0.80이다. 그러므로, 조건 Y > -0.333X + 0.9를 만족하고, 자석의 안정위치는 자화된 부분의 극성 사이의 경계가 자극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이다.
상기 설명한 제 1실시예에서, 구동장치의 크기는 Y > -0.333X + 0.9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코일(2)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 점(E1) 및 (E2)는 자석(1)의 자화된 부분 사이의 경계가 고정자(4)에서 자극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이다. 그러므로 코일(2)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석(1)은 상기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자석(1)이 상기 위치에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빈번하게 사용되는 중간조리개상태인, 대기위치로 블레이드부재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이 행해지면, 상기 조건은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장치에 있어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석(1)의 자화된 부분 사이에서의 경계가 자극부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인 경우,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극부가 자화하는 경우 자석(1)의 회전력이 생성되어 자석을 구동시킨다. 자석(1)의 회전방향은 코일(2)에 공급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할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제 1고정자(3)의 자극부(3a)는 N극으로 자화되지만 자극부(3a)를 향하는 제 2고정자(4)의 자극부(도시하지 않음)를 S극으로 자화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의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는 경우, 자석(1)의 극의 중심(이면은 S극에 있음)은 자극부(3a)의 중심위치(R1)를 향하여 끌린다. 따라서 자석(1)은 반시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자석(1)의 구동핀(1h)(1i)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의 회전의 규제용 플레이트(5)에 형성된 긴구멍(5d)(5e)의 한쪽측벽을 인접하는 경우, 자석(1)의 회전은 정지한다. 자석(1)의 회전량이 β도인 경우, 상기 상태는 도 6에서 점 (H)으로 표시된 위치이다. 상기 위치에서 코깅토크가 T2이고, 점(E2)를 향하여 자석이 복귀하는 힘(도 5의 시계방향으로의 힘)이 자석에 작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코일(2)에 흐르는 전류는 도 5의 상태에서 정지되고, 자석(1)은 시계방향으로 β도 회전하고, 도 3의 상태인 점 E2로 복귀한다.
한편,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코일(2)에 공급되어 제 1고정자(3)의 자극부(3a)는 S극으로 자화되지만 자극부(3a)를 향하는 제 2고정자(4)의 자극부(도시하지 않음)는 N극으로 자화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자석(1)의 극의 중심(N극에서의 이면)은, 자극부(3a)의 중심위치(R1)을 향하여 끌려진다. 따라서, 자석(1)은 시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의 구동핀(1h)(1i)이 자석(1)의 회전의 규제용 플레이트(5)에 형성된 긴구멍(5d)(5e)의 다른 측벽에 접하는 경우, 자석(1)의 회전은 정지한다. 자석(1)의 회전량을 α도인 경우, 상기 상태는 도 6에서 점 G로 표시된 위치이다. 상기 위치에서의 코깅토크는 T1이고, 이와 같은 사실은 점E2를 향하여 자석이 복귀하는 힘(도 4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자석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코일(2)에 흐르는 전류는 도 4의 상태에서 정지하고, 자석(1)은 반시계방향으로 α도 회전하고, 도 3의 상태인 점 E2로 복귀한다.
α 및 β가 설정되는 경우, 도 6의 안정한 위치에 인접하는 불안정위치(F1) 및 (F2)는 α 및 β의 범위 이내에 있지 않도록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코깅토크에 의하여 점E2의 위치에서 자석(1)이 항상 유지된다. 자석(1)은, 코일(2)에 계속적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코깅토크에 의해 초래된 점H(점 E2로부터 β도 회전된 위치)에서 유지되거나, 점 G(점 E2로부터 α도 회전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점 (F1) 및 (F2)는 자석(1)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 (F1) 및 (F2)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안정한 위치 (E1)(E2)(E3)사이의 중간위치에 존재하므로, 자석(1)의 자화된 부분의 중심위치가 고정자의 자극부의 중심위치를 향하는 상태는 회전위치 (F1) 및 (F2)에 해당한다. 코일(2)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자석(1)은 점 (F1) 및 (F2)에 해당하는 위치로 회전하고, 자석(1)의 자화된 부분의 중심위치는 고정자의 자극부의 중심위치를 향하려고 하므로 유지된다. 코일(2)에 전류공급이 정지되는 경우, 자석(1)은, 진동의 외부영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서 유지한다. 다시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의 등가토크가 자석(1)에 인가되므로, 자석은 회전을 시작할 수 없다. 실제로, 진동 등에 기인하여 자석(1)의 회전위치는 점(F1) 또는 (F2)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도 자석(1)을 회전하는 코깅토크가 생성된다. 그러나, 진동 등의 외부영향에 좌우되는 경우 자석의 회전에서의 시간지연은 코일(2)에의 전류공급의 제어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자석(1)이 어느 회전방향으로 이탈하는지 불확실성하므로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초래되어 정확성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자석(1)의 자화된 부분의 중심위치는 고정자의 자극부의 중심위치를 항할 수 없도록, 즉, 상기 회전범위는 안정점(E2)에 인접하는 (F1) 및 (F2)를 포함하지 않도록 자석(1)의 회전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석(1)의 상태는 코일(2)에 전류공급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도 5의 상태 및 도 4의 상태 사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코일(2)에 전류공급이 바로 위에서 설명한 어느 한쪽의 상태에서 정지하는 경우, 자석(1)은 도 3의 상태로 회전하고 코깅토크때문에 안정하게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재 7 내지 10은 자석 (1)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자석(1)이 도 3의 상태인 경우, 블레이드부재(7) 내지 (10)은 소정의 조리개 또는 중간조리개직경을 얻을 수 있는 위치를 택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5)의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은 제한된다. 자석(1)이 도 4의 상태에 있는 경우, 블레이드부재 (7) 내지 (10)은 플레이트(5)의 개구부(5a)로 부터 끌어 들여가는 위치를 택한다. 따라서, 최대의 광량은 플레이트(5)의 개구부(5a)를 통과한다. 한편, 자석(1)이 도 5의 상태에 있는 경우, 블레이드부재 (7) 내지 (10)은 폐쇄된다. 상기 상태에서,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2)에의 전류공급상태와 방향이 변하는 경우, 개구위치(최대개구직경), 중간조리개위치 및 폐쇄된 위치(최소 개구직경) 사이에서 블레이드부재 (7) 내지 (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5)의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은 이들 세개의 조건 사이에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자석(1)과 자극부 사이에서 생성된 흡인력(코깅토크)에 의하여 중간조리개위치가 유지되므로, 상기 장치는 전력소비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이들 장치를 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광량조절장치내에 렌즈를 배치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분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번호에 의해 표시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실시예는 블레이드부재(7) 내지 (10)의 위치는 개구위치(최대개구직경), 중간조리개위치, 및 닫힌위치(최소조리개직경)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는 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고, 제 2실시예는, 촬상소자에 진입하는 광량을 피사계의 휘도에 따라 규제하는 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2실시예의 광량조절장치에서, 농도가 3단계를 가진 ND필터를 포함하는 ND(중간농도)필터플레이트는 자석(1)의 회전과 연동하는 관계로 구동되고,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은 조리개부에 진입하는 광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규제된다.
(13)은 광량규제부재인 ND필터플레이트를 표시한다. 필터플레이트(13)의 원형구멍(13a)은 플레이트(5)의 핀(5b)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긴구멍(13b)는 자석(1)의 구동핀(1h)에 의해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제 1실시예의 블레이드부재 (7) 내지 (10)와 마찬가지로, 자석(1)이 회전하는 경우, ND필터플레이트(13)는 구동핀(1h)에 의해 눌려지고, 핀(5b)에 의해 맞물리는 원형구멍(13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5)의 개구부(5a)의 정면에 배치된 ND필터(13c)는 변화되어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규제할 수 있다.
코일(2)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중간농도를 가지며, 흔히 사용되는 ND필터의 조리개부 위에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경우,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에서,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분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번호에 의해 표시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실시예에서, 상이한 직경을 가진 복수의 조리개부를 가진 이동가능한 조리개개구플레이트가 제 2실시예의 ND필터플레이트 대신에 사용된다.
도 14에서, (20)은 차광특성을 가진 플레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조리개개구플레이트를 표시한다. 조리개개구플레이트(20)의 원형구멍(20a)은 플레이트(5)의 핀(5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긴구멍(20b)은 자석(1)의 구동핀(1h)에 의해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자석(1)이 회전하는 경우, 조리개개구플레이트(20)는 구동핀(1h)에 의해 눌려지고, 핀(5b)에 의해 맞물리는 원형구멍(20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5)의 조리개부(5a)의 정면에 배치된 조리개개구플레이트(20)의 개구부(20c)는 변화하여 조리개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조리개개구플레이트(20)의 개구부(20c)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를 행하는 경우, 전력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구동장치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서,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분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번호에 의해 표시되고,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실시예는, 렌즈의 위치가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구동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세개의 조리개위치 사이에 용이하게 절환 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31)은 원통형렌즈배럴부재를 표시한다. 암나선형부분은 그 내부 원주부에 형성되고, 제 1고정자(3)는 렌즈배럴부재(31)에 고정된다. (32)는 내부에 배치된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유지부재를 표시한다. 숫나선형부분은 외부원주부에 형성되고, 숫나선형부분은 렌즈배럴부재(31)의 암나선형부분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린다. 원형구멍(32a) 및 (32b)는 렌즈유지부재(32)에 형성된고, 자석(1)의 구동핀(1h)(1i)는, 각각 원형구멍(32a)(32b)에서 의해 맞물린다.
자석(2)이 회전하는 경우, 렌즈유지부재(32)는 구동핀(1h)(1i)에 의해 안내되고 회전된다. 따라서, 숫나선부분과 암나선형부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렌즈유지부재(32) 및 렌즈(33)는 그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자석(1)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광빔의 초점길이는 변화한다. 구동핀(1h) 및 (1i)의 길이는, 렌즈유지부재(32)가 그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맞물린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값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자석의 자극의 개수는 16개이지만, 변형된 구조는 하나의 N극과 하나의 S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자극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는, 각각, 복수의 이빨형상을 가진 기어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변형된 구조는 자석에서 N극과 S극의 두개의 극성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형상의 자극부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의 회전조건은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 양전류공급상태 및 역(음)의 전류공급상태 사이의 구동장치에서 코일의 전류공급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세개의 상태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석의 회전관계에 연동되는 부재의 조건을 세개의 상태로부터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Claims (12)

  1. 원주방향을 따라서 분할되고 상이하게 자화된 자석부를 가진 링형상의 회전가능한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끼우고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다른 면에 대향하는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고, 상기 로터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서,
    Y가 상기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중심각도에 대한 제 1자극부의 각각의 중심각도의 비이고, X가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의 비인 경우, 조건 -0.333X + 0.9 < Y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규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범위를 규제하여, 상기 회전범위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한 흡인력의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하지만, 상기 자석부에서 상기 자극의 중심이 상기 제 1자극부의 중심에 대향하는 범위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위치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 소정의 방향의 전류를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상태 및 소정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류를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3개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원주방향을 따라서 분할되고 상이하게 자화된 자석부를 가진 링형상의 회전가능한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서 작동하는 출력부재와;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끼우고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다른 면에 대향하는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고, 상기 로터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치하는 코일과,
    개구부를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출력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위에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량을 변화시키는, 광량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서,
    Y가 상기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중심각도에 대한 제 1자극부의 각각의 중심각도의 비이고, X가 회전축의 방향의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의 비인 경우, 조건 -0.333X + 0.9 < Y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절장치는 규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범위를 규제하여, 상기 회전범위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한 흡인력의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하지만, 상기 자석부에서 상기 자극의 중심이 상기 제 1자극부의 중심에 대향하는 범위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위치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 소정의 방향의 전류를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상태, 및 소정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류를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3개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한 흡인력에 의해 제 1회전위치에서 상기 로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일에 공급된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 1회전위치로부터 회전된 제 2회전위치와 제 3회전위치중 어느 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로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규제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개구직경을 변경시키고, 상기 로터가 제 2회전위치에 있는 경우 개구직경은 최대직경을 가지며, 상기 로터가 제 3회전위치에 있는 경우 개구직경은 최소직경을 가지며, 상기 로터가 제 1회전위치에 있는 경우 최대직경과 최소직경 사이의 중간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9. 원주방향을 따라서 분할되고 상이하게 자화된 자석부를 가진 링형상의 회전가능한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끼우고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다른 면에 대향하는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고, 상기 로터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코일과;
    상기 로터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광빔이 통과하는 렌즈와;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렌즈의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로서,
    Y가 상기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중심각도에 대한 제 1자극부의 각각의 중심각도의 비이고, X가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의 자극의 각각의 외주길이의 비인 경우, 조건 -0.333X + 0.9 < Y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동장치는 규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범위를 규제하여, 상기 회전범위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한 흡인력의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하지만, 상기 자석부에서 상기 자극의 중심이 상기 제 1자극부의 중심에 대향하는 범위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위치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 소정의 방향의 전류를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상태, 및 소정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의 전류를 상기 코일에 공급하지 않는 상태 중 한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3개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한 흡인력에 의해 제 1회전위치에서 상기 로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일에 공급된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 1회전위치로부터 회전된 제 3회전위치와 제 2회전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로터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KR1020030046750A 2002-07-10 2003-07-10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100552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0993A JP3950756B2 (ja) 2002-07-10 2002-07-10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JP-P-2002-00200993 2002-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96A KR20040005696A (ko) 2004-01-16
KR100552226B1 true KR100552226B1 (ko) 2006-02-16

Family

ID=3149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750A KR100552226B1 (ko) 2002-07-10 2003-07-10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0655B2 (ko)
JP (1) JP3950756B2 (ko)
KR (1) KR100552226B1 (ko)
CN (1) CN1285156C (ko)
MY (1) MY122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4378B2 (ja) * 2003-02-0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
JP4012170B2 (ja) * 2004-01-06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量調節装置
US20050152691A1 (en) * 2004-01-09 2005-07-14 Alps Electric Co., Ltd. Shutter apparatus
JP4628001B2 (ja) * 2004-03-22 2011-02-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
JP4874564B2 (ja) * 2005-03-31 2012-02-1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849516B2 (ja) * 2005-10-21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CN102012604B (zh) * 2009-09-07 2012-04-18 微太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四极以上的磁石构件及快门
JP5947550B2 (ja) * 2012-01-20 2016-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制御装置
JP6051033B2 (ja) * 2012-12-17 2016-12-21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DE102018210085A1 (de) * 2018-06-21 2019-12-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dichter mit direkt angetriebener variabler Irisblende und Aufladevorrichtung
KR102139767B1 (ko) * 2018-08-22 2020-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3872565A1 (en) * 2019-06-26 2021-09-01 SZ DJI Technology Co., Ltd. Shutter structure and photograp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8039B2 (ja) 2000-07-2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ータ、光量調整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JP4636658B2 (ja) 2000-08-0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
JP3684184B2 (ja) 2001-09-28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手段を有する光学機器
JP4235486B2 (ja) * 2002-05-28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
JP4164297B2 (ja) * 2002-07-11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62543A1 (en) 2004-04-01
KR20040005696A (ko) 2004-01-16
CN1476147A (zh) 2004-02-18
CN1285156C (zh) 2006-11-15
JP3950756B2 (ja) 2007-08-01
JP2004048874A (ja) 2004-02-12
MY122975A (en) 2006-05-31
US6860655B2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47B1 (ko) 구동장치 및 광량 조절장치
KR100552226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100552557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정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100567483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US6591066B2 (en)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6340444A (ja) 駆動装置
JP2002049076A (ja) 光量調整装置
JP2007037269A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2004045682A5 (ko)
KR100512250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JP2001350172A (ja) 光量調整装置及びこの光量調整装置を組込んだ光学装置
US7317273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JP2004064876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光学装置
JP3870195B2 (ja) 駆動装置および光量調節装置
JPH02140727A (ja) 電磁駆動絞り調節装置
JPH0961886A (ja) カメラの駆動装置用パルスモータ
JP2005057902A (ja) 駆動装置及び光学装置
JP2005328641A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2004064899A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2005165042A (ja) 撮像装置及び駆動モーター
JP2006174628A (ja) 電磁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