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491B1 -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491B1
KR100549491B1 KR1020030023294A KR20030023294A KR100549491B1 KR 100549491 B1 KR100549491 B1 KR 100549491B1 KR 1020030023294 A KR1020030023294 A KR 1020030023294A KR 20030023294 A KR20030023294 A KR 20030023294A KR 100549491 B1 KR100549491 B1 KR 10054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block
blocks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404A (ko
Inventor
모리야마지로
간다히데히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17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기록 소자들이 소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록 헤드를 주사함으로써,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록 헤드의 1회의 주사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기록 데이터량보다 용량이 적으며, 상기 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형(rectangular)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블록의 사용순서는 기록의 진행에 따라 상기 블록에 기록 데이터를 순환적으로 저장하도록 관리된다. 기록 소자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량 연속하여 존재할 때, 해당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는 상기 블록에는 저장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 나타내어진다. 하나의 주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데이터량보다 용량이 적은 메모리를 갖는 저가의 구성으로 고속, 고품질의 기록을 달성할 수 있다.
기록 헤드, 호스트 장치, 열 에너지, 프린트 버퍼

Description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PRINTING APPARATUS, PRINTER DRIVER, AND BUFFER MANAGEM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정되는 프린트 버퍼의 블록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잉크제트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잉크제트 기록 장치의 주요한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 컬러 기록을 행할 때에, Y, M, C, 및 Bk의 각 색에 대하여 필요한 블록을 도 1과 마찬가지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A4 크기의 컬러 화상 1페이지를 기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작은 블록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에 다양한 패턴으로 존재하는 기록 데이터에 대한 블록 할당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컬러 기록 헤드의 토출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록 장치
101 : 캐리지
102 : 가이드축 a
103 : 가이드축 b
104 : 기록 헤드
105 : 기록 매체
106 : 이송 롤러
107 : 플라텐
108 : 스위치부와 표시부
401 : 수신 버퍼
402 : CPU
403 : 랜덤 액세스 메모리부
404 : 기구 컨트롤부
405 : 기구부
406 : 센서/SW 컨트롤부
407 : 센서/SW부
408 : 표시 소자 컨트롤부
409 : 표시 소자부
410 : 기록 헤드 컨트롤부
500 : 호스트 장치
본 발명은,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기록 소자 열을 갖는 기록 헤드를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록 매체 상에서 주사시켜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의 버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 장치에 설치되는 기억 수단(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하여 기록 장치의 비용을 저감하면서, 고속이며 또한 고화질인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록 매체 상에 문자, 화상, 정보 등을 기록할 때에 이용되는 기록 방식으로서는 다양한 방식이 알려져 있지만, 잉크제트 기록 방식은 저소음화, 장치의 저비용화, 저러닝코스트화, 및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기록 장치나 복사기 등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직렬형 잉크제트 기록 장치는 기록 헤드에 의한 주주사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부주사를 교대로 반복하여 1페이지의 기록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린트 버퍼로서, 기록 장치에서 기록 가능한 주주사 방향의 기록폭에 대하여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 모두를 저장하는 데 충분한 메모리 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프린트 버퍼에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 전부가 메모리에 저장되고나서 기록 헤드의 주주 사를 개시하여 기록을 행하도록 제어된다.
최근에는 컬러화, 고화질화, 고해상도화, 및 고속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록 헤드의 수와 각 기록 헤드에 설치되는 기록 소자(잉크 토출 소자)의 수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이와 같이 기록 헤드의 수나 기록 헤드에 설치되는 기록 소자의 수가 증가하면,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의 양도 증가하기 때문에, 기록 버퍼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커지며 장치 전체의 비용이 비싸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본 특개소 58-146929호 공보에는 기록 데이터를 저장한 어드레스를 관리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1회의 주주사로 기록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기록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는 기록을 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널 데이터의 취급에 대해서는 기재되지 않고, 메모리의 사용이 최적으로 효율화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기록 동작 중에 메모리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한 경우에, 어떻게 해서 기록 동작을 행하는 것인지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미국특허 6,097,499호에 대응하는 일본특개평 11-259248호 공보에는 1회의 주주사분의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주주사를 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그 주주사에서의 실제의 기록 전에, 기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록 장치로 기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등의 호스트 장치는 기록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는 데이터 전송을 인터럽트나 방해없이 연속하여 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컴퓨터의 OS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Windows System(등록 상표)은 범용성있는 멀티태스크 시스템으로, 컴퓨터가 기록 중에 데이터 전송만을 행하는 것은 실제로는 거의 없다. 혹은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인터럽트나 방해없이 연속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멀티태스크 시스템의 이점이 없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 공보에도 기록을 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널 데이터의 취급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메모리의 사용이 최적으로 효율화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 이러한 문제는 잉크제트 방식의 기록 장치뿐만 아니라, 모든 방식의 직렬형 기록 장치에 공통된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염가의 구성으로, 고속이고 또한 고화질인 기록을 행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염가의 구성으로, 고속이고 또한 고화질인 기록을 행할 수 있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염가의 구성으로, 고속이고 또한 고화질인 기록을 행할 수 있는 버퍼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록 장치는, 복수의 기록 소자가 소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주사하는 주사 수단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록 헤드로 전송하기 위해 저장하는 버퍼로서, 상기 주사 수단에 의해 주사 가능한 폭만큼 상기 기록 헤드를 주사하여 기록을 행하기 위한 기록 데이터량보다 용량이 적은 버퍼와,
상기 버퍼를, 상기 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형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기록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블록에 기록 데이터를 순환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블록의 사용순서를 관리하는 블록 관리 수단과,
기록 소자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량 연속하여 존재할 때에, 해당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상기 블록에는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 나타내는 널 데이터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즉,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기록 소자열을 갖는 기록 헤드를,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록 매체 상에서 주사시켜 기록을 행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1회의 주사로 기록 헤드가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데이터의 양보다 용량이 적은 버퍼를 갖는 기록 장치에서, 버퍼를 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형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기록의 진행에 따라서 블록에 기록 데이터를 순환적으로 저장하도록, 블록의 사용순서를 관리하고, 기록 소자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량 연속할 때에, 해당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블록에는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로서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에서, 버퍼를 주사에 사용하는 기록 소자의 수, 각 기록 영역을 주사하는 횟수, 설정된 기록 모드 등의 기록 파라미터에 따른 크기의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을 기록의 진행에 따라 순환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록이 연속하여 행해져, 기록 소자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수 연속할 때에, 이들 데이터를 블록에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 나타냄으로써, 블록 및 버퍼가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염가의 구성으로, 고속이고 또한 고화질인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블록의 크기는 각 블록마다 설정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수는 1회의 주사에 대해 설정가능하다.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페이지 또는 1개 작업의 기록 마다 설정가능하다.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사에 사용하는 기록 소자의 수 및 각 기록 영역의 주사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설정가능하다.
기록 장치는 고속 기록을 행하는 기록 모드와 고화질 기록을 행하는 기록 모드를 갖고,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어느 기록 모드가 선택되는지에 따라 설정가능하다.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장치는 기록 장치에 이용가능한 버퍼의 용량과, 주사에 사용하는 기록 소자의 수, 및 각 기록 영역의 주사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한다.
블록의 주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크기는 소정 수의 배수이거나 또는 소정 수의 누승(power)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소정 수의 블록에 기록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주사를 개시시키는 주사 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기록 장치는 복수의 색에 대응하여 복수의 기록 헤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기록 헤드에 따라 블록 관리 수단과 널 데이터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기록 헤드는 잉크를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 기록 헤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기록 헤드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할 수 있고, 잉크에 제공되는 열 에너지를 발생하기 위한 열 변환기(thermal transduc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써, 다른 목적은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달성되며, 이것은 상술한 기록 장치에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에 인스톨되며, 기록 장치에 제어 정보와 기록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로서, 소정의 영역에 대한 기록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기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써, 또 다른 목적은 버퍼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기록 소자들을 갖는 기록 헤드를,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록 매체 상에서 주사시켜 기록을 행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기록 헤드의 1회의 주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기록 데이터의 양보다 용량이 적은 버퍼를 갖는 기록 장치의 버퍼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버퍼를 상기 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형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기록의 진행에 따라 상기 블록들에 기록 데이터를 순환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블록들의 사용순서를 관리하는 블록 관리 단계와, 기록 소자들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량 연속하여 존재할 때에, 상기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상기 블록들에는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 상기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널 데이터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복수의 기록 소자가 소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록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주사하여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에 접속되며, 기록에 이용하는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린터 드라이버로서, 이 프린터 드라이버는 상기 기록 헤드의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의 1회의 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 헤드의 1회의 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기록 장치에 대한 상기 기록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그외의 특징들 및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들과 함께 주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 전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print)이란, 문자, 도형 등 유의의 정보를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유의무의를 막론하고, 또한 인간이 시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현재화한 것인지의 여부를 막론하고, 널리 기록 매체 상에 화상, 모양, 패턴 등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록 매체의 가공을 행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록 매체"란, 일반적인 기록 장치에서 이용되는 종이뿐만 아니라, 널리, 천, 플라스틱 필름, 금속판, 유리, 세라믹스, 목재, 피혁 등, 잉크를 수용 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이다.
또한, "잉크"(이하에서는 "액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란, 상기 "기록"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널리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기록 매체 상에 부여됨으로써, 화상, 모양, 패턴 등의 형성 또는 기록 매체의 가공, 혹은 잉크의 처리(예를 들면,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잉크 중 색제의 응고 또는 불용화)에 제공될 수 있는 액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잉크제트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기록 장치(100)의 급지 위치에 삽입된 기록 매체(105)는 이송 롤러(106)에 의해 화살표 P 방향으로 보내지고, 기록 헤드(104)의 기록 가능 영역으로 반송된다. 기록 가능 영역에서의 기록 매체(105)의 하부에는 플라텐(107)이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101)는 2개의 가이드축(102, 103)에 의해 이들 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는 스텝핑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주사 영역을, 주주사 방향인 화살표 Q1, Q2로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왕복 주사한다. 1회의 주주사가 종료하면, 기록 매체를 화살표 P 방향인 부주사 방향으로 일정량만큼 보내어 다음의 주주사를 대기한다. 이들 주주사와 부주사를 반복하여 1페이지의 기록이 행해진다. 또, 주주사 방향의 기록폭에 대해서는 장치의 설계 상, 기구적으로 기록 헤드를 주사 가능한 영역이 결정되어 있고, 그 주사 영역에 대응하여 최대의 기록폭이 장치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 장치에서의 기록 헤드의 주사 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기록폭의 기록 매체, 혹은 그 기록폭보다 작은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캐리지(101)에 탑재된 기록 헤드(104)는 잉크를 토출 가능한 토출구와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탱크를 포함한다. 기록 헤드의 토출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기록 매체에 잉크를 토출하여 기록하도록 캐리지 상에 기록 헤드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 108은 스위치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며, 스위치부는 기록 장치 전원의 온/오프의 전환이나 각종 기록 모드의 설정 등에 사용되며, 표시부는 기록 장치의 다양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기록 헤드(104)의 구성은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Bk(블랙)의 4색을 기록하기 위해 각 색마다 토출구를 갖는다. Y, M, C의 토출구의 수는 각 128개, Bk는 320개이고, 각 색의 토출구들 사이의 배치 피치는 부주사 방향에 대하여 1/600dpi로 약 42미크론이다. 기록 헤드의 구동 주파수는 15㎑이며, 주주사 방향에 대하여 600dpi의 밀도로 기록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기록 동작 시의 캐리지의 주주사 속도는 25인치/s이다.
도 8은 기록 헤드(104)의 토출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의 토출구는 실제로는 2열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있고, 각 열 사이의 배치 피치는 1/300dpi이다. 화살표 Q1 및 Q2는 기록 헤드(104)가 이동하는 주주사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P는 기록 매체가 기록 헤드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부주사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기록 장치(100)나 주요한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록 장치(100)의 외부에는 호스트 장치(500)가 접속되어 있고, 호스트 장치(500)로부터 기록 장치(100)에 기록하여야 할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며, 수신 버퍼(401)에 저장된다. 또한, 정확하게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및 기록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데이터가 기록 장치(100)로부터 호스트 장치(500)로 송신된다.
수신 버퍼(401)에 축적된 데이터는 ROM(41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CPU(402)의 관리 하에 있고, 기록 헤드(104)가 주주사를 행할 때에 기록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로 가공되고, 결과적인 데이터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403) 내의 프린트 버퍼에 기억된다. 프린트 버퍼는 기록 헤드에 의한 기록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며, 프린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 헤드로 전송함으로써 기록이 행해진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RAM(403)의 기억 영역 내에 프린트 버퍼용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프린트 버퍼의 데이터는 기록 헤드 컨트롤부(410)에 의해 기록 헤드(104)에 전송되며, 기록 헤드를 제어하여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기록 헤드 컨트롤부(410)는 기록 헤드(104)의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 정보 등을 검출하여 CPU(402)로 보내고, 기록 헤드 컨트롤부(410)에 그 정보를 전달하고, 기록 헤드의 구동을 제어한다.
기구 컨트롤부(404)는 CPU(402)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캐리지 모터나 라인 피드 모터 등의 기구부(405)를 구동 제어한다.
센서/SW 컨트롤부(406)는 각종 센서나 SW(스위치)를 포함하는 센서/SW부(407)로부터의 신호를 CPU(402)로 보낸다.
표시 소자 컨트롤부(408)는 CPU(402)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표시 패널용의 LED나 액정 표시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09)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버퍼의 용량은 장치에서 결정된 주주사 방향의 기록폭에 대하여 기록 헤드를 1회 주주사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설정된다. 즉, 장치의 최대 기록폭에 대응하여 1 주주사분의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용량보다 적은 용량을 RAM(403) 내에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치에 설치되는 RAM(403)의 기억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 헤드의 토출구 내에서, Y, M, C, Bk 각 색의 토출구를 각각 128개 사용하여, 1 패스로 컬러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프린트 버퍼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프린트 버퍼의 용량에 대하여 기록 장치의 최대 기록폭에 대응하는 데이터량보다 적고, 1/2보다 많은 값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기록폭을 8인치로 하면, 600dpi의 밀도로 기록한 경우의 데이터량은 주사 방향으로 4800dot분이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보다 적고, 또한 1/2보다 큰 값인 2560dot분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종래는 주사 장치에서는 4800dot분의 메모리가 필요한데 대하여, 제1 실시예는 약 1/2의 메모리 용량을 확보하면 된다.
프린트 버퍼의 구성의 상세로서는 다음과 같다.
A. 프린터 버퍼는 Y, M, C, Bk의 색마다 동일한 크기로 한다.
B. 프린터 버퍼는 세로(부주사) 방향과 가로(주주사) 방향에 소정 수의 기록 화소(dot)를 갖는 사각형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크기는 Y,M,C,Bk 각 색에 공통으로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크기는 1회의 주주사에 대하여 일정한 값으로 하였다.
C. 블록의 세로 방향의 크기(높이)는 설정에 의해 가변으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8의 n1배(n1은 플러스 정수)로 한다. 구체예로서는, n1=16으로, 8×n1=128로 하였다. 또, 8의 n1배로 하는 장점은 연산 처리의 효율화이다.
D. 블록의 가로 방향의 크기(폭)는 설정에 의해 가변으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2의 n2승의 n3배(n2, n3은 플러스의 정수)로 한다. 구체예로서는, n2=8, n3=1로, 2n2×n3=256으로 하였다. 따라서, 기록폭이 2560(dot; 화소)이기 때문에, 주주사 방향으로 최대로 2560/256=10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2의 n2승의 n3배로 하는 장점은 연산 처리의 효율화이다.
E. 각 색에 기록 데이터가 없는 블록은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지 않고, 제로 플래그를 설정하여 대용하고, 기록 시에 이 블록의 데이터는 널 데이터로서 취급한다. 이에 의해, 메모리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블록의 높이 또는 폭을 0으로 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메모리를 확보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Y,M,C,Bk의 각 색의 프린트 버퍼를 동일한 크기로 하고, 각 프린트 버퍼를 사각형의 블록으로 분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메모리 관리를 쉽게 하였다. 또한, 블록의 세로 및 가로의 크기를, 1회의 주주사마다 설정 가능한 가변 구조로 하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록 조건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다.
도 1은 A4 크기의 기록 매체에, 폭 8인치의 데이터를,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할 때에, 설정하는 프린트 버퍼의 블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주사 방향의 해상도가 600dpi이기 때문에, 모든 폭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폭 256dot의 블록이 19개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의 개수를 10개로 하여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절약한다. 또, 블록의 세로의 크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600dpi에서 128dot이다.
도 1 중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주주사의 개시에 따라 기록 동작을 시작하지만, 시작 시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10이고, 블록 1의 기록을 종료하면 그 블록을 블록 11로 하여 재이용한다. 계속해서, 블록 2의 기록을 종료하면 그 블록을 블록 12로서 재이용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기록이 종료한 블록을 재이용하여, 블록 번호 19를 최후로 하여 그 주주사를 종료한다. 즉, 프린트 버퍼로서 확보한 10개 블록 중에서 기록을 종료한 블록에 대해서는 다음의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블록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기록폭 모두에 대응하는 블록의 영역을 확보하지 않고, 기록폭 모두에 대응하는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에서 실선의 블록은 주주사 개시 시에 확보되는 블록을 나타내고, 점선의 블록은 주주사 개시 시에는 확보되어 있지 않은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컬러 기록을 행할 때에 Y,M,C,Bk의 각 색에 대하여 필요한 블록을 도 1과 마찬가지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기록 모드에서는 4색의 기록에 각 128개의 토출구(노즐)를 사용한다. 따라서, 4색 전부에 대하여 확보하여야 할 블록은 실선으로 나타낸 블록으로, 이것을 합계한 프린트 버퍼의 용량은,
128×256×10×4=1,310,720(bit)
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A4 크기의 컬러 화상 1페이지를 기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5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호스트 장치에서 동작 중 어플리케이션 위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이 지시되면, 호스트 장치는 1회의 주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확정한다(단계 S11).
구체적으로는, 기록하여야 할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적절한 화상 처리를 행하고, Y,M,C,Bk의 모든 색에 대하여, 잉크 방울의 토출의 유무를 2치 데이터로 나타낸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호스트 장치는, 생성한 기록 데이터로부터, 1회의 주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추출하여 1회의 주주사의 기록 데이터를 확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호스트 장치에서 행함으로써, 기록 장치에서의 처리 부하가 경감되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의 용량이나, ASIC의 게이트의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측에서 행해지는 화상 처리로서는 일반적으로 기록 장치에서의 화상 처리인, 색변환 처리, 흑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 다치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감마 보정, 2치화 처리 등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호스트 장치에서, 블록 크기를 설정하고, 그 정보를 기록 장치로 송신한다(단계 S12). 블록 크기의 결정은 기록 데이터나 기록 모드에 의해, 또한 잡(job) 단위/페이지 단위/주주사 단위/블록 단위로 설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록 모드는 복수의 기록 모드 중, 1 패스 기록 모드이고, 이것은 잡 단위로 변경되며, 블록 크기는 페이지 단위로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블록 크기는 Y,M,C,Bk에 공통이고, 가로 방향의 크기는 256, 세로 방향의 크기는 128이다. 또한, 블록수는 각 색에 대해 10이다. 이들 블록 크기와 블록수에 대응하는 용량이 미리 RAM(403) 내에 프린트 버퍼로서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에, 1 주주사분의 기록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단계 S13). 이 때, 기록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블록에 대해서는 RAM 영 역을 확보하지 않는다.
다음에, 기록 장치는 주주사를 개시하는 기록 개시 블록수 n4까지 기록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4). 본 실시예에서는 n4은 10이다. 여기서 n4는 기록 장치의 RAM 용량과 블록 크기로부터 얻어지는 확보 가능한 블록수 이하의 수이다. 예를 들면, 확보된 블록수가 10인 경우에, 기록 개시 블록수를 9로 해도 되지만, 통상은 데이터 전송 마진을 최대로 하기 위해 확보된 블록수와 동일 수인 10으로 한다.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기록 데이터의 블록수가 n4 이상이 되면, 기록 장치는 캐리지를 이동시켜서, 1회의 주주사에 의한 기록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15). 이 때, 확보되지 않은 블록의 데이터는 전부, 기록 데이터 없음이라고 판단되며, 기록 헤드에는 기록을 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널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하나의 블록의 기록이 종료되면,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블록에 다음의 기록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16).
1회의 주주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7),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6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1회의 주주사가 종료하면, 1페이지의 기록이 전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8),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주사를 행한 후에, 단계 S11로 되돌아가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크기는 페이지 단위로 설정되기 때문에, 2회째 이후의 주사로는 단계 S12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프린트 버퍼의 용량과 기록 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로부터 1회의 주주사가 정확하게 행해지는 지를 대략 검증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 속도는 캐리지의 이동 속도가 25i/s, 기록 헤드의 구동 주파수가 15㎑이다. 또한, 8인치의 기록폭에 대하여 주주사 개시 시에 1 주주사로 부족한 데이터량은,
128×256×(19-10)×4=1,179,648(bit)
이다.
한편, 블록 1로부터 블록 10까지의 기록에 필요한 시간은 캐리지의 가속 시간을 0.1sec로 하면,
0.1+256×10/15000=0.27(sec)
이다.
따라서, 블록 10을 기록하기까지, 이하의 전송 레이트 이상으로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에 보내지면, 기록 동작 중에 남은 기록 데이터가 전부 전송되며, 주주사에서의 기록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그 필요한 전송 레이트는,
1,179,648/0.27=4.37(Mbit/sec)
=547(Kbyte/sec)
이다.
실제로는, 블록 11 이후의 기록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현재 기록 중인 블록의 기록이 끝나기 전에 다음의 블록의 기록 데이터가 전송되면 되기 때문에, 전송 레이트는 이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통상은 전송되는 기록 데이터는 압축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도 마진이 생긴다. 한편, 최근의 USB나 IEEE1284와 같은 I/F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상기한 필요한 전송 레이트보다 고속이기 때문에, 주주사 중에 기록 데이터가 도중에 끊기는(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함) 것은 통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주주사 중에 기록 데이터가 도중에 끊긴 경우에는 동일한 영역의 주주사를 재차 행하고, 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한 블록만의 기록을 행하여 보완한다.
이러한 기록 데이터의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계 S14에서 특정한 기록 위치에 상당하는 블록(블록 n4)까지 데이터가 전송되고나서 캐리지의 주사를 개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n4의 값을 확보 가능한 최대 블록수인 10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주사분의 기록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음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색마다 블록 내에 데이터가 전혀 없는 블록에 대해서는,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지 않고, 그 대신에 다음의 블록을 확보한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Y,M,C,Bk 중, M과 Bk의 2색밖에 사용하지 않은 기록을 행하는 주주사인 경우에는, 도 4 중 ×표시로 나타내는 Y와 C의 블록 1 내지 블록 10에 대한 메모리 확보는 불필요하며, 그 대신에 M과 Bk에 대하여 블록 11 내지 블록 19와 다음의 주주사에 대한 2개의 블록을 확보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2배의 프린트 버퍼가 확보되게 되어, 메모리가 유효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프린트 버퍼에 최소 블록수인 10개보다 많은 블록이 실질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면, 프린터 버퍼를 동일 주사 앞의 부분, 혹은 다음의 주주사의 프린트 버퍼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동일 주사 앞의 프린트 버퍼로서 이용할 수 있으면, 주주사마다 미리 확보되는 버퍼량이 실질적으로 증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만일, Windows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태스크 처리되는 다른 태스크의 영향 등에 의해, 임의의 주주사 도중에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극단적으로 저하해도, 주사 도중에 기록 데이터의 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하여 기록을 할 수 없게 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 4의 예에서는 마젠타 M과 블랙 Bk의 2색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시안 C와 옐로우 Y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M과 Bk의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1회의 주사로 기록되는 데이터량보다 프린트 버퍼의 용량이 커지게 되며, 예를 들면 단계 S14에서 n4의 값을 19로서 1회의 주사의 기록 데이터가 전부 전송된 후에 주사를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주주사의 프린트 버퍼까지 확보 가능한 경우에는 기록 시간에 대하여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 확정과 데이터 전송이 고속인 경우에는 주주사가 종료하고나서 다음의 주주사를 개시하기까지의 단계 S14에서의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을 적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만일 호스트 장치가 1회의 주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가 확정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을 개시한 경우에는, 기록 시간 쪽이 데이터 확정과 데이터 전송 시의 합보다 고속인 경우, 주주사 중의 캐리지의 동작에 대하여 기록 데이터의 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계 S11에서 호스트 장치에서 적어도 1 주주사분의 기록 데이터가 확정된 후에,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의 기록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잉크제트 기록 장치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기록하는 주주사의 데이터를 블록으로 나누어서, 색마다 기록 데이터가 없는 블록에 대해서는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지 않도록 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각 블록을 소블록으로 더 분할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보다 유효하게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8 화소 단위, 가로 방향은 블록폭과 동일한 단위의 소블록 유닛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소블록 유닛 단위로 기록 데이터의 유무를 판별하고, 데이터가 없는 소블록 유닛에 대해서는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지 않고 제로 플래그를 설정하고, 기록 시에 널 데이터로서 취급하도록 하여 메모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들마다 크기가 서로 다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소블록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6에서는 Y의 블록 1만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블록에 대해서도 전부 마찬가지다. 또한, 도시한 예는 Y의 블록 1 중에서, 최초의 소블록 유닛 1개와, 최후의 소블록 유닛 1개에는 기록하여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각 블록에 적용하고, 각 블록 내의 소블록 유닛에 대응하는 단위로 기록 데이터를 세로 방향으로 상측으로부터 검색하고, 처음으로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소블록 유닛의 위치와,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최후의 소블록 유닛의 위치를 구하고, 양자를 포함하는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그 블록에 대한 메모리 영역으로서 확보한다.
따라서, 각 블록의 크기는 최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가 되고, 기록 데이터가 없는 부분(소블록 유닛)이 존재하면 제1 실시예의 크기 미만이 되기 때문에, 프린트 버퍼의 크기가 동일하여도, 확보되는 블록수는 상기 제1 실시예보다 많아질 가능성이 높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의 전송 속도가 동일해도 제1 실시예보다 고속 기록에 대응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액세스 개시 포인트(처음으로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소블록 유닛의 위치)와 데이터 액세스 종료 포인트(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최후의 소블록 유닛의 위치)의 2 포인트를 관리할 뿐으로, 각 블록에 포함되는 실제의 기록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확보하는 메모리양을 절약하면서, 단시간의 처리가 가능해지며 고속 기록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잉크제트 기록 장치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주주사의 데이터를 기록 영역의 선두 위치로부터 연속한 블록으로 분할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부분에만 블록이 할당되도록, 각 블록의 선두 위치를 주사 방향으로 기록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처음의 위치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기록 영역의 선두 위치나 블록의 이음매로부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영역에 대한 데이터 확보가 불필요해지며, 메모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처리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는, 각 블록의 개시 위치를 Y,M,C,Bk의 모든 색에 공통으로 하고, 메모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에 독립하여 블록 개시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으로 다양한 패턴으로 존재하는 기록 데이터에 대한 블록 할당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중,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기록 헤드를 주사하고, 기록폭은 8인치이고 블록의 크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상정한다. 또, 이 도 7에서는 하나의 기록 헤드에 대한 블록만을 도시한다. SCAN1∼SCAN4는 각각 1회째∼4회째의 주주사 를 나타내고 있다.
SCAN1은 기록 데이터가 연속하여 존재하는 예로, 제1 실시예의 블록과 마찬가지로, 19개의 블록이 주주사에 할당된다.
SCAN2는 기록 영역의 선두 부분과 중간에 기록 데이터가 없는 영역이 존재하는 예이고, 기록 영역의 선두에서 1/2 블록에 상당하는 위치까지는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블록 1의 개시 위치는 기록 영역의 선두로부터 1/2 블록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가 되며, 여기서 1/2 블록에 상당하는 메모리가 절약된다. 또한, 블록 1의 데이터 후에도, 1/2 블록에 상당하는 위치까지는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블록 2의 개시 위치는 블록 1의 종료 위치로부터 1/2 블록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가 되며, 1/2 블록에 상당하는 메모리가 절약된다. 이하의 영역에는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어, 합계 18개의 블록이 주주사에 할당된다. 따라서 SCAN2의 주주사에 대하여 사용되는 메모리는 합계 1 블록분 절약된다.
SCAN3은 기록 영역의 선두 부분에 기록 데이터가 없는 영역이 존재하는 예로, 기록 영역의 선두로부터 2 블록에 상당하는 위치까지는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블록 1의 개시 위치는 기록 영역의 선두로부터 2 블록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가 되고, 여기서 2 블록에 상당하는 메모리가 절약된다. 이하의 영역에는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으며, 합계 17개의 블록이 주주사에 할당된다. 따라서 SCAN3의 주주사에 대하여 사용되는 메모리는 합계로 2 블록분 절약된다.
SCAN4는 기록 영역의 선두 부분에 기록 데이터가 없는 영역이 존재하는 예로, 기록 영역의 선두로부터 9 블록에 상당하는 위치까지는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블록 1의 개시 위치는 기록 영역의 선두로부터 9 블록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가 되고, 여기서 9 블록에 상당하는 메모리가 절약된다. 이하의 영역에는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으며, 합계 10개의 블록이 주주사에 할당된다. 따라서 SCAN4의 주주사에 대하여 사용되는 메모리는 합계로 9 블록분 절약되며, 1회의 주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가 전부 프린트 버퍼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영역의 선두로부터 처음으로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에 블록 1을 할당하여, 블록 1 후에 처음으로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에 블록 2를 할당하도록 하고, 블록의 개시 위치를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로 함으로써, 연속하여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이 주주사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1회의 주주사에 할당하는 블록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하나의 기록 헤드(색)에 대하여 행하였지만, 각 색의 기록 헤드에 대하여 독립하여 상기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잉크제트 기록 장치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 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블록 크기는 1회의 주주사 내에서는 고정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마다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인치의 기록폭을 600dpi의 해상도로 기록하면 합계 4,800dot가 되지만,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블록의 폭(주사 방향 길이)을 256dot로 하여 19블록을 사용하면, 합계 4,864dot가 되기 때문에, 64dot분의 메모리는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낭비를 없애기 위해서, 1회의 주주사의 최후의 블록만을 폭 192dot로 한다. 이에 의해, 확보하는 메모리양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8인치의 기록폭에 대하여, 중간 이후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최후의 블록 폭을 작게 설정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들 처리는 모든 색 공통으로 하거나 각 색 독립적으로 행해도 된다.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잉크제트 기록 장치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모두 1 패스에서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기록 헤드가 사용하는 노즐수나 패스수가 다른 기록 모드를 복수개 갖고, 각 기록 모드에 대응하여 블록 크기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기록 모드로서 예를 들어 1 패스 모드와 4 패스 모드의 패스수가 다른 2 종류의 기록 모드를 갖는 경우, 텍스트나 그래프를 중심으로 한 비교적 심플한 화상의 고속 기록을 우선하는 1 패스 모드에 대해서는, 블록의 폭을 256dot로 하고, 사진 화상을 중심으로 한 비교적 복잡한 화상의 고화질 기록을 우선하고 속도를 우선하지 않은 4 패스 모드에 대해서는 블록의 폭을 128dot로 한다.
즉, 1 패스 모드에서는 블록 처리에 관계하는 CPU의 액세스 횟수를 조금이라도 적게 하기 위해서 크기를 크게 한다. 한편, 4 패스 모드에서는 기록 데이터를 미세하게 관리하여, 절약 가능한 메모리를 증대시킨다.
또한, 기록 모드로서 사용하는 기록 헤드의 노즐수가 다른 2 종류의 기록 모드를 갖는 경우, 예를 들면 128개의 노즐을 사용하는 고속 모드와, 64개의 노즐을 사용하는 고화질 모드를 갖고, 기록 속도 또는 기록 품위 중 어느 하나를 우선시키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화질 모드에서는, 주주사마다의 대역 불균일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1회의 주사에 사용하는 노즐수를 적게 한다.
이 경우, 프린트 버퍼는 고속 모드에 대해서는 폭 256dot×높이 128dot의 크기로 10개의 블록, 고화질 모드에 대해서는, 폭 128dot×높이 64의 크기로 40개의 블록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 모드에 대해서는, 프린트 버퍼에 저장되는 기록 데이터의 양은 1회의 주주사로 기록되는 데이터의 양보다 작다. 고화질 모드에 대해서는 1회의 주주사로 기록되는 데이터의 양보다 많은 데이터를 프린트 버퍼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헤드가 사용하는 노즐수나 패스수가 다른 기록 모드에 따라 블록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메모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블록 크기를 잡 단위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10페이지를 연속하여 기록하는 잡으로, 모든 페이지에 대하여 블록 크기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페이지 간의 블록 설정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혹은 블록 크기를, 페이지 단위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로 1페이지 내의 기록 데이터 수를 미리 구하고, 기록 데이터 수가 많은 경우에는 블록 크기를 작게 하고, 기록 데이터 수가 적은 경우에는 블록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예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잉크제트 기록 장치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버퍼의 용량은 일정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의 RAM(403)의 용량 또는 프린트 버퍼로서 사용 가능한 용량을 호스트 장치측에서 확인하고, 사용하는 기록 헤드의 노즐수, 기록 데이터나 기록 모드 등의 기록 파라미터에 따라서 블록 크기, 블록수, 기록 개시 블록수 등의 블록에 관한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버퍼의 용량이 1,310,720bit라고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로는 기록 장치의 RAM(403)의 용량 또는 프린트 버퍼로서 확보할 수 있는 용량은 기록 장치에 따라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장치와 기록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프린트 버퍼로서 확보할 수 있는 용량을 호스트가 인식한다. 사용하는 기록 헤드의 노즐수, 기록 데이터, 및 기록 모드 등의 기록 파라미터에 따라 블록 크기, 블록수, 및 기록 개시 블록수 등의 블록에 관한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프린트 버퍼로서 확보할 수 있는 용량이 1,310,720bit의 1.5배이면, 다른 설정은 동일하며, 기록 개시 블록수를 10 내지 15로 변경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간에 대지 못하여 기록이 중단하는 경우의 발생 빈도가 보다 저감된다.
또한, 프린트 버퍼로서 확보할 수 있는 용량이 1,310,720bit로, Bk 잉크만을 Bk 헤드의 320개의 토출구를 전부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모노크롬 모드인 경우, 폭 256dot×높이 320dot의 블록 크기로 블록수를 16으로 한다.
페이지 단위로 컬러 모드와 모노크롬 모드를 전환하는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블록의 크기 및 수를 각 페이지에 대응하여 전환한다. 또한, 주주사마다 기록 데이터가 Bk 데이터만인지의 여부에 따라 Bk 헤드만을 사용할지 모든 기록 헤드를 사용할지를 전환하고, 그에 따라 블록의 할당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설정은 호스트 장치측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페이지나 주주사의 기록 데이터를 확정한 후, 기록 헤드의 노즐수, 기록 데이터, 및 기록 모드에 따라서, 블록 크기, 블록수, 및 기록 개시 블록수 등의 블록에 관한 파라미터를 호스트 장치측에서 결정하고 기록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주주사, 페이지, 잡 등의 단위마다 기록 데이터에 따라 유연하게 블록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어, 메모리를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7)
이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예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잉크제트 기록 장치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록에 관한 파라미터, 특히 블록 크기에 대해서는, 주로 노즐수에 대응하는 높이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는 블록 크기의 주주사 방향의 폭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게 한다.
보다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블록 크기, 특히 폭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것은 블록폭이 크면 1개의 블록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시간이 길어지며, 주주사를 개시하는 기록 개시 블록까지의 데이터의 전송에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주사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블록폭을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러한 블록폭의 크기는 호스트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있어서, 주주사에서의 기록 영역의 폭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영 역의 폭이 짧을 때에는, 블록폭을 짧게 설정하고, 기록 영역의 폭이 길 때에는 블록폭을 길게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장점으로서는, 기록 데이터가 도중에 끊어 버린 경우의 복구 처리 시에 기록 영역의 폭이 짧을 때의 주주사 방향의 리커버 위치(연결 위치)가 미세하게 분산되는 것이다. 반대로, 블록의 폭이 큰 경우에는 리커버 위치가 주주사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
또, 기록 영역의 폭의 검출은 사용하는 기록 매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기록 매체가 엽서 등의 통상의 A4의 용지보다 꽤 작은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그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잡 전체에 대하여 블록의 폭을 작게 설정해도 된다.
물론, 그외의 블록에 따른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주주사, 페이지, 잡 등의 단위마다, 기록 데이터에 따라서 유연하게 블록폭을 설정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예]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각각을 단독으로 실시해도 되며, 몇몇을 적절하게 조합한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은 잉크제트 기록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록 헤드를 기록 매체 상에서 주사시켜 기록을 행하는 직렬형의 기록 장치이면, 잉크제트 이외의 다른 기록 방식을 이용한 기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를 컴퓨터 시스템 혹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에 공급하고, 그 컴퓨터 시스템 혹은 장치의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상기 기억 매체에 적용하는 경우, 그 기억 매체에는 상술한 흐름도(도 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게 된다.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그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상이한 실시예들을 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는 것 외의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로서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에서, 버퍼를 주사에 사용하는 기록 소자의 수, 각 기록 영역을 주사하는 횟수, 설정된 기록 모드 등의 기록 파라미터에 따른 크기의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을 기록의 진행에 따라 순환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록이 연속하여 행해지고, 기록 소자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수 연속할 때에, 이들 데이터를 블록에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 나타냄으로써, 블록 및 버퍼가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1회의 주주사로 기록하는 데이터량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염가인 구성으로, 고속이고 또한 고화질인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9)

  1. 복수의 기록 소자가 소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록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주주사 방향(main scanning direction)을 따라 주사하는 주사 수단과,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록 헤드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주사 수단에 의해 주사 가능한 폭만큼 상기 기록 헤드를 주사함으로써 기록을 행하기 위한 기록 데이터량보다 용량이 적은 버퍼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버퍼를 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형(rectangular)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기록의 진행에 따라 상기 블록들에 기록 데이터를 순환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블록들의 사용순서를 관리하는 블록 관리 수단과,
    상기 기록 소자들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량 연속하여 존재할 때에, 상기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상기 블록들에는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써 상기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널(null) 데이터 관리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관리 수단은 그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블록 내에 다음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블록들의 사용순서를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크기는 각 블록마다 설정 가능한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크기 및 상기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회의 주사마다 설정 가능한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크기 및 상기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페이지의 기록마다 설정 가능한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크기 및 상기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개의 작업(job)마다 설정 가능한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크기 및 상기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사에 사용하는 기록 소자의 수 및 각 기록 영역을 주사하는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설정 가능한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속 기록을 행하는 기록 모드와 고화질 기록을 행하는 기록 모드를 갖고, 상기 블록의 크기 및 상기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어느 기록 모드가 선택되는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기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크기 및 상기 블록들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에 이용 가능한 상기 버퍼의 용량과, 주사에 사용하는 기록 소자의 수 및 각 기록 영역을 주사하는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주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크기는 소정 수의 배수인 기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주사 방향의 크기는 소정 수의 누승(power)의 배수인 기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수의 블록에 기록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주사를 개시시키는 주사 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색에 대응하여 상기 기록 헤드를 복수개 갖고, 각 기록 헤드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 관리 수단 및 상기 널 데이터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는 잉크를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 기록 헤드인 기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이고, 잉크에 제공하는 열 에너지를 발생하기 위한 열 변환기(thermal transducer)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16.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기록 소자들을 갖는 기록 헤드를,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록 매체 상에서 주사시켜 기록을 행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기록 헤드의 1회의 주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기록 데이터량보다 용량이 적은 버퍼를 갖는 기록 장치의 버퍼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버퍼를 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형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기록의 진행에 따라 상기 블록들에 기록 데이터를 순환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블록들의 사용순서를 관리하는 블록 관리 단계와,
    상기 기록 소자들의 비구동을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가 소정량 연속하여 존재할 때에, 상기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상기 블록들에는 저장하지 않고, 특정한 제어 데이터로써 상기 소정량의 기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널 데이터 관리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관리 단계에서 상기 블록들의 사용 순서가 그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 내에 다음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관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관리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록 장치, 및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기록 시스템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인스톨링한 후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는 제어 정보 및 기록 데이터를 기록 장치에 송신하도록 조정되며,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는 소정 영역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량에 따라 블록의 크기 및 블록들의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제어 정보로서, 송신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기록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의 상기 기록 헤드의 1회의 주사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기록 헤드의 1회의 주사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기록 장치로의 상기 기록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 내에 구비되어 있는 시스템.
KR1020030023294A 2002-04-15 2003-04-14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 KR100549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2615A JP4401618B2 (ja) 2002-04-15 2002-04-15 記録装置、及び、バッファ管理方法
JPJP-P-2002-00112615 2002-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404A KR20030082404A (ko) 2003-10-22
KR100549491B1 true KR100549491B1 (ko) 2006-02-08

Family

ID=2867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294A KR100549491B1 (ko) 2002-04-15 2003-04-14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5839B2 (ko)
EP (1) EP1355263B1 (ko)
JP (1) JP4401618B2 (ko)
KR (1) KR100549491B1 (ko)
CN (1) CN1269070C (ko)
DE (1) DE603282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395B2 (ja) * 2003-03-27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397752B2 (ja) * 2004-07-28 2010-01-1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装置
JP2006247905A (ja) 2005-03-08 2006-09-21 Canon Inc 記録装置、記録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及び記録システム
EP1700699B1 (en) * 2005-03-08 2013-01-3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recording apparatus
JP4603933B2 (ja) 2005-05-23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742526B2 (ja) * 2011-07-12 2015-07-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7733435B (zh) * 2017-09-15 2020-08-25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8146929A (ja) * 1982-02-25 1983-09-01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のデ−タ受信方法
JP3019306B2 (ja) 1987-07-16 2000-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3233173B2 (ja) 1992-01-07 2001-1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スタイメージシリアルプリンタ
JP2888703B2 (ja) * 1992-06-19 1999-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並びに出力装置並びに出力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メモリサイズ決定方法並びに出力装置のメモリサイズ設定方法
US5671445A (en) 1993-07-19 1997-09-23 Oki America, Inc. Interface for transmitting graphics data to a printer from a host computer system in rasterized form
JPH0939306A (ja) * 1995-07-28 1997-02-10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H0948154A (ja) 1995-08-08 1997-02-18 Brother Ind Ltd シリアル式印字装置
EP0928451B1 (en) * 1995-08-31 2007-11-21 Sand Technology Inc.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H09234862A (ja) 1995-12-26 1997-09-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駆動方法
US5937152A (en) * 1996-04-16 1999-08-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er with buffer memory
US5870535A (en) 1997-05-12 1999-02-0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rasterized lines of bitmap data to be printed using a piecewise-linear direct memory access addressing mode of retrieving bitmap data line segments
US20020052026A1 (en) 1997-10-08 2002-05-02 Steven M. Vicik Methods of refolding proteins
US6097499A (en) 1997-11-14 2000-08-0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chronous printing with minimal buffering
JP3554161B2 (ja) 1997-11-14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6313922B1 (en) 1998-07-16 2001-11-06 Hewlett-Packard Company Efficient use of a printhead and a compressed swath buffer in an inkjet printer
JP2000127522A (ja) * 1998-10-27 2000-05-09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JP2002137414A (ja) 2000-10-31 2002-05-1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残量検出方法
JP2002166536A (ja) 2000-11-30 2002-06-1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66396B2 (ja) 2000-11-30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018433B2 (ja) * 2002-04-15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01618B2 (ja) 2010-01-20
EP1355263A1 (en) 2003-10-22
DE60328238D1 (de) 2009-08-20
EP1355263B1 (en) 2009-07-08
CN1452126A (zh) 2003-10-29
CN1269070C (zh) 2006-08-09
KR20030082404A (ko) 2003-10-22
US7405839B2 (en) 2008-07-29
US20030193675A1 (en) 2003-10-16
JP2003305899A (ja) 200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3240B2 (ja) 記録装置、当該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32319B2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549491B1 (ko) 기록 장치, 프린터 드라이버 및 버퍼 관리 방법
KR100620936B1 (ko) 기록 장치, 정보 처리 장치, 이들의 제어 방법
US8004705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using transfer of compressed image data and compression pattern from host to printing apparatus
JP2003305836A (ja) 記録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555267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US7315393B2 (en) Printing system, printer driver, and printing method
US5971518A (en) Method of printing with an ink jet printer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 print artifact
JP2003305902A (ja) 記録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6147766A (en) Printing apparatus for increasing efficiency in transmitting image data between internal control units
JPH0698119A (ja) 画像記録装置
US72060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3667278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566514B2 (ja) 記録装置及び信号制御方法
JP2001225460A (ja) 印刷時の条件に応じて使用ノズル数を変更する印刷
JP4313981B2 (ja) 記録装置及び当該記録装置の記録制御方法
JP2005056342A (ja) 記録システム、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記録データ生成方法
JP2005053191A (ja) 記録システム及び記録装置の走査開始タイミング制御方法
JP2001253064A (ja) 印刷媒体の端部において使用ノズル数を変更する印刷
JPH0918703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23529A (ja) 記録装置
JP2006218743A (ja) 記録装置
JP2005205667A (ja) 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JP2003251868A (ja) 印刷装置及びバッファ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