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548B1 -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548B1
KR100540548B1 KR1020020078067A KR20020078067A KR100540548B1 KR 100540548 B1 KR100540548 B1 KR 100540548B1 KR 1020020078067 A KR1020020078067 A KR 1020020078067A KR 20020078067 A KR20020078067 A KR 20020078067A KR 100540548 B1 KR100540548 B1 KR 10054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quantum dot
type semiconductor
emitting device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279A (ko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548B1/ko
Priority to US10/538,078 priority patent/US8017931B2/en
Priority to PCT/KR2003/002683 priority patent/WO2004054006A1/en
Priority to CNB2003801054047A priority patent/CN100382339C/zh
Priority to AU2003302837A priority patent/AU2003302837A1/en
Publication of KR2004005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n형 반도체와, 상기 n형 반도체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나노-홀이 포함되는 절연층과, 상기 나노-홀의 내부를 채워 형성되는 양자점과,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n형 반도체가 형성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의 상면에 나노-홀이 포함되는 절연층이 증착되는 공정, 상기 나노-홀의 내부가 채워져 양자점이 형성되는 공정, 및 상기 절연층의 위에 p형 반도체가 증착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에 의해서, 양자점의 크기 및 밀도를 제어할 수 있어, 발광 소자의 특성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양자 우물을 이용하는 발광 소자에 비해 높은 내부 양자 효율을 기대할 수 있어,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양자점. 발광 소자

Description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Quantum dot light emi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 발광층으로 양자 우물층이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소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기판 2, 12 : n형 반도체 3 : 양자 우물층
4, 14 : p형 반도체 13 : 절연층
131 : 나노-홀 132 : 양자점 15 : 장벽층
본 발명은 양자점이 형성되는 발광 소자 및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 양자점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내부 양자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비 전력을 낮추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자점 발광소자 및 양자점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종래 발광층으로 양자 우물층이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과, 상기 기판(1)의 상면에 적층 형성되는 n형 반도체(2), 양자 우물층(3), p형 반도체(4)가 포함된다.
종래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발광 다이오드에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 n형 반도체(2)로부터는 전자가 공급되고, p형 반도체(4)로부터는 정공이 공급되어, 상기 양자 우물층(3)에서 재결합된다. 재결합되는 중에, 양자 우물의 여기 준위 또는 에너지 밴드갭 차이에 해당되는 에너지의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자 우물층(3)은 발광층으로 작용되어, 종래의 이종접합구조의 발광 소자에 비해서는 내부 양자 효율이 높으나, 10%이상을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서, 고출력의 발광소자로 사용될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높고 열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발생된 고열로 인하여 발광 소자의 특성이 변화되는 등 신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발광층의 내부에 양자점을 형성하여 내부 양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소자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n 형 반도체와, 상기 n형 반도체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나노-홀이 포함되는 절연층과, 상기 나노-홀의 내부를 채워 형성되는 양자점과,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n형 반도체가 형성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의 상면에 나노-홀이 포함되는 절연층이 증착되는 공정, 상기 나노-홀의 내부가 채워져 양자점이 형성되는 공정, 및 상기 절연층의 위에 p형 반도체가 증착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양자점 발광 소자에 의해서 내부양자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소비 전력 및 발열량을 줄일 수 있어, 발광 소자의 경제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소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의 a를 참조하면 기판(11)과, 기판(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등이 도핑된 n형 반도체(12)와, n형 반도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절연층(13)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절연층(13)의 내부에는 다수의 나노-홀(nano-hole)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11)은 사파이어 기판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n형 반도체(12)는 질화갈륨(GaN) 또는 갈륨비소(GaAs) 또는 갈륨인(GaP)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13) 질화규소(SiNx) 또는 산화규소(SiO2)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나노-홀이 형성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절연층(13) n형 반도체(12)의 상면에 유기금속기상성장법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성장되는데, 성장 초기에 상기 절연층(13)은 그레인(grain)을 형성하면서 증착이 진행된다. 그리고, 증착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절연층(13)의 그레인들이 융합함에 따라 점점 커지게 되고,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n형 반도체(12)의 표면에는 절연층(13)이 형성되지 않은 소정 크기의 나노-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나노-홀(131)의 크기는 절연층(13)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서 그 크기가 점점 더 작아지게 되므로, 결국 절연층(13)의 성장 시간을 제어하여 원하는 크기의 나노-홀(13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노-홀(131)의 크기는 1~100㎚이다.
또한, 상기 나노-홀(131)은 증착 시간에 따라 그 크기 및 밀도가 상관 관계를 가지며 제어되는데, 가령 그레인이 형성되는 증착 초기단계에서 시간이 조절되면 나노-홀(131)의 밀도 제어가 용이하고, 증착 후기 단계에서 시간이 조절되면 나노-홀(131)의 크기 제어가 용이하며, 증착 중기 단계에서 시간이 조절되면 나노-홀(131)의 밀도 및 크기가 함께 제어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나노-홀(131)이 적정의 크기로 성장된 뒤에는, 상기 나노-홀(131)의 내부에 활성층을 이루는 물질이 채워져 형성되는 양자점(132)이 형성된다. 상기 양자점(132)을 형성하는 물질로는 InGaN, InGaAs, InGaP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양자점(132)이 형성된 절연층(13)의 상면에는 마그네슘, 또는 아연이 도핑된 p형 반도체(14)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n형 반도체(12)와 p형 반도체(14)에는 전극(미도시)이 형성되어 전압이 인가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소자는 도 2의 b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판(11)과, 상기 기판(11)의 상면에 형성되는 n형 반도체(12)와, 상기 n형 반도체(12)의 상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양자점(132)이 포함되는 절연층(13)과, 상기 절연층(13)의 상면에 형성되는 p형 반도체(14)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양자점(132)의 상면은 p형 반도체(14)와 접하고, 양자점(132)의 하면은 n형 반도체(12)와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광 소자에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n형 반도체(12)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와, p형 반도체(14)로부터 공급되는 정공이 양자점(132)에서 재결합되어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자점(132)이 형성됨으로써, 양자점의 크기 및 밀도를 제어할 수 있어 발광 소자의 특성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양자점 발광 소자는 기존의 양자우물층이 이용되는 발광소자에 비해서 내부양자효율이 높아, 발광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나노-홀(도 2의 131참조) 및 양자점(도 2의 132참조)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다만, 양자점(132)이 다수 형성되는 절연층(13)이 형성된 뒤에, 절연층(13)의 위에 장벽층(15)을 형성하고, 그 위에 또 다시 양자점이 다수 형성되는 절연층(13)을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된다. 결국, 양자점(132)이 다수 형성되는 절연층(13)이 장벽층(15)을 개재하여 다수가 적층되는 것이다.
상기 장벽층(15)은 GaN, GaAs, GaP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장벽층(15)이 성장될 때는, 양자점(132)의 윗면에 먼저 성장된 뒤에 수평방향으로 성장이 진행되 기 때문에, 양자점(132)의 장벽은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최상면에 형성된 층은 p형 반도체(14)을 가리키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점(132)이 다수 형성되는 세 개의 절연층(13)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자점이 다수 형성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절연층(13)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발광부분이 형성되어, 발광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나노-홀을 채워서 형성되는 양자점이 형성되는 발광 소자의 구성 및 양자점이 형성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에 의해서, 양자점의 크기 및 밀도를 제어할 수 있어, 발광 소자의 특성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양자 우물을 이용하는 발광 소자에 비해 높은 내부 양자 효율을 기대할 수 있어,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내부 양자 효율이 높아져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고, 소자의 신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n형 반도체층과,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상면으로 증착되고, 증착 중에 다수개의 나노-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관통된 나노-홀의 내부가 반도체 물질로 채워져 형성되는 양자점과,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장벽층을 매개로 다수가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의 크기는 1~100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
  4. 기판 위에 n형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의 상면에 나노-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절연층이 증착되는 공정,
    상기 관통된 나노-홀의 내부가 반도체 물질로 채워져 양자점이 형성되는 공정, 및
    상기 절연층 위에 p형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이 형성되는 공정후에 다른 나노-홀이 포함되는 또 다른 절연층이 증착되고, 상기 나노-홀의 내부가 채워져 양자점이 형성되는 공정이 적어도 한번 더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이 증착되는 공정에서, 상기 나노-홀의 크기 또는 밀도는 상기 절연층이 증착되는 시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20078067A 2002-12-10 2002-12-10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4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067A KR100540548B1 (ko) 2002-12-10 2002-12-10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538,078 US8017931B2 (en) 2002-12-10 2003-12-08 LE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PCT/KR2003/002683 WO2004054006A1 (en) 2002-12-10 2003-12-08 Le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B2003801054047A CN100382339C (zh) 2002-12-10 2003-12-08 Led及其制造方法
AU2003302837A AU2003302837A1 (en) 2002-12-10 2003-12-08 Le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067A KR100540548B1 (ko) 2002-12-10 2002-12-10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79A KR20040050279A (ko) 2004-06-16
KR100540548B1 true KR100540548B1 (ko) 2006-01-11

Family

ID=3669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067A KR100540548B1 (ko) 2002-12-10 2002-12-10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17931B2 (ko)
KR (1) KR100540548B1 (ko)
CN (1) CN100382339C (ko)
AU (1) AU2003302837A1 (ko)
WO (1) WO200405400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159A (ko) * 2010-12-15 2012-06-25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그래핀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7363A (ko) 2017-10-27 2019-05-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하 생성 접합층을 포함하는 박막형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0979B1 (ko) 2017-12-07 2019-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박막형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189810B2 (en) 2016-09-26 2021-11-30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Quantum-dot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olution processed charge generation j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18B1 (ko) * 2004-06-10 2006-09-14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투명 전도성 나노막대를 전극으로 포함하는 발광소자
CN100483613C (zh) * 2005-02-24 2009-04-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量子点制作方法
KR101008588B1 (ko) * 2005-11-16 2011-01-17 주식회사 에피밸리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FR2894396A1 (fr) * 2005-12-06 2007-06-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metteur de lumiere a courants de fuite reduits, utilisant des boites quantiques, et procedes de fabrication de cet emetteur
KR101278768B1 (ko) * 2006-04-13 201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7659129B2 (en) * 2007-06-29 2010-02-09 Ming-Nung Lin Fabricating method for quantum dot of active layer of LED by nano-lithography
US10205059B2 (en) 2010-02-09 2019-02-12 Epista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220530A (en) * 2010-11-09 2012-05-16 Lextar Electronics Corp wherein the quantum cluster pillars for producing photons have substantially ordered distribution and similar sizes
KR101689664B1 (ko) * 2010-11-30 2017-0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자점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물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적층구조물을 적용한 발광소자
US8835965B2 (en) 2012-01-18 2014-09-16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Application of semiconductor quantum dot phosphors in nanopillar light emitting diodes
US9356204B2 (en) 2013-12-05 2016-05-31 Vizio Inc Using quantum dots for extending the color gamut of LCD displays
CN104934460A (zh) * 2014-03-18 2015-09-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发光器件及其对应设备、制备方法
CN107112200B (zh) 2014-11-17 2021-03-26 Sage电致变色显示有限公司 多阻挡层封装叠层
KR102319111B1 (ko) 2015-03-30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CN107394017B (zh) * 2017-07-31 2019-02-05 天津三安光电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CN109742207A (zh) * 2018-12-29 2019-05-10 佛山市柔浩电子有限公司 微发光二极管量子点基板结构
US20220399397A1 (en) * 2020-03-03 2022-12-15 Hcp Technolog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3433715A (zh) * 2021-06-23 2021-09-24 上海先研光电科技有限公司 光电双调制的三维显示方法、显示元件和三维显示装置
CN116364815A (zh) * 2021-06-23 2023-06-30 安徽省东超科技有限公司 量子点单元的加工方法
CN115050860B (zh) * 2022-06-15 2023-09-22 江苏第三代半导体研究院有限公司 基于iii族氮化物量子点的半导体发光结构制备方法及器件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506A (ja) * 1996-04-05 1997-12-16 Fujitsu Ltd 量子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6847A (ko) * 1997-01-29 1998-10-15 이홍희 양자점들에 의한 대면적 디스플레이 led 제조 방법
JPH11297625A (ja) * 1998-04-15 1999-10-29 Canon Inc 半導体量子ドットの作製方法
JPH11340449A (ja) * 1998-05-27 1999-12-10 Nec Corp 半導体量子ドットの作製方法
JP2000188443A (ja) * 1998-12-21 2000-07-04 Nec Corp 半導体量子ドット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55239A (ko) * 1999-02-04 2000-09-05 윤종용 양자 도트를 이용한 비휘발성 단일 전자 트랜지스터 메모리와 그 제조 방법 및 양자 도트를 이용한 단일 전자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 방법
US6139626A (en) * 1998-09-04 2000-10-31 Nec Research Institute, Inc. Three-dimensionally patterned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ing nanocrystals
JP2001007315A (ja) * 1999-06-22 2001-01-12 Nec Corp 量子ドットの形成方法
KR20010087235A (ko) * 2000-03-04 2001-09-15 서한영 콴텀홀 형성방법과 그 콴텀홀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6588A (ja) * 1997-03-06 1998-09-25 Fujitsu Ltd 赤外線センサ
JP3667995B2 (ja) * 1998-06-04 2005-07-0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GaN系量子ドット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3660801B2 (ja) * 1998-06-04 2005-06-1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GaN系半導体発光素子
KR100289982B1 (ko) * 1998-09-05 2001-06-01 윤덕용 양자섬을이용한광감지소자및그제조방법
KR200187235Y1 (ko) * 2000-01-03 2000-07-01 주식회사썸텍 의료용 및 산업용에 사용되는 카메라에 결합되는 캡
JP2001308374A (ja) * 2000-03-04 2001-11-02 Joryoku Kooria Kk クアンタムホールの形成方法とそのクアンタムホールを用いる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709929B2 (en) * 2001-06-25 2004-03-2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s of forming nano-scale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devices using non-photolithographically defined nano-channel templat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506A (ja) * 1996-04-05 1997-12-16 Fujitsu Ltd 量子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6847A (ko) * 1997-01-29 1998-10-15 이홍희 양자점들에 의한 대면적 디스플레이 led 제조 방법
JPH11297625A (ja) * 1998-04-15 1999-10-29 Canon Inc 半導体量子ドットの作製方法
JPH11340449A (ja) * 1998-05-27 1999-12-10 Nec Corp 半導体量子ドットの作製方法
US6139626A (en) * 1998-09-04 2000-10-31 Nec Research Institute, Inc. Three-dimensionally patterned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ing nanocrystals
JP2000188443A (ja) * 1998-12-21 2000-07-04 Nec Corp 半導体量子ドット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55239A (ko) * 1999-02-04 2000-09-05 윤종용 양자 도트를 이용한 비휘발성 단일 전자 트랜지스터 메모리와 그 제조 방법 및 양자 도트를 이용한 단일 전자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 방법
JP2001007315A (ja) * 1999-06-22 2001-01-12 Nec Corp 量子ドットの形成方法
KR20010087235A (ko) * 2000-03-04 2001-09-15 서한영 콴텀홀 형성방법과 그 콴텀홀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159A (ko) * 2010-12-15 2012-06-25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그래핀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0659B1 (ko) * 2010-12-15 2017-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핀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189810B2 (en) 2016-09-26 2021-11-30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Quantum-dot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olution processed charge generation j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18907B2 (en) 2016-09-26 2023-11-1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Quantum-dot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olution processed charge generation j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47363A (ko) 2017-10-27 2019-05-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하 생성 접합층을 포함하는 박막형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430966B2 (en) 2017-10-27 2022-08-30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Thin-film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charge generating junction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in-film light-emitting device
US11638381B2 (en) 2017-10-27 2023-04-25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Thin-film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charge generating junction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in-film light-emitting device
KR101980979B1 (ko) 2017-12-07 2019-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박막형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2339C (zh) 2008-04-16
AU2003302837A1 (en) 2004-06-30
CN1723574A (zh) 2006-01-18
KR20040050279A (ko) 2004-06-16
US20060163560A1 (en) 2006-07-27
US8017931B2 (en) 2011-09-13
WO2004054006A1 (en)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548B1 (ko) 양자점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69962B1 (ko) 전류 확산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4966865B2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0489B2 (ja)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9978B2 (ja) 窒化物系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79045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mproved ohmic contact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078256B2 (en) Nitride semiconductor LED improved in lighting efficienc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020136932A1 (en) GaN-based light emitting device
JP2008526014A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062456A1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20013076A (ko) 나노로드 기반의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03472A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18269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WO2018163824A1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7447151B2 (ja) パッシベーション層を含む発光ダイオード前駆体
KR20190133417A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3336855B2 (ja) 3族窒化物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JP6829235B2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5423026B2 (ja)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53935B1 (ko)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3025760B2 (ja) 窒化ガリウム系半導体レー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08919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27923A (ja) 3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3481305B2 (ja) 3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3341484B2 (ja) 3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