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966B1 -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966B1
KR100538966B1 KR10-2000-7000453A KR20007000453A KR100538966B1 KR 100538966 B1 KR100538966 B1 KR 100538966B1 KR 20007000453 A KR20007000453 A KR 20007000453A KR 100538966 B1 KR100538966 B1 KR 10053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rod
control actuator
metal
cast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889A (ko
Inventor
방드빌뤽
브레비에르얀
메르시에조르쥬
펠뤼스기유
아비까랑미셸
르끌레르끄이브르네
Original Assignee
위지노르
티센 스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지노르, 티센 스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위지노르
Publication of KR2001002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automatic starting the cast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Forg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주조 개시 이전에, 스토퍼 로드가 구비된 턴디쉬를 충전시킨후 스토퍼 로드가 그것 자체의 중량만으로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놓여있을 때 스토퍼 제어 액츄에이터에 초기 위치 (31) 가 결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구동되어 그것이 과밀폐 위치 (33) 에 위치하고, 주조를 개시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가 부가된 이동 대 시간 법칙 (34) 에 따라 구동되고 주조 개시시간 (t1) 은 그 법칙으로부터 결정되며, 제어 액츄에이터는 금속이 잉곳몰드 내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 특히 강의 연속 주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METHOD FOR STARTING CONTINUOUS METAL CASTING OPERATION}
본 발명은 금속, 특히 강의 연속 주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 설비가 주조 래들과 같은 운반 용기에 포함된 용융 금속을 수용할 준비가 된 상황에서 주조를 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설비는 통상적으로 노즐이 구비된 턴디쉬(tundish)와 잉곳 몰드를 포함한다. 또한, 턴디쉬는 주조 중에 노즐을 봉쇄하고 용융 금속의 유량을 제어하는 스토퍼 로드라 칭하는 봉쇄 수단을 구비한다.
주조 개시전에, 더미 바아 (dummy bar) 가 설비에 위치되며; 그러한 더미 바아는 주조 개시시 몰드를 일시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잉곳 몰드에 삽입되는 더미 바아 헤드를 구비하며, 그리고 스토퍼 로드가 밀폐 위치에 위치된다.
주조를 개시하기 위하여, 래들에 있는 금속이 턴디쉬 안으로 주입된다.
그후, 금속이 노즐을 통하여 유동하여 잉곳 몰드를 충전할 수 있도록 스토퍼 로드가 개방된다. 금속이 잉곳 몰드의 소정 높이에 도달할 때, 잉곳 몰드의 냉각벽과 접촉되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고되는 주조 제품의 추출을 개시하기 위하여 더미 바아가 하방으로 구동된다.
문제점중 하나는, 특히 추출 개시전에 충분히 응고된 제품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 및 잉곳 몰드에 요구되는 높이로 인하여 추출 개시 시간을 규정하는 것이다. 잉곳 몰드에서 요구되는 높이에 금속이 도달하는 것은 노즐에서의 금속의 유량 특히 스토퍼 로드 개방 위치를 따른다.
따라서, 개시를 자동화하기 위하여, 잉곳 몰드에서 요구되는 높이에 금속이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는 높이 검출기를 사용하고 그 검출기에 의해서 추출의 개시를 제어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었다.
또한, 주조 공정을 통하여 잉곳 몰드에서의 금속의 높이를 다소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주조 중에 추출 속도 또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잉곳 몰드에 위치되는 높이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 역시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들 검출기는 잉곳 몰드의 상부에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검출기들의 검출 간격이 통상적으로 낮으며 검출기는 주조 중에 기준 높이 근처에서의 높이 변동을 측정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검출기들은 금속이 기준 높이에 접근할 때의 잉곳 몰드에 있는 금속만을 검출한다. 그리하여, 거의 대부분의 잉곳 몰드 충전 시간 동안에, 금속의 높이가 제어될 수 없다. 또한, 검출기가 최종적으로 금속의 존재를 검출하여, 추출의 개시를 지시할 수 있을 때, 추출이 안정되기 이전에 특정 시간이 필요하여 금속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상당히 지날 수도 있다. 이것은 공급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토퍼 로드의 밀폐를 동시에 지시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피할 수는 있다. 그러나, 스토퍼 로드 반응 시간, 그것의 위치화가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보장되어서, 전기한 문제를 전적으로 피하도록 공급률이 충분히 감소될 수는 없다. 또한, 유동 금속의 관성 및 스토퍼 로드 제어 수단의 관성은, 조정되어 높이가 안정되고 주조가 균일해지기 이전에 특정 시간동안 지속될 수 있는 높이 변동을 이끈다.
발생하는 다른 문제는 효율적인 주조 개시시간, 즉, 스토퍼 로드의 개방이 지시될 때 턴디쉬에 포함된 금속이 유동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능력이다. 그러한 문제는 잉곳 몰드의 높이 상승을 제어할 수 있는 문제와 또한 관련되며, 그러한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충전시간 동안에 검출될 수 없다. 따라서, 그러한 높이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은 스토퍼 로드의 정확한 위치에 의존하는 턴디쉬로부터 유동하는 금속의 유량에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토퍼 로드의 위치는 스토퍼 로드 그 자체가 아니라 스토퍼 로드 제어 수단에 위치된 측정 장치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결정된다. 측정 수단에 의해서 주어진 표시가 스토퍼 로드 그 자체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는 것이 아닌데 이는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제어 수단에 연결하는 기계 수단에서의 불가피한 움직임에 주로 기인된다. 따라서, 스토퍼 로드 개방 지시와 실제 개방 개시 사이에 시간 지연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스토퍼 로드 위치의 표시가 금속 유량을 결정하는 효율적인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정확한 주조 개시 시간 및 유량을 알면 충전하는 동안 잉곳 몰드의 높이가 정확히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정확한 추출 개시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그러한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경우, 롤 사이의 연속 주조 공정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따라서,그러한 기술에서 특히 유동 개시와 추출 개시 사이의 충전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 정밀한 충전 개시 시간과 충전 유량을 정확히 아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잉곳 몰드가 충전 상태인 동안에 효율적인 주조 개시 시간 및 주조 유량이 정확히 결정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유념하여, 본 발명의 주제는 스토퍼 로드 시트 (stopper rod seat) 상에 있는 스토퍼 로드 베어링에 의해서 봉쇄될 수 있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턴디쉬, 스토퍼 로드와 스토퍼 로드 제어 액츄에이터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 수단, 및 상기 홀을 통하여 유동하는 금속을 수용하는 잉곳 몰드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에서의 연속적인 금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방법은,
주조 개시 이전에,
a) 스토퍼 로드가 자체의 중량만으로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위치되고, 제어 액츄에이터는 비활성화되어 스토퍼 로드의 위치에 의해서 규정된 초기 위치에 있으며,
b) 제어 액츄에이터의 초기 위치가 결정되고,
c) 제어 액츄에이터는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시트 상으로 밀기 위하여 밀폐 방향으로 구동되며,
d) 턴디쉬에는 액상 금속이 충전되고,
e) 제어 액츄에이터가 구동되어 초기 위치에 대하여 제어 액츄에이터 위치의 소정 간격으로 규정된 제어된 과밀폐 위치에 위치하고,
주조를 개시하기 위하여,
f) 제어 액츄에이터는 부가되어 미리규정된 제어 액츄에이터 이동 대 시간 법칙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구동되고, 주조 개시시간은, 상기 법칙을 이용하여 제어된 과밀폐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쓰여진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법칙으로부터 결정되며,
g) 금속이 잉곳 몰드 내부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개방 방향으로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융 금속이 스토퍼 로드와 스토퍼 로드 시트 사이에서 유동하기 시작하는 시간이 정확히 결정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러한 시간은 정확히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를 떠난 시간이 된다.
이론적으로는,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의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하고, 스토퍼 로드 시트로부터 떨어져서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하는 것이 충분하여, 정확한 이동 개시 시간이 주조 개시 시간을 규정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것은 불가능하다. 실제로, 스토퍼 로드와 제어 액츄에이터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수단에 존재하는 불가피한 움직임과, 턴디쉬에 포함된 액상 금속에 의해서 스토퍼 로드에 가해지는 트러스트 (thrust) 때문에,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에 단지 놓여지는 고정된 소위 초기 위치에 유지되더라도, 스토퍼 로드의 정확한 위치는, 턴디쉬에 용융 금속이 충전될 때 특히 기계적인 움직임 및 팽창 현상에 기인하여 변할 것이다.
그 결과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서 스토퍼 로드의 밀착성이 더이상 보장되지 않고 턴디쉬가 충전되기전에 바라지 않는 용융 금속의 유동이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초기의 기술에 따라 작동자는 턴디쉬가 충전개시 이전에 스토퍼 로드 제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시트에 가압한다. 작업자가 반대 방향에서 제어 액츄에이터를 가동할 때, 제어 액츄에이터의 위치와 스토퍼 로드의 위치 사이에 정확한 일치성이 없어서,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서 밀착 임계 위치에 있는 때를 작업자가 정확히 아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는, 제어 액츄에이터가 일 방향 그리고 그후 다른 방향에서 구동될 때 제어 액츄에이터와 스토퍼 로드의 각각의 위치 사이에 정확한 일치성이 없을지라도, 단지 일 방향, 즉, 개방 방향에서의 움직임만을 고려한다면 그러한 일치성이 재확립된다는 사상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러한 일치성을 인위적으로 재확립시킨다는 사실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 방향, 즉, 스토퍼 로드의 상방 움직임과 대응하는 방향에서의 제어 액츄에이터의 이동 법칙과 함께, 제어된 과밀폐 위치라 칭해지는, 정확히 측정가능하며 그리하여 재현성있는 제어 액츄에이터의 위치가 규정된다.
제어된 과밀폐 위치는,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시트로부터, 즉 초기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는 제어 액츄에이터 위치로부터 고려된 소정의 거리에 의해 규정된다.
제어 액츄에이터의 초기 위치는, 가동자에 의해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대한 임의의 조치에 의해서 규정되지 않고 단지 설비, 특히, 스토퍼 로드에 가해지는 중력의 결과이다. 따라서, 자체 중량하에서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서의 단지 스토퍼 로드의 접촉만이 제어 액츄에이터의 초기 위치를 규정한다. 따라서, 초기 위치가 결정되면, 제어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은 스토퍼 로드이며, 반면에 주조하는 동안에 스토퍼 로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은 제어 액츄에이터임이 명백하다.
액츄에이터 이동 대 시간의 제어 법칙은, 스토퍼 로드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와 더이상 접촉되지 않게 되는 스토퍼 로드의 이동과 제어 액츄에이터 이동 사이의 잘 규정된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주조 설비와 공정의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그러한 시간 이전에는, 그러한 잘 규정된 관계는 없고, 스토퍼 로드의 실제 위치가 액츄에이터의 위치와 관련없이 단지 시간에 대한 제어 액츄에이터 위치의 규정만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법칙은 단계 f) 의 초기에 스토퍼 로드의 비례적인 이동없이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게 하고, 액츄에이터의 그러한 이동은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가압하여 생성된 응력의 이완에 다소 대응한다.
그후,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를 떠난 시간으로부터 응력이 제거되고, 액츄에이터의 이동은 스토퍼 로드를 이동하게 하고 따라서 턴디쉬에 포함된 금속이 유동하게 되며, 그때 용융 금속의 유량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에 의존한다.
전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상당히 이론적이다. 실제로는, 유동의 실제 개시는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를 떠나는 시간에 정확히 대응하지 않는데, 그것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의 구조가 이상적이지 않으며 용융 금속의 물리적 특성 (유동도, 표면장력, 등) 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는 액츄에이터의 이동 법칙이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이유이며,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중의 하나는 한번의 주조로부터 다른 주조까지의 개시 조건의 재현성을 본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성에 따르면, 단계 c) 동안에 스토퍼 로드는 제어 수단에 의해서 가해지는 트러스트힘 (thrust force) 이 소정 값에 도달할때까지 스토퍼 로드 시트에 가압된다.
다르게는, 스토퍼 로드는, 제어수단이 소정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스토퍼 로드 시트에 가압된다.
어느 경우이든지, 용융 금속이 턴디쉬에 도입되기 이전에 스토퍼 로드에 가해지는 트러스트는 시트 상에서 스토퍼 로드의 완전 밀착성을 보장하는데 충분해야하며 그러한 밀착성은 턴디쉬의 충전중에 교란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과밀폐 위치는 밀폐 방향의 제어된 과밀폐 위치를 지나 위치될 것이다.
다른 추가적인 구성에 따르면, 주조가 시작되어 제어수단이 초기 위치에 설정되어진 후에, 스토퍼 로드의 자동 개방은 소위 충전 위치까지 부가된 개방 법칙에 따라서 계속된다. 그러한 충전 위치는 잉곳 몰드의 충전에 걸쳐서 유지된다. 사실상, 이러한 구성은 제어된 유량하에 잉곳몰드의 충전을 보장하게 하여서, 잉곳몰드에서의 액상 금속의 상승이 가능한 한 고요하게 달성되어 통상적으로 알려진 높이 조정이, 잉곳몰드 내부의 금속 높이가 공칭 높이 근처의 높이에 도달할 때 큰 물결의 발생없이, 부드럽게 행해지게 된다. 이 구성은 특히 잉곳몰드로부터의 금속 누출의 모든 위험을 피한다. 이 구성은 또한, 잉곳몰드 내부의 높이가 공칭 높이와 다소 동일한 시작 상태와 추출 개시 사이의 완만한 변환을 보장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잉곳 몰드 내부에 있는 금속의 높이가 소정의 공칭 주조 높이에 도달하기 이전에, 높이 조정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금속의 높이가 공칭 높이 부근의 높이에 도달하자마자 높이 조정을 보장한다. 따라서, 연속 주조 설비에서 잘 알려진 높이 조정 시스템은, 금속의 높이가 높이 조정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기 훨씬 이전에 실시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스토퍼 로드의 추가적인 개방을 야기하는 경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 조정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금속의 높이가 통상 높이의 훨씬 아래인 경우일 것이다). 그러나, 센서가 잉곳몰드 내부에 주입된 금속을 검출하기 이전에 조정 회로가 미리 작동하므로, 높이 조정 시스템은 금속의 높이가 검출되자마자 지연없이 작동한다. 그 결과, 주입된 금속이 통상 높이 근처의 높이에 도달할 때 상기 조정에 의해서 야기된 반응은, 덜 급격하며 스토퍼 로드의 갑작스런 이동 또는 추출속도의 갑작스런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강 주조 설비의 시작 방법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 도 1 은 잉곳몰드 연속 강 주조 설비의 개략도이다.
- 도 2 는 시간에 대한 스토퍼 로드 제어 액츄에이터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에 도시된 연속 주조 설비는, 용융강 (2) 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출홀 (3) 과 노즐 (4) 이 구비된 턴디쉬 (1) 를 포함한다. 배출홀 (3) 은 스토퍼 로드 (5) 가 스토퍼 로드 시트 (6) 상에 있는 경우, 그 스토퍼 로드 (5) 에 의해서 봉쇄된다. 스토퍼 로드의 이동은 제어 액츄에이터 (7) 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그 제어 액츄에이터 (7) 는 베어링 (9) 에서 피벗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레버 (8) 와 같은 기계적인 연결수단에 의해서 스토퍼 로드 (5) 에 연결된다.
설비는 공지된 방식의 잉곳 몰드 (20) 를 포함하며, 그것의 벽은 노즐 (4) 을 통하여 잉곳 몰드에 주입된 용융 금속을 냉각하여 응고시키도록 급격히 냉각된다. 통상의 주조 속도에서, 예컨대 슬라브 (21)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고된 금속은 모터(비도시)에 의해서 회전되는 추출롤 (22) 을 사용하여 바닥을 통하여 잉곳 몰드로부터 추출된다.
제어 액츄에이터 (7) 에는 액츄에이터 로드의 정확한 위치를 계속적으로 측정하는 위치 센서 (10) 가 구비된다. 설비는 도면에 간략히 도시된 조정 시스템 (11) 을 또한 포함하며 그것은 높이 검출기 (12) 에 또한 연결되어 잉곳 몰드에 있는 금속의 높이 (23) 를 검출하고 측정한다.
조정 시스템 (11) 은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13), 또는 동등한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 (7) 의 이동을 제어하며, 추출롤 (22) 의 모터에 연결되어 그것들의 속도를 제어한다.
그러한 모든 수단들은 현존하는 주조설비에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어 액츄에이터는 도 1 에 도시된 액츄에이터 (7) 등의, 액츄에이터 본체에서 병진운동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는 통상의 액츄에이터 뿐만 아니라, 동일한 스토퍼 로드 이동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액츄에이터도 의미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도 2 의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로서, 액츄에이터 (7) 의 위치 (d) 대 공정 개시 이전 시간으로부터 통상의 주조 속도에 도달될 때까지의 시간 (t) 의 변화를 도시한다.
플롯 (31) 은 제어 액츄에이터의 초기 위치 "0" 에 대응하며, 스토퍼 로드 (5) 가 자체 중량하에 스토퍼 로드 시트 (6) 상에 놓여있을 때 측정된 액츄에이터 로드의 위치이다. 그때 액츄에이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13) 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며, 액츄에이터 로드의 위치는 스토퍼 로드 (5) 의 위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토퍼 로드의 중량 및 액츄에이터 로드의 중량은 레버 (8) 에 하방 하중을 가하고, 따라서, 모든 힌지 지점에서의 불가피한 움직임은 레버에 있는 스토퍼 로드와 액츄에이터 로드의 힌지 지점 (51 및 61) 과 설비에 있는 레버의 피벗 (9) 의 힌지 지점에서 가장 높다. 그러한 위치로부터, 전기한 각종 움직임을 보상하고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시트에 가압적으로 누르도록 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 로드가 값 (d1) 만큼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러한 위치는 플롯 (3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이 턴디쉬에 충전되는 시간에 걸쳐서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는 액츄에이터의 위치 (d1) 를 규정하는 대신에, 액츄에이터 공급 압력 또는 하중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될 수 있다.
턴디쉬가 충전되면, 액츄에이터는 구동되어 로드를 소위 제어된 과밀폐 위치 (도 2 에서 플롯 (33)) 로 이동시킨다. 그 위치는 초기 위치로부터의 간격 (d2) 으로 규정된다. 그 거리는 예컨대 소정의 퍼센트, 예컨대 액츄에이터의 전체 스트로크의 3% 이다. 실제로 그 거리는, 너무 높지 않으면서, 스토퍼 로드가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적절히 가압되어 각종 힌지 지점에서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데 충분하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그 위치는 이미 전술한 부가된 개방 법칙하에 액츄에이터 제어 개시점으로 고려될 것이다.
그러한 법칙은 도 2 에 플롯 (34) 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대하여 액츄에이터 로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그 법칙은 선형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상기 법칙을 나타내는 그래프는 액츄에이터와 스토퍼 로드 사이의 연결 수단의 운동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잉곳 몰드 충전 속도 조건에 따라서 직선으로부터 다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이동 법칙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 (d2) 와 시간 (t0) 에서 액츄에이터 이동은 그러한 법칙에 따라서 제어되고, 정확한 개시 시간 (t1) 은 계산에 의해서 시간 (t0 + △t) 으로 결정되며, △t 는 액츄에이터 로드가 간격 (d2) 을 지나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때, 액츄에이터의 이동은, 제어된 과밀폐 상태 동안에 스토퍼 로드에 의해서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가해진 압력을 이완시킬 것이고, 그리하여 턴디쉬 충전전에 액츄에이터의 가압중에 만들어진 것과 반대 방향에서의 모든 힌지 지점 움직임을 받아들일 것이다. 액츄에이터, 레버 및 스토퍼 로드 어셈블리는 초기와 다소 동일한 상태인데, 이는 가해진 힘이 초기 동안에 가해진 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며, 유일한 차이점은 스토퍼 로드를 상방으로 당기는 것은 액츄에이터이며 반면에 초기 동안에 액츄에이터를 유지시키는 것은 스토퍼 로드라는 것이다.
시간 (t1) 으로부터, 유동 배출홀이 점차적으로 개방되고, 개방 가동은 액츄에이터의 이동에 의해서 제어되며, 그러한 연속적인 이동은 간격 (d3) 으로 규정된 지점까지 부가된 법칙의 제어하에 이루어지며, 그러한 간격 (d3) 은 스토퍼 로드의 주어진 개방에 대응하도록 결정된다. 이것은, 추출이 개시된 후 도달될 통상의 주조속도 동안에 제공된 최대 개방과는 다를 수 있다. 시간 (t1) 으로부터, 턴디쉬에 포함된 금속은 스토퍼 로드의 개방에 의해서 결정되는 유량으로 잉곳몰드안으로 유동하기 시작하고, 액츄에이터가 위치 (d3) 에 도달할때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그후 잉곳 몰드의 충전이 계속되는 동안에 부가된 값으로 안정된다 (플롯 35).
추출 개시전 잉곳 몰드가 충전되는 시간 동안에, 금속 유량은, 추출롤의 개시후 턴디쉬로부터 잉곳몰드 내부로 금속이 유동하는 공칭 유량과 다르다. 잉곳몰드 내부의 금속의 높이가 높이 검출기 (12) 의 높이 근처에 도달할 때, 공지된 타입의 높이 조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잉곳 몰드 내부 금속의 다소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도록 유량을 추출속도에 조절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를, 그리고 가능하게는 추출롤 (22) 의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단지 실시예로 여기에 기재한 시작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롤 사이의 연속적인 주조 설비에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에 직접 위치된 센서 (10) 를 사용하여 로드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 대신에, 위치 측정은 스토퍼 로드 제어 수단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측정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5)

  1. 스토퍼 로드 시트 (6) 상에 놓여 있는 스토퍼 로드 (5) 에 의해서 봉쇄될 수 있는 배출홀 (3) 을 구비하는 턴디쉬 (1), 상기 스토퍼 로드 (5) 와 스토퍼 로드 이동 제어 액츄에이터 (7)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 수단 (8),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유동하는 금속 (2) 을 수용하는 잉곳 몰드 (20) 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에서의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에 있어서,
    주조 개시 이전에,
    a) 상기 스토퍼 로드 (5) 가 스토퍼 로드의 중량만으로 스토퍼 로드 시트 (6)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 (7) 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의 위치에 의해서 규정된 초기 위치 (31) 에 있으며,
    b)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의 상기 초기 위치가 결정되고,
    c)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는 상기 스토퍼 로드를 스토퍼 로드 시트 상으로 밀기위하여 밀폐 방향으로 구동되며,
    d) 상기 턴디쉬는 액상 금속으로 충전되고,
    e)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가 구동되어 초기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 위치의 소정의 간격 (d2) 으로 규정된 제어된 과밀폐 위치 (33) 에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를 위치시키고,
    주조를 개시하기 위하여,
    f)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는 부가된 제어 액츄에이터 이동 대 시간 법칙 (34) 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구동되고, 주조 개시 시간 (t1) 은, 상기 법칙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된 과밀폐 위치 (33) 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쓰여진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법칙으로부터 결정되며,
    g) 상기 금속이 상기 잉곳 몰드 내부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의 가동이 개방 방향으로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 동안에, 상기 스토퍼 로드는,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에 가해진 트러스트힘이 소정의 값에 도달할때까지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 동안에, 상기 스토퍼 로드는,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가 소정의 위치 (32) 에 도달할때까지 스토퍼 로드 시트 상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개시동안에 그리고 상기 제어 액츄에이터가 초기 위치에 설정된 후에, 스토퍼 로드 개방은 완전 개방 위치 아래에 위치된 충전 위치 (35) 까지 계속되고, 상기 충전 위치는 상기 잉곳 몰드의 충전 동안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몰드 내부 금속의 높이 (23) 가 공칭의 소정 주조 높이에 도달하기 이전에, 높이 조정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상기 금속의 높이가 상기 공칭 높이의 근처 높이에 도달하자마자 상기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KR10-2000-7000453A 1997-07-16 1998-07-01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KR100538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9241 1997-07-16
FR9709241A FR2766113B1 (fr) 1997-07-16 1997-07-16 Procede de demarrage d'une operation de coulee continue des metaux
PCT/FR1998/001401 WO1999003619A1 (fr) 1997-07-16 1998-07-01 Procede de demarrage d'une operation de coulee continue des meta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889A KR20010021889A (ko) 2001-03-15
KR100538966B1 true KR100538966B1 (ko) 2005-12-26

Family

ID=950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453A KR100538966B1 (ko) 1997-07-16 1998-07-01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374902B1 (ko)
EP (1) EP0998360B1 (ko)
JP (1) JP4224840B2 (ko)
KR (1) KR100538966B1 (ko)
CN (1) CN1086614C (ko)
AT (1) ATE224783T1 (ko)
AU (1) AU727961B2 (ko)
BR (1) BR9811792A (ko)
CA (1) CA2296743C (ko)
CZ (1) CZ288868B6 (ko)
DE (1) DE69808299T2 (ko)
DK (1) DK0998360T3 (ko)
ES (1) ES2184303T3 (ko)
FR (1) FR2766113B1 (ko)
MX (1) MXPA00000553A (ko)
PL (1) PL186661B1 (ko)
PT (1) PT998360E (ko)
RO (1) RO120463B1 (ko)
RU (1) RU2216430C2 (ko)
SK (1) SK285291B6 (ko)
TR (1) TR200000104T2 (ko)
TW (1) TW375540B (ko)
UA (1) UA59406C2 (ko)
WO (1) WO1999003619A1 (ko)
ZA (1) ZA9861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3056B1 (fr) * 2002-07-31 2004-09-03 Realisations Tech Sert Soc Et Procede de demarrage automatique d'une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 et ensembl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8440021B2 (en) 2007-08-16 2013-05-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on for organic thin films
CN104550897A (zh) * 2014-12-15 2015-04-29 余姚市庆达机械有限公司 一种塞杆机构
CN108145112B (zh) * 2016-12-05 2020-01-21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基于液位自动控制的板坯连铸塞棒控流自动开浇工艺
JP2022538688A (ja) 2019-07-05 2022-09-05 イオックス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アーゲー IGSF11(VSIG3)のIgC2に結合する抗体及びその使用
WO2022008027A1 (en) 2020-07-06 2022-01-13 Iomx Therapeutics Ag Antibodies binding igv of igsf11 (vsig3)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570A (en) * 1979-11-07 1981-06-09 Kobe Steel Ltd Method of controlling molten metal surface when starting up continuous casting
DE3421344C2 (de) * 1984-06-08 1993-04-29 Krupp Stahl Ag, 4630 Bochu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Füllen einer Stranggießkokille beim Angießen eines Stranges
DE3509932A1 (de) * 1985-03-19 1986-10-02 Metacon AG, Zürich Verfahren zum anfahren einer stranggiessanlage
LU85878A1 (de) * 1985-05-07 1986-12-05 Arbe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steuerung des anfahrbetriebes einer metall-stanggiessanlage
DE3679950D1 (de) * 1985-09-02 1991-08-01 Nippon Steel Corp Verfahren zum regeln des anfangsstadiums beim stranggiessen.
MX170682B (es) * 1988-11-22 1993-09-07 Hitachi Zosen Corpuration Metodo para el arranque automatico de un aparato de fundicion continua
CH682376A5 (de) * 1990-02-28 1993-09-15 Stopinc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Angiessen von einer Stranggiessanlage.
FR2677284B1 (fr) * 1991-06-07 1993-08-27 Pechiney Aluminium Procede et appareillage pour la coulee automatique de demi-produits.
CA2094029C (en) * 1991-09-12 1997-04-29 Kazuya Asano Molten metal level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FR2698806B1 (fr) * 1992-12-07 1995-01-06 Lorraine Laminage Procédé de remplissage automatique d'une lingotière de coulée continue, en début de coulé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EP0776715B1 (en) * 1995-02-28 2003-08-13 Nkk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inuous casting and apparatus therefor
WO1997014521A1 (fr) * 1995-10-18 1997-04-24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Procede de reglage du niveau de metal en fusion dans une machine de coulage contin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444898A (en) 1999-02-10
DE69808299D1 (de) 2002-10-31
UA59406C2 (uk) 2003-09-15
FR2766113A1 (fr) 1999-01-22
DE69808299T2 (de) 2003-05-28
CN1086614C (zh) 2002-06-26
JP2001510094A (ja) 2001-07-31
US6374902B1 (en) 2002-04-23
EP0998360A1 (fr) 2000-05-10
BR9811792A (pt) 2000-09-26
ATE224783T1 (de) 2002-10-15
KR20010021889A (ko) 2001-03-15
SK285291B6 (sk) 2006-10-05
ES2184303T3 (es) 2003-04-01
CN1264328A (zh) 2000-08-23
RO120463B1 (ro) 2006-02-28
TR200000104T2 (tr) 2001-07-23
JP4224840B2 (ja) 2009-02-18
DK0998360T3 (da) 2003-01-13
WO1999003619A1 (fr) 1999-01-28
TW375540B (en) 1999-12-01
AU727961B2 (en) 2001-01-04
SK322000A3 (en) 2000-09-12
CZ288868B6 (cs) 2001-09-12
FR2766113B1 (fr) 1999-09-17
RU2216430C2 (ru) 2003-11-20
CZ200041A3 (cs) 2000-12-13
PT998360E (pt) 2003-01-31
PL338193A1 (en) 2000-10-09
MXPA00000553A (es) 2002-04-24
CA2296743A1 (fr) 1999-01-28
EP0998360B1 (fr) 2002-09-25
CA2296743C (fr) 2008-02-12
ZA986185B (en) 1999-01-28
PL186661B1 (pl)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023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tarting a continuous casting plant
US5174361A (en) Automatic casting process of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100538966B1 (ko) 금속의 연속 주조 작업의 개시 방법
JP2540032B2 (ja) 複数の鋳片を持つ連続鋳造装置を始動する方法
JPH0712530B2 (ja) 金属溶湯を鋳込む方法
GB2163983A (en) Method of casting melt into a plurality of continuous casting moulds
US3941281A (en) Control device for regulating teeming rate
JPS6156762A (ja) ビレツトの鋳造を開始するために連続鋳造鋳型に自動充填する方法及び装置
US46257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liquid metal in a continuous casting mold
US4787437A (en) Method for starting a continuous casting plant
US4960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mold during casting in a continuous metal casting process
JPS5946705B2 (ja) 連鋳モ−ルド内の溶融金属レベル制御方法
JPH0751264B2 (ja) 連続鋳造機の鋳込み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H0361536B2 (ko)
JP2004276050A (ja) 連続鋳造のスタート方法
JPS62270264A (ja) 連続鋳造の鋳造初期制御方法
JPH0333425B2 (ko)
JPH05245608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ストッパー制御方法
JP4457707B2 (ja) タンディッシュ内溶鋼の注入終了方法
JPH0523868B2 (ko)
JPH06226416A (ja) 加圧ピンの制御方法
JPH038545A (ja) 連続鋳造機の自動鋳込開始制御装置
KR19990043752A (ko) 연속주조기 주형내의 용강량 자동제어방법
JPH0615426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内溶鋼レベルの制御方法
JPH09248662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内溶鋼レベル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