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344B1 - 렌즈유지틀과 렌즈경통 - Google Patents

렌즈유지틀과 렌즈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344B1
KR100536344B1 KR10-2000-0074484A KR20000074484A KR100536344B1 KR 100536344 B1 KR100536344 B1 KR 100536344B1 KR 20000074484 A KR20000074484 A KR 20000074484A KR 100536344 B1 KR100536344 B1 KR 10053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dhesive
injection
receiving por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237A (ko
Inventor
모리야마사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01006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또는 비디오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유지틀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제 1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 및 적어도 렌즈와 렌즈받이부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렌즈유지틀과 렌즈경통{LENS HOLDING FRAME AND LENS BARREL}
본 발명은 카메라 또는 비디오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유지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렌즈를 렌즈유지틀에 고정하는 데에는 코킹(caulking)을 이용하거나, 별도 부품인 누름 고리가 사용되고 있었다. 최근에는 소형 경량화 및 저가격화 등을 위해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렌즈를 고정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개평 4-166904호 공보는 접착제를 사용한 종래의 렌즈경통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개평 4-166904호 공보는 렌즈의 편심 및 렌즈의 기울기의 조정을 불필요하게 한 렌즈유지 경통에 있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접착제를 침투시키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렌즈유지 경통은 그 경통에 사용되는 렌즈의 편심 및 렌즈의 기울기가 해상력 등의 촬영렌즈 전체로서의 렌즈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부분 렌즈에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한편, 렌즈의 편심 및 렌즈의 기울기가 해상력 등의 촬영렌즈 전체로서의 렌즈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렌즈에 사용하는 경우나, 촬영렌즈 전체의 최후의 조정으로서 렌즈의 편심 및 렌즈의 기울기의 조정을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일본 특개평 4-1669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사용할 수 없으며 조정대를 갖는 렌즈유지틀을 사용한다.
도 11은 조정대를 갖는 종래의 접착에 의한 렌즈유지틀(111) 및 렌즈경통(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렌즈경통(110)은 렌즈유지틀(111)과 렌즈(112)가 도 12에 도시한 접착제(113)에 의해 접착되고 있다.
렌즈유지틀(111)은 렌즈(112)를 유지하고, 도시하지 않은 렌즈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틀이다. 렌즈유지틀(111)은 원통형상으로 렌즈(112)의 외부둘레를 둘러싸는 원통부(111a)와, 렌즈(112)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렌즈와의 접촉부로서 등간격으로 설치된 3개소의 렌즈 받이부(111b)를 갖고 있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고 있다.
도 12a는 도 11의 단면 O-O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b는 도 11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렌즈경통(110)은 렌즈유지틀(111)과 렌즈(112)의 사이에 가시광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의 광경화형의 접착제(113)를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충전, 침투시킨 후에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접착제(113)를 경화시킴으로써 렌즈(112)를 렌즈유지틀(111)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렌즈유지틀(111) 및 렌즈경통(110)은 접착제(113)를 렌즈받이부(111b)에 충분히 충전, 침투시키지 않으면 필요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통상은 접착제(113)를 렌즈받이부(111b)에 충전, 침투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양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렌즈유지틀(111) 및 렌즈경통(110)은 접착제(113)의 도포량, 도포속도, 점도 등의 작은 변화나 접착제를 도포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선단의 위치 어긋남 등에 의해 접착제(113)가 렌즈(112)의 유효직경 내로 밀려나와 버려 렌즈 위치 정밀도 불량, 고스트(ghost), 외관불량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113)의 도포량을 적게 하면, 렌즈(112)와 렌즈유지틀(111)과의 빈틈 사이에 접착제가 충분히 침투하지 않아 역시 접착강도가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문제점은 전술한 일본 특개평 4-1669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렌즈유지 경통에 있어서는 더욱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다. 즉, 이 타입의 렌즈유지 경통은 렌즈의 외부둘레를 렌즈유지틀로 위치 규제하기 때문에, 맞닿는 부분에 접착제가 들어가는 것은 기대할 수 없으며, 맞닿는 부분 주변의 극히 약간의 간격(일본 특개평 4-166904호 공보의 예에서는 직경 0.5㎜ 크기 때문에 0.25㎜의 간격)에 접착제를 주입할 필요가 있고, 접착제의 주입량이나 주입속도를 엄밀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접착제가 밀려나와 버려 작업이 상당히 곤란하고, 디스펜서 등의 조정도 번잡하였다.
또, 이 작업에 필요한 디스펜서의 노즐도 이 간격에 대응한 극히 미세한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접착제가 막히거나, 선단을 변형시키기 쉽고 하여 이점에서도 작업성이 나빴다.
또한 일본 특개평 4-166904호 공보의 예에서는 렌즈유지 경통의 통형상부 안에 렌즈가 떨어뜨려 넣어져 있기 때문에 노즐의 삽입방향이 한정되어 있는 점에서도 작업성이 나쁘고, 자동기의 노즐의 배치도 한정되어 실제로 공정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렌즈 유효직경 내로 접착제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성도 좋으며, 안정하고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렌즈유지틀 및 렌즈경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제 1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와,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와, 적어도 렌즈와 렌즈받이부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부를 구비한다.
이 제 1 렌즈유지틀에 있어서 주입부는 접착제의 일부를 모으는 저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렌즈유지틀에 있어서 주입부는 접착제를 주입하는 입구측이 넓고, 안쪽이 좁은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부는 접착제를 주입하는 입구측이 넓고, 안으로 가면 갈수록 좁아지는 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면은 접착제의 일부를 모으는 저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렌즈유지틀에 있어서 주입부는 렌즈받이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렌즈유지틀에 있어서 주입부는 렌즈받이부의 렌즈의 접촉측과 같은 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주입부는 렌즈의 광축방향과 중력방향을 일치시켜 렌즈받이부의 상측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세팅되었을 때, 주입된 접착제가 렌즈와 렌즈받이부의 사이에 중력 및 모세관현상으로 침투하고, 여분의 접착제는 주입부에 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 제 1 렌즈유지틀에 있어서 주입부는 렌즈받이부의 렌즈의 접촉측과는 반대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주입부는 렌즈의 광축방향과 중력방향을 일치시켜 렌즈받이부의 하측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세팅되었을 때, 주입된 접착제가 렌즈와 렌즈받이부의 사이에 중력 및 모세관현상으로 침투하고, 여분의 접착제는 주입부에 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 2개의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제 2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와,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2개의 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2개의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2개의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와, 적어도 제 1 렌즈와 렌즈받이부의 제 1 렌즈측 면을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주입부와 적어도 제 2 렌즈와 렌즈받이부의 제 2 렌즈측 면을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제 1 주입부보다 제 2 렌즈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외측에 위치하도록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주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렌즈경통은 렌즈와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렌즈유지틀을 구비하고,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와,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와, 적어도 렌즈와 렌즈받이부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부를 구비한다.
이 렌즈경통에 있어서 접착제는 그 일부가 주입부에 모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렌즈유지틀(11) 및 렌즈경통(10)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렌즈경통(10)은 렌즈유지틀(11) 및 렌즈(12)를 갖고, 이들은 도 2에 나타낸 접착제(13)에 따라 접착되어 있다.
렌즈(12)는 카메라의 촬영광학계에 사용되는 다수의 렌즈 중 1개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렌즈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렌즈유지틀(11)은 렌즈(12)를 유지하여 도시하지 않은 렌즈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틀이다. 렌즈유지틀(11)은 원통형상으로 렌즈(12)의 외부둘레를 둘러싸는 원통부(11a)와, 렌즈(12)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렌즈와의 접촉부로서 등간격으로 설치된 3개소의 렌즈받이부(11b)와, 접착제(13)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11c)를 갖고 있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고 있다.
도 2a는 도 1의 단면 O-O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렌즈유지틀(11)의 렌즈받이부(11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렌즈받이부(11b)는 렌즈(12)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렌즈와의 접촉부로서 원통부(11a)의 단부(11a-2)의 내벽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3개소의 볼록부이다. 3등분 위치에 있는 것은 절대적인 조건은 아니지만, 균형면 및 크기관리면에서 통상은 3등분의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부(11c)는 접착제(13)를 주입하기 위한 사면으로서 원통부(11a)의 렌즈받이부(1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11a-2)에 대하여 반대 단부(11a-1)측(렌즈받이부(11b)의 렌즈를 접촉시키는 측과 같은 측)에 있다. 그리고, 렌즈받이부(11b)를 제외한 렌즈유지틀(11)의 내벽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주입부(11c)의 단면형상은 도 2a와 같이 L, L', θ를 정의할 때, 0<L'<L 및 θ≤60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추의 내면(절구형상)의 일부의 형상을 하고 있다.
접착제(13)는 렌즈유지틀(11)과 렌즈(12)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이며, 가시광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이다. 접착제(13)는 도시하지 않는 디스펜서 등을 이용하여 주입부(11c)에 주입된다.
실제 접착작업은 렌즈유지틀(11)에 대한 렌즈(1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하여 위치를 낸 후, 디스펜서의 노즐 선단을 주입부(11c) 부근에 두고, 여기에서 접착제(13)를 주입하여 모은다. 이 때 노즐 선단의 위치는 주입부(11c)의 범위에 있다면 좋다. 주입부(11c)에 모인 접착제(13)는 렌즈유지틀(11)과 렌즈(12)와의 사이 및 렌즈받이부(11b)와 렌즈(12)의 간격에 중력 및 모세관현상에 의해 충전, 침투된다. 이 때 여분인 접착제(13)는 주입부(11c)에 남아 있기 때문에 렌즈(12)의 유효직경내로 밀려나오는 일은 없다.
또, 접착작업시에는 렌즈(12)의 광축방향은 중력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 상기 작업순서는 접착제(13)의 충전, 침투 후에 렌즈(12)의 편심 및 기울기의 조정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접착제(13)의 충전, 침투가 완료된 시점에서 자외선을 접착제(13)에 조사함으로써 접착제(13)의 경화가 이루어지고, 렌즈(12)가 렌즈유지틀(11)에 고정된다.
이렇게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렌즈유지틀(11)의 원통부(11a) 위에 접착제의 주입부(11c)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해지며, 접착제가 렌즈의 유효직경내로 밀려나오는 일도 없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유지틀(21) 및 렌즈경통(20)의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단면 O-O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4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조립시의 렌즈받이대(25)에 얹은 상태를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렌즈유지틀(21)의 렌즈받이부(21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중복하는 상세한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렌즈받이부(21b)는 렌즈(22)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렌즈와의 접촉부로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형태이다.
주입부(21c)는 접착제(23)를 주입하기 위한 사면으로서 제 1 실시형태와는 반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원통부(21a)의 렌즈받이부(2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21a-1)(렌즈받이부(21b)의 렌즈를 접촉시키는 측과는 반대측)에 있다. 그리고 렌즈받이부(21b)를 제외한 렌즈유지틀(21)의 내벽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주입부(21c)의 단면형상은 제 1 실시형태에 준하고 있다.
실제 접착작업은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난 것과는 역으로 렌즈(22)에 렌즈유지틀(21)이 얹어진 것과 같은 형상으로 접착이 실시된다. 렌즈받이대(25)는 이 때에 렌즈(22)를 받는 대이다. 그 후의 작업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주입부(21c)를 제 1 실시형태와는 역의 위치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다른 렌즈경통과의 관계나, 공정의 형편 등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의 방향에 주입부(21c)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해지고 접착제가 렌즈의 유효직경내로 밀려나오는 일도 없어진다. 또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조합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유지틀(31) 및 렌즈경통(30)의 제 3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단면의 O-O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는 조립시의 렌즈받이대(35)에 얹어진 상태를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렌즈유지틀(31)의 렌즈받이부(31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실시한 형태이다. 즉, 도 8의 하측 렌즈(32-1)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를 사용하고(31b, 31c-1, 33-1, 35), 상측 렌즈(32-2)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를 사용한(31b, 31c-2, 33-2) 형태이다.
접착작업은 우선 하측 렌즈(32-1)를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충전, 침투시킨다. 그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렌즈유지틀(31)을 반전하지 않고서 그대로 상측 렌즈(32-2)를 떨어뜨려 넣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접착제를 충전, 침투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접착제는 경화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하 각 렌즈는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유지틀(31)에 대하여 양 렌즈(32-1, 32-2)를 이동하여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들을 조정한 후, 자외선을 접착제(33-1, 33-2)에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렇게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2장의 다른 렌즈를 동시에 조정한 후에 접착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2장의 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편심, 기울기가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광학계에 적용하면 특히 효과적이다. 또, 그러한 광학계인 경우가 아니라도 2장의 렌즈를 유지하는 경우에 접착제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 렌즈유지틀(31)을 반전하지 않고 렌즈 조립 부착에서 접착까지 실시하기 때문에 접착작업 자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변형형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고 그것도 본 발명의 균등 범위내이다.
(1)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는 볼록렌즈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렌즈, 메니스커스렌즈 등이라도 좋다. 또 렌즈를 광축방향에 투영한 형상은 원형인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장방형이라도 좋고, 통형 등의 이형(異形) 형상이라도 좋다.
(2)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부는 렌즈받이부를 제외하는 전체 둘레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렌즈경틀(40)과 같이 렌즈받이부(41B)의 근방에만 주입부(41c)를 설치하여도 좋고, 렌즈받이부에서 떨어진 곳에 부분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 주입부의 단면형상은 각 개소마다 달라도 좋다.
(3)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가시광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경화방법에 대해서는 열경화, 혐기경화, 2액경화, 순간접착제라도 좋고, 접착제의 베이스로서는 실리콘계, 에폭시수지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라도 좋다.
(4)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받이부는 3등분으로 하여 선단에 R을 갖는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 갯수 및 형상은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4개소 이상 설치하여도 좋고, 형상도 렌즈형상에 맞춘 곡면을 이루어도 좋다.
(5)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를 전체둘레에 충전, 침투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위치에만 충전, 침투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6)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렌즈유지틀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유지틀에 렌즈를 떨어뜨려 넣음으로써 편심 및 기울기를 규제하고, 이 조정이 불필요한 렌즈유지틀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7)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부로서 사면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사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계단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즉, 접착제의 주입구가 넓고 접착제가 렌즈와 렌즈유지틀과의 간격에 중력 및 모세관현상에 의해 충전, 침투되기 쉬운 구조로, 여분의 접착제가 주입부에 남는 것과 같은 구조라면 모든 구조에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8)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유지틀 및 렌즈경통은 카매라나 비디오카메라 이외에도 망원경이나 쌍안경이나 현미경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렌즈를 사용하는 모든 광학계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렌즈유지틀 및 렌즈경통은 렌즈의 유효직경내로 접착제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성도 좋으며 안정적이며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유지틀(11) 및 렌즈경통(10)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a는 도 1의 단면 O-O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 1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렌즈유지틀(11)의 렌즈받이부(11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유지틀(21) 및 렌즈경통(20)의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단면 O-O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4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렌즈유지틀(21)의 렌즈받이부(21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유지틀(31) 및 렌즈경통(30)의 제 3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8a는 도 7의 단면 O-O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도 7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렌즈유지틀(31)의 렌즈받이부(31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주입부의 변형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조정대를 갖는 종래의 접착에 의한 렌즈유지틀(111) 및 렌즈경통(110)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는 도 11의 단면 O-O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2b는 도 11의 단면 P-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렌즈경통 11, 21, 31: 렌즈유지틀
11a, 21a, : 원통부 11b, 21b, 31b: 렌즈받이부
11c, 21c: 주입부 12, 22: 렌즈
13, 23: 접착제 25, 35: 렌즈받이대

Claims (13)

  1.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상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 및
    적어도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받이부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부는 접착제를 주입하는 입구측이 넓고, 안쪽이 좁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접착제의 일부를 모으는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접착제를 주입하는 입구측이 넓고, 안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은 상기 접착제의 일부를 모으는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렌즈받이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렌즈받이부의 렌즈의 접촉측과 같은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렌즈의 광축방향과 중력방향을 일치시켜 상기 렌즈받이부의 상측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세팅되었을 때, 주입된 접착제가 렌즈와 상기 렌즈받이부와의 사이에 중력 및 모세관현상으로 침투하고, 여분의 접착제는 상기 주입부에 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렌즈받이부의 렌즈의 접촉측과는 반대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렌즈의 광축방향과 중력방향을 일치시켜 상기 렌즈받이부의 하측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세팅되었을 때, 주입된 접착제가 렌즈와 상기 렌즈받이부와의 사이에 중력 및 모세관현상으로 침투하고, 여분의 접착제는 상기 주입부에 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11. 적어도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의 2개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상기 2개의 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
    적어도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렌즈받이부의 상기 제 1 렌즈측 면을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주입부, 및
    적어도 상기 제 2 렌즈와 상기 렌즈받이부의 상기 제 2 렌즈측 면을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주입부보다 상기 제 2 렌즈측인 동시에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주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유지틀.
  12. 렌즈경통은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렌즈유지틀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유지틀은
    렌즈유지틀 본체,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내밀어 상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렌즈받이부, 및
    적어도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받이부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유지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부는 접착제를 주입하는 입구측이 넓고, 안쪽이 좁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그 일부가 상기 주입부에 모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KR10-2000-0074484A 1999-12-10 2000-12-08 렌즈유지틀과 렌즈경통 KR100536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143599A JP4482990B2 (ja) 1999-12-10 1999-12-10 レンズ保持枠及びレンズ鏡筒
JP11-351435 1999-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237A KR20010062237A (ko) 2001-07-07
KR100536344B1 true KR100536344B1 (ko) 2005-12-12

Family

ID=1841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484A KR100536344B1 (ko) 1999-12-10 2000-12-08 렌즈유지틀과 렌즈경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01605B2 (ko)
JP (1) JP4482990B2 (ko)
KR (1) KR100536344B1 (ko)
CN (1) CN10053569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191A (ko) * 2015-12-21 2017-06-29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조정가능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모듈 그리고 그 정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5914A1 (de) * 2001-03-30 2002-10-02 Zeiss Carl Vorrichtung zur Lagerung eines optischen Elementes in einer Optik
DE10136387A1 (de) 2001-07-26 2003-02-13 Zeiss Carl Objektiv, insbesondere Objektiv für die Halbleiter-Lithographie
JP2003287665A (ja) * 2002-03-28 2003-10-10 Seiko Epson Corp 投写レンズ、この投写レンズ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およびこの投写レンズの製造方法
US6710947B1 (en) * 2003-02-10 2004-03-23 Electro Optical Sciences, Inc. Method for assembling lens elements
US7265917B2 (en) * 2003-12-23 2007-09-04 Carl Zeiss Smt Ag Replacement apparatus for an optical element
JP2005202020A (ja) 2004-01-14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ユニット
US7411748B2 (en) * 2004-04-07 2008-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component unit, laser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optical component
JP4847020B2 (ja) * 2005-01-19 2011-12-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2006215443A (ja) * 2005-02-07 2006-08-17 Fujinon Corp レンズ装置のレンズ枠固着方法と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及び光学装置
JP2006294190A (ja) * 2005-04-14 2006-10-26 Canon Inc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4684010B2 (ja) * 2005-05-31 2011-05-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保持装置、及び、レンズ芯出し装置、並びにレンズ芯出し方法
US20100060774A1 (en) * 2006-02-24 2010-03-11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e device
JP2007264576A (ja) * 2006-03-30 2007-10-11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6350372A (ja) * 2006-07-24 2006-12-28 Fujitsu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5143432B2 (ja) * 2007-01-17 2013-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保持構造、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TWI395987B (zh) * 2007-05-25 201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US7894146B2 (en) * 2008-02-13 2011-02-22 Opto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tructure for mounting an optical lens
DE102008000967B4 (de) 2008-04-03 2015-04-09 Carl Zeiss Smt Gmbh Projektionsbelichtungsanlage für die EUV-Mikrolithographie
CN101520533B (zh) * 2009-03-09 2012-12-1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柱面镜镜头及多个柱面镜母线对准的方法
JP5451410B2 (ja) * 2010-01-14 2014-03-2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及びその樹脂製投影レンズの配置構造
JP2011158526A (ja) * 2010-01-29 2011-08-18 Hoya Corp 光学要素調整構造
JP2011209398A (ja) * 2010-03-29 2011-10-2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US8919724B2 (en) * 2010-08-24 2014-12-30 Raytheon Company Mount for cryogenic fast switching mechanism
JP6102929B2 (ja) 2012-09-14 2017-03-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レンズ、光学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US9927111B2 (en) * 2013-09-17 2018-03-27 Xicato, Inc. LED based illumination device with integrated output window
US9557516B2 (en) * 2013-10-07 2017-01-31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systems exhibiting improved lifetime using beam shaping techniques
JP2015194726A (ja) * 2014-03-27 2015-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液体噴射装置
US9500836B2 (en) 2014-07-21 2016-11-22 Raytheon Company Precision optical mount for optical devices
DE102015004967B4 (de) 2015-04-20 2018-03-01 Jenoptik Polymer Systems Gmbh Optische Vorrichtung
TWM519751U (zh) 2015-11-09 2016-04-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塑膠鏡筒、鏡頭模組及電子裝置
JP2017211410A (ja) * 2016-05-23 2017-11-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光学機器
JP6859048B2 (ja) * 2016-08-22 2021-04-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保持方法、レンズ部組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部組
JP7103819B2 (ja) * 2018-03-30 2022-07-2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KR102295109B1 (ko) * 2019-09-02 2021-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6047706A (zh) * 2023-01-30 2023-05-02 西安应用光学研究所 一种多视场单探测器电视用紧凑型反射镜切换机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206U (ja) * 1983-04-06 1984-10-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保持装置
JPS60107812U (ja) * 1983-12-20 1985-07-22 コニカ株式会社 レンズ保持枠
JPH01238612A (ja) * 1988-03-18 1989-09-22 Canon Inc レーザ光源装置
JPH0219812A (ja) * 1988-07-07 1990-01-23 Topcon Corp 光学素子保持装置
JPH05113529A (ja) * 1991-10-22 1993-05-07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装置
JPH08122603A (ja) * 1994-10-20 1996-05-17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マウント構造
JPH08329508A (ja) * 1995-06-02 199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取付構造
JPH09318859A (ja) * 1996-05-30 1997-12-12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H11211957A (ja) * 1998-01-23 1999-08-06 Nikon Corp レンズ保持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8210A (ja) * 1985-05-13 1986-11-1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装置
US5493452A (en) 1990-10-31 1996-02-20 Olympus Optical Company Limited Lens retaining barrel
JPH04166904A (ja) * 1990-10-31 1992-06-12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鏡筒
JPH08238681A (ja) * 1995-03-03 1996-09-17 Nikon Corp レンズバレル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US5781351A (en) * 1995-06-02 1998-07-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used for optical disk device
JPH10282388A (ja) * 1997-04-10 1998-10-23 Minolta Co Ltd 調心可能なレンズ保持構造および該レンズ保持構造の寸法決定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206U (ja) * 1983-04-06 1984-10-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保持装置
JPS60107812U (ja) * 1983-12-20 1985-07-22 コニカ株式会社 レンズ保持枠
JPH01238612A (ja) * 1988-03-18 1989-09-22 Canon Inc レーザ光源装置
JPH0219812A (ja) * 1988-07-07 1990-01-23 Topcon Corp 光学素子保持装置
JPH05113529A (ja) * 1991-10-22 1993-05-07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装置
JPH08122603A (ja) * 1994-10-20 1996-05-17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マウント構造
JPH08329508A (ja) * 1995-06-02 199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取付構造
JPH09318859A (ja) * 1996-05-30 1997-12-12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H11211957A (ja) * 1998-01-23 1999-08-06 Nikon Corp レンズ保持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191A (ko) * 2015-12-21 2017-06-29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조정가능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모듈 그리고 그 정렬 방법
KR102646981B1 (ko) * 2015-12-21 2024-03-12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조정가능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모듈 그리고 그 정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66192A (ja) 2001-06-22
JP4482990B2 (ja) 2010-06-16
CN100535698C (zh) 2009-09-02
US20020126398A1 (en) 2002-09-12
CN1299981A (zh) 2001-06-20
KR20010062237A (ko) 2001-07-07
US6501605B2 (en)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344B1 (ko) 렌즈유지틀과 렌즈경통
KR102646981B1 (ko) 조정가능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모듈 그리고 그 정렬 방법
US5768458A (en) Optical coupling device with ball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6761A (ko) 렌즈 모듈
US6870693B2 (en) Optical element
EP0660150B1 (en) Lens mounting structure
US5493452A (en) Lens retaining barrel
JP4583438B2 (ja) 光レセプタクル、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8355609B2 (en) Lens arrangement for optical rotary joints
US6597516B2 (en) Lens frame structure for optical axis adjustment
WO2014095130A1 (de) Imagermodu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magermoduls
JP3093840B2 (ja) レンズ保持方法
JP2009128680A (ja) 鏡枠及びレンズユニット
US9500809B2 (en) Precision two-dimensional fiber-collimator-array
US7708472B2 (en) Optical module holder, optical module, and optical connector
US10623613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727292B2 (en) A device for optical connection of an optical fibre, with another optical element
US5042890A (en) Device for the coupling of lasers, diodes or the like by means of light-conducting fibers or such types of fibers with one another
JP4927763B2 (ja) 光モジュール用ホルダ、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コネクタ
US20110026145A1 (en) Lens Module
US7274633B2 (en) Optical pickup
US5825953A (en) Polarized light variable lens holder
KR100236653B1 (ko) 렌즈 고정장치
US20040184726A1 (en) Optical fiber collimator
JP2002187139A (ja) レンズ面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