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980B1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980B1
KR100535980B1 KR10-2004-0027708A KR20040027708A KR100535980B1 KR 100535980 B1 KR100535980 B1 KR 100535980B1 KR 20040027708 A KR20040027708 A KR 20040027708A KR 100535980 B1 KR100535980 B1 KR 10053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ver
operation lever
cas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008A (ko
Inventor
사루와타리요지로
야노케이스케
후루쇼신이치
후지와라테츠야
미노와료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H01H50/642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intermediate part being generally a slide plate, e.g. a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6Bases; Casings; Covers having windows; Transparent 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8Indicators;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이며, 내부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동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다.
해결 수단
베이스 플레이트(1)에 코일 블록(2)과 접점 개폐기구(3)를 마련하고 케이스(4)를 씌우고, 상기 코일 블록(2)을 여자·소자하여 가동 철편(16)을 회전시키고, 가동 접촉편(24)을 동작시킴에 의해, 접점을 개폐한다. 상기 케이스(4)의 상면에, 가동 철편(16)을 직접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작동부(49)를 배치하고 커버(46)로 덮는다. 해당 커버(46)에,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44)를 장착한다. 해당 조작 레버(44)를, 작동부를 덮는 폐쇄 위치, 작동부를 노출시키는 제 1 개방 위치 및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 2 개방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전자 계전기로서, 케이스에 마련한 선회 레버를 선회시켜서 중간부재를 수평 이동시키고, 접점 폐성 위치의 전환을 행함에 의해 동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전자 계전기로서, 케이스에 마련한 카드를 직접 압입 조작하고, 접점 폐성 위치의 전환을 행함에 의해 동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다른 전자 계전기로서, 케이스에 마련한 누름버튼을 슬라이드 조작하고, 접점 폐성 위치의 전환을 행함에 의해 동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11-096875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11-O16473호 공보
[특허 문헌 3]
특개 2001-319553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어느 전자 계전기라도, 조작 부재(선회 레버, 카드, 누름버튼)는 케이스에 마련되고, 내부 구성 부품을 직접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부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케스에의 조작 부재의 장착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레버 암의 선회 동작을 중간부재의 수평동작으로 변환하여 가동 접촉편을 휘여지게 할 필요가 있고, 동작의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조작 부재를 록 상태로 유지할 수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이며, 내부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동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일 블록과 접점 개폐기구를 마련하고 케이스를 씌우고, 상기 코일 블록을 여자(magneize) 및 소자(demagnetize)하여 가동 철편을 회전시키고, 가동 접촉편을 동작시킴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도록 한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가동 철편을 직접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배치하고 커버로 덮고, 해당 커버에,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를 장착하고, 그 조작 레버를, 작동부를 덮는 폐쇄 위치, 작동부를 노출시키는 제 1 개방 위치 및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 2 개방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 레버를 슬라이드 조작할 뿐으로, 간단하게 작동부를 동작시키거나, 동작 상태로 유지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동부는 케이스의 상면에 씌운 커버로 덮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작 레버의 위치 결정은, 해당 조작 레버에 형성한 탄성 계지부(彈性係止部)를, 커버에 형성한 3개소의 계지 수부에 계지함에 의해 행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계지 수부는, 상기 탄성 계지부와의 계지 치수를 상위하게 하면, 조작 레버의 조작에 클릭 느낌을 갖게 할 수 있고, 조작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블록의 여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발광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에 탄성 암 부를 통하여 일체화하면,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 없이, 발광 소자의 지지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레버는, 슬라이드 조작한 때, 상기 커버에 맞닿아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기부를 구비하면, 오조작에 의해 조작 레버가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각 계지 수부에 계탈하는 탄성 계지부와,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가압용 돌기부를 분리하여 마련하면, 각 기능을 적절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를 도시한다. 이 전자 계전기는,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1)에, 코일 블록(2) 및 접점 개폐기구(3)를 마련하고, 케이스(4)를 씌우고, 또한 케이스(4)의 상면에 표시 블록(5)을 배치한 구성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절연벽(6)에 의해 코일 블록(2)이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접점 개폐기구(3)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절연벽(6)의 측면부분에는 계지 돌부(7)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케이스(4)의 계지 구멍(36)에 계지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에 케이스(4)가 부착된다. 또한, 제 2 영역은, 제 2 절연벽(8)과 제 3 절연벽(9)에 의해, 제 1 고정 접촉편(25)이 고정되는 영역과, 가동 접촉편(24)이 고정되는 영역과, 제 2 고정 접촉편(26)이 고정되는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2 절연벽(8)의 측면부분에는 축받이 구멍(10)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인디케이터(31)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코일 블록(2)은,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11)에 스풀(12)을 사이에 두고 코일(13)을 두루감은 것이다. 철심(11)의 하단부에는, 개략 L자형으로 절곡한 요크(14)의 수평면부(14a)가 코킹 고정되어 있다. 요크(14)의 수직면부(14b)는, 두루감은 코일(13)에 따라 상방으로 늘어나고, 측면에는 힌지 스프링(15)이 고정되어 있다. 요크(14)의 수직면부(14b)의 상단에는 가동 철편(16)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철편(16)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11)의 흡인면(11a)에 흡인되는 흡인부(17)로부터 굴곡부분을 통하여 폭이 좁아진 가압 수부(18)가 연설되어 있다. 가압 수부(18)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카드(27)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편(16)은, 힌지 스프링(15)의 가압편(15a)에 의해 가압 수부(18)가 가압되고, 코일 블록(2)이 소자 상태이면, 흡인부(17)가 철심(11)의 흡인면(1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한다.
스풀(1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차양부(12a)에 제 1 코일 단자(20)가, 하단 차양부(12b)에는 제 2 코일 단자(21)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 1 코일 단자(20)는, 하단의 다리부(22)에 코일(13)이 두루감겨지고, 상단 평면의 전기접속부(23)에, 후술하는 LED(50)로부터의 리드선(54)이 접속된다. 전기접속부(23)에는, 중앙부에 상하로 늘어나는 돌조(突條; ridges; 23a)가 형성되고, 리드선(54)과의 전기 접속이 확실하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코일(1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의 몸통부에 두루감겨지고, 제 1 코일 단자(20)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코일(13a)과, 두루감은 코일(13)의 외주에 두루감겨지고, 제 2 코일 단자(21)에 각각 접속되는 제 2 코일(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코일 단자(21)에 전압을 인가하여 외주측의 제 2 코일(13b)에 통전하면,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내주측의 제 1 코일(13a)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고, 제 1 코일 단자(20)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점 개폐기구(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24)과, 그 양측에 배치한 제 1 고정 접촉편(25) 및 제 2 고정 접촉편(2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24)은, 판형상이고, 상단부에 양면에 노출하는 가동 접점(24a)이 일체화되고, 하단부에서 단자부(25b)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동 접점(24a)의 하방 부근에는 관통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촉편(25) 및 제 2 고정 접촉편(26)은 함께 판형상이고, 상단부에 상기 가동 접점(24a)이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25a) 및 제 2 고정 접점(26a)이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양 고정 접촉편(25, 26)의 하방측은 크랭크형상으로 굴곡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부(25b, 26b)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고정 접촉편(25)은, 상단측에서 제 1 고정 접점(25a)의 부근 하방에서 상하로 늘어나는 슬릿(25c)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24)은, 가동 철편(16)의 일단부에 계지한 카드(27)를 통하여 동작한다. 카드(2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체의 중앙부에 압입 돌출부(28)를 구비하고, 그 선단에 마련한 돌기(28a)가 상기 가동 접촉편(24)의 관통 구멍(24c)을 관통한다. 압입 돌출부(28)의 상방 부근에는 직사각형 구멍(29)이 형성되고, 가동 철편(16)의 연결부(19)가 연결된다. 카드(27)의 양 측부에는 개략 U자형의 가이드 수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27)에 의한 가동 접촉편(24)의 동작은, 인디케이터(31)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테두리체형상이고, 상단 연접부 중앙에 표시편(32)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편(32)의 선단은 개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시인부(33)를 구성하고 있다. 양 측부 하단에는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축(34)이 형성되고, 이 지축(34)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받이 구멍(10)에 계합함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한, 양 측부 중앙에는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돌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27)의 가이드 수부(30)에 가이드됨에 의해, 양자는 일체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드(27)의 가압 위치에 대해, 인디케이터(31)의 회전 중심(지축(34))이, 표시편(32)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드(27)의 이동량에 대해 표시편(32)의 이동량을 증폭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스(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이고,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함에 의해 얻어진다. 케이스(4)의 양 측면 하방 중앙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계지 돌부(7)가 계탈하는 계지 구멍(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의 일단면에는, 전자 계전기를 연직면 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패널에 장착한 후, 떼어낼 때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갈고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표시 가이드부(38)가 돌설되고, 일단측에 계지편(39) 및 보강부(40)가 돌출하고, 타단측에 제 1 가이드편(41) 및 제 2 가이드편(42)이 돌출함과 함께 슬릿(4a)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가이드부(38)는, 상자형상이고, 인디케이터(31)의 표시편(32)이 동작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계지편(39)은, 표시 가이드부(38)와의 사이에 LED 홀더(43)를 가이드하고, 상단의 계지 갈고리(39a)로 케이스(4)로부터의 LED 홀더(43)의 탈락을 방지한다. 보강부(40)는, 계지편(39)을 보강하고, 후술하는 커버(46)의 제 2 계지 갈고리(69)가 계탈하는 계지 갈고리(40a)를 구비한다. 제 1 가이드편(41)은, 측면 중앙부에 커버(46)의 제 1 계지 갈고리(62a)(도 11 참조)가 계지되는 계지홈(41a)이 형성되고, 커버(46)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단이 가늘게 되어 있다. 제 2 가이드편(42)은, 병설한 한 쌍의 돌출판으로 이루어지고, LED(50)로부터 늘어나는 리드선(54)을 가이드한다. 슬릿(4a)에는, 제 1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가 삽통한다.
표시 블록(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의 상면에 LED 홀더(43)를 배치하고, 조작 레버(44) 및 표시 패널(45)을 마련한 커버(46)로 덮은 구성이다.
LED 홀더(43)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본체(47)로부터 탄성 암 부(48)를 연설하고, 그 선단에 작동부(49)를 형성한 것이다.
홀더 본체(47)는, LED(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51)과, LED(50)에 접속한 저항(5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 회피 구멍(escape hole; 53)이 형성되어 있다. LED(50)로부터 늘어나는 리드선(54)은, 홀더 본체(47)의 하면 구석에 형성한 노치(55)를 통하여 인출된다.
탄성 암 부(48)는, 홀더 본체(47)의 측연 양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설되고,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굴곡하여 작동부(49)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탄성 암 부(48)의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4)의 돌출부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작동부(49)는, 탄성 암 부(48)에 연속하는 지지판(40a)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압부(56)와, 상면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 1 가압 수부(57)와, 상면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 2 가압 수부(58)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56)는, 가동 철편(16)의 일단부를 가압하고, 카드(27)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24)을 동작 가능하게 한다. 제 1 가압 수부(57)는, 중앙의 원주부(59)와, 그 양측으로 늘어나는 연설부(60)로 이루어진다. 원주부(59)의 중심에 오목부(59a)가 마련됨과 함께, 연설부(60)와 원주부(59)에 연속하는 홈부(59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9a)는, 제 1 가압 수부(57)를 펜 등의 끝이 뾰족한 것으로 가압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홈부(59b)는, 드라이버 등의 판형상의 것으로 가압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제 2 가압 수부(58)는, 홀더 본체(47)측의 상방 모서리부가 잘려 제거되고, 경사면(5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58a)을 조작 레버(44)의 가압용 돌부(74)에 의해 가압됨에 의해, 가압부(56)로 가동 철편(16)의 흡인부(17)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LED 홀더(43)에 의하면, LED(5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부(49)에 의해 가동 철편(16)을 동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적고,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LED 홀더(43)는, 케이스(4)의 상면에 재치할 뿐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다.
커버(46)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이고, 상벽 중앙부에는 창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창부(61)는, 인디케이터(31)가 동작한 때, 표시편(32)을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버(46)의 일단부에는, 조작 레버(44)가 장착되는 개구부(62)와, 이 개구부(62)에 연속하는 개구부(62)보다도 폭이 좁은 오목개소(6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2)는, 커버(46)의 상면 및 측면에 개구한다. 오목개소(63)는, 커버(46)의 상면에 위치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LED 홀더(43)의 제 1 가압 수부(57)가 압입 가능하게 위치하는 삽통 구멍(64)이 뚫리어 있다. 커버(46)의 상벽 하면(천장면)에는, 상기 개구부(62)의 양측에, 물결형으로 연속하는 3개소의 패여진 부분에 의해, 제 1, 제 2, 제 3 계합 수부(65a, 65b, 65c)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제 3 계합 수부(65a, 65b, 65c)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44)를, 폐쇄 위치, 제 1 개방 위치 및 제 2 개방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한다. 이 경우, 제 1, 제 2, 제 3 계합 수부(65a, 65b, 65c)의 패여진 치수에 변화를 갖게 하면, 조작 레버(44)의 슬라이드 조작시의 클릭 느낌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62)의 내측면에는, 제 1 계지 갈고리(62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가이드편(41)의 계지홈(41a)이 계탈한다. 또한, 커버(46)의 타단부에는, 표시 패널(45)을 장착하기 위한 패널용 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용 오목부(66)에는, 양측에 직사각형 모양의 연통 구멍(67)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부착부(68)가 돌출하고 있다. 부착부(68)는 봉형상이고, 그 단면 형상은 원형부로부터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부를 연설한 것으로 되어 있다. 부착부(68)는, 오목개소(63)의 이면에서 폭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연통 구멍(67) 내에서 일단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68)는, 표시 패널(45)의 부착뿐만 아니라, 오목개소(63)를 형성함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부분을 보강함과 함께, 성형 가공시의 수지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커버(46)의 내측면에는, 연통 구멍(67)의 부근에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2 계지 갈고리(69)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4)의 보강부(40)에 형성한 계지홈(40a)에 계탈한다. 연통 구멍(67)의 존재에 의해, 내측면에 제 2 계지 갈고리(69)를 구비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커버(46)를 슬라이드 금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성형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창부(61)의 부근에는, LED(50)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46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44)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70), 폐쇄부(71) 및 계지부(72)를 구비한다. 조작부(70)는, 상면 및 측면에서 상기 커버(46)의 개구부(62)를 폐쇄한다. 조작부(70)의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홈부(70a)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70a)는, 손가락의 손톱을 걸고, 커버(46)에 대해 조작 레버(44)를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폐쇄부(71)는, 조작부(7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오목개소(63) 내에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삽통 구멍(64)에 위치하는 제 1 가압 수부(57)가 덮혀진다. 계지부(72)는, 조작부(70)로부터 늘어나고, 폐쇄부(71)의 양측 하방에 위치한다. 계지부(72)의 선단 측면에는, 산형의 탄성 팽출부(73)가 마련되고, 선단 하면에는 가압용 돌부(7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팽출부(73)는, 커버(46)의 천장면에 형성한 제 1 내지 제 3 계합 수부(65a 내지 65c)에 각각 계탈하고, 폐쇄 위치(도 12 참조), 제 1 개방 위치(도 13 참조) 및 제 2 개방 위치(도 14 참조)로 각각 위치 결정된다. 가압용 돌부(74)는, 조작 레버(44)를 슬라이드시킴에 의해 LED 홀더(43)의 제 2 가압 수부(58)를 가압한다. 또한, 계지부(72)의 하면에는, 케이스(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 돌부(35)의 선단에 맞닿아 커버(46)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44)는, 전술한 구성 외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72)의 선단이, 탄성 팽출부(73)가 형성된 제 1 탄성편(76)과, 가압용 돌부(74)가 형성된 제 2 탄성편(77)의 2개로 나누어진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탄성편(76)의 탄성 팽출부(73)에 의한 커버(46)의 계합 수부(65)와의 계탈과, 제 2 탄성편(77)의 가압용 돌부(74)에 의한 LED 홀더(43)의 제 2 가압 수부(58)의 가압을 독립하여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 철편(16)의 동작의 편차, 즉 LED 홀더(43)에 의한 압입량의 편차를 제 2 탄성편(77)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패널(45)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체의 표면에 인쇄나 라벨의 부착에 의해 소망하는 표시를 시행한 것으로, 이면 양 단부에는 단면 개략 C자형의 계합 갈고리(7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 갈고리(78)는, 상기 커버(46)의 연통 구멍(67)에 돌출하는 부착부(68)에 계합하고, 표시 패널(45)을 패널용 오목부(66)에 고정한다. 계합 갈고리(78)는 양단 2개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휘어짐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표시 패널(45)의 부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전자 계전기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미리 별도 공정에서, 철심(11)에 스풀(12)을 사이에 두고 코일(13)을 두루감고, 요크(14)를 코킹 고정함에 의해 코일 블록(2)을 형성하여 둔다. 스풀(12)의 차양부(12a, 12b)에 인서트 성형한 각 코일 단자(20, 21)에는, 몸통부의 내외주에 각각 두루감은 코일(13a, 13b)의 단부를 각각 휘감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는, 우선, 상방에서부터 각 접촉편(24a, 25a, 26a)을 압입하고, 단자부(24b, 25b, 26b)를 하면에서부터 각각 돌출시킨다. 그리고, 인디케이터(31)를, 그 지축(34)이 축받이 구멍(1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하여 부착한다. 이어서, 카드(27)를, 그 선단의 돌기(28a)를 가동 접촉편(24)의 관통 구멍(24c)에 삽통함과 함께, 가이드 수부(30)를 인디케이터(31)의 가이드 돌부(35)에 계지함에 의해 가고정한다.
이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에 코일 블록(2)을 재치하고, 각 코일 단자(20, 21)의 단자부를 하면에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요크(14)의 수직면부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가동 철편(16)을 회전 자유롭게 배치하고, 힌지 스프링(15)의 가압편(15a)에 의해 가세함과 함께, 연결부(19)를 상기 카드(27)의 직사각형 구멍(29)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는, 힌지 스프링(15)의 가세력이 작용함에 의해 가동 철편(16)의 흡인부(17)가 철심(11)의 흡인면(11a)으로부터 떨어지고, 가동 접촉편(24)은 그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24a)을 제 1 고정 접점(25a)에 폐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의 접점 개폐기구(3) 및 코일 블록(2)의 조립이 완료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에 케이스(4)를 씌운다. 이 때, 인디케이터(31)의 표시편(32)이 케이스(4)의 표시 가이드부(38)에 위치하고, 제 1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가 케이스(4)의 슬릿(4a)을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한다.
뒤이어, LED 홀더(43)에 LED(50)를 조립하고 케이스(4)의 상면에 재치한다. LED 홀더(43)는, 케이스(4)의 표시 가이드부(38)와 계지편(39)의 사이에 삽입되고, 계지 갈고리(39a)에 의해 고정된다. LED(50)로부터 늘어나는 리드선(54)은, 케이스(4)의 상면에 돌출하는 제 1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에 용접한다. 전기접속부(23)에는 돌조(2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54)과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최후로, 케이스(4)의 상면에 커버(46)를 장착한다. 커버(46)에는, 미리 조작 레버(44)와 표시 패널(45)을 부착하여 둔다. 조작 레버(44)는, 커버(46)의 일단측으로부터 개구부(62) 내로 슬라이드시켜서 부착한다. 표시 패널(45)은, 커버(46)의 상방에서부터 오목개소(63)에 위치 결정하고, 계합 갈고리(78)를 부착부(68)에 계합시켜서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코일(13)에 통전하지 않는 소자 상태이면, 가동 접촉편(24)이 그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직립상태로 되고, 가동 접점(24a)을 제 1 고정 접점(25a)에 폐성한다. 가동 철편(16)은, 가동 접촉편(24)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27)를 통하여 흡인부(17)가 철심(11)의 흡인면(1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한다. 이 때문에, 카드(27)와 함께 인디케이터(31)는 지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도 4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커버(46)의 창부(61)로부터 표시편(32)을 시인할 수는 없다.
그리고, 코일(13)에 통전하여 여자하면, 철심(11)의 흡인면(11a)에 가동 철편(16)의 흡인부(17)가 흡인되고, 가동 철편(16)은, 도 4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카드(27)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24)이 구동하고, 가동 접점(24)은 제 1 고정 접점(25a)으로부터 개리하고, 제 2 고정 접점(26a)에 폐성한다. 또한, 카드(27)의 이동에 수반하여, 인디케이터(31)가 지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도 4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표시편(32)이 커버(46)의 창부(61)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시인 가능해진다. 따라서 접점 개폐기구(3)에서의 동작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코일(13)에의 통전에 의해 LED(50)가 점등하고, 코일 블록(2)의 여자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코일(13)에 통전하지 않는 소자 상태에서, 조작 레버(44)를 제 1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홀더(43)의 제 1 가압 수부(57)가 노출한다. 이로써, 제 1 가압 수부(57)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가압 수부(57)를 압입하면, 탄성 암 부(48)가 탄성 변형하고, 가압부(56)가 아래로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철편(16)이 회전하고, 카드(27)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24)이 동작한다. 이 때, 카드(27)의 이동에 수반하여 인디케이터(31)가 회전하고, 표시편(32)이 창부(61)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즉, 가동 철편(16)의 동작 상태가 확인된다.
또한, 조작 레버(44)를 제 1 개방 위치로부터, 다시 제 2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4)의 가압용 돌부(74)가 LED 홀더(43)의 제 2 가압 수부(58)를 가압하고, 탄성 암 부(48)가 탄성 변형한다. 이로써, 가압용 돌부(74)가 LED 홀더(43)의 작동부(49)를 압하하고, 가동 철편(16) 은 가압부(56)에 의해 가압 상태로 유지되고, 가동 접점(24a)이 제 2 고정 접점(26a)에 폐성한다. 이 때, 인디케이터(31)의 표시편(32)이 커버(46)의 창부(61)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즉, 가동 철편(16)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디.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소의 가동 접점(24a)을 2개소의 고정 접점(25a, 26a)에 접리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2개소의 가동 접점을 각각 2개소의 고정 접점에 접리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부로부터 가동 접촉편(24A, 24B)과 한 쌍의 고정 접촉편(25A, 25B, 26A, 26B)으로 이루어지는 각 접점 개폐기구(3)를 각각 압입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제 4 칸막이벽(79)에 의해 제 2 영역을 폭방향으로 2분할하고, 각 접점 개폐기구(3)의 사이의 절연을 도모한다. 또한, 인디케이터(31)는, 하반부를 2갈래로 분할하고, 하단부에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축(34)을 형성한다. 지축(34)은, 상기 제 4 칸막이벽(79)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 구멍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또한, 카드(27)는, 양측 2개소에 압입 돌출부(28)를 구비하고, 각 가동 접촉편(24)을 가압한다. 또한,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거의 상기 실시 형태와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27)와 인디케이터(31)를 별체로 구성하였지만, 일체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17(a)에서는, 카드(27)의 상연 중앙부에 표시편(32)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7(b)에서는, 카드(27)의 상연 중앙부에 연설부(80)를 형성하고, 이 연설부에 표시편(32)을 연접한다. 즉, 표시편(31)을, 지축(82)을 중심으로 하여 케이스(4)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하고, 연설부(80)에 뚫은 계지 받이 구멍(81)에, 표시편(32)의 계지편(83)을 회전 자유롭게 연접한다. 이에 의하면, 카드(27)로부터 직접 표시편을 연설한 경우에 비하여 표시편(32)의 회전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소형이며, 카드(27)의 이동량이 적은 전자 계전기라도, 표시편(32)의 동작을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표시편(32)은 케이스(4)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하기 때문에,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고, 전자 계전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커버(46)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이 가하다. 즉, 커버(46)의 중앙부에 패널용 오목부(66)를 형성하고, 이 중앙부의 패널용 오목부(66)에 표시 패널(45)을 부착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로 덮고, 이 커버에 마련한 조작 레버에 의해 작동부를 통하여 가동 철편을 회전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내부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레버는, 3개소에 위치 결정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작동부를 동작시키거나, 동작 상태로 유지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를 벗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로부터 케이스를 벗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접점 개폐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인디케이터의 사시도.
도 7은 카드의 사시도.
도 8은 코일 블록 및 가동 철편의 사시도.
도 9의 (a)는 LED 홀더의 사시도, (b)는 LED의 사시도.
도 10의 (a)는 LED 홀더의 저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2의 (a)는 커버의 평면도, (b)는 (a)의 저면도, (c)는 내부 기구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13은 도 12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 1 개방 위치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으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 2 개방 위치에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레버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베이스 블록 및 접점 개폐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2 : 코일 블록
3 : 접점 개폐기구 4 : 케이스
5 : 표시 블록 6 : 제 1 절연벽
7 : 계지 돌부 8 : 제 2 절연벽
9 : 제 3 절연벽 10 : 축받이 구멍
11 : 철심 12 : 스풀
13 : 코일 14 : 요크
15 : 힌지 스프링 16 : 가동 철편
17 : 흡인부 18 : 가압 수부
19 : 연결부 20 : 제 1 코일 단자
21 : 제 2 코일 단자 22 : 다리부
23 : 전기접속부 24 : 가동 접촉편
25 : 제 1 고정 접촉편 26 : 제 2 고정 접촉편
27 : 카드 28 : 압입 돌출부
29 : 직사각형 구멍 30 : 가이드 수부
31 : 인디케이터 32 : 표시편
33 : 시인부 34 : 지축
35 : 가이드 돌부 36 : 계지 구멍
37 : 갈고리부 38 : 표시 가이드부
39 : 계지편 40 : 보강부
41 : 제 1 가이드편 42 : 제 2 가이드편
43 : LED 홀더 44 : 조작 레버
45 : 표시 패널 46 : 커버
47 : 홀더 본체 48 : 탄성 암 부
49 : 작동부 50 : LED
51 : 가이드 구멍 52 : 저항
53 : 간섭 회피 구멍 54 : 리드선
55 : 노치 56 : 가압부
57 : 제 1 가압 수부 58 : 제 2 가압 수부
59 : 원주부 60 : 연설부
61 : 창부 62 : 개구부
63 : 오목개소 64 : 삽통 구멍
65 : 계합 수부 66 : 패널용 홈부
67 : 연통 구멍 68 : 부착부
69 : 훅 70 : 조작부
71 : 폐쇄부 72 : 계지부
73 : 탄성 팽출부 74 : 가압용 돌부
75 : 탈락 방지용 돌부 76 : 제 1 탄성편
77 : 제 2 탄성편 78 : 계합 갈고리
79 : 제 4 칸막이벽

Claims (6)

  1.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일 블록과 접점 개폐기구를 마련하고 케이스를 씌우고, 상기 코일 블록을 여자·소자하여 가동 철편을 회전시키고, 가동 접촉편을 동작시킴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도록 한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가동 철편을 직접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배치하고 커버로 덮고, 해당 커버에,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를 장착하고, 해당 조작 레버를, 작동부를 덮는 폐쇄 위치, 작동부를 노출시키는 제 1 개방 위치 및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 2 개방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위치 결정은, 해당 조작 레버에 형성한 탄성 계지부를, 커버에 형성한 3개소의 계지 수부에 계지함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수부는, 상기 탄성 계지부와의 계지 치수가 상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의 여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발광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에 탄성 암 부를 통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슬라이드 조작한 때, 상기 커버에 맞닿아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각 계지 수부에 계탈하는 탄성 계지부와,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가압용 돌기부를 분리하여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04-0027708A 2003-04-24 2004-04-22 전자 계전기 KR100535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0308 2003-04-24
JP2003120308A JP4168820B2 (ja) 2003-04-24 2003-04-24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08A KR20040093008A (ko) 2004-11-04
KR100535980B1 true KR100535980B1 (ko) 2005-12-09

Family

ID=3329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708A KR100535980B1 (ko) 2003-04-24 2004-04-22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22122B2 (ko)
EP (1) EP1487001B1 (ko)
JP (1) JP4168820B2 (ko)
KR (1) KR100535980B1 (ko)
CN (1) CN1320577C (ko)
DE (1) DE602004002146T8 (ko)
ES (1) ES22685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1023B2 (ja) 2005-04-01 2009-02-2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ATE496384T1 (de) * 2005-10-31 2011-02-15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Schaltgerät mit einer schaltvorrichtung und einem elektronischen bauelement sowie elektrische zusatzschaltung dafür
JP4669384B2 (ja) 2005-12-09 2011-04-13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誤挿入防止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icカード用コネクタ
JP4677916B2 (ja) * 2006-02-08 2011-04-2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984989B2 (ja) * 2007-03-13 2012-07-2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7889032B2 (en) * 2008-07-16 2011-02-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JP4607217B2 (ja) 2008-07-23 2011-01-05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5533028B2 (ja) 2009-04-01 2014-06-2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5013278B2 (ja) 2009-08-04 2012-08-29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JP6054599B2 (ja) * 2011-08-11 2016-12-2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コネクタ
JP5902072B2 (ja) * 2012-09-05 2016-04-13 Idec株式会社 電磁リレー
SG2012068508A (en) * 2012-09-13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A relay and a method for indicating a relay failure
SG2012068896A (en) * 2012-09-17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ool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ctromagnetic relay
JP6273802B2 (ja) * 2013-11-29 2018-02-07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6299214B2 (ja) * 2013-12-27 2018-03-2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287378B2 (ja) * 2014-03-11 2018-03-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22249B2 (ja) * 2014-07-03 2018-11-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1887316B1 (ko) * 2014-07-23 2018-08-09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 릴레이
JP6433706B2 (ja)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WO2016088402A1 (ja) 2014-12-05 2016-06-0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14453B2 (ja) * 2014-12-05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6110843A (ja) * 2014-12-05 2016-06-2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D791716S1 (en) * 2015-03-11 2017-07-11 Omron Corporation Electric relay
US9928981B2 (en) * 2016-06-02 2018-03-27 Elbex Vide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a coil of latching relays and hybrid switches
JP7003788B2 (ja) * 2018-03-27 2022-01-21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CN113078031B (zh) * 2021-04-02 2021-12-31 浙江安迅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保持继电器及其电压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937A (en) * 1978-12-21 1980-09-02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mechanical relay with manual override control
FR2484694A1 (fr) * 1980-06-13 1981-12-18 Telemecanique Electrique Contacteur ou relais electro-magnetique de commutation a inhibition manuelle du circuit de commande
FR2533068A1 (fr) * 1982-09-14 1984-03-16 Hager Electro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a bouton de derogation
FR2646012B1 (fr) * 1989-04-13 1994-03-11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interrupteur electromagnetique a marche forcee verrouillee
JP2549515Y2 (ja) * 1991-05-21 1997-09-30 オムロン株式会社 動作確認用押ボタン付き電磁継電器
FR2709370B1 (fr) * 1993-08-26 1995-10-20 Merlin Gerin Relais électromagnétique à contact bistable.
DE19727990C1 (de) * 1997-07-01 1998-11-19 Schrack Component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mit Handbetätigungsorgan
WO2000024018A1 (es) * 1998-10-20 2000-04-27 Releco, S.A. Rele electromagnetico
CN2472341Y (zh) * 2001-03-26 2002-01-16 上海电器科学研究所 一种集成化的控制与保护开关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08A (ko) 2004-11-04
JP4168820B2 (ja) 2008-10-22
EP1487001B1 (en) 2006-08-30
US20040263293A1 (en) 2004-12-30
JP2004327238A (ja) 2004-11-18
US6922122B2 (en) 2005-07-26
DE602004002146T2 (de) 2007-07-19
EP1487001A1 (en) 2004-12-15
DE602004002146T8 (de) 2007-10-18
ES2268519T3 (es) 2007-03-16
DE602004002146D1 (de) 2006-10-12
CN1320577C (zh) 2007-06-06
CN1551273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980B1 (ko) 전자 계전기
KR100561295B1 (ko) 전자 계전기
KR100561294B1 (ko) 전자 계전기
KR100562637B1 (ko) 전자 계전기
JP4131161B2 (ja) 電磁継電器
JP4677916B2 (ja) 電磁継電器
KR100561296B1 (ko) 전자 계전기
US20090058577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4984989B2 (ja) 電磁継電器
JP2002184291A (ja) 電磁継電器
JPH09245601A (ja) 電磁継電器
JPH07296702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