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316B1 -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316B1
KR101887316B1 KR1020177001386A KR20177001386A KR101887316B1 KR 101887316 B1 KR101887316 B1 KR 101887316B1 KR 1020177001386 A KR1020177001386 A KR 1020177001386A KR 20177001386 A KR20177001386 A KR 20177001386A KR 101887316 B1 KR101887316 B1 KR 10188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inge spring
yoke
movable conta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953A (ko
Inventor
가즈오 구보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99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279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18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685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8Parts movable due to bending of a blade spring or re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6Parts movable about a knife 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9Relays having armature, contacts, and operating coil within a sealed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6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arcing ho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전자석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 릴레이로서, 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전자석 장치의 철심면에 흡착되어 지지점에 대해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가 상기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상기 지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철심면과는 반대쪽의 상기 접극자의 일부를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과, 상기 접극자의 측면의 외측을 고정 위치로 하여,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스프링의 설치시에, 상기 힌지 스프링을 상기 접극자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 릴레이{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전기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접점을 개폐하는 전자기 릴레이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석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석 장치에는, 계철의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는 접극자가 포함되어 있고, 접극자는, 예를 들어, 힌지 스프링 등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어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고정 접점부 및 가동 접점부의 측면에 영구 자석을 배치함으로써,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단시간에 소호(消弧)하는 소호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영구 자석의 주위에 소호용 계철을 배치함으로써, 영구 자석에 의한 자기력을 높여 소호 성능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23545호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017086호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80692호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95102호
특허문헌 1과 같이 힌지 스프링을 계철과 가동 접점부의 사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전자기 릴레이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는 접극자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힌지 스프링을 설치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전자기 릴레이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기 릴레이를 구성하는 각부의 부품을 소형화함에 더해, 부품 수를 삭감하는 등 각 부품을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며, 소호 기능에 관련된 부품에도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조립이 용이한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소호 기능에 관련되는 부품을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전자석 장치를 가지는 전자기 릴레이로서,
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전자석 장치의 철심면에 대하여 흡착되고 지지점에 대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가 상기 철심면으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상기 접극자가 회전 운동할 때의 지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철심면과는 반대쪽의 상기 접극자의 일부를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과,
상기 접극자의 측면의 외측을 고정 위치로 하여,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가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스프링의 설치시에 상기 힌지 스프링을 상기 접극자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점부와, 전자석과, 계철과, 상기 전자석의 여자(勵磁)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이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이 떨어져 있는 위치의 사이에서 동작시키는 접극자를 포함하고,
상기 계철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소호 계철부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소호 계철부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부(磁性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한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호 기능에 관련되는 부품을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한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힌지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힌지 스프링의 접극자에 대한 가압 위치, 가압 방향, 전자석 장치에서의 고정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자기 릴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힌지 스프링의 설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힌지 스프링의 상세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힌지 스프링의 고정부를 감합부에 감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 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전자기 릴레이의 소호용 계철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영구 자석 및 소호용 계철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기 릴레이의 외측 커버 및 바닥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외측 커버의 내측 형상 및 맞닿음부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1.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외측 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 릴레이(100)는,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와, 전자석 장치(130)와, 바닥판(520)을 가지며,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와 전자석 장치(130)는, 베이스 몰드(140)와 바닥판(5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몰드(140)와 바닥판(520)의 하측에는 단자(160,170)가 돌출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110)는 2개의 고정 접점 스프링(111)과 2개의 고정 접점(112)을 가지는데, 2개의 고정 접점 스프링(111)은 2개의 단자(160) 중 한쪽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부(120)도 2개의 가동 접점 스프링과 2개의 가동 접점을 가지는데, 각각이 2개의 고정 접점 스프링(111) 및 2개의 고정 접점(11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가동 접점 스프링은 유지 부재(137)를 사이에 두고 접극자(131)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석 장치(130)는 접극자(131), 철심(132), 권선(133), 계철(134), 힌지 스프링(135), 소호(消弧)용 요크(136), 유지 부재(137)를 가진다.
접극자(131)는 계철(134)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극자(131)가 계철(134)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면, 유지 부재(137)를 사이에 두고 접극자(131)에 연결된 가동 접점부(120)는, 가동 접점(122)과 고정 접점(112)이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가동 접점(122)과 고정 접점(112)이 비접촉이 되는 비접촉 위치의 사이를 왕복 동작한다.
또한, 접극자(131)는 철심(132)의 단면(철심면)에 대해 흡착·이반한다. 구체적으로는, 권선(133)에 연결된 단자(170)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접극자(131)는 철심면에 흡착된다. 이 결과, 가동 접점부(120)가 고정 접접부(110)와의 접촉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가동 접점부(120)가 고정 접점부(110)와의 접촉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면, 한쪽의 단자(160)가, 한쪽의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다른쪽의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다른쪽의 단자(160)에 도통(導通)하게 된다.
힌지 스프링(135)은 접극자(131)가 철심면으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접극자(131)를 가압한다. 또한, 힌지 스프링(135)은 접극자(131)가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접극자(131)를 늘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170)로의 전압 인가가 정지되면, 힌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접극자(131)는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고, 가동 접점부(120)는 고정 접점부(110)와의 비접촉 위치로 동작한다. 그리고, 다음에 단자(170)로 전압이 인가될 때까지 가동 접점부(120)의 비접촉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힌지 스프링(13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소호용 요크(136)는 가동 접점(122)과 고정 접점(112)의 접촉 위치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소호용 요크(136)는, 가동 접점부(120)가 고정 접점부(110)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비접촉 위치로 동작할 때에 고정 접점(112)과 가동 접점(122)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해 배치된 영구 자석(미도시)의 자기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2. 힌지 스프링의 구성>
이어서, 힌지 스프링(13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힌지 스프링(13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스프링(135)은, 전자석 장치(130)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접극자(131)를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는 가압부(220)를 가진다. 한편, 도 2a와 도 2b의 예에서는, 힌지 스프링(135)의 형상을 설명할 때의 편의상 x,y,z축을 정의하고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11,212)를 가진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0)는, 부재(211)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1)와, 부재(212)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2)를 가진다. 또한, 가압부(220)는, 부재(221)의 부재(211)가 접속된 쪽과는 반대쪽의 단부를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3)와, 부재(222)의 부재(212)가 접속된 쪽과는 반대쪽의 단부를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4)를 가진다.
또한, 가압부(220)는, 한쪽이 부재(223)의 부재(221)가 연결된 쪽과는 반대쪽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쪽이 부재(224)의 부재(222)가 연결된 쪽과는 반대쪽의 단부와 연결되어, y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5)를 가진다.
가압부(220)는, x축 방향에서 본 경우와 z축 방향에서 본 경우에, y축 방향의 중심 위치에 대해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y축 방향의 중심 위치를 지나는 x-z 면에 대해 면대칭(거울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220)의 부재(223,224)에는 제1 접촉영역(231)과 제2 접촉영역(232)이 포함되고, 부재(225)에는 제3 접촉영역(233)이 포함된다. 가압부(220)는, 제1 접촉영역(231), 제2 접촉영역(232), 제3 접촉영역(233)에서 접극자(131)의 일부와 접촉함으로써, 접극자(131)를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힌지 스프링(135)의 형상에 의하면, 가압 부(220)는 복수의 영역에서 접극자(131)와 접촉하여, 접극자(131)를 가압한다. 한편, 힌지 스프링(135)의 형상은 도 2a와 도 2b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에서 접극자(131)를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영역(231), 제2 접촉영역(232) 또는 제3 접촉영역(233) 중 어느 하나의 접촉 영역만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스프링은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부재(211)와 부재(221,223)를 가지는 하나의 힌지 스프링과, 부재(212)와 가압부(220)의 부재(222,224)를 가지는 다른 힌지 스프링의 2개의 독립된 힌지 스프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3. 힌지 스프링의 고정 위치, 가압 위치, 가압 방향에 대한 설명>
이어서, 전자석 장치(130)에서의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 위치, 힌지 스프링(135)의 접극자(131)에 대한 가압 위치, 가압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 위치, 가압 위치 및 가압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3a의 예에서는, 고정 위치, 가압 위치, 가압 방향을 설명하기 쉽도록, 고정 접점부(110), 가동 접점부(120), 베이스 몰드(140), 바닥판(520), 단자(160) 등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3b의 예에서는, 나아가, 힌지 스프링(135)을 생략하고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1)는,
▶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 측면의 외측, 그리고,
▶ x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가 회전 운동할 때의 지지점(SA, 계철(134)의 상단부)으로부터 철심면측
에 배치된 감합부(도 3a와 도 3b에서 미도시)에 고정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의 예에서는,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 중 한쪽의 부재(211)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쪽의 부재(2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 측면의 외측, 그리고,
▶ x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가 회전 운동할 때의 지지점(SA, 계철(134)의 상단부)으로부터 철심면측
에 배치된 감합부(미도시)에 고정된다.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의 제1 접촉영역(231), 제2 접촉영역(232), 제3 접촉영역(233)은, x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점을 사이에 두고 철심면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접극자의 일부(311∼313, 도 3b 참조) 각각에 접촉한다. 이로써, 가압부(220)는 접극자의 일부(311∼313)를 화살표(301)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극자(131)가 철심면으로부터 이간되어, 가동 접점(122)과 고정 접점(112)이 비접촉 상태로 된다.
한편,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1)가 고정되는 감합부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는 외측 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전자기 릴레이(100)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1)는 계철(134)과 베이스 몰드(140)의 틈새에 고정된다. 계철(134)과 베이스 몰드(140)의 틈새는 감합부(400)로서 작용한다. 또한,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2)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계철(134)과 베이스 몰드(140)의 틈새(도 4에서 미도시)에 고정된다.
<4. 힌지 스프링의 이점>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135)을 이용한 경우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135)을 이용한 경우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힌지 스프링(135)을 이용한 경우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 5a와 도 5b에 힌지 스프링(135)의 측면도 및 접극자(131)의 평면도/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5c와 도 5d에는, 비교예의 힌지 스프링(435)을 접극자(131)를 가압하는 데에 이용한 경우의 힌지 스프링(435)의 측면도 및 접극자(131)의 평면도/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힌지 스프링(135)의 부재(211)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의 일측면 외측의 고정 위치(401)에 배치된 감합부(400)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부재(212)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의 타측면 외측의 고정 위치(402)에 배치된 감합부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힌지 스프링(135)을 전자석 장치(130)에 설치할 때에 고정부(210)가 접극자(131)와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c와 도 5d에 나타내는 힌지 스프링(435)의 경우, 고정부(410)가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의 내측 고정 위치(411)에 배치된 감합부(440)에 고정된다. 한편, 감합부(440)는 힌지 스프링(435)의 고정부(410)를 고정하는 부재인데,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힌지 스프링(435)을 전자석 장치에 설치할 때에는, 고정부(410)가 접극자(131)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어서, 접극자(131)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힌지 스프링(435)을 설치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135)에서는, 도 5c와 도 5d의 힌지 스프링(435)과 비교할 때, 고정 위치(411)를 고정 위치(401,402)로 변경(411→401,402)함으로써, 힌지 스프링(135)을 전자석 장치(130)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조립이 용이한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a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135)의 경우, 고정부(210)의 부재(211)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점(SA)으로부터 철심면측에 있는 고정 위치(401)에서 감합부(400)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210)의 부재(212)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점(SA)으로부터 철심면측에 있는 고정 위치(402)에서 감합부(미도시)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힌지 스프링(135)의 스프링 길이(SL1)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c와 도 5d에 나타내는 힌지 스프링(435)의 경우, 고정부(410)가 x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점(SA)을 사이에 두고 철심면과는 반대쪽에 있는 고정 위치(411)에서 감합부(440)에 고정된다(계철(134)과 가동 접점부의 사이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힌지 스프링(435)의 스프링 길이(SL2)를 길게 할 수 없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135)에서는, 도 5b의 힌지 스프링(435)에 대해 고정 위치를 변경(411→401,402)함으로써, 힌지 스프링(135)의 스프링 길이(SL1)를 길게 하고 있다. 힌지 스프링(135)의 스프링 길이(SL1)를 길게 한 경우, 힌지 스프링(135) 제조시의 제조 오차의 허용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5. 힌지 스프링의 설치 방법>
이어서, 힌지 스프링(135)의 설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와 도 6b는 힌지 스프링(135)의 설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스프링(135)을 전자석 장치(130)에 설치함에 있어, 접극자(131)가 계철(134)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극자(13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z축의 마이너스 방향)을 향해 힌지 스프링(135)을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400)는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1,212)를 z축 방향으로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자기 릴레이(100)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힌지 스프링(135)을 접극자(13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1,212)를 감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감합부(400) 등은 y축 방향에 있어서 접극자(131) 측면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힌지 스프링(135)을 접극자(13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와 접극자(131)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도 6b는 힌지 스프링(135)을 설치한 모습을 상방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 중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3∼225)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 힌지 스프링(135)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접촉 영역(231∼233)이 접극자(131)의 일부(311∼313)에 각각 접촉한다.
▶ 힌지 스프링(135)의 설치시 및 설치후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접촉 영역(231∼233) 이외의 힌지 스프링(135) 영역이 접극자(131)에 접촉하지 않는다.
즉, 힌지 스프링(135)을 z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와 접극자(131)가 제1 내지 제3 접촉 영역(231∼233) 이외의 영역에서 간섭하지 않는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가압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가압부(220)에 있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3∼225) 중 제1 내지 제3 접촉 영역(231∼233) 이외의 영역은, 접극자(131)의 평면 형상의 외측(상방에서 본 경우의 외형)에 따른 평면 형상을 가진다.
이로써,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를 감합부(400) 등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즉, 힌지 스프링(135)을 전자석 장치(130)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6. 힌지 스프링의 상세한 형상>
이어서, 힌지 스프링의 형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는 힌지 스프링(135)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힌지 스프링(135)을 정면에서 본 경우의 정면도를, 도 7b는 힌지 스프링(135)을 옆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0)의 부재(211,212)의 폭은 가압부(220)의 부재(221,22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부재(211)에는 y축 방향으로 어깨부(6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부재(212)에는 y축 방향으로 어깨부(6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전자기 릴레이(100)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를 감합부(400) 등에 감합시킬 때에, z축 방향으로 어깨부(601,602)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를 감합부(400) 등에 감합시킬 때에, 작업자가 가압부(220)의 부재(223∼225) 등을 z축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힌지 스프링(135)의 설치시에 가압부(220)가 변형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힌지 스프링(135)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0)의 부재(211,212)에는, 감합부(400) 등에 감합될 때의 감합 방향(z축의 마이너스 방향)의 반대 방향(z축의 플러스 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커팅 돌출부(611,6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커팅 돌출부(612)는 x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커팅 돌출되어 있다. 커팅 돌출부(612)는, 감합부(400) 등에 감합될 때의 감합 방향(z축의 마이너스 방향)의 반대 방향(z축의 플러스 방향) 힘이 고정부(210)에 가해진 경우, 그 선단을 감합부(400) 등에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커팅 돌출부(612)에서는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가 감합부(400) 등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를 감합부(400)에 감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 돌출부(612)의 선단은 계철(134)에 형성된 돌기(134a, 도 3b 참조)의 하단에 걸린다. 이로써, 힌지 스프링(135)의 감합 방향(z축의 마이너스 방향)의 반대 방향(z축의 플러스 방향) 힘이 고정부(210)에 가해진 경우에도,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가 감합부(40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한편, 커팅 돌출부(611)는 x축의 마이너스 방향으로 커팅 돌출되어 있다. 커팅 돌출부(611)는 감합부(400) 등을 x축의 마이너스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감합부(400) 등으로부터 힘을 받는다. 즉,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는 x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커팅 돌출부(611)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힌지 스프링(135)이 접극자(131)를 가압할 때의 힘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 돌출부(611)는 베이스 몰드(140)의 경사면(800)에 접촉한다. 커팅 돌출부(611)가 탄성을 가지므로, 경사면(800)에 접한 커팅 돌출부(611)는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를 x축 플러스 방향으로 가압한다.
<7. 종합>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 힌지 스프링(135)을 형성함에 있어,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를, 접극자(131) 측면의 외측으로서 접극자(131)가 회전 운동할 때의 지지점으로부터 철심면측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 힌지 스프링(135)을 접극자(13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힌지 스프링(135)이 전자석 장치(130)에 설치되도록, 감합부(400)의 감합 방향을, 힌지 스프링 설치시의 힌지 스프링(135)의 이동 방향에 일치시켰다.
▶ 힌지 스프링(135)의 설치시에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가 접극자(131)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힌지 스프링(135)의 가압부(220)의 평면 형상을 접극자(135)의 평면형상의 외측에 따른 형상으로 하였다.
이로써, 힌지 스프링(135)을 전자석 장치(130)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전자기 릴레이(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힌지 스프링의 스프링 길이(SL)를 보다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힌지 스프링의 제조 오차의 허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를 감합부(400)에 감합시키는 경우(도 4 참조)의 감합 깊이를 일정하게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합 깊이를 임의로 변경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감합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힌지 스프링(135)이 접극자(131)를 가압할 때의 가압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감합부(400)에 감합시키는 경우의 감합 깊이는, 예를 들어, 힌지 스프링(135)의 고정부(210)의 부재(211 또는 212)와 동일한 두께 및 폭을 가지는 금속편을 감합부(400) 등에 삽입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높이가 다른 복수의 금속편이 있으면, 감합 깊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
<1. 전자기 릴레이 본체부의 전체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외측 커버 및 바닥판을 탈거한 상태의 전자기 릴레이 본체부(10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는,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와, 전자석 장치(130)를 가지며,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와 전자석 장치(130)는, 베이스 몰드(140)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몰드(140)의 하측에는 2개의 단자(160,170)가 돌출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110)는 2개의 고정 접점 스프링(111)과 2개의 고정 접점(112)을 가지는데, 각각의 고정 접점 스프링(111)은 서로 다른 단자(160)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부(120)도 2개의 가동 접점 스프링과 2개의 가동 접점을 가지는데, 각각이 대응하는 고정 점점 스프링(111) 및 고정 접점(11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가동 접점 스프링은 유지 부재(137)를 사이에 두고 접극자(131)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2개의 가동 접점 스프링 중 한쪽의 가동 접점 스프링(121)과 2개의 가동 접점 중 한쪽의 가동 접점(122)만을 나타내고 있다.
전자석 장치(130)는 접극자(131), 철심(132), 권선(133), 보빈(138), 계철(134, 후술하는 소호용 계철과 구분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구동용 계철"이라 함), 힌지 스프링(135), 유지 부재(137)를 가진다.
도 10a도 참조하여, 접극자(131)는 구동용 계철(134)의 상단부를 지지점(SA)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접극자(131)가 구동용 계철(134)의 상단부를 지지점(SA)으로 하여 회동 동작하면, 유지 부재(137)를 사이에 두고 접극자(131)에 연결된 가동 접점부(120)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비접촉이 되는 비접촉 위치의 사이를 왕복 동작한다.
또한, 접극자(131)는 보빈(138)의 내부에 삽입된 철심(132)의 단면(철심면)에 대해 흡착·이반한다. 구체적으로는, 보빈(138)에 감겨진 권선(133)에 연결된 단자(170)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하면(철심(132), 권선(133), 보빈(138)으로 형성되는 전자석이 여자되면), 접극자(131)는 철심면에 흡착된다. 이 결과, 가동 접점부(120)가 접촉 위치로 동작한다. 또한, 가동 접점부(120)가 접촉 위치로 동작하면, 2개의 가동 접점(122)과 2개의 고정 접점(112)이 각각 접촉하므로, 한쪽의 단자(160)가, 한쪽의 고정 접점(112) 및 가동 접점(122), 다른쪽의 가동 접점(122) 및 고정 접점(112)을 사이에 두고, 다른쪽의 단자(160)에 도통하게 된다.
힌지 스프링(135)은 접극자(131)가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접극자(131)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단자(170)로의 전압 인가가 정지되면, 접극자(131)는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고, 가동 접점부(120)는 비접촉 위치로 동작한다. 그리고, 다음에 단자(170)로 전압이 인가될 때까지 가동 접점부(120)의 비접촉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2. 전자기 릴레이 본체부 각부의 구성>
이어서, 전자기 릴레이 본체부(101) 각부의 구성에 대해,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전자기 릴레이 본체부(101)의 각부 중 전자석 장치(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설명의 편의상 고정 접점부(110), 가동 접점부(120), 베이스 몰드(140), 단자(160)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용 계철(134)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부는 보빈(138)의 바닥면 부근에 배치된다. 구동용 계철(134)의 상단부는 접극자(131)가 화살표(301) 방향으로 회동 동작할 때의 지지점(SA)으로 되어 있다. 접극자(131)를 흡착 이반하는 철심(132)은 보빈(138)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보빈(138)의 외주면에는 권선(133)이 감겨져 있다.
도 10b와 도 10c는,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 각부 중,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의 구성 및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 주변의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와 도 10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극자(131), 철심(132), 권선(133), 보빈(138), 힌지 스프링(135), 유지 부재(137), 베이스 몰드(140), 단자(170)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 10b와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된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의 측면에는, 자성 부재의 일례인 복수의 영구 자석(721,722)이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721,722)은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고정 접점부(110) 및 가동 접점부(120)에 대해 자기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이로써, 영구 자석(721,722)은, 가동 접점부(120)가 접촉 위치에서 비접촉 위치로 동작할 때 또는 가동 접점부(120)가 비접촉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동작할 때에 가동 접점부(120)와 고정 접점부(11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한다.
또한, 도 10b와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용 계철(134)에는 소호 계철부로서 복수의 소호용 계철(731,732)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소호용 계철(731,732)은 영구 자석(721,722)의 외측에 위치하여 영구 자석(721,722)에 의한 자기력의 효과를 높인다. 한편, 소호용 계철(731,732)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3. 소호용 계철의 상세한 구성>
도 11a와 도 11b는 소호용 계철(731,73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 11a는 소호용 계철(731,732)이 배치된 위치 근방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소호용 계철(731,732)이 배치된 위치 근방의 평면도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 자석(721,722), 소호용 계철(731,732)는 평판 형상을 가진다. 소호용 계철(731,732)은 영구 자석(721,722)보다 크다. 영구 자석(721,722)은 각각 한쪽 면이 소호용 계철(731,732)의 면에 접촉하고 있고, 다른쪽 면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소호용 계철(731,732)은 영구 자석(721,722) 각각의 바깥쪽 면을 덮고 있다. 또한, 소호용 계철(731,732)의 한쪽 측면은 구동용 계철(134)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소호용 계철(731,732)은 구동용 계철(134)의 폭방향 가장 외측 위치에서 구동용 계철(134)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써,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호용 계철(731,732)이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보면, 소호용 계철(731,732)과 구동용 계철(134)에 의해, 도 10a에서의 z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보는 평면시(平面視)에서 "コ"형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コ"형상 소호용 계철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고, 구동용 계철(134)을 소호용 계철의 일부로서 공유함으로써 "コ"형상 소호용 계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コ"형상의 한 변을 구성하는 부품을 다른 부품, 즉, 구동용 계철(134)과 공유함으로써, 소호용 계철(731,732)은 "コ"형상의 소호용 계철을 배치한 경우와 같은 정도로 영구 자석(721,722)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호용 계철(731,732)을 배치한 경우, "コ"형상의 소호형 계철을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4. 소호용 계철 및 영구 자석의 설치 방법>
이어서, 소호용 계철(731,732) 및 영구 자석(721,722)의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소호용 계철(731,732) 및 영구 자석(721,722)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부분 확대 영역(70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몰드(140)에는 소호용 계철(732) 및 영구 자석(722)를 상방에서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7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베이스 몰드(140)에는 소호용 계철(731) 및 영구 자석(721)을 상방에서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도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개구부에 소호용 계철(731,732) 및 영구 자석(721,722)을 상방에서 삽입함으로써, 소호용 계철(731,732) 및 영구 자석(721,722)은 고정 접점부(110) 및 가동 접점부(12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 때, 소호용 계철(731,732) 및 영구 자석(721,722)은 구동용 계철(134)에 대해 도 11a와 도 11b에 나타낸 위치 관계로 배치된다.
<5. 외측 커버 및 바닥판>
이어서, 전자기 릴레이의 외측 커버 및 바닥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를 덮는 외측 커버 및 바닥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에는 외측 커버(510)와 바닥판(520)이 설치된다. 이로써, 외측 커버(510)와 바닥판(520)이 전자기 릴레이(500)의 가장 바깥쪽 면을 형성하여,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가 외측 커버(510)와 바닥판(520)에 의해 덮여진 전자기 릴레이(500)가 형성된다.
한편, 외측 커버(510)는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를 덮음과 함께, 소호용 계철(731,732)과 영구 자석(721,722)에 맞닿음으로써 소호용 계철(731,732)과 영구 자석(721,72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외측 커버(510)의 내측 형상 및 맞닿음부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510)의 내부에는 맞닿음부(511,512)가 배치되어 있다. 외측 커버(510)는,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101)에 설치했을 때에 맞닿음부(511,512)의 하면이 영구 자석(721,722) 및 소호용 계철(731,732)의 상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b는 맞닿음부(511)의 하면이 영구 자석(722)의 상면(725)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c는 맞닿음부(511)가 소호용 계철(732)의 상면(735)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맞닿음부(512)의 하면은 영구 자석(721)의 상면과 소호용 계철(731)의 상면에 맞닿는다.
이로써, 소호용 계철(731,732) 및 영구 자석(721,722)이 외측 커버(510)의 맞닿음부(511,512)에 고정되어, 이들 부품이 개구부(701) 등으로부터 미끄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종합>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 고정 접점부(110)와 가동 접점부(120)의 측면에, 고정 접점부(110) 및 가동 접점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영구 자석(721,722) 및 소호용 계철(731,732)을 배치하였다.
▶ 소호용 계철(731,732)을 구동용 계철(134)의 폭방향 가장 외측 위치에 설치하여, 평면시(平面視)로 보았을 때 소호용 계철(731,732)과 구동용 계철(134)로 "コ"형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동용 계철을 소호용 계철의 일부로서 공유함으로써, "コ"형상의 소호용 계철을 배치한 경우와 같은 정도로 영구 자석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コ"형상의 소호용 계철을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소호용 계철(731,732)의 측면과 구동용 계철(134)을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호용 계철(731,732)의 측면과 구동용 계철(134)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소호용 계철(731,732)을 구동용 계철(134)과 별개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호용 계철(731,732)은, 구동용 계철(134)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게끔 구동용 계철(134)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구동용 계철(134)이 소호 계철부로서 갖는 소호용 계철(731,732)은, 구동용 계철(134)과 별개일 수도 일체일 수도 있으며, 별개인 경우에는 접촉하여 설치될 수도 간격을 두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등에 그 밖의 요소를 조합하는 등, 여기에서 나타낸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응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14년 7월 2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4-149904호와 2014년 8월 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4-161825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일본국 특허출원 2014-149904호와 일본국 특허출원 2014-161825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0 전자기 릴레이
101 전자기 릴레이의 본체부
110 고정 접점부 111 고정 접점 스프링
112 고정 접점 120 가동 접점부
121 가동 접점 스프링 122 가동 접점
130 전자석 장치 131 접극자
132 철심 133 권선
134 구동용 계철 135 힌지 스프링
137 유지 부재 138 보빈
140 베이스 몰드 160 단자
170 단자 210 고정부
220 가압부 231 제1 접촉영역
232 제2 접촉영역 233 제3 접촉영역
400 감합부 401 고정 위치
402 고정 위치 500 전자기 릴레이
510 외측 커버 511 맞닿음부
512 맞닿음부 520 바닥판
601 어깨부 602 어깨부
611 커팅 돌출부 612 커팅 돌출부
721 영구 자석 722 영구 자석
731 소호용 계철 732 소호용 계철

Claims (8)

  1.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전자석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 릴레이로서,
    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전자석 장치의 철심면에 흡착되어 지지점에 대해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가 상기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상기 지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철심면과는 반대쪽의 상기 접극자의 일부를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과,
    상기 접극자의 측면의 외측을 고정 위치로 하여,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스프링의 설치시에, 상기 힌지 스프링을 상기 접극자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철심면 쪽을 고정 위치로 하여,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스프링의 설치시에 상기 힌지 스프링을 상기 접극자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방향과 상기 힌지 스프링의 단부를 감합하는 경우의 감합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스프링은, 단부가 상기 접극자의 한쪽 측면의 외측에서 고정되는 제1 힌지 스프링과, 단부가 상기 접극자의 다른쪽 측면의 외측에서 고정되는 제2 힌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5.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고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와,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접점부 사이에 두어진 판상부(plate portion)를 포함하는 계철과,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계철의 판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소호 계철부와,
    상기 전자석의 여자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이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이 서로 떨어져 있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접점을 동작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소호 계철부의 한쪽 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호 계철부는, 상기 계철과는 별개로 구성되며, 측면이 상기 계철의 판상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호 계철부는 상기 계철의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릴레이의 가장 바깥쪽 면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로서, 내부에 상기 복수의 소호 계철부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KR1020177001386A 2014-07-23 2015-07-16 전자기 릴레이 KR101887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9904A JP6327992B2 (ja) 2014-07-23 2014-07-23 電磁継電器
JPJP-P-2014-149904 2014-07-23
JPJP-P-2014-161825 2014-08-07
JP2014161825A JP6336852B2 (ja) 2014-08-07 2014-08-07 電磁継電器
PCT/JP2015/070407 WO2016013485A1 (ja) 2014-07-23 2015-07-16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953A KR20170018953A (ko) 2017-02-20
KR101887316B1 true KR101887316B1 (ko) 2018-08-09

Family

ID=5516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386A KR101887316B1 (ko) 2014-07-23 2015-07-16 전자기 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65420B2 (ko)
KR (1) KR101887316B1 (ko)
CN (1) CN106716587B (ko)
WO (1) WO2016013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2249B2 (ja) * 2014-07-03 2018-11-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WO2016013485A1 (ja) * 2014-07-23 2016-01-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JP6959728B2 (ja) * 2016-11-04 2021-11-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08122658A (zh) * 2016-11-29 2018-06-05 有限会社桑爱斯 线圈部件
JP6892810B2 (ja) * 2017-10-02 2021-06-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068929B2 (ja) * 2018-05-31 2022-05-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20200144271A (ko) * 2019-06-18 2020-12-29 엘에스일렉트릭(주) 직류 릴레이
CN110335781A (zh) * 2019-06-28 2019-10-15 厦门宏发电声股份有限公司 一种小体积高耐压电磁继电器
JP7487647B2 (ja) 2020-11-20 2024-05-2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2035A1 (en) * 2011-03-14 2014-01-23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US20140159837A1 (en) * 2012-12-07 2014-06-12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7474A (en) * 1960-02-09 1962-01-16 Mallory & Co Inc P R Miniature relay
JPS4612154Y1 (ko) * 1968-05-10 1971-04-27
JPH0525151Y2 (ko) * 1987-12-23 1993-06-25
US5041870A (en) * 1988-10-21 1991-08-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omagnetic relay
US5239281A (en) * 1990-06-29 1993-08-24 Takamisawa Electric Co., Ltd. Small sized electromagnetic relay
US6211761B1 (en) * 1997-09-10 2001-04-03 Takamisawa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joining structure for hinge spring and yoke in the electromagnetic relay, and flux penetration preventing structure
JP3590738B2 (ja) * 1999-04-27 2004-11-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調整方法と組立方法
JP4085513B2 (ja) * 1999-04-28 2008-05-1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機器の封止構造
JP2001118451A (ja) * 1999-10-14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点装置
US6700466B1 (en) 1999-10-14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or
JP2002100274A (ja) * 2000-09-26 2002-04-05 Omron Corp 電磁リレー
JP2002367499A (ja) * 2001-06-06 2002-12-20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2003151419A (ja) * 2001-08-31 2003-05-23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4131160B2 (ja) * 2002-11-08 2008-08-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68733B2 (ja) * 2002-11-12 2008-10-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31161B2 (ja) * 2002-11-12 2008-08-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86643B2 (ja) * 2003-02-10 2008-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68821B2 (ja) * 2003-04-24 2008-10-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68820B2 (ja) * 2003-04-24 2008-10-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40432B2 (ja) * 2003-04-24 2008-08-2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40439B2 (ja) * 2003-05-12 2008-08-2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3896548B2 (ja) * 2003-08-28 2007-03-22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90379B2 (ja) * 2003-09-12 2008-12-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複合型電磁継電器
JP4389653B2 (ja) * 2004-04-30 2009-12-2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810937B2 (ja) * 2005-09-06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開閉装置
JP5142652B2 (ja) * 2007-01-31 2013-02-1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有極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組立
TW201019364A (en) * 2008-11-12 2010-05-16 Good Sky Electric Co Ltd An electromagnetic relay
JP2010123545A (ja) 2008-11-21 2010-06-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磁リレー
JP5131219B2 (ja) * 2009-02-02 2013-01-30 アンデ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566172B2 (ja) * 2010-04-16 2014-08-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883232B1 (ja) 2011-03-14 2012-02-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085755B2 (ja) 2011-03-15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804769B2 (ja) * 2011-05-18 2015-11-0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984087B2 (ja) 2011-09-22 2016-09-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6168785B2 (ja) * 2012-03-30 2017-07-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有極電磁継電器
DE102012006436B4 (de) * 2012-03-30 2020-01-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Gepol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3456567B (zh) 2012-06-04 2017-09-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磁继电器
JP5938745B2 (ja) 2012-07-06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JP5756825B2 (ja) * 2013-04-22 2015-07-2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5035403A (ja) * 2013-08-09 2015-02-19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WO2016013485A1 (ja) * 2014-07-23 2016-01-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JP6403476B2 (ja) * 2014-07-28 2018-10-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556514B2 (ja) * 2015-06-19 2019-08-0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2035A1 (en) * 2011-03-14 2014-01-23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US20140159837A1 (en) * 2012-12-07 2014-06-12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16587B (zh) 2018-12-11
US20170162353A1 (en) 2017-06-08
KR20170018953A (ko) 2017-02-20
CN106716587A (zh) 2017-05-24
WO2016013485A1 (ja) 2016-01-28
US9865420B2 (en)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16B1 (ko) 전자기 릴레이
US9412545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1101092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32644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086908B1 (ko) 전자 개폐기
JP7423944B2 (ja) 電磁継電器
CN111801761B (zh) 继电器
JP4807430B2 (ja) 電磁接触器
CA2484172C (en) Contact device
EP2650900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4968831B2 (ja) 漏れ電流を低減したリレー
JPH0758606B2 (ja) 電磁接触器
JP6336852B2 (ja) 電磁継電器
EP2775493B1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635456B2 (ja) 電磁継電器
WO2020148994A1 (ja) リレー
JP6327992B2 (ja) 電磁継電器
JP2014120245A (ja) 電磁接触器
CN111819649B (zh) 触点开关装置
US20230104469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7022911B2 (ja) 電磁リレー
WO2023037778A1 (ja) 電磁接触器
US20220102102A1 (en) Relay
CN114521281A (zh) 电磁继电器
US8902029B2 (en) Electromagnetic r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