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637B1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637B1
KR100562637B1 KR1020040027707A KR20040027707A KR100562637B1 KR 100562637 B1 KR100562637 B1 KR 100562637B1 KR 1020040027707 A KR1020040027707 A KR 1020040027707A KR 20040027707 A KR20040027707 A KR 20040027707A KR 100562637 B1 KR100562637 B1 KR 10056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ece
holder
locking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007A (ko
Inventor
사루와타리요지로
야노케이스케
후루쇼신이치
후지와라테츠야
미노와료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8Indicators;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2050/046Assembling parts of a relay by using snap mount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6Bases; Casings; Covers having windows; Transparent 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과제
시인성이 우수하고, 부착 작업이 용이한 발광 소자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해결 수단
베이스 플레이트(1)에 코일 블록(2)과 접점 개폐기구(3)를 마련하고 케이스(4)를 씌워서 이루어지고, 코일 단자(20)를 통하여 코일(13)에 통전하고, 상기 코일 블록(2)을 여자·소자하여 가동 철편(16)을 회전시키고, 가동 접촉편(24)을 동작시킴에 의해, 접점을 개폐한다. 상기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는, 상기 케이스(4)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코일 단자(20)로의 통전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50)와, 상기 발광 소자(50)를 지지하는 홀더(43)를 상기 케이스(4)의 상기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가 돌출하는 위치와는 반대측 상면에 배설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50)에 접속한 리드선(54)을 상기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에 전기 접속한다.
계전기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를 벋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로부터 케이스를 벗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접점 개폐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인디케이터의 사시도.
도 7은 카드의 사시도.
도 8은 코일 블록 및 가동 철편의 사시도.
도 9의 (a)는 LED 홀더의 사시도, (b)는 LED의 사시도.
도 10의 (a)는 LED 홀더의 저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2의 (a)는 커버의 평면도, (b)는 (a)의 저면도, (c)는 내부 기구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13은 도 12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 1 개방 위치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으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 2 개방 위치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레버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베이스 블록 및 접점 개폐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2 : 코일 블록
3 : 접점 개폐기구 4 : 케이스
5 : 표시 블록 6 : 제 1 절연벽
7 : 계지 돌부 8 : 제 2 절연벽
9 : 제 3 절연벽 10 : 축받이 구멍
11 : 철심 12 : 스풀
13 : 코일 14 : 요크
15 : 힌지 스프링 16 : 가동 철편
17 : 흡인부 18 : 가압 수부
19 : 연결부 20 : 제 1 코일 단자
21 : 제 2 코일 단자 22 : 다리부
23 : 전기접속부 24 : 가동 접촉편
25 : 제 1 고정 접촉편 26 : 제 2 고정 접촉편
27 : 카드 28 : 압입 돌출부
29 : 직사각형 구멍 30 : 가이드 수부
31 : 인디케이터 32 : 표시부
33 : 시인부 34 : 지지핀
35 : 가이드 돌부 36 : 계지 구멍
37 : 갈고리부 38 : 표시 가이드부
39 : 계지편 40 : 보강부
41 : 제 1 가이드편 42 : 제 2 가이드편
43 : LED 홀더 44 : 조작 레버
45 : 표시 패널 46 : 커버
47 : 홀더 본체 48 : 탄성 암 부
49 : 작동부 50 : LED
51 : 가이드 구멍 52 : 저항
53 : 간섭 회피 구멍 54 : 리드선
55 : 노치 56 : 가압부
57 : 제 1 가압 수부 58 : 제 2 가압 수부
59 : 원주부 60 : 연설부
61 : 창부 62 : 개구부
63 : 오목개소 64 : 삽통 구멍
65 : 계합 수부 66 : 패널용 오목부
67 : 연통 구멍 68 : 부착부
69 : 훅 70 : 조작부
71 : 폐쇄부 72 : 계지부
73 : 탄성 팽출부 74 : 가압용 돌부
75 : 탈락 방지용 돌부 76 : 제 1 탄성편
77 : 제 2 탄성편 78 : 계합 갈고리
79 : 제 4 칸막이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전자 계전기로서, 발광 수지로 이루어지는 동작 표시 소자(발광 소자)를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마련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전자 계전기로서, 동작 표시 LED(발광 소자)를 미리 단자에 배설하고, 각 부재와 함께 코일 블록에 일체 성형하고, LED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10-125195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10-208600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어느 전자 계전기라도, 발광 소자는, 케이스에 의해 덮인 내부 공간에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를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하고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시인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내부 공간에는 발광 소자를 고정하는 스페이스의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상태의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에 발광 소자를 실장하면,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유리 찌꺼기가 접점의 접촉 불량 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인성이 우수하고, 부착 작업이 용이한 발광 소자를 구비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일 블록과 접점 개폐기구를 마련하고 케이스를 씌우고, 상기 코일 블록을 여자(magnetize) 및 소자(demagnetize)하여 가동 철편을 회전시키고, 가동 접촉편을 동작시킴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도록 한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의 여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설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케이스의 장착 후, 발광 소자를 부착할 수 있고, 그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 소자를 노출시켜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홀더를 재치할 때, 탄성 변형하고, 그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계지편(係止片)을 구비하고, 상기 계지편의 상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상연부에 계지하는 계지 갈고리를 형성하면, 홀더의 부착 작업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수지 성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한 계지 돌기부가 계지하는 계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계지편의 계지 갈고리는, 상기 계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금형에 의해 형성 가능하게 하면, 염가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는, 상기 발광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와, 압입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철편을 직접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작동부를 접속하고, 상기 작동부의 압입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암 부로 구성하면, 발광 소자의 지지 기능뿐만 아니라, 동작 확인 기능도 구비할 수 있고, 구성이 간략화되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철편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구동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동작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표시 가이드부가 상면 중앙부에 돌설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계지편과 상기 표시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위치 결정되도록 하면, 필요없은 공간을 배제하여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를 도시한다. 이 전자 계전기는,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1)에, 코일 블록(2) 및 접점 개폐기구(3)를 마련하고, 케이스(4)를 씌우고, 또한 케이스(4)의 상면에 표시 블록(5)을 배치한 구성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절연벽(6)에 의해 코일 블록(2)이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접점 개폐기구(3)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절연벽(6)의 측면부분에는 계지 돌부(engagement projection; 7)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케이스(4)의 계지 구멍(engagement hole; 36)에 계지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에 케이스(4)가 부착된다. 또한, 제 2 영역은, 제 2 절연벽(8)과 제 3 절연벽(9)에 의해, 제 1 고정 접촉편(25)이 고정되는 영역과, 가동 접촉편(24)이 고정되는 영역과, 제 2 고정 접촉편(26)이 고정되는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2 절연벽(8)의 측면부분에는 축받이 구멍(10)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인디케이터(31)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코일 블록(2)은,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11)에 스풀(12)을 사이에 두고 코일(13)을 두루감은 것이다. 철심(11)의 하단부에는, 개략 L자형으로 절곡한 요크(14)의 수평면부(14a)가 코킹 고정되어 있다. 요크(14)의 수직면부(14b)는, 두루감은 코일(13)에 따라 상방으로 늘어나고, 측면에는 힌지 스프링(15)이 고정되어 있다. 요크(14)의 수직면부(14b)의 상단에는 가동 철편(16)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철편(16)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11)의 흡인면(11a)에 흡인되는 흡인부(17)로부터 굴곡부분을 통하여 폭이 좁아진 가압 수부(pressure receiving portion; 18)가 연설되어 있다. 가압 수부(18)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카드(27)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편(16)은, 힌지 스프링(15)의 가압편(15a)에 의해 가압 수부(18)가 가압되고, 코일 블록(2)이 소자 상태이면, 흡인부(17)가 철심(11)의 흡인면(1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한다.
스풀(1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차양부(12a)에 제 1 코일 단자(20)가, 하단 차양부(12b)에는 제 2 코일 단자(21)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 1 코일 단자(20)는, 하단의 다리부(22)에 코일(13)이 두루감겨지고, 상단 평면의 전기접속부(23)에, 후술하는 LED(50)로부터의 리드선(54)이 접속된다. 전기접속부(23)에는, 중앙부에 상하로 늘어나는 돌조(突條; ridges; 23a)가 형성되고, 리드선(54)과의 전기 접속이 확실하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코일(1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의 몸통부에 두루감겨지고, 제 1 코일 단자(20)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코일(13a)과, 두루감은 코일(13)의 외주에 두루감겨지고, 제 2 코일 단자(21)에 각각 접속되는 제 2 코일(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코일 단자(21)에 전압을 인가하여 외주측의 제 2 코일(13b)에 통전하면,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내주측의 제 1 코일(13a)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고, 제 1 코일 단자(20)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점 개폐기구(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24)과, 그 양측에 배치한 제 1 고정 접촉편(25) 및 제 2 고정 접촉편(2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24)은, 판형상이고, 상단부에 양면에 노출하는 가동 접점(24a)이 일체화되고, 하단부에서 단자부(25b)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동 접점(24a)의 하방 부근에는 관통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촉편(25) 및 제 2 고정 접촉편(26)은 함께 판형상이고, 상단부에 상기 가동 접점(24a)이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25a) 및 제 2 고정 접점(26a)이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양 고정 접촉편(25, 26)의 하방측은 크랭크형상으로 굴곡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부(25b, 26b)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고정 접촉편(25)은, 상단측에서 제 1 고정 접점(25a) 부근 하방에서 상하로 늘어나는 슬릿(25c)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24)은, 가동 철편(16)의 일단부에 계지한 카드(27)를 통하여 동작한다. 카드(2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체의 중앙부에 압입 돌출부(28)를 구비하고, 그 선단에 마련한 돌기(28a)가 상기 가동 접촉편(24)의 관통 구멍(24c)을 관통한다. 압입 돌출부(28)의 상방 부근에는 직사각형 구멍(29)이 형성되고, 가동 철편(16)의 연결부(19)가 연결된다. 카드(27)의 양 측부에는 개략 U자형의 가이드 수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27)에 의한 가동 접촉편(24)의 동작은, 인디케이터(31)에 의해 용이하 게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테두리체형상이고, 상단 연접부 중앙에 표시부(display part; 32)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32)의 선단은 개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시인부(33)를 구성하고 있다. 양 측부 하단에는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핀(support pins; 34)이 형성되고, 이 지지핀(34)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받이 구멍(10)에 계합함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한, 양 측부 중앙에는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돌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27)의 가이드 수부(30)에 가이드됨에 의해, 양자는 일체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드(27)의 가압 위치에 대해, 인디케이터(31)의 회전 중심(지지핀(34))이, 표시부(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드(27)의 이동량에 대해 표시부(32)의 이동량을 증폭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스(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이고,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함에 의해 얻어진다. 케이스(4)의 양 측면 하방 중앙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계지 돌부(7)가 계탈하는 계지 구멍(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의 일단면에는, 전자 계전기를 연직면 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패널에 장착한 후, 떼어낼 때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갈고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표시 가이드부(38)가 돌설되고, 일단측에 계지편(係止片; 39) 및 보강부(40)가 돌출하고, 타단측에 제 1 가이드편(41) 및 제 2 가이드편(42)이 돌출함과 함께 슬릿(4a)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가이드부(38)는, 상자형상이고, 인디케이터(31)의 표시부(32)가 동작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계지편(39)은, 표시 가이드부(38)와의 사이에 LED 홀더(43)를 가이 드하고, 상단의 계지 갈고리(39a)로 케이스(4)로부터의 LED 홀더(43)의 탈락을 방지한다. 보강부(40)는, 계지편(39)을 보강하고, 후술하는 커버(46)의 제 2 계지 갈고리(69)가 계탈하는 계지 갈고리(40a)를 구비한다. 제 1 가이드편(41)은, 측면 중앙부에 커버(46)의 제 1 계지 갈고리(62a)(도 11 참조)가 계지되는 계지홈(41a)이 형성되고, 커버(46)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단이 가늘게 되어 있다. 제 2 가이드편(42)은, 병설한 한 쌍의 돌출판으로 이루어지고, LED(50)로부터 늘어나는 리드선(54)을 가이드한다. 슬릿(4a)에는, 제 1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가 삽통한다.
표시 블록(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의 상면에 LED 홀더(43)를 배치하고, 조작 레버(44) 및 표시 패널(45)을 마련한 커버(46)로 덮은 구성이다.
LED 홀더(43)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본체(47)로부터 탄성 암 부(48)를 연설하고, 그 선단에 작동부(49)를 형성한 것이다.
홀더 본체(47)는, LED(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51)과, LED(50)에 접속한 저항(5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 회피 구멍(escape hole; 53)이 형성되어 있다. LED(50)로부터 늘어나는 리드선(54)은, 홀더 본체(47)의 하면 구석에 형성한 노치(55)를 통하여 인출된다.
탄성 암 부(48)는, 홀더 본체(47)의 측연 양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설되고,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굴곡하여 작동부(49)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탄성 암 부(48)의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4)의 돌출부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작동부(49)는, 탄성 암 부(48)에 연속하는 지지판(40a)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압부(56)와,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 1 가압 수부(57)와, 상면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 2 가압 수부(58)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56)는, 가동 철편(16)의 일단부를 가압하고, 카드(27)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24)을 동작 가능하게 한다. 제 1 가압 수부(57)는, 중앙의 원주부(59)와, 그 양측으로 늘어나는 연설부(60)로 이루어진다. 원주부(59)의 중심에 오목부(59a)가 마련됨과 함께, 연설부(60)와 원주부(59)에 연속하는 홈부(59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9a)는, 제 1 가압 수부(57)를 펜 등의 끝이 뾰족한 것으로 가압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홈부(59b)는, 드라이버 등의 판형상의 것으로 가압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제 2 가압 수부(58)는, 홀더 본체(47)측의 상방 모서리부가 잘려 제거되고, 경사면(5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58a)이 조작 레버(44)의 가압용 돌부(74)에 의해 가압됨에 의해, 가압부(56)로 가동 철편(16)의 흡인부(17)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LED 홀더(43)에 의하면, LED(5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부(49)에 의해 가동 철편(16)을 동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적고,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LED 홀더(43)는, 케이스(4)의 상면에 재치할 뿐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다.
커버(46)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이고, 상벽 중앙부에는 창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창부(61)는, 인디케이터(31)가 동작한 때, 표시부(32)를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버(46)의 일단부에는, 조작 레버(44)가 장착되는 개구부(62)와, 이 개구부(62)에 연속하는 개구부(62)보다도 폭이 좁은 오목개소(6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2)는, 커버(46)의 상면 및 측면에 개구한다. 오목개소(63)는, 커버(46)의 상면에 위치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LED 홀더(43)의 제 1 가압 수부(57)가 압입 가능하게 위치하는 삽통 구멍(64)이 뚫리어 있다. 커버(46)의 상벽 하면(천장면)에는, 상기 개구부(62)의 양측에, 물결형으로 연속하는 3개소의 패여진 부분에 의해, 제 1, 제 2, 제 3 계합 수부(engagement receiving portions; 65a, 65b, 65c)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제 3 계합 수부(65a, 65b, 65c)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44)를, 폐쇄 위치, 제 1 개방 위치 및 제 2 개방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한다. 개구부(62)의 내측면에는, 제 1 계지 갈고리(62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가이드편(41)의 계지홈(41a)이 계탈한다. 또한, 커버(46)의 타단부에는, 표시 패널(45)을 장착하기 위한 패널용 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용 오목부(66)에는, 양측에 직사각형 모양의 연통 구멍(67)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부착부(68)가 돌출하고 있다. 부착부(68)는 봉형상이고, 그 단면 형상은 원형부로부터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부를 연설한 것으로 되어 있다. 부착부(68)는, 오목개소(63)의 이면에서 폭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연통 구멍(67) 내에서 일단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68)는, 표시 패널(45)의 부착뿐만 아니라, 오목개소(63)를 형성함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부분을 보강함과 함께, 성형 가공시의 수지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커버(46)의 내측면에는, 연통 구멍(67)의 부근에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2 계지 갈고리(69)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4)의 보강부(40)에 형성한 계지홈(係止溝; 40a)에 계탈한다. 연통 구멍(communication holes; 67)의 존재에 의해, 내측면에 제 2 계지 갈고리(69)를 구비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커버(46)를 슬라이드 금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성형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창부(61)의 부근에는, LED(50)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46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44)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70), 폐쇄부(71) 및 계지부(engagement portion; 72)를 구비한다. 조작부(70)는, 상면 및 측면에서 상기 커버(46)의 개구부(62)를 폐쇄한다. 조작부(70)의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홈부(70a)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70a)는, 손가락의 손톱을 걸고, 커버(46)에 대해 조작 레버(44)를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폐쇄부(71)는, 조작부(7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오목개소(63) 내에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삽통 구멍(64)에 위치하는 제 1 가압 수부(57)가 덮혀진다. 계지부(72)는, 조작부(70)로부터 늘어나고, 폐쇄부(71)의 양측 하방에 위치한다. 계지부(72)의 선단 측면에는, 산형의 탄성 팽출부(73)가 마련되고, 선단 하면에는 가압용 돌부(7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팽출부(73)는, 커버(46)의 천장면에 형성한 제 1 내지 제 3 계합 수부(65a 내지 65c)에 각각 계탈하고, 폐쇄 위치(도 12 참조), 제 1 개방 위치(도 13 참조) 및 제 2 개방 위치(도 14 참조)로 각각 위치 결정된다. 가압용 돌부(74)는, 조작 레버(44)를 슬라이드시킴에 의해 LED 홀더(43)의 제 2 가압 수부(58)를 가압한다. 또한, 계지부(72)의 하면에는, 케이스(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 드 돌부(35)의 선단에 맞닿아 커버(46)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44)는, 전술한 구성 외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72)의 선단이, 탄성 팽출부(73)가 형성된 제 1 탄성편(76)과, 가압용 돌부(74)가 형성된 제 2 탄성편(77)의 2개로 나누어진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탄성편(76)의 탄성 팽출부(73)에 의한 커버(46)의 계합 수부(65)와의 계탈과, 제 2 탄성편(77)의 가압용 돌부(74)에 의한 LED 홀더(43)의 제 2 가압 수부(58)의 가압을 독립하여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 철편(16)의 동작의 편차, 즉 LED 홀더(43)에 의한 압입량의 편차를 제 2 탄성편(77)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패널(45)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체의 표면에 인쇄나 라벨의 부착에 의해 소망하는 표시를 시행한 것으로, 이면 양 단부에는 단면 개략 C자형의 계합 갈고리(7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 갈고리(78)는, 상기 커버(46)의 연통 구멍(67)에 돌출하는 부착부(68)에 계합하고, 표시 패널(45)을 패널용 오목부(66)에 고정한다. 계합 갈고리(78)는 양단 2개소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휘어짐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표시 패널(45)의 부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전자 계전기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미리 별도 공정에서, 철심(11)에 스풀(12)을 사이에 두고 코일(13)을 두루감고, 요크(14)를 코킹 고정함에 의해 코일 블록(2)을 형성하여 둔다. 스풀(12)의 차 양부(12a, 12b)에 인서트 성형한 각 코일 단자(20, 21)에는, 몸통부의 내외주에 각각 두루감은 코일(13a, 13b)의 단부를 각각 휘감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는, 우선, 상방에서부터 각 접촉편(24a, 25a, 26a)을 압입하고, 단자부(24b, 25b, 26b)를 하면에서부터 각각 돌출시킨다. 그리고, 인디케이터(31)를, 그 지지핀(34)이 축받이 구멍(1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하여 부착한다. 이어서, 카드(27)를, 그 선단의 돌기(28a)를 가동 접촉편(24)의 관통 구멍(24c)에 삽통함과 함께, 가이드 수부(30)를 인디케이터(31)의 가이드 돌부(35)에 계지함에 의해 가고정한다.
이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에 코일 블록(2)을 재치하고, 각 코일 단자(20, 21)의 단자부를 하면에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요크(14)의 수직면부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가동 철편(16)을 회전 자유롭게 배치하고, 힌지 스프링(15)의 가압편(15a)에 의해 가세함과 함께, 연결부(19)를 상기 카드(27)의 직사각형 구멍(29)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는, 힌지 스프링(15)의 가세력이 작용함에 의해 가동 철편(16)의 흡인부(17)가 철심(11)의 흡인면(11a)으로부터 떨어지고, 가동 접촉편(24)은 그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24a)을 제 1 고정 접점(25a)에 폐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의 접점 개폐기구(3) 및 코일 블록(2)의 조립이 완료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에 케이스(4)를 씌운다. 이 때, 인디케이터(31)의 표시부(32)가 케이스(4)의 표시 가이드부(38)에 위치하고, 제 1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가 케이스(4)의 슬릿(4a)을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한다.
뒤이어, LED 홀더(43)에 LED(50)를 조립하고 케이스(4)의 상면에 재치한다. LED 홀더(43)는, 케이스(4)의 표시 가이드부(38)와 계지편(39)의 사이에 삽입되고, 계지 갈고리(39a)에 의해 고정된다. LED(50)로부터 늘어나는 리드선(54)은, 케이스(4)의 상면에 돌출하는 제 1 코일 단자(20)의 전기접속부(23)에 용접한다. 전기접속부(23)에는 돌조(2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54)과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최후로, 케이스(4)의 상면에 커버(46)를 장착한다. 커버(46)에는, 미리 조작 레버(44)와 표시 패널(45)을 부착하여 둔다. 조작 레버(44)는, 커버(46)의 일단측으로부터 개구부(62) 내로 슬라이드시켜서 부착한다. 표시 패널(45)은, 커버(46)의 상방에서부터 오목개소(63)에 위치 결정하고, 계합 갈고리(78)를 부착부(68)에 계합시켜서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코일(13)에 통전하지 않는 소자 상태이면, 가동 접촉편(24)이 그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직립상태로 되고, 가동 접점(24a)을 제 1 고정 접점(25a)에 폐성한다. 가동 철편(16)은, 가동 접촉편(24)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27)를 통하여 흡인부(17)가 철심(11)의 흡인면(1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한다. 이 때문에, 카드(27)와 함께 인디케이터(31)는 지지핀(34)을 중심으로 하여, 도 4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커버(46)의 창부(61)로부터 표시부(32)를 시인할 수는 없다.
그리고, 코일(13)에 통전하여 여자하면, 철심(11)의 흡인면(11a)에 가동 철 편(16)의 흡인부(17)가 흡인되고, 가동 철편(16)은, 도 4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카드(27)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24)이 구동하고, 가동 접점(24a)은 제 1 고정 접점(25a)으로부터 개리하고, 제 2 고정 접점(26a)에 폐성한다. 또한, 카드(27)의 이동에 수반하여, 인디케이터(31)가 지지핀(34)을 중심으로 하여, 도 4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표시부(32)가 커버(46)의 창부(61)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시인 가능해진다. 따라서 접점 개폐기구(3)에서의 동작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코일(13)에의 통전에 의해 LED(50)가 점등하고, 코일 블록(2)의 여자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코일(13)에 통전하지 않는 소자 상태에서, 조작 레버(44)를 제 1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홀더(43)의 제 1 가압 수부(57)가 노출한다. 이로써, 제 1 가압 수부(57)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가압 수부(57)를 압입하면, 탄성 암 부(48)가 탄성 변형하고, 가압부(56)가 아래로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철편(16)이 회전하고, 카드(27)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24)이 동작한다. 이 때, 카드(27)의 이동에 수반하여 인디케이터(31)가 회전하고, 표시부(32)를 창부(61)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즉, 가동 철편(16)의 동작 상태가 확인된다.
또한, 조작 레버(44)를 제 1 개방 위치로부터, 다시 제 2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4)의 가압용 돌부(74)가 LED 홀더(43)의 제 2 가압 수부(58)를 가압하고, 탄성 암 부(48)가 탄성 변형한다. 이로써, 가압용 돌부(74)가 LED 홀더(43)의 작동부(49)를 압하하고, 가동 철편(16)은 가압부(56)에 의해 가압 상태로 유지되고, 가동 접점(24a)이 제 2 고정 접점(26a)에 폐성한다. 이 때, 인디케이터(31)의 표시부(32)가 커버(46)의 창부(61)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즉, 가동 철편(16)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소의 가동 접점(24a)을 2개소의 고정 접점(25a, 26a)에 접리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2개소의 가동 접점을 각각 2개소의 고정 접점에 접리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부로부터 가동 접촉편(24A, 24B)과 한 쌍의 고정 접촉편(25A, 25B, 26A, 26B)으로 이루어지는 각 접점 개폐기구(3)를 각각 압입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제 4 칸막이벽(79)에 의해 제 2 영역을 폭방향으로 2분할하고, 각 접점 개폐기구(3)의 사이의 절연을 도모한다. 또한, 인디케이터(31)는, 하반부를 2갈래로 분할하고, 하단부에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핀(34)을 형성한다. 지지핀(34)은, 상기 제 4 칸막이벽(79)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 구멍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또한, 카드(27)는, 양측 2개소에 압입 돌출부(28)를 구비하고, 각 가동 접촉편(24)을 가압한다. 또한,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거의 상기 실시 형태와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27)와 인디케이터(31)를 별체로 구성하였지만, 일체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17(a)에서는, 카드(27)의 상연 중앙부에 표시부(32)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7(b)에서는, 카드(27)의 상연 중앙부에 연설부(extended portion; 80)를 형성하고, 이 연설부에 표시부(32)를 연접한다. 즉, 표시부(31)를, 지지핀(82)을 중심으로 하여 케이스(4)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하고, 연설부(80)에 뚫은 계지 받이 구명(81)에, 표시부(32)의 계지편(83)을 회전 자유롭게 연접한다. 이에 의하면, 카드(27)로부터 직접 표시부를 연설한 경우에 비하여 표시부(32)의 회전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소형이며, 카드(27)의 이동량이 적은 전자 계전기라도, 표시부(32)의 동작을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표시부(32)는 케이스(4)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하기 때문에,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고, 전자 계전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커버(46)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커버(46)의 중앙부에 패널용 홈부(66)를 형성하고, 그 중앙부의 패널용 오목부(66)에 표시 패널(45)을 부착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소자를 홀더에 의해 지지함에 의해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를 외부에 배치함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의 먼지 등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일 블록과 접점 개폐기구를 마련하고 케이스를 씌우고, 상기 코일 블록을 여자·소자하여 가동 철편을 회전시키고, 가동 접촉편을 동작시킴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도록 한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의 여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수지 성형되어 상기 홀더를 재치할 때 탄성 변형하고, 그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상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계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계지편의 상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상연부에 계지하는 계지 갈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한 계지 돌기부가 계지하는 계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계지편의 계지 갈고리는, 상기 계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금형에 의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발광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와, 압입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철편을 직접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작동부를 접속하고, 상기 작동부의 압입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암 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편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구동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동작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표시 가이드부가 상면 중앙부에 돌설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계지편과 상기 표시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040027707A 2003-04-24 2004-04-22 전자 계전기 KR100562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0307 2003-04-24
JP2003120307A JP4168819B2 (ja) 2003-04-24 2003-04-24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07A KR20040093007A (ko) 2004-11-04
KR100562637B1 true KR100562637B1 (ko) 2006-03-20

Family

ID=3295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707A KR100562637B1 (ko) 2003-04-24 2004-04-22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4503B2 (ko)
EP (1) EP1471554B1 (ko)
JP (1) JP4168819B2 (ko)
KR (1) KR100562637B1 (ko)
CN (1) CN1322525C (ko)
ES (1) ES237720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8643B2 (ja) * 2007-03-26 2012-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00592449C (zh) * 2007-06-12 2010-02-24 厦门宏发电声有限公司 一种工业用交、直流继电器的按钮系统
CN105788964B (zh) * 2010-09-29 2018-05-15 江苏省电力公司金坛市供电公司 一种三相欠压、缺相延时继电器
SG2012068896A (en) * 2012-09-17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ool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ctromagnetic relay
KR101310602B1 (ko) * 2013-03-27 2013-09-23 강춘기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계전기
JP6237987B2 (ja) * 2013-07-12 2017-11-2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US9159514B2 (en) * 2013-11-18 2015-10-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lay connector assembly for a relay system
CN103871789B (zh) * 2014-03-07 2015-09-09 宁波市鄞州永林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灯继电器以及转向灯控制系统
JP6287378B2 (ja) * 2014-03-11 2018-03-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292043B2 (ja) * 2014-06-13 2018-03-14 オムロン株式会社 動作表示灯付電磁継電器
DE102014214796A1 (de) * 2014-07-28 2016-01-28 Bruker Biospin Ag Verfahren zum Laden einer supraleitfähigen Magnetanordnung mit Strom
JP6414453B2 (ja) * 2014-12-05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6110843A (ja) * 2014-12-05 2016-06-2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365684B2 (ja) 2014-12-05 2018-08-0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436A (en) * 1988-11-22 1992-01-14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EP0372554A3 (en) * 1988-12-09 1992-04-08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JPH10125195A (ja) * 1996-10-15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の動作表示装置
JPH10208600A (ja) * 1997-01-28 1998-08-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小型リレー
WO2001024212A1 (fr) * 1999-09-28 2001-04-05 Idec Izumi Corporation Relais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ES2262243T3 (es) * 1998-10-20 2006-11-16 Releco, S.A. Rele electromagnetico.
CN2391300Y (zh) * 1999-08-17 2000-08-09 厦门宏发电声有限公司 超小型高耐压电磁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14503B2 (en) 2005-07-05
EP1471554A2 (en) 2004-10-27
JP4168819B2 (ja) 2008-10-22
CN1540698A (zh) 2004-10-27
US20040257182A1 (en) 2004-12-23
KR20040093007A (ko) 2004-11-04
EP1471554A3 (en) 2006-07-05
CN1322525C (zh) 2007-06-20
EP1471554B1 (en) 2012-01-25
ES2377202T3 (es) 2012-03-23
JP2004327237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980B1 (ko) 전자 계전기
KR100561295B1 (ko) 전자 계전기
KR100562637B1 (ko) 전자 계전기
KR100561294B1 (ko) 전자 계전기
JP4677916B2 (ja) 電磁継電器
KR100561296B1 (ko) 전자 계전기
JP2014154496A (ja) 電磁継電器
JP2002184291A (ja) 電磁継電器
JP4984989B2 (ja) 電磁継電器
JP4099941B2 (ja) 電磁継電器
JP3765934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2184287A (ja) 電磁継電器
JPH0729546Y2 (ja) 小型継電器のヨーク固定装置
JPH10149917A (ja) ソレノイド
JPH09245601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