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177B1 -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177B1
KR100533177B1 KR10-2004-0000855A KR20040000855A KR100533177B1 KR 100533177 B1 KR100533177 B1 KR 100533177B1 KR 20040000855 A KR20040000855 A KR 20040000855A KR 100533177 B1 KR100533177 B1 KR 10053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ranch pipe
rotary shaft
sheets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892A (ko
Inventor
노승균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디씨 filed Critical (주)케이알디씨
Priority to KR10-2004-000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177B1/ko
Priority to US10/585,411 priority patent/US20090188631A1/en
Priority to PCT/KR2004/003186 priority patent/WO2005065960A1/en
Priority to JP2006549101A priority patent/JP2007529383A/ja
Publication of KR2005007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177B1/ko
Priority to US12/622,950 priority patent/US20100065221A1/en
Priority to JP2012054889A priority patent/JP2012144374A/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 B42C9/0056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applying tape or covers precoated with adhesive to a stack of sheets
    • B42C9/0062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applying tape or covers precoated with adhesive to a stack of sheets the tape being fed from a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8Feeding articles stored in rolled or folded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39Binding t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48Details of bind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10T156/1707Discrete spaced laminae on adhered carrier
    • Y10T156/171Means serially presenting discrete base articles or separate portions of a single art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장치에 구성되는 테이프 공급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테이프 공급불량을 방지하고, 테이프의 공급을 원활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테이프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에 접착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 카세트(156)는 테이프 롤(140)이 끼워지는 제1회전축(91)과, 상기 테이프 롤의 분리시트(127a)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회전축(92)과, 상기 테이프 롤의 분리시트(127b)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회전축(93)을 구비하고, 상기 2장의 분리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132,133...)를 외부로 배출하는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95)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리필 카트리지(120)는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1지관(121)에 테이프 롤(140)이 고정되고, 테이프 롤의 분리시트(127a)의 단부는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2지관(122)에 고정되고, 분리시트(127b)의 단부는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3지관(123)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관 내지 제3지관은 외장박스(130) 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통공부를 통하여 제1지관이 제1회전축(91)과 결합되고, 제2지관이 제2회전축(92)과 결합되고, 제3지관이 제3회전축과 결합되도록 리필 카트리지(120)가 테이프 공급장치(156)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A binding tape device of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refill cartridge of the tape}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인쇄기 등의 디지털출력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후처리하여 제본하는 제본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상기 제본장치에 구성되는 테이프 공급장치 및 그 테이프 공급장치에 테이프를 공급하는 리필 카트리지의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복사기 등의 디지털 출력장치에 구성되는 제본장치의 한 예는 본 출원인이 2003년 4월 9일자로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번호 2003-22319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종래 제본장치(1)는 용지정렬장치(3) 및 제본반송장치(4)로 이루어지는 용지처리장치(5)와, 용지반송장치(2)와, 테이프 공급장치(6)와, 테이프 가열장치(7)와, 제본 제품을 수납하는 수납스태커(8)를 포함한다.
상기 용지반송장치(2)는 용지의 반입구(9a), 배출구(9b)가 각각 형성되고, 용지의 반입구와 배출구 사이에는 다수의 롤러쌍(10)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입구(9a)부분에는 분기 플랩퍼(flapper:13)가 설치되어 제본할 때는 용지 반송로(14) 쪽으로 용지가 분기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랩퍼(13)에 의하여 용지 반송로(14) 쪽으로 분기된 용지는 용지처리장치(5)를 구성하는 용지정렬장치(3)로 반입된다.
용지정렬장치(3)는 용지를 수납하는 트레이(16)와, 반송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정렬패들(18)과, 이송되어 온 용지를 정렬하여 일시 대기시키는 스톱핑거(19)와, 상기 스톱핑거에 정렬된 용지를 그립하여 테이프 가열장치(7)로 이송시키는 용지클램프(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톱핑거(19) 및 용지클램프(15)는 트레이(16)에 적재된 용지다발을 그립하여 테이프 가열장치(7)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이프 가열장치(7)로 용지다발이 이동되면 테이프 공급장치(6)로부터 테이프가 공급되어 용지다발의 단면에 테이프가 부착되는 제본공정이 이루어지고, 용지클램프(15)는 제본반송장치(4)로 제본 완성품을 이송시킨 후 최초 용지다발의 그립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제본반송장치(4)에 이송된 제본완성품은 그 제본반송장치에 의하여 수납스텍커(8)에 적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본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테이프 공급장치(6) 및 테이프 가열장치(7)의 기술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테이프 가열장치(7)는 테이프가이드(26), 센터히터(27), 센터히터의 구동기구(30) 등으로 구성되고, 테이프가이드(26)에는 용지정렬장치(3)에 의하여 정렬된 용지다발이 반송되어 오기 이전에 테이프 공급장치(6)로부터 테이프(132a)가 공급된다.
상기 테이프의 한 면에는 소정의 온도(약 100??∼200??전후)로 가열하면 액상으로 변하는 고체상의 접착제(111)가 부착되고, 이 부분이 용지다발의 단면에 접착된다.
상기 테이프(132a를 공급하는 종래의 테이프 공급장치(6)는 테이프(132a,132b,132c...)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테이프 카세트(56)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 내장된 테이프를 반송하기 위한 1차톱니롤러(51)와 2차톱니롤러(52)를 구비하고, 상기 1차톱니롤러 및 2차톱니롤러를 동시에 회동시키는 테이프 공급모터(50)를 구비한다.
또, 상기 2차톱니롤러(5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마찰패드(53)가 설치되고, 상기 마찰패드와 2차톱니롤러 사이에는 테이프 배출구(60)가 구성되고 그 배출구를 통하여 테이프가 테이프반송롤러(55)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마찰패드(53)에는 제2차톱니롤러(52) 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가압스프링(54)이 설치되고, 상기 마찰패드(53)에는 테이프(132a)에 이어서 배출되는 테이프(132b)의 배출 단부가 쉽게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형의 마찰면(61)이 구성된다.
또, 테이프 공급모터(50)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차톱니롤러(51) 및 제2차톱니롤러(52)는 각각 원웨이 베어링(62)이 설치되고, 테이프 배출구(60)의 외측에는 테이프반송롤러(55) 및 테이프 검지센서(59)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테이프 공급장치(6)는 고체상의 접착제(111)가 부착된 테이프(132a, 132b,132c...)를 테이프 카세트(56)내에 적층한 상태에서 배출하기 때문에 제본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열 및 여름철 등 주위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접착제가 녹아 적층된 테이프 면이 서로 달라붙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 내에서 인접하는 테이프가 서로 달라붙는 상태로 적층되면 테이프 분리가 쉽게 되지 않고, 테이프의 배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 적층되는 테이프마다 접착제가 녹아 오염되기 때문에 테이프 외면에 얼룩이 발생하여 제본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는 2장의 분리시트 사이에 테이프가 끼워져 구성되는 테이프 롤을 내장하는 테이프 카세트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구동하는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할 때 상기 2장의 분리시트 중 한 장의 분리시트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할 때 상기 나머지 한 장의 분리시트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2장의 분시트가 제거된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하는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는 적어도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의 회전속도는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또, 상기 테이프 롤은 리필 카트리지에 내장하여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필 카트리지는 외장박스 내에 각각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1지관, 제2지관, 제3지관을 구비하되, 상기 제1지관은 테이프 롤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지관은 테이프를 보호하는 2장의 분리시트 중 한 장의 분리시트 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3지관은 나머지 다른 한 장의 분리시트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분리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상기 외장 박스에 구비된다.
또, 상기 테이프는 분리시트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또, 상기 2장의 분리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분리시트에는 테이프의 배출을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자 형으로 구성되는 소모품의 리필 카트리지는 제1지관의 통공부가 테이프 카세트의 제1회전축에 끼워지고, 제2지관의 통공부가 제2회전축에 끼워지고, 제3지관의 통공부가 제3회전축에 끼워지는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리필 카트리지가 테이프 카세트에 장착되면 테이프 카세트의 구동부를 동작시켜 리필 카트리지에 내장된 테이프를 리필 카트리지의 배출부 및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분리시트는 리필 카트리지의 제2지관 및 제3지관으로 감아 회수한 후, 사용된 리필 카트리지를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빼 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리필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2장의 분리시트 사이에 끼워진 테이프를 롤 타입으로 감아 테이프 카세트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테이프의 공급 불량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불량을 방지하고, 테이프의 공급을 원활히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의 외면에 접착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제본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 카세트에 테이프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테이프를 감싸는 분리시트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 카세트 및 그 테이프 카세트에 장착되는 리필 카트리지의 구조는 도 5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106)는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와, 지지프레임(80), 테이프 카세트(156)로 이루어진다.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는 지지프레임(80)의 하면에 고정되고,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테이프 카세트(156)가 장착된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156)는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에 설치된 로크 핸들러(77)를 이용하여 제본장치에 착탈 식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크 핸들러의 결합구조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는 타이밍벨트(75)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구동기어(71), 제2구동기어(72a,72b), 제3구동기어(73), 제4구동기어(74)가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제1구동기어(71)에 동력이 전달되면 제2구동기어(72a, 72b), 제3구동기어(73), 제4구동기어(74)는 제1구동기어(71)와 함께 동시에 회전한다.
특히, 상기 제2구동기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2구동기어(73a)는 타이밍벨트로 연결된 제2구동기어(73b)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 지지프레임(8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테이프 카세트(156)는 제1회전축(91), 제2회전축(92), 제3회전축(93), 한 쌍의 아이들 롤러축(94a),(94b), 배출로러 어셈블리(95), 테이프 배출구(96)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상기 배출롤러 어셈블리(95)는 몸체(101), 그 몸체에 결합되는 지지체(102), 피딩롤러(103) 및 상기 피딩롤러와 접하는 롤러(10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101)는 지지체(102)와 결합되어 테이프 배출가이드(109a),(109b) 면 사이에 호형의 틈이 형성되고, 이 틈이 테이프 배출구(96)로 기능한다.
상기 호형의 틈 즉, 테이프 배출구에는 테이프 피딩롤러(103)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하는 롤러(105)가 설치되고, 테이프 피딩롤러(103)는 테이프 피딩롤러기어(104)에 고정된다. 또, 테이프 피딩롤러(103)에 접촉되는 롤러(105)가 탄성력을 갖고 항상 피딩롤러(103)에 밀착될 수 있도록 롤러의 양축이 부쉬(107a,107b)에 끼워지고, 그 각각의 부쉬는 가압스프링(108a,108b)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태로 본체(101)에 탄지된다.
상기 본체에 탄지된 부쉬(107a,107b)는 본체에 형성된 슬롯홈(110a,110b)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105)를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몸체(101)에 탄지함으로써 테이프 피딩롤러(103)와 롤러(105)의 접촉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고, 테이프 피딩롤러(103)와 롤러(105) 사이를 통과하는 테이프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테이프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테이프를 정확히 피딩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테이프 카세트(156)가 지지프레임(8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회전축(91)은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로부터 직접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고정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92), 제3회전축(93)은 각각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의 제2구동기어(72a), 제3구동기어(73)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92)의 회전속도는 제3회전축의(93)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된다.
또,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의 테이프 피딩롤러기어(104)는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의 제4구동기어(74)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테이프 카세트(156)의 제1회전축(91), 제2회전축(92), 제3회전축(93)의 외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15a,115b)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편의 작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어서, 테이프 카세트(156)에 리필되는 리필 카트리지(12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각형의 얇은 상자 모양의 종이로 된 외장박스(130)에 중심부가 통공된 제1지관(121), 제2지관(122), 제3지관(123)이 설치된다.
또, 상기 제2지관(122)과, 제3지관(123) 사이에 위치하고, 외장박스의 측부에 설치되는 테이프 배출구(125) 부분에는 테이프 카세트(156)에 구성된 아이들 로러축(94a),(94b)이 각각 끼워지는 아이들 롤러축 삽입용 지관(종이관:126a,126b)이 설치된다.
상기 제1지관(121)의 외면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분리시트(127a)와, 제2분리시트(127b)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테이프(132a,132b...)을 내장한 테이프 롤(140)이 끼워져 고정된다. 또, 제2지관(122)의 외면에는 제1분리시트(127a)의 외측 끝단부가 고정되고, 제3지관(123)의 외면에는 제2분리시트(127b)의 외측 끝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제2지관(122)에 고정된 제1분리시트(127a)와, 제3지관에 고정된 제2분리시트(127b)와, 테이프(132a, 132b...)는 아이들 롤러축 삽입용 지관(126a),(126b) 사이를 통과하되, 테이프 롤(140)이 회전하여 풀림에 따라 2장의 분리시트(127a),(127b)는 각각 제2지관(122), 제3지관(123)에 감겨 회수되고, 그 분리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132a,132b...)은 배출구(125)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필 카트리지(120)는 도 11과 같이 제1지관(121)을 제1회전축(91)에, 제2지관(122)을 제2회전축(123)에, 제3지관(123)을 제3회전축(93)에 끼워 테이프 카세트(156) 내에 장착되고,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의 구동에 의하여 리필 카트리지 내에 감겨 있는 테이프(132a,132b...)가 테이프 카세트의 배출롤러 어셈블리(95) 및 배출구(9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테이프가 모두 소모된 리필 카트리지는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분리 제거한 후, 새로운 리필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특히, 상기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을 각각의 지관(121),(122),(123)에 끼웠을 때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에 형성된 탄성편(115a),(115b)이 작용하여 각각의 지관과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제1회전축(91)에 형성된 탄성편(115a),(115b)은 제1지관(121)이 끼워졌을 때 그 제1지관 내에서 미끌림(토르크리미터)이 발생하도록 지지해주는 작용을 한다.
또, 제2회전축(92)에 형성된 탄성편(115a),(115b)은 제2회전축(93)이 제3회전축보다 빠르게 회전하므로 제2지관(122) 내에서 미끄림(토르크리미터 기능) 이 발생하도록 작용하고, 그 미끄럼 발생에 의하여 제2지관(122)에 감기는 제1분리시트(127a)에는 항상 적절한 장력이 유지된다.
또, 제3회전축(93)에 형성되는 탄성편(115a),(115b)은 제2분리시트(127b)가 감기는 제3지관(123)의 지지함으로써, 테이프 롤(140)이 원활히 풀려 나올 수 있도록 작용 한다.
상기와 같이 제3회전축(93)에 형성되는 탄성편은 지관의 내면을 지지하여 미끌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제1회전축(91)과 제2회전축(92)에 형성되는 탄성편은 소정의 부하가 걸렸을 때 그 제2지관 내에서 미끄럼(토르크리미터)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불량 및 분리시트의 회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테이프 배출 과정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필 카트리지(120)의 제1지관(121)이 테이프 카세트(156)의 제1회전축(91)에 끼워지고, 제2지관(122)이 제2회전축(92)에 끼워지고, 제3지관(123)이 제3회전축(93)에 끼워지고, 아이들 롤러축 삽입용 지관(126a),(126b)에 테이프 카세트의 아이들 롤러축(94a),(94b)이 끼워지도록 장착한다.
상기 리필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구동하면 제1지관(121)에 감겨있는 테이프 롤(140)이 제3지관(123)의 회전에 종동하여 풀려 나온다.
상기 테이프 롤(140)의 제1분리시트(127a)는 제2지관(122)의 외주면에 감겨 회수되고, 제2분리시트(127b)는 제3지관(123)의 외주면에 감겨 회수된다.
그리고 분리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132a,132b..)는 배출구(125)를 통하여 테이프 카세트(156)의 피딩롤러(103)와, 롤러(105) 사이를 통하여 배출구(96) 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테이프(132a,132b..)의 배출 속도 및 배출 위치를 컨트롤하기 위하여 다수의 검지센서(150),(159)가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검지센서(159)는 테이프의 배출 위치를 감지하여 테이프의 이동 위치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검지센서(150)는 테이프의 회전을 감지하여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의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검지센서(150)는 도 14a와 같이 제1분리시트(127a) 면 쪽에 센서 감지부가 없을 때는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를 구동시켜 테이프 롤(140)을 회전시키도록 작용하고, 도 14b와 같이 제1분리시트(127a) 면 쪽에 형성된 센서 감지부(160)가 감지될 때는 공급될 테이프(132a)가 배출된 것으로 감지하여 다음 제본작업의 신호가 떨어질 때 까지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의 구동을 일시 멈추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테이프의 제1분리시트(127a) 면 쪽에 형성된 센서 감지부(160)의 구성에 대한 한 예는 도 15a내지 도 15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테이프의 풀림 시작부에 구성되는 센서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테이프의 풀림이 거의 종료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센서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c는 마지막 테이프의 위치에 구성되는 센서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와 같이 제1분리시트(127a)에는 테이프의 풀림 시작부로부터 등간격으로 연속되는 각 테이프(132a,132b...)의 전방 위치에 센서 감지부(160a1, 160a2, 160a3....)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감지부(160a1, 160a2, 160a3...)는 테이프 카세트의 검지센서(150)를 구성하는 2개의 센서(150a),(150b) 중 하나의 센서(150a)에 의하여 감지되었을 때 테이프의 이송이 일시 멈추도록 한다.
또, 도 15b와 같이 마지막 테이프에 가까워지면 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 감지부(160b1),(160b2)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 감지부(160b1),(160b2)는 검지센서(150b)에 의하여 감지된다.
검지센서(150b)가 센서 감지부(160b1)를, 검지센서(150a)가 센서 감지부(160a4)를 동시에 감지하면 마지막 테이프의 풀림이 가까워 진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도 15c와 같이 마지막 테이프의 전방에는 연속된 띠 형태의 센서 감지부(160c)가 설치되고, 검지센서(150b)가 센서 감지부(160a7)를 감지한 후, 검지센서(150a)가 연속된 띠 형태의 센서 감지부(160c)를 감지하면 마지막 테이프(132a+n)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의 분리시트에 테이프의 풀림 시작과 테이프의 풀림 종료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감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테이프의 소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156)는 테이프 롤(140)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제1회전축(91)과, 제1분리시트(127a)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회전축(92)과, 제2분리시트(127b)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회전축(93)이 구비되고, 상기 2장의 분리시트가 제거된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하는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95)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 리필 카트리지(120)는 2장의 분리시트(127a),(127b) 사이에 테이프(132a,132b...)가 끼워진 테이프 롤(140)이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1지관(121)에 고정되고, 2장의 분리시트(127a)(127b)의 외측 단부는 각각 통공부를 갖는 제2지관(122)과, 제3지관(123)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관 내지 제3지관은 외장박스(130) 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통공부를 통하여 제1지관이 제1회전축(91)과 결합되고, 제2지관이 제2회전축(92)과 결합되고, 제3지관이 제3회전축과 결합되도록 리필 카트리지(120)가 상기 테이프 공급장치(156)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테이프 공급장치(156)와 리필 카트리지(120)를 구성함으로써,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불량을 방지하고, 테이프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에 접착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얇은 상자형의 리필 카트리리지(120)를 테이프 공급장치에 간단히 세팅할 수 있고, 테이프의 분리시트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테이프 공급장치가 구성된 일반적인 제본장치의 기술구성을 성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테이프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테이프 공급장치에 리필되는 테이프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의 입체도이고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리필 카트리지의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리필 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리필 카트리지에 롤 형으로 감겨지는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의 테이프 카세트에 리필 카트리지가 끼워져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의 회전축과 리필 카트리지의 지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장치의 테이프 카세트에 끼워진 리필 카트리지로부터 테이프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a, 도 14b는 본 발명의 리필 카트리지로부터 테이프가 배출될 때 테이프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a, 도 15b, 도 15c는 본 발명의 테이프 롤에 구성되는 센서 감지부의 일 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본장치 2 - 용지반송장치
3 - 용지정렬장치 4 - 제본반송장치
5 - 용지처리장치 6, 106 - 테이프 공급장치
7 - 테이프가열장치 8 - 수납스택커
26 - 테이프가이드 27 -센터히터
132a,132b,132c, 132a+n - 테이프 50 - 테이프공급모터
51 - 1차톱니롤러 52 - 2차톱니롤러
53 - 마찰패드 54, 108a, 108b - 가압스프링
55 - 테이프반송롤러 56,156 -테이프카세트
59,159,150,150a,150b - 테이프 검지센서
60 - 테이프 배출로
61 - 마찰면 62 - 원웨이 베어링
70 -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
71 - 제1구동기어 72a, 72b - 제2구동기어
73 - 제3구동기어 74 - 제4구동기어
75 - 타이밍벨트
77 - 로크 핸들러 80 - 지지프레임
91 - 제1회전축 92 - 제2회전축
93 - 제3회전축 94a,94b - 아이들 롤러축
95 -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
96, 125 - 테이프 배출구 101 - 몸체
102 - 지지체 103 - 피딩롤러
104 - 테이프 피딩롤러기어 107a,107b - 부쉬
110a,110b - 슬롯홈 115a, 115b - 탄성편
121 - 제1지관 122 - 제2지관
123 - 제3지관
126a,126b - 아이들 롤로축 삽입용 지관
127a - 제1분리시트 127b - 제2분리시트
130 - 외장박스 140 - 테이프 롤
160, 160a1,160a2,160a3,160a4,160a5,160a6,160a7,160b1,160b2,160c - 센서 감지부

Claims (13)

  1. 2장의 분리시트(127a)(127b) 사이에 테이프(132a,132b...)가 끼워진 테이프 롤(140)을 내장하는 테이프 카세트(156)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구동하는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70)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회전축(91)과,
    상기 2장의 분리시트 중 한 장의 분리시트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회전축(92)과, 상기 나머지 한 장의 분리시트를 롤 상태로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회전축(93)이 구비되고, 상기 2장의 시트가 제거된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하는 테이프 배출롤러 어셈블리(95)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테이프 카세트 구동부는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 어셈블리(95) 근방에는 상기 2장의 분리시트(127a),(127b)와 상기 테이프(132a, 132b...)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축(94a),(94b)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타이밍벨트에(71)에 의하여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의 회전속도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고정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중 회전속도가 빠른 회전축에는 토르크리미터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르크리미터 수단은 탄성편(115a)(115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 어셈블리(95)는 테이프의 피딩롤러(103)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피딩롤러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132a,132b..)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되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롤(140)은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1지관(121)에 고정되고, 상기 2장의 분리시트(127a)(127b)의 단부는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2지관(122)과,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3지관(123)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관 내지 제3지관은 외장박스(130) 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통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지관이 상기 제1회전축(91)과 결합되고, 상기 제2지관이 상기 제2회전축(92)과 결합되고, 상기 제3지관이 상기 제3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상기 외장박스가(1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10. 외장박스(130) 내에 각각 중앙에 통공부를 갖는 제1지관(121), 제2지관(122), 제3지관(123)을 구비하되, 상기 제1지관에 2장의 분리시트(127a),(127b) 사이에 테이프(132a,132b...)가 끼워진 테이프 롤(140)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지관에는 상기 2장의 분리시트 중 한 장의 분리시트 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3지관의 외면에는 나머지 다른 한 장의 분리시트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분리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를 배출하는 배출구(125)가 상기 외장 박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용 리필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용 리필 카트리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분리시트(127a),(127b)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분리시트에는 상기 테이프(132a,132b..)의 배출을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용 리필 카트리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5) 근방에는 상기 2장의 분리시트(127a),(127b)와 상기 테이프(132a,132b...)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축 삽입용 지관(126a),(126b)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장치용 리필 카트리지.
KR10-2004-0000855A 2004-01-07 2004-01-07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 KR10053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855A KR100533177B1 (ko) 2004-01-07 2004-01-07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
US10/585,411 US20090188631A1 (en) 2004-01-07 2004-12-06 Tape supplier and refill cartridge for binding apparatus
PCT/KR2004/003186 WO2005065960A1 (en) 2004-01-07 2004-12-06 Tape supplier and refill cartridge for binding appratus
JP2006549101A JP2007529383A (ja) 2004-01-07 2004-12-06 製本装置のテープ供給装置及びリフィルカートリッジ
US12/622,950 US20100065221A1 (en) 2004-01-07 2009-11-20 Tape supplier and refill cartridge for binding apparatus
JP2012054889A JP2012144374A (ja) 2004-01-07 2012-03-12 テープ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855A KR100533177B1 (ko) 2004-01-07 2004-01-07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892A KR20050072892A (ko) 2005-07-12
KR100533177B1 true KR100533177B1 (ko) 2005-12-05

Family

ID=3474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855A KR100533177B1 (ko) 2004-01-07 2004-01-07 제본장치의 테이프 공급장치 및 리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90188631A1 (ko)
JP (2) JP2007529383A (ko)
KR (1) KR100533177B1 (ko)
WO (1) WO20050659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466B1 (ko) * 2013-05-15 2013-08-29 (주)한아기계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실링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8066B2 (en) 2004-03-15 2009-09-15 Powis Parker Inc. Binder strip cassette
US7281559B2 (en) * 2004-03-15 2007-10-16 Powis Parker Inc. Binder strip cassette
JP6106887B2 (ja) * 2012-04-13 2017-04-05 グラドコジャパン株式会社 製本装置
JP6149285B2 (ja) * 2012-04-13 2017-06-21 グラドコジャパン株式会社 製本装置
ES2611008T3 (es) * 2012-09-21 2017-05-04 Merck Patent Gmbh Dispensador para abrir un envase de tipo cinta
AT14610U1 (de) * 2013-12-20 2016-02-15 Kalendermache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schkalendern
JP6837815B2 (ja) * 2016-11-25 2021-03-03 株式会社東芝 シート綴じ装置、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775726A (zh) * 2017-11-17 2018-03-09 青岛海威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标签裁切设备
JP2019167232A (ja) * 2018-03-26 2019-10-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646A (en) * 1978-09-13 1980-03-25 Oglander Allen H Manually operated label dispensing machine
US4337864A (en) * 1980-02-22 1982-07-06 Docutel Corporation Currency note dispensing system
US4680081A (en) * 1981-05-29 1987-07-14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 held electrically selectable labeler
JPS5981290A (ja) * 1982-11-01 1984-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制動時姿勢制御装置
US4515288A (en) * 1982-12-01 1985-05-07 Atalla Corporation Currency-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238885A (ja) * 1984-05-14 1985-11-27 Fujitsu Ltd ホログラム記録方法
JP2851298B2 (ja) * 1989-03-14 1999-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並びに該両面粘着テープの使用方法及び該両面粘着テープを用いた貼着物の貼着装置
JPH03205252A (ja) * 1989-12-29 1991-09-06 Canon Inc テープ式物品搬送装置
US5065894A (en) * 1990-03-19 1991-11-19 Garland Patricia A Dispenser for bandages
JPH0742035B2 (ja) * 1991-11-28 1995-05-10 株式会社三明 両面粘着テープ貼付装置
JPH05254271A (ja) * 1992-03-11 1993-10-05 Canon Aptecs Kk 製本用綴じテープ、及び製本用綴じテープ収納カセット
JPH06340368A (ja) * 1993-05-31 1994-12-13 New Oji Paper Co Ltd 両面粘着ラベル供給装置
JPH0716957A (ja) * 1993-06-30 1995-01-20 Tanaka Seiki Kk 封緘装置
US5694629A (en) * 1995-05-01 1997-12-02 Eastman Kodak Company Film transport mechanism with torque limiting clutch
JPH11106122A (ja) * 1997-10-02 1999-04-20 Canon Inc 製本装置
JP2000335817A (ja) * 1999-05-27 2000-12-05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貼付機
JP4559588B2 (ja) * 2000-05-10 2010-10-06 株式会社サトー ラベルプリンタ
JP2002361962A (ja) * 2001-06-11 2002-12-18 Brother Ind Ltd 印字装置、並びに、被印字体カートリッジ
AU2002360805B2 (en) * 2001-12-31 2009-03-12 Cns, Inc Dispensers for tissue dilator divices
US6732780B1 (en) * 2002-10-25 2004-05-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edia coating device
KR100507795B1 (ko) * 2003-04-09 2005-08-17 (주)케이알디씨 제본장치의 테이프공급장치
US7077289B2 (en) * 2003-05-27 2006-07-18 Nadine Ross Powered dispenser for interconnected strip band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466B1 (ko) * 2013-05-15 2013-08-29 (주)한아기계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실링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29383A (ja) 2007-10-25
JP2012144374A (ja) 2012-08-02
WO2005065960A1 (en) 2005-07-21
US20100065221A1 (en) 2010-03-18
US20090188631A1 (en) 2009-07-30
KR20050072892A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44374A (ja) テープ供給装置
US2007004804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isture feed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JP4428302B2 (ja) シート材供給装置
US7520500B2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edia dispenser
JP2009146240A (ja) 媒体収納繰出装置
US7878503B2 (en) Alignment of media sheets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376144B2 (en) Media separator and method
JP4862352B2 (ja) 記録媒体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756025B2 (ja) 転写紙スイッチバック装置
KR100572859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방법 및 장치
KR100507795B1 (ko) 제본장치의 테이프공급장치
JP3548316B2 (ja) 用紙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95501A (ja) 紙葉類の移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紙葉類の結束装置
JP6594118B2 (ja) 媒体搬送装置
JP2560353B2 (ja) 複写機等の用紙積載装置
KR100514282B1 (ko) 테이프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3765B1 (ko) 테이프공급장치의 제어방법
JP5732643B2 (ja) 製本装置
JPS62121176A (ja) 紙葉類集積装置
JPH11193013A (ja) 封筒に宛名ラベルを貼る装置
KR100521099B1 (ko) 연속 출력이 가능한 영수증 인쇄 장치
JPH07206226A (ja) ウエブ搬送装置
JPH06171784A (ja) 給紙装置
KR20000007043A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자동지급방법
KR20060008816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