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134B1 -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 Google Patents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134B1
KR100532134B1 KR10-2003-0054476A KR20030054476A KR100532134B1 KR 100532134 B1 KR100532134 B1 KR 100532134B1 KR 20030054476 A KR20030054476 A KR 20030054476A KR 100532134 B1 KR100532134 B1 KR 10053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k
bamboo
barrel
cooking
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587A (ko
Inventor
공태식
Original Assignee
공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태식 filed Critical 공태식
Priority to KR10-2003-005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1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돈육의 전처리 단계, 돈육 및 약재, 지장수를 대나무 통에 투입하는 단계, 대나무 통의 입구를 대나무 잎, 황토한지 및 호일의 순서대로 덮어 막는 단계, 대나무 통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약(藥)돈육의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덩어리의 조리방법은 지장수가 담긴 조리 용기에 대나무 통의 반쪽을 대나무 통의 내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반쪽의 대나무 통 위에 대나무 가지를 놓는 단계, 생 돈육 덩어리에 약재분말의 희석액을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대나무 가지가 놓여진 대나무 통 위에 약재가 침투된 돈육 덩어리를 위치시킨 후 대나무 잎으로 덮는 단계;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대나무, 지장수, 숯, 고추, 치자 및 약재를 모두 혼합하는 단계, 생 돈육 덩어리를 조리 용기에 담고 상기 혼합액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 및 돈육 덩어리가 담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 통조림{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fficacious pork with bamboo and canned pork thereof}
본 발명은 돈육을 조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 통, 약재 및 지장수를 이용한 약(藥)돈육 및 약(藥)돈육 덩어리 제조방법 및 약(藥)돈육 통조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분포되어 있는 대나무로는 맹종죽, 왕대, 솜대 및 이대의 네 가지가 있는데, 맹종죽은 일본에서는 직경이 약 20cm 정도가 되는 것이 있을 정도로 대나무 중에서 가장 굵어질 수 있는 것으로, 죽순이 굵고,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식용죽이라고 흔히 부르며, 죽피가 녹색이고 흑갈색의 반점이 있다. 왕대는 당죽이라고도 부르는데, 죽순이 약간 쓴맛을 지녔다고 해서 고죽이라고 한다. 왕대의 죽피는 담갈색이고 죽간에는 섬모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탄력성이 좋고 세공하기 쉽기 때문에 대나무 중에서 가장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솜대는 번식력이 강하고 추위에 잘 견디는 대나무로서 죽피에 반점이 없고 죽간은 마디 사이가 짧아서 10-35cm 정도이며, 왕대보다 살이 가늘어 광주리, 바구니, 우산대, 부채살, 화살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생태적인 특성을 가진 대나무는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약리적 효능이 알려져 있는데, 그 예로써 일월서각에서 출판한(1991. 8. 20)문헌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 산에 자라는 키낮은 대나무 종류인 산죽의 잎이 항암작용, 기침멎이 작용, 살균 작용, 항진균 작용, 항궤양 활성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히 산죽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액 중에는 항암활성을 지닌 물질의 구성성분인 크실로즈, 아라비노즈 및 글루코즈와 만노즈, 갈락토즈 등의 당류와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셀린, 트게오닌, 플로린, 알라닌,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의치료법에서는 대나무 잎인 죽엽이 기침약, 가래약, 열내림약 및 오줌내기약, 피멎이약으로 사용되고, 대나무 줄기의 속껍질을 얇게 벗긴 죽여는 열내림약, 피멎이약, 게움멎이약으로 사용되고, 대나무의 진인 죽력은 열내림약, 구풍약으로 사용되며 고혈압, 중풍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황토 속에는 카탈라아제가 존재하여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인체 내의 과산화 지질을 중화하거나 흡수하고, 생육광선인 6~14㎛의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여 불포화지방산, 과산화지방산, 과산화지질, 오염된 물 등의 중합된 체인에 작용하여 이중 또는 삼중결합 등을 해리시켜 인체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키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신체내의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돈육을 비롯한 육류의 전통적 요리방법은 철판을 이용하여 직접 굽거나, 습열을 이용한 수육, 찌개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돈육 등의 육류를 숯불이나 가스불에 굽는 경우 과다하게 타거나 너무 건조하게 되고 포스포타제가 활성화되지 않아 고기 맛이 떨어지고, 또한 고기의 기름기가 타게 되면 철판에 붙어 세척하기가 무척 힘들어 생활하수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양잿물 등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식품위생의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나무 통에 돈육 및 약재와 지장수를 투입하고 대나무 잎 등으로 대나무 통 입구를 막고 가열함으로써 대나무, 약재 및 황토가 돈육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나무, 약재 및 황토의 향미와 효능을 동시에 가지는 약(藥)돈육 조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장수가 담긴 조리 용기에 대나무 통 및 대나무 가지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돈육을 놓고 가열하거나, 대나무와 지장수 및 약재 등의 혼합수에 돈육을 잠기게 하여 가열하는 약(藥)돈육 덩어리 조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약(藥)돈육 또는 약(藥)돈육 덩어리를 이용한 약(藥)돈육 통조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의 조리방법은 (a) 생돈육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처리된 돈육 및 약재와 지장수를 대나무 통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대나무 통의 입구를 대나무 잎, 황토한지 및 호일의 순서대로 덮어 막는 단계; (d) 상기 대나무 통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처리 단계에서 생돈육은 먹기 좋은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한다. 생돈육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약 5분 정도 끓은 물을 약 40~60℃로 식힌 후 10분 정도 담가두어 피와 불순물을 제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돈육 및 약재와 지장수를 대나무 통에 투입하는 단계에서는 돈육, 약재, 지장수를 생대나무통 속에 넣고 대나무 통의 끝을 막는다. 이 때 돈육과 약재를 혼합하여 대나무 통 내에 넣을 수도 있고, 돈육 및 약재를 번갈아 가며 층층이 넣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재는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 씨, 오가피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대나무 통을 막는 단계는 돈육과 약재, 지장수로 채워진 대나무 통의 끝에 대나무 잎, 여러 겹의 황토한지 및 호일을 순서대로 덮어 막는다. 상기 황토한지는 한지(닥종이)를 물에 적시고 황토를 가는 체 위에 두고 물에 풀어 황토를 한지에 흡착시킨 후 이를 그늘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조한다.
상기 돈육으로 채워진 대나무 통의 가열단계는 중탕기를 이용하여 중탕하거나 증기를 이용하여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탕 또는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강한 불로 약 1시간, 약한 불로 약 1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시간은 대나무 통의 직경과 비례하여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덩어리의 조리방법은 (a) 지장수가 담긴 조리 용기에 대나무 통의 반쪽을 대나무 통의 내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반쪽의 대나무 통 위에 대나무 가지를 놓는 단계; (b) 생 돈육 덩어리에 약재분말의 희석액을 침투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대나무 가지가 놓여진 대나무 통 위에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돈육 덩어리를 위치시킨 후 대나무 잎으로 덮는 단계; (d)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리 용기에 대나무 통을 위치시키는 단계에서는 대나무 통을 줄기(세로) 방향으로 반으로 쪼개어 준비하고, 지장수가 담긴 조리 용기에 상기 준비된 대나무통 반쪽을 대나무 통의 내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조리 용기에 위치시키고, 반쪽의 대나무 통 위를 대나무 잎으로 덮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나무 대신에 죽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장수는 황토에 물을 붓고 저은 후 흙을 가라앉힌 엷은 담황색 물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양지 바른 들판이나 깊은 산등성이의 황토 땅속으로 60㎝ 이상 구덩이를 파면, 푸른 띠 같은 것이 가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 띠 밑의 흙을 파내어 숯으로 걸러낸 물과 황토를 알맞은 비율로 섞어 여러번 휘저은 뒤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엷은 담황색 물이 위에 뜨는데, 이 윗물을 떠서 마신다. 그러나 산간이나 나무 밑의 흙탕물은 독이 있어서 먹으면 해롭다. 지장수의 성질은 차고 달며, 독은 없다. 지장수는 해독작용을 하므로 중독되어번민하는 것을 풀고, 그 외의 어육독·약물제균 등 모든 종류의 독을 해독해 준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산에 있는 독버섯을 모르고 삶아 먹으면 생명이 위독하고, 풍수균(신나무버섯)을 먹으면 계속 웃다가 죽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지장수를 마시면 나을 수 있지만 다른 약으로는 살릴 수 없다고 한다. 또 음식이 체하며 구토와 설사를 하는 급성 위장병 및 일사병으로 갑작스럽게 죽은 사람을 되살릴 수도 있다고 한다.
돈육 덩어리에 약재를 침투시키는 단계에서는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 씨, 오가피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한 약재분말과 생 돈육 덩어리를 1:10의 비율(gram)로 혼합한다. 약재분말을 물에 희석하고 생 돈육 덩어리를 침하하여 약재를 흡수시킨다.
돈육 덩어리의 가열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돈육 덩어리를 상기 대나무 가지가 놓여진 반쪽 대나무 통 위에 올려놓고 그 상부를 대나무 잎으로 덮은 후 조리 용기에 열을 가한다. 또한 가열시간은 강한 불로 약 1시간, 약한 불로 약 1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덩어리의 또 다른 조리방법은 (a) 대나무, 지장수, 숯, 고추, 치자 및 약재를 모두 혼합하는 단계; (b) 생 돈육 덩어리를 조리 용기에 담고 상기 (a)단계의 혼합액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액 및 돈육 덩어리가 담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약재는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 씨, 오가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통조림은 상기 방법으로 조리된 약(藥)돈육 또는 약(藥)돈육 덩어리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돈육 통조림은 통조림 제조의 일반적 방법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조리방법, 약(藥)돈육 덩어리의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 통조림에 사용되는 돈육은 모든 부위의 육질 뿐만 아니라 피(皮)도 이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藥)돈육의 조리방법
돈육 200g을 4~6cm 정도의 두께로 썰었다. 5분 정도 끓은 물을 약 50℃로 식힌 후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생 돈육을 10분 정도 담가두어 피와 불순물의 일부를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돈육을 약재 20g, 지장수와 혼합하고 대나무 통에 투입한 후 대나무 잎, 황토한지, 호일을 순서대로 덮어 대나무 통의 입구를 막고 중탕기로 약 2시간 동안 중탕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조리된 약(藥)돈육의 약재에 따른 효능을 알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약재만을 달리하여 조리하였다.
실험예 1
인삼과 구기자를 약재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돈육을 조리하였다.
실험예 2
인삼을 약재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돈육을 조리하였다.
실험예 3
구기자를 약재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돈육을 조리하였다.
실험예 4
표고버섯과 구기자를 약재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돈육을 조리하였다.
실험예 5
은행과 살구 씨를 약재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돈육을 조리하였다.
실시예 2
약(藥)돈육 덩어리 조리방법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덩어리의 첫 번째 조리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지장수가 담긴 솥에 대나무 반쪽을 위치시키고 그 위에 대나무 가지를 올려놓았다. 인삼 및 구기자의 분말 희석액 20g에 돈육 덩어리 200g를 침하하여 돈육 덩어리에 인삼 및 구기자 성분을 흡수시켰다. 이 때 돈육 덩어리가 지장수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였고, 돈육 덩어리 위를 대나무 잎으로 덮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솥을 약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덩어리의 두 번째 조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대나무, 지장수, 숯, 고추 및 인삼를 모두 혼합하고 돈육을 이 혼합액에 잠기도록 한 후 약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시예 3
약(藥)돈육 통조림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조리된 약(藥)돈육으로 통조림을 제조하였다. 통조림 제조방법은 육류의 통조림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 의하여 조리된 약(藥)돈육은 아래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허약한 기를 보강하고 정력을 증강시키며, 항암효과도 가지는 등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죽향, 황토향에 의하여 돈육 특유의 누린 냄새를 제거되고, 죽향, 황토향 및 각종 약재에 따른 향이 부가되어 일반적 방법으로 굽거나 찐 돈육에 비하여 향미가 월등히 좋고 담백하다. 또한, 대나무와 황토 및 각종 약재의 성분이 돈육에 스며들어 돈육의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실험예 1~5) 내지 3의 약재 구성 및 그 효능
구 분 효 능
실시예1 실험예1 인삼, 구기자 허약한 기를 보한다. 돈육의 누린 냄새를 제거하여 맛이 담백하다.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인다. 춘곤증 예방효과가 있다.
실험예2 인삼 허약한 기를 보한다. 돈육의 누린 냄새를 제거하여 맛이 담백하다.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인다. 춘곤증 예방효과가 있다.
실험예3 구기자 정력증강의 효과가 있다. 몸을 보하고 맛이 담백하다.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인다.
실험예4 표고버섯, 구기자 혈압을 떨어뜨리고, 항암효과가 있다. 정력이 증강되고 몸의 기를 보한다.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고, 감칠맛을 낸다.
실험예5 은행, 살구씨 맛이 좋고, 독특한 향미가 있다.
실시예2 약(藥)돈육 덩어리 허약한 기를 보하고 정력을 좋게한다. 돈육의 누린 냄새를 제거하여 맛이 담백하다.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인다. 춘곤증이 예방된다.
실시예3 약(藥)돈육 통조림 식품의 유효기간이 길고,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보관과 유통이 용이하다. 약(藥)돈육의 효능은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및 약(藥)돈육 덩어리는 대나무, 약재 및 황토가 돈육에 동시에 작용하여 돈육의 누린 냄새를 제거하고, 돈육의 콜레스테롤 양을 줄이며, 기를 보강하고 정력을 증강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藥)돈육 통조림은 상기 효능을 가진 약(藥)돈육의 보관과 유통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7)

  1. (a) 생돈육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처리된 돈육; 지장수; 및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씨, 오가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약재를 대나무통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대나무 통의 입구를 대나무 잎, 황토한지 및 호일의 순서대로 덮어 막는 단계;
    (d) 상기 대나무 통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돈육 조리방법.
  2. (a) 생돈육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처리된 돈육; 지장수; 및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씨, 오가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약재를 대나무통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대나무 통의 입구를 대나무 잎, 황토한지 및 호일의 순서대로 덮어 막는 단계;
    (d) 상기 대나무 통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조리된 돈육을 이용하여 제조된 약돈육 통조림.
  3. (a) 지장수가 담긴 조리 용기에 대나무 통의 반쪽을 대나무 통의 내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반쪽의 대나무 통 위에 대나무 가지를 놓는 단계;
    (b) 생 돈육 덩어리에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씨, 오가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약재분말의 희석액을 침투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대나무 가지가 놓여진 덮인 대나무 통 위에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돈육 덩어리를 위치시킨 후 대나무 잎으로 덮는 단계;
    (d)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돈육 덩어리 조리방법.
  4. (a) 지장수가 담긴 조리 용기에 대나무 통의 반쪽을 대나무 통의 내벽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반쪽의 대나무 통 위에 대나무 가지를 놓는 단계;
    (b) 생 돈육 덩어리에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씨, 오가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약재분말의 희석액을 침투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대나무 가지가 놓여진 덮인 대나무 통 위에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돈육 덩어리를 위치시킨 후 대나무 잎으로 덮는 단계;
    (d)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조리된 돈육을 이용하여 제조된 약돈육 통조림.
  5. (a) 대나무; 지장수; 숯; 고추; 치자; 및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씨, 오가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약재를 모두 혼합하는 단계;
    (b) 생 돈육 덩어리를 조리 용기에 담고 상기 (a)단계의 혼합액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액에 잠긴 돈육 덩어리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돈육 덩어리 제조방법.
  6. (a) 대나무; 지장수; 숯; 고추; 치자; 및 인삼, 구기자, 표고버섯, 정향가루, 도라지, 은행, 살구씨, 오가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약재를 모두 혼합하는 단계;
    (b) 생 돈육 덩어리를 조리 용기에 담고 상기 (a)단계의 혼합액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액 및 돈육 덩어리가 담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조리된 돈육을 이용하여 제조된 약돈육 통조림.
  7. 삭제
KR10-2003-0054476A 2003-08-06 2003-08-06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KR10053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476A KR100532134B1 (ko) 2003-08-06 2003-08-06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476A KR100532134B1 (ko) 2003-08-06 2003-08-06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587A KR20050015587A (ko) 2005-02-21
KR100532134B1 true KR100532134B1 (ko) 2005-11-29

Family

ID=3722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476A KR100532134B1 (ko) 2003-08-06 2003-08-06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04B1 (ko) * 2005-05-18 2006-11-23 유승래 대나무와 황토를 이용한 보쌈용 수육의 조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587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44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KR101197606B1 (ko) 마늘 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CN106942617A (zh) 一种茶香风味牛干巴及其制作方法
KR100914644B1 (ko) 다슬기장 제조방법
KR10182690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76161A (ko) 꾸지뽕나무와 오죽대통과 죽염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060228B1 (ko) 참게장 담그는 방법
KR100532134B1 (ko)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KR101392552B1 (ko)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287098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훈제전복의 제조방법
KR100332929B1 (ko) 숯을 이용한 숯 코팅 조미구이계란 및 그 제조방법
KR100591662B1 (ko) 오가피를 이용한 굴비의 가공방법
KR100471603B1 (ko) 대나무 포장 죽염 생선의 제조방법
KR102042514B1 (ko) 장어 숙성소스 및 그 숙성방법
KR20210131815A (ko) 분말 양념을 이용한 코다리찜 제조 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1001225B1 (ko) 엄나무순 간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0521619B1 (ko)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KR100453702B1 (ko) 청매실 또는 청살구를 이용한 과실김치의 제조방법 및 장기 저장방법
KR100604766B1 (ko) 인삼을 숙성시켜 인삼 식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CN109938297A (zh) 一种黄山毛峰鱼及其制备方法
KR102090966B1 (ko) 무말랭이를 포함한 고들빼기 김치 제조방법
JP3814228B2 (ja) 保存性の改善された紫バジルの葉の製造方法
KR101399082B1 (ko) 뽕나무를 이용한 감자탕의 제조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