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336B1 -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 Google Patents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336B1
KR100531336B1 KR10-2003-0059425A KR20030059425A KR100531336B1 KR 100531336 B1 KR100531336 B1 KR 100531336B1 KR 20030059425 A KR20030059425 A KR 20030059425A KR 100531336 B1 KR100531336 B1 KR 100531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visual
visual inspection
industrial produc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943A (ko
Inventor
스즈키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기켄
Publication of KR2004001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검사장치로부터의 여러가지 정보를 활용하여, 전자회로부품 등의 불량개소를 용이하게 찾아 내고, 확인작업을 동일조작으로 행하여, 확실하게 육안검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검사대상을 다른 방향에서 각각 촬영하는 적어도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유닛을 가지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있어서, 다른 검사장치의 검사결과 등을 수집하여, 검사결과 데이터를 작성하는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작성수단과, 상기 다른 검사장치의 이미 판명되어 있는 불량개소를 추적하는 불량개소 추적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검사결과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작성수단으로 수집한 검사결과 등을 상기 불량개소 추적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작성수단으로 작성한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유닛을 구동한다.

Description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MACROSCOPIC INSPECTION OF INDUSTRIAL PRODUCTS}
본 발명은,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IC, LSI, VLSI 등의 IC류나 저항기 및 콘덴서류 등의 전자부품을 설치한 전자회로기판, 그 밖의 공업제품을 육안검사하는 데 사용하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기판 설치에 있어서는, 전자회로기판에 IC나 LSI 또는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각종 전자회로 요소가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는지, 확실하게 납땜처리가 실시되어 있는지 등을 작업자(조작자)가 육안검사할 필요가 있다.
발명자는,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CCD 카메라) 및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에 (CCD 카메라)를 조합시켜 검사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과, 전자회로기판 등의 검사대상과 이 카메라 유닛을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한 화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화상 모니터와, 상기 검사대상의 주요 검사부위를 미리 설정한 순서와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상기 화상 모니터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에 촬영의 진행지시를 주는 지시 장치를 구비한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먼저 제안하였다.(일본국 특개200 1-255274호 참조).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사용하여, 자기검사장치(동일 기종의 검사장치 ;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원래 장비되어 있는 검사장치)(K1)로 기계에 의한(인간의 감각에 의하지 않는) 자동판정을 행하여, 공업제품을 육안검사한다. 그러나,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사용하여, 기계에 의한 자동판정이 행하여지는 다른 검사장치(다른 기종의 검사장치 ;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원래 장비되어 있지 않고, 별도 장비되는 검사장치)(K2)의 여러가지 정보(여러가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회기판 등의 공업제품을 육안검사할 필요가 생겼다.
이 기계에 의한 자동판정이 행하여지는 다른 검사장치(K2)의 여러가지 정보(여러가지 데이터)를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이용하는 경우, 검사판정조건의 설정에 따라서는 양부 판정에 불균일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불량개소( "NG"개소)로 나타난 개소에 대해서는 작업자(조작자)가 다시 눈으로 보아 검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 출력된 검사결과를 기초로 실제의 전자회로기판상에서의 불량개소("NG"개소)를 찾아 내는 데에는 시간이 걸려, 검사공정에서의 타임로스(시간상실)가 된다. 복수의 다른 기종의 검사장치(K2)(K2a, K2b 등)를 사용하고 있으면, 그 검사결과의 출력방법이 달라, 다른 검사장치(K2)(K2a, K2b 등)로부터 출력된 검사결과를 기초로 실제의 전자회로기판상에서의 불량개소( "NG:개소)를 찾아 내는 데에는 한층 더 시간이 걸려, 검사공정에서의 타임로스(시간상실)가 된다.
또,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른 검사장치(K2)와 조합되어 구성되는 경우, 이 다른 검사장치(K2)와 원활하게 링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꾸어 말하면 다른 검사장치(K2)와 협동하여 원활하게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복수의 제조회사의 다른 검사장치(K2)(K2a, K2b 등)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결과의 데이터(출력 포맷)는 제 각각이어서, 다른 검사장치 공정 후의 확인작업의 방법은 개별로 결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 확인작업을 모두 동일한 조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중점적으로 눈으로 봐야만 한다고 판단되는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를 행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 중점적으로 눈으로 봐야만 한다고 판단되는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와 다른 검사장치(K2)에 의하여 불량개소라고 나타난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를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다른 검사장치를 기능적으로 조합시킬 수 있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다른 검사장치를 조합시킨 경우에, 다른 검사장치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판독하여 자동변환할 수 있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다른 검사장치를 조합시킨 경우의 육안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점적으로 눈으로 봐야만 한다고 판단되는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와 다른 검사장치에 의하여 불량개소라고 나타난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검사대상을 다른 방향에서 각각 촬영하는 적어도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을 필요에 따라 상기 카메라 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3차원 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 촬영한 화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화상 모니터와, 상기 검사대상의 주요 검사부위를 미리 설정한 순서와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상기 화상 모니터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에 촬영의 진행지시를 주는 지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있어서,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시 다른 검사장치의 검사결과 등을 수집하여, 검사결과 데이터를 작성하는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작성수단과, 상기 다른 검사장치의 이미 판명되어 있는 불량개소를 추적하는 불량개소 추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작성수단으로 수집한 검사결과 등을 상기 불량개소 추적수단에 제공하여, 상기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작성수단으로 작성한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유닛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있다.
또, 본 발명은, 검사대상을 다른 방향에서 각각 촬영하는 적어도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을 필요에 따라 상기 카메라 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3차원 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 촬영한 화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화상모니터와, 상기 검사대상 중 중점적으로 육안검사할 대상을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대상의 주요 검사부위를 미리 설정한 순서와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상기 화상모니터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에 촬영의 진행지시를 주는 지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있어서,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대상 중의 상기 중점적 육안검사와 상기 다른 검사장치의 상기 불량개소의 육안검사와 함께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이하,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각 부의 기능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검사대상인 전자회로기판(1)의 각 부를 검사하는 장치이고, 그 주요한 구성요소는,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정면용 CCD 카메라)(2a)와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경사용 CCD 카메라)(2b)의 2개의 비디오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유닛(2), 상기 전자회로기판 (1)을 유지하는 유지부(3), 이 유지부(3)를 설치한 베이스부(4), 도어형 프레임 (5), 상기 유지부(3)의 Y 방향 이동용의 Y 방향 이동기구(4a), 상기 카메라 유닛 (2)에 설치한 회전기구(6a) 및 승강방향으로 움직이는 Z방향 이동기구(6b), 상기 도어형 프레임(5)에 설치한 카메라 유닛(2)의 X 방향 이동용의 X 방향 이동기구(5a), 화상 모니터(7), 이 화상 모니터(7)와 일체로 설치된 제어부(8) 및 이 제어부(8)에 지시를 주는 지시용 원격제어장치(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2b)의 광축과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45도가 되도록,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와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 (2b)는 설치되어 있다.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의 상부에 밸런서(2c)를 설치하고 있다. 회전기구(6a)는,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의 상부에 기구박스(10)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상기 회전기구 (6a) 및 Z 방향 이동기구(6b)를 수납하고 있다.
회전기구(6a) 및 Z 방향 이동기구(6b)의 회전 및 Z 방향 이동용 및 회전용의 축부재는, 상기 기구박스(10)에 늘어트려 설치되어 있다. 이 축부재의 하단에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의 상부를 결합하고 있다. 카메라 유닛(2)은, 회전기구(6a)에 의한 회전작용 및 Z 방향 이동기구(6b)에 의한 Z 방향 이동의 작용을 받는다.
X 방향 이동기구(5a)는, 도어형 프레임(5)의 수평부를 따라, 즉, X 방향으로 상기 기구박스(10)를 이동시킨다. X 방향 이동기구(5a)는, 카메라 유닛(2), 회전기구(6a) 및 Z 방향 이동기구(6b)를, 기구박스(10)를 거쳐, 동시에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지부(3)는, 전자회로기판(1)의 양쪽 끝부를 포올편 등으로 유지하여, 베이스부(4)에 설치된 레일부재(4b, 4b) 상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상 모니터(7)로서, CRT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다.
제어부(8)는, 외부 기억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부 기억장치(11)의 프로그램 기억영역(11a)에는 검사대상인 전자회로기판(1)의 모든 주요 검사부위의 촬영순서, 각 주요 검사부위를 위한 각 부의 동작 등에 대하여 결정한 프로그램이 유지되어 있다. 또 외부 기억장치(11)의 화상 기억영역(11b)에는, 전자회로기판 (1)의 모든 주요 검사부위 중에서 판단이 어려운 부위에 대한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유지되어 있다.
지시용 원격제어장치(9)는, 제어부(8)에 작업자(검사담당자)에게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고, 주요 검사부위의 육안검사의 종료를 통지하여, 다음의 주요 검사부위로의 이행을 촉구하고, 또는 재검토를 위해 이미 종료한 주요 검사부위의 재촬영 동작을 지시한다.
카메라 유닛(2)의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와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2b)의 화상신호출력은, 화상 전환부(12)를 거쳐 화상 모니터(7)에 접속되고, 또 외부 기억 장치(11)의 화상기억영역(11b)의 화상 데이터는, A/D 변환기(13)로 변환되어, 그 화상신호출력이 화상 전환부(12)를 거쳐 화상모니터(7)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의하면, 유지부(3)에 검사대상 인 전자회로기판(1)을 유지시킨 후, 지시용 원격제어장치(9)로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면, 유지부(3)가 Y 방향 이동기구(4a)의 동작에 의하여 Y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이동하고, 또한 카메라 유닛(2)이, Z 방향 이동기구(6a) 및 X 방향 이동기구(5a)의 동작에 의하여 각각 Z 방향 및 X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이동한다.
또한 회전기구(6a)가 회전동작하여 카메라 유닛(2)을 회전 이동시키고, 대상의 전자회로기판(1)의 최초의 주요 검사부위가 카메라 유닛(2)의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 또는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2b)와 대면상태가 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어느 것인가 대면하는 비디오 카메라(2a 또는 2b)로 줌동작이 행하여져, 적절한 확대율로 주요 검사부위의 촬영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최초의 주요 검사부위가 IC의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여 그 형식번호를 확인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2)의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가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촬영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때 회전기구(6a)에 의한 회전동작에 의하여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는 상기 IC의 형식번호를 나타내는 문자를 정립(正立)상태로 촬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여, IC의 형식번호를 나타내는 문자를 정립상태로 촬영한다.
이와 같이 촬영되어 얻어진 화상신호는, 화상 전환부(12)를 통하여 화상 모니터(7)에 입력되고, 여기서 재생된다. 따라서, 작업자(검사 담당자)는, IC의 형식번호를 정립상태에서 눈으로 보아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최초의 주요 검사부위가 IC의 전자회로기판(1)에 대한 설치상태를 검사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2)의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2b)가 선택된다. 이때 회전기구 (6a)에 의한 회전동작에 의하여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2b)는 상기 IC 에 대하여 최적 방각의 방향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고, 그 위치로부터 IC의 경사방향의 촬영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촬영되어 얻어진 화상신호는, 화상 전환부(12)를 통하여 화상모니터(7)에 입력되고, 여기서 재생된다. 따라서 작업자(검사담당자)는, 이와 같은 IC의 전자회로기판(1)에 대한 설치상태를 경사방향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육안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주요 검사부위의 검사개소가 복잡하여 정확하게 기억하기 어려운 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에 따라, 외부 기억장치(11)의 화상기억영역(11b)으로부터 그 주요 검사부위의 정상적인 상태의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 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A/D 변환기(13)로 A/D 변환되어 얻어진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화상 전환부 (12)를 거쳐, 화상 모니터(7)에 입력된다. 그리고 주요 검사부위의 화상과 교대로 재생되기 때문에, 작업자(검사담당자)는, 이것을 비교하여 검사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최초의 주요 검사부위의 육안검사가 종료한 후, 지시용 원격제어장치(9)를 조작하여 그 종료를 통지하고, 다음의 동작을 촉구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의 주요 검사부위의 촬영을 향하여 장치의 각 부에 이상과 동일한 동작이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하여 작업자(검사담당자)는, 전자회로기판(1)의 육안검사를 행할 수 있고, 모든 주요 검사부위에 대하여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검사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실시예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검사대상인 전자회로기판(1)의 각 부를 검사하는 장치로, 자기검사장치(동일 기종의 검사장치)(K1)로 기계에 의한(인간의 감각에 의하지 않음) 자동판정을 행하여, 공업제품을 육안검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시 기계에 의한 자동판정이 행하여지는 다른 검사장치(다른 기종의 검사장치)(K2)로부터의 여러가지 정보(여러가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회로기판 등의 공업제품을 육안 검사한다.
다른 검사장치(다른 기종의 검사장치)(K2)의 여러가지 정보(여러가지 데이터)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도입된다.
다른 검사장치(K2)로 검사한 결과(다른 검사결과)를 수납하고 있는 다른 기계 (별도의 장치), 즉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원래 장비되어 있지 않은 다른 기계(다른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여러가지 데이터를 도입하여 그 여러가지 데이터를 판독한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른 검사장치(K2)와 기능적으로 링크하기 위하여, 바꾸어 말하면 다른 검사장치(K2)와 협동하여 원활하게 조작하기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2개의 소프트웨어(기능)(A와 B)(2개의 구성수단)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소프트웨어(기능 : 구성수단)(A)는, (A1) 다른 검사장치(K2)의 검사결과 등을 수집하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A2) 자동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통상은 사용자(작업자)가 조작을 행하지 않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및 (A3) 수집한 검사결과를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소프트웨어(기능)(B)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기능)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하나의 소프트웨어(기능)(B)는, (B1) 다른 검사장치(K2)의 이미 판명되어 있는 불량개소("NG"개소)를 추적하는(기계에 지시하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바꾸어 말하면 예를 들면 CAI[computer aided inspection(컴퓨터 지원검사)]의 구성, (B2) 육안검사를 행할 때에, 사용자(작업자)가 조작을 행하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바꾸어 말하면 예를 들면 양품의 버튼(양품을 나타내는 "OK"라고 표시된 버튼) 또는 불량품의 버튼(불량품을 나타내는 "NG"라고 표시된 버튼)을 누르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및 (B3) 소프트웨어(A)로 작성한 검사결과 데이터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를 장비한 하드웨어부재(로봇)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기능)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 미리 판독하여 그 제어부(8)에 기억한다.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제어부(8)에 판독한 후, 상기 실시예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검사대상인 전자회로기판의 각 부를 검사할 때, 다른 자기검사장치(다른 기종의 검사장치)(K2)로 기계에 의한(인간의 감각에 의하지 않음) 자동판정 및 육안검사는, 자기검사장치(K1)로 기계에 의한 자동판정과 육안검사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수집 소프트웨어(기능)(A)와 검사용 소프트웨어(기능)(B)를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고, 2개의 소프트웨어(기능)(A와 B)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2개의 소프트웨어(기능)(A와 B)는, 1대 또는 복수대의 PC(personal computer)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검사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검사결과를 표준의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하여 보존하고 있다.
또한 표준의 데이터형식을 역변환함으로써, 다른 검사장치(K2)에 대한 여러가지데이터의 되돌리기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의하면, 다른 검사장치(K2)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자동변환을 행하여 불량개소("NG"개소)에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2a) 또는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2b)를 이동시켜, 촬영한 화상을 화상 모니터(7) 등에 표시시키기 때문에, 검사 포인트[불량개소("NG"개소)]를 찾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른 검사장치 (K2)로부터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판독하여, 자동변환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여러가지 정보(여러가지 데이터)에 의한 전자회로기판 등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의 효율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다른 검사장치와 데이터수집의 기능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복수의 다른 검사장치 [automatically optical inspections : 예를 들면, 다른 검사장치(K2a), 다른 검사장치(K2b), 및 다른 검사장치(K2c)]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다른 검사장치[예를 들면, 다른 검사장치(K2a), 다른 검사장치(K2b), 및 다른 검사장치 (K2c)]에 접속하는 경우, 다른 검사장치(K2a, K2b, K2c)마다의 차이는, 데이터 수집을 행하는 소프트웨어(A)가 흡수한다. 바꾸어 말하면 소프트웨어(기능)(A)는, 다른 검사장치(K2a, K2b, K2c)마다의 차이를 고르게 하는 기능이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작업자)는 직접 조작하는 소프트웨어(기능)(B)를 변경하지 않고, 복수의 다른 검사장치[예를 들면, 다른 검사장치(K2a), 다른 검사장치 (K2b), 및 다른 검사장치(K2c)]로부터의 검사결과를 취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장치는, 다른 검사장치 (K2)로부터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여러가지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내용의 통계 등을 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여러가지 데이터를 일괄 관리하여 그 통계결과를 전공정(前工程)으로 피드백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의 다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검사장치(K2)로부터의 여러가지 정보(여러가지 데이터)를 이용한 전자회로기판 설치 후의 육안검사에는, 크게 나누어 다음의 2가지가 있다.
그 중의 하나는, (a1) 중점적으로 눈으로 봐야만 한다고 판단되는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이고, 또 하나는, (a2) 다른 검사장치(K2)에 의하여 불량개소라고 나타난 개소("NG"개소)에 대한 육안검사이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이 2가지의 육안검사를 정리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작업할 수 있다.
2가지의 육안검사를 정리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작업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개의 소프트웨어(기능)가 필요하다.
즉, 3개의 소프트웨어(기능)(C)는, (C1) 다른 검사결과 등을 수집하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C2) 다른 검사장치(K2)의 NG개소를 추적하는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 및 (C3) 중점 육안검사을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기능)의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웨어(C3)로, 중점 육안검사 포인트를 사전에 프로그램하여 둔다.
소프트웨어(C1)로, 다른 검사결과 등을 수집할 때에, 소프트웨어(C3)로 만든 프로그램 파일도 동시에 판독하여 데이터를 혼합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중점 육안검사 개소의 육안검사와 다른 검사장치(K2)에 의한 불량개소("NG"개소)의 육안을 1공정으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틸팅한(사전에 가르쳐 둔) 프로그램과 다른 검사장치(K2)의 검사결과를 혼합 검사할 수 있다. 즉, 학습기능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육안검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다음에 동일한 개소를 검사할 때에는 세밀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판정할 수 있다.
2가지의 육안검사의 결과를 하나의 검사결과로서 통합함으로써, 불량결과를 일원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의하면, 다른 검사장치를 기능적으로 조합시킬 수 있고, 다른 검사장치로부터 출력된 검사결과를 기초로 실제의 전자회로기판상에서의 불량개소("NG"개소)를 용이하게 찾아 낼 수 있으므로, 육안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다른 검사장치를 조합시킨 경우에, 다른 검사장치의 검사결과나 설계 데이터를 판독하여, 자동변환할 수 있어, 육안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의하면, 중점적으로 눈으로 봐야만 한다고 판단되는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와 다른 검사장치에 의하여 불량개소라고 나타난 개소에 대한 육안검사를 함께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각 부의 기능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다른 검사장치와 데이터수집의 기능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회로기판 2 : 카메라 유닛
2a : 정면용 비디오 카메라 2b : 경사용 비디오 카메라
4a : Y 방향 이동기구 5a : X 방향 이동기구
6b : Z 방향 이동기구 7 : 화상 모니터
8 : 제어부 9 : 지시용 원격제어장치

Claims (3)

  1. 검사대상을 다른 방향에서 각각 촬영하는 적어도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을 필요에 따라 상기 카메라 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3차원 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 촬영한 화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화상 모니터와, 상기 검사대상의 주요 검사부위를 미리 설정한 순서와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상기 화상 모니터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에 촬영의 진행지시를 주는 지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는, 다시 다른 검사장치의 검사결과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여, 검사결과데이터를 작성하는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 데이터 작성수단과, 상기 다른 검사장치의 이미 판명되어 있는 불량개소를 추적하는 불량개소 추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사결과 수집 및 검사결과데이터 작성수단으로 수집한 검사결과 등을 상기 불량개소 추적수단에 제공하여, 상기 제공된 검사결과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대상 중 중점적으로 육안검사할 대상을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대상 중의 상기 중점적 육안검사와 상기 다른 검사장치의 상기 불량개소의 육안검사를 함께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3. 삭제
KR10-2003-0059425A 2002-08-28 2003-08-27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KR100531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48576 2002-08-28
JP2002248576A JP2004085436A (ja) 2002-08-28 2002-08-28 工業製品の目視検査支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943A KR20040019943A (ko) 2004-03-06
KR100531336B1 true KR100531336B1 (ko) 2005-11-25

Family

ID=3205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425A KR100531336B1 (ko) 2002-08-28 2003-08-27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085436A (ko)
KR (1) KR100531336B1 (ko)
CN (1) CN1234004C (ko)
TW (1) TW2004050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022B2 (ja) * 2004-12-24 2011-03-16 株式会社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基板の外観検査装置
JP2006349540A (ja) * 2005-06-17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目視検査支援システム
KR100769691B1 (ko) 2006-02-16 2007-10-24 (주)코미 탭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탭 검사방법
JP5017605B2 (ja) * 2006-10-20 2012-09-05 株式会社 日立技研 目視検査支援装置、目視検査支援システム並びに目視検査支援方法
JP5948797B2 (ja) * 2011-11-07 2016-07-06 オムロン株式会社 検査結果の目視確認作業の支援用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ならびに方法
CN108020559A (zh) * 2017-12-29 2018-05-11 德清炬诚电子科技有限公司 泡罩类包装药品视觉检测设备
CN112540084A (zh) * 2019-09-20 2021-03-23 联策科技股份有限公司 外观检查系统与检查方法
CN111366590A (zh) * 2020-03-31 2020-07-03 佰电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桌面aoi测试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7994A (ja) * 1990-08-28 1992-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観察装置
JPH0573565U (ja) * 1992-03-04 1993-10-08 谷電機工業株式会社 目視検査システム
JPH08340199A (ja) * 1995-06-13 1996-12-24 Sony Corp 実装基板の検査装置
JPH10300448A (ja) * 1997-04-07 1998-11-13 Hewlett Packard Co <Hp> プリント回路板アセンブリの検査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7994A (ja) * 1990-08-28 1992-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観察装置
JPH0573565U (ja) * 1992-03-04 1993-10-08 谷電機工業株式会社 目視検査システム
JPH08340199A (ja) * 1995-06-13 1996-12-24 Sony Corp 実装基板の検査装置
JPH10300448A (ja) * 1997-04-07 1998-11-13 Hewlett Packard Co <Hp> プリント回路板アセンブリの検査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7407B (ko) 2009-03-11
JP2004085436A (ja) 2004-03-18
TW200405001A (en) 2004-04-01
CN1234004C (zh) 2005-12-28
KR20040019943A (ko) 2004-03-06
CN1482450A (zh) 200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3759A (ko) X 선 투시 장치
KR100531336B1 (ko) 공업제품의 육안검사지원장치
JP2008051781A (ja) 基板の外観検査方法および装置
EP0593183A2 (en) Video/cad image comparator system
KR100679550B1 (ko) 결함검출기 및 결함검출방법
JPH0735645A (ja) 液晶パネルの検査装置
JP3542114B2 (ja) 工業製品の目視検査支援装置
JP4715986B2 (ja) X線透視装置
JP2001266125A (ja) 基板検査装置
JP3381129B2 (ja) 観測領域設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この観測領域設定方法を用いた外観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93698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패턴검사기및그검사방법
JP2001027518A (ja) ワイヤハーネス外観検査装置
JP4956958B2 (ja) X線検査装置
JP2009162671A (ja) 工業製品の目視検査支援装置
JP2008051784A (ja) 基板の検査システム
JP2008175764A (ja) 外観検査装置
JPH09126763A (ja) 垂直度測定方法及び垂直度測定装置
JPH07225121A (ja) 外観検査装置
JP2896153B2 (ja) 自動検査装置
JP3897102B2 (ja) X線透視装置
JP2000171224A (ja) 外観検査装置
JP5715554B2 (ja) 工業製品の目視検査支援装置
JP2000183493A (ja) プリント基板検査支援装置及びプリント基板検査方法
JP4390060B2 (ja) X線ct装置
JPH0814855A (ja) 部品装着状態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