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852B1 -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852B1
KR100528852B1 KR10-2003-0072940A KR20030072940A KR100528852B1 KR 100528852 B1 KR100528852 B1 KR 100528852B1 KR 20030072940 A KR20030072940 A KR 20030072940A KR 100528852 B1 KR100528852 B1 KR 10052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door mirror
mirror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563A (ko
Inventor
스기야마카즈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04003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하우징과, 하우징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곽체와, 2개의 부착대와, 결합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곽체로 포위되는 본체와, 2개의 부착부와,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2개의 부착대와 2개의 부착부를 고정구로 고정하여 형성된 2개의 고정부와, 상기 결합대와 결합부를 결합하여 형성된 접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2개의 고정부를 잇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상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한 하우징의 회전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Door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도어 미러 하우징(Door Mirror Housing)과 프레임(Frame) 사이의 결합구조에 특징을 갖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는 미러, 그 미러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Control Sub-Assembly) 및 도어 미러 조립체를 격납 또는 작용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구동장치(Drive Sub-Assembly)를 포함하는 각종의 구성부재와 장치, 도어 미러 하우징으로 불리우는 곽체(Shell)안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미러 하우징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비틀림과 같은 기계적인 변형을 받기 쉬우므로, 도어 미러 하우징내에 프레임(Frame)과 같은 구성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에, 도어 미러 하우징과 프레임은, 3개 부위 이상에 스크류(Screw) 등의 고정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특허 제3301571호(일본공개특허 제07-223489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10-100794호에는 그러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다른 2개의 문헌에는 도어 미러 하우징과 프레임을 고정하는 스크류를 채용하지 않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94087호에는 합성수지제의 클립(Clip)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08-244532호에는 초음파 용접을 적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부품수와 인건비를 줄이는 것이 유효하다. 따라서, 도어 미러 하우징과 프레임과의 결합시 스크류 등의 고정구의 갯수를 줄임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스크류와 클립 등의 고정구의 갯수를 경솔하게 줄이는 경우, 결합강도가 불충분하게 된다. 그 결과, 차량 주행중에 미러가 흔들거리게 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소음이 발생하여 캐빈(Cabin)내의 쾌적성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미러 하우징과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이는 것 이외에, 그들 사이에 충분한 결합강도를 보장함은 물론,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양상은, 하우징과 그 하우징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곽체와, 상기 곽체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부착대(Fixation Port)와, 상기 곽체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대(Engagement Por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곽체로 포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2개의 부착부(Fixation Element)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Engagement Elemen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2개의 부착대와 상기 2개의 부착부를 고정구(Fastener)로 고정하여 형성된 2개의 고정부(Fixation Section)와, 상기 결합대와 상기 결합부를 결합하여 형성된 접합부(Engagement Section)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2개의 고정부를 잇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Circle)의 원주상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변위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하우징과 프레임 사이를, 상기 2개의 고정부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의 원주상에 위치하는 접합부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상기 접합부는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구를 필요로 하는 고정부의 수를 2개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합부는, 하우징의 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대와 프레임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히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부품수는 물론, 조립과 관련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접합부의 결합강도는 고정부의 결합강도에 비하여 작지만, 접합부가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과 프레임을 2개의 고정부로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결합강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카니즘(Mechanism)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우징과 프레임이 2개 부위에만 고정되는 경우, 하우징은 강체(剛體)가 아니므로, 2개의 고정부를 잇는 축선을 중심으로 프레임에 대한 변위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상에 위치되는 접합부를 추가하면, 회전변위(축선주위의 비틀림 변위)가 규제되므로, 결합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대와 결합부가 각각 하우징과 프레임의 금형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접합부의 추가에 의해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상기 접합부가 적어도 2개 제공되어 하우징의 회전변위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하우징과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2개의 고정부와 2개의 접합부 이상을 사용하므로, 상기 접합부가 하우징의 회전변위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규제하고 있어 하우징이 프레임에 대하여 비틀거리는 일이 없게 된다. 고정부를 추가하면, 부품수가 증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접합부의 수가 증대되면, 제조비용이 증가되지 않는다. 이는 결합대와 결합부가 각각 하우징과 프레임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결합대가 곽체안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고, 결합부가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컬럼(Column)을 포함하며 상기 컬럼이 그 일단부에 손톱부(Claw)를 갖는 도어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컬럼이 상기 구멍의 측벽과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곽체의 외면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손톱부가 상기 구멍의 주변과 접촉한 상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컬럼을 곽체안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상기 컬럼이 곽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곽체를 상기 손톱부와 접촉면 사이에 개재하고 있으므로,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상기 손톱부는 그 폭방향이 2개의 고정부로 이어지는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의 변형과 회전변위를 규제하는 힘이 접합부에 균등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는, 도1 및 도2A,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미러 하우징(이하, '하우징(H)' 라고 함)과, 하우징(H)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F)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미러 조립체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미러 베이스(Mirror Base, 101)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어 미러 조립체는, 하우징(H)의 정면 개구내에 설치되는 미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하우징(H) 내부에 미러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H)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된 곽체(10)와, 곽체(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부 부착대(11)와 하부 부착대(12)와, 곽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대(13)와 제2 결합대(14)를 포함한다. 상부 부착대(11)와 하부 부착대(12) 및, 제1 결합대(13)와 제2 결합대(14)의 위치는, 각각 상부 부착부(21)와 하부 부착부(22) 및, 제1 결합부(23)와 제2 결합부(24)의 위치와 대응된다.
상부 부착대(1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곽체(1)의 내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면(Bearing Surface, 11a)과, 상기 지지면(11a)에 형성된 스크류 구멍(11b)을 구비한다. 도2A의 ⅢA-ⅢA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곽체(1) 내측으로 함몰된 L자형의 부위가 상기 상부 부착대(11)를 이루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착대(11)의 측면(11c)의 하부는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부 부착대(12)는, 곽체(10)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지지면(12a)과, 상기 지지면(12a)의 중앙에 형성된 스크류 구멍(12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결합대(13)는, 도1 및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이고 곽체(1)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멍(13a)를 갖는다. 상기 제1 결합대(13)의 위치는 상기 제1 결합부(23)의 위치와 대응하며, 상기 구멍(13a)은 도5에 도시된 손톱부 23b의 삽입을 위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결합대(14)는, 도1 및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단면을 갖고 상기 곽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멍(14a)을 갖는다. 상기 제2 결합대(14)의 위치는 상기 제2 결합부(24)의 위치와 대응하며, 상기 구멍(14a)은 그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크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구멍(14a)의 상부 폭은, 도5에 도시된 손톱부 24b의 삽입을 위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폭은, 도5에 도시된 컬럼 24a의 얇은 부분의 두께치수와 같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F)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되고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거의 L자형인 본체(20)와, 본체(20)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 부착부(21)와 하부 부착부(22)와,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된 제1 결합부(23)와 제2 결합부(24)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20)에는, 도어 미러 조립체를 격납 또는 작용위치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구동장치(M)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부호 S1은 구동 장치(M)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의 기부(基部)를 표시한 것이다.
상부 부착대(21)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도1에 도시된 하우징(H)의 지지면(11a)과 접촉되는 설치면(21a)과, 상기 설치면(21a)에 형성된 스크류 구멍 21b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20)의 상단부의 얇은 부위에 상부 부착부(21)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부착부(21)의 접촉면(21c)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스크류 구멍 21b와 22b를 잇는 축선(P)과 대략 수직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착대(11)의 측면(11c)과 접촉하여 있다.
하부 부착대(22)는, 도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저면에 형성되고, 하우징(H)의 지지면(12a)과 접촉하는 설치면(22a)과 상기 설치면(22a)에 형성된 스크류 구멍 22b을 갖는다.
상기 제1 결합부(2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Plate)형상을 갖고 곽체(10)에 대향하는 본체(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컬럼 23a를 포함한다.
본체(20)에 대향하는 손톱부 23b의 면은, 곽체(10)의 외면으로 돌출하는 구멍(13a)의 주변(13b)과 접촉하여 있다. 상기 손톱부 23b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방향이 스크류 구멍 21b와 22b를 잇는 축선(P)와 대략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2 결합부(2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lock)형상을 갖고, 곽체(10)에 대향하는 본체 외면에 형성되는 컬럼 24a을 갖는다.
상기 컬럼 24a은, 구멍(14a)의 측벽에 접촉하는 상태로 구멍(14a)을 통하여 곽체(10)의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럼 24a은, 그 단부에 손톱부 24b를 갖고, 그 중앙에 상기 손톱부 24b와 평행한 접촉면(24c)을 갖는다. 상기 손톱부 24b의 내면(하부면)과 접촉면(24c) 사이의 거리는, 곽체(10)의 두께와 동등하다(도5 참조).
본체(20)에 대향하는 손톱부 24b의 면은 곽체(10)의 외면과 같은 높이의 구멍(14a)의 주변(14b)에 접촉하여 있다. 상기 접촉면(24c)은, 곽체(10)의 내면과 같은 높이의 구멍(14a)의 주면(14c)와 접촉하여 있다. 상기 손톱부(14b)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방향이 축선(P)과 대략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부 부착부(21)와 하부 부착부(22) 및, 제1 결합부(23)와 제2 결합부(2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 형태는,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본체(20)의 전체에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하우징(H)을 안정하게 지지시킬 수가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 23a의 손톱부 23b와 상기 컬럼 24a의 손톱부 24b는, 각각 상기 상부 부착부(21)와 하부 부착부(22)를 잇는 축선(P)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假想圓) R1 과 R2의 원주상에 위치된다.
다음에, 하우징(H)과 프레임(F)의 결합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은, 하우징(H)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F)에 부착된 축의 기부(S1)를 하우징(H)의 곽체(10)의 저면에 형성된 축구멍(S2)의 상부에 위치시키면서, 프레임(F)의 제2 결합부(24)를 구멍(14a)의 넓은 폭 부분에 삽입하여 도5에 도시된 손톱부 24b를 곽체(10)의 외면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어서, 프레임(F)을 도2A에 도시된 Y2방향으로 아랫쪽으로 슬라이드(Slide)시켜서 그 저면에 위치될 때 까지 컬럼 24a을 구멍(14a)의 좁은 폭 부분에 삽입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컬럼 24a와 구멍(14a)을 완전히 결합시킨다. 이렇게 결합된 부분은, 이하 제2 접합부(4)라고 한다. 상기 제2 접합부(4)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 24a가 구멍(14a)의 양측벽과 접촉하여 있고, 본체(20)에 대향하는 손톱부 24b의 내측면이 구멍(14a)의 주변(14b)과 접촉하여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24c)은 구멍(14a)의 다른 주변(14c)과 접촉하여 있다. 이와같이, 상기 손톱부 24b와 상기 접촉면(24c) 사이에는, 하우징(H)의 곽체(1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컬럼 24a의 손톱부 24b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구멍 21b 와 22b를 잇는 축선(P)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 R2의 원주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2 결합대(4)는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되게 된다.
도2A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대한 축선(P) 중심으로의 하우징(H)의 회전변위가 화살표 R21과 R22와 같은 방향으로 규제되므로, 하우징(H)의 화살표 X1, X2, Z1 및 Z2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변위와 변형은 규제된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 24a가 구멍(14a)의 저면에 위치될 때 까지 상기 구멍(14a)에 삽입되므로, 프레임(F)에 대한 하우징(H)의 화살표 Y1 방향으로의 변위와 변형이 규제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의 구멍(13a)과 프레임(F)의 컬럼 23a와의 위치를 맞추어 프레임(F)을 하우징(H)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컬럼 23a는 탄성변형을 하면서 구멍 13a에 삽입된다. 손톱부 23b가 곽체(10)의 외측으로 돌출하면, 상기 컬럼 23a는 탄성변형으로부터 복원하고, 이에 의해 상기 컬럼 23a와 구멍 13a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부분은 이후 제1 접합부(3)라고 한다. 제1 접합부(3)에서는, 상기 컬럼 23a이 구멍 13a의 측벽과 접촉하게 되고, 본체(20)에 대향하는 손톱부 23b의 내측면은 구멍 13a의 주변(13b)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컬럼 23a의 손톱부 23b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구멍 21b와 22b를 잇는 축선(P)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 R1의 원주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1 접합부(3)는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된다.
도2A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의 화살표 X2와 Z1으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변위와 변형이 규제되므로, 프레임(F)에 대한 하우징(H)의 축선(P) 중심의 회전변위는 화살표 R12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규제된다.
상기 제1 접합부(3) 및 제2 접합부(4)에 의한 규제의 결과로서 하우징(H)이 프레임(F)에 대하여 흔들거리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3)에 의해 화살표 R12(R22)로 표시된 방향으로 프레임(F)에 대한 하우징(H)의 회전변위가 규제된다. 한편, 상기 제2 접합부(4)에 의해 화살표 R21(R11)로 표시된 역방향으로 회전변위가 규제된다.
하우징(H)와 프레임(F)를 결합시키면, 도3B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착부(21)의 접촉면(21c)은 상부 부착대(11)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면(21c)이 축선(P)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F)에 대한 하우징(H)의 변위와 변형이 규제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4)에 의해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Y1 방향으로의 변위와 변형이 규제되므로, 축선(P) 방향으로의 변위와 변형을 규제시킬 수가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과 프레임(F)을 서로 결합시키면, 상부 부착대(11)의 지지면(11a)은 상부 부착대(21)의 설치면(21a)과 접촉하게 되고, 상부 부착대(11)의 스크류 구멍 11b과 상부 부착대(21)의 스크류 구멍 21b과의 위치맞춤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도1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착대(12)의 지지면(12a)은 하부 부착부(22)의 설치면(22a)과 접촉하게 되고 하부 부착대(12)의 스크류 구멍 12b와 하부 부착부(22)의 스크류 구멍22b와의 위치맞춤이 이루어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의 외측에서 스크류 구멍 11b에 스크류 등의 고정구 31를 나사조임하여 하우징(H)의 상부 부착대(11)와 프레임(F)의 상부 부착부(21)을 고착시킨다. 이렇게 고착된 부분은 이후 상부 고정부(1)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H)의 외측에서 스크류 구멍 12b에 고정구 32를 나사조임하여 하부 부착대(12)와 하부 부착부(22)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고정된 부분은 이후 하부 고정부(2)라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에서는, 하우징(H)과 프레임(F)이 축선(P)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상에 위치되는 제1 접합부(3)와 제2 접합부(4)에 의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와 하부 고정부(2)와 고착된다.
이와같이, 하우징(H)과 프레임(F)이 2곳만에 고착시키므로, 도어 미러 조립체와 관련하여 부품수의 삭감 및 인건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하우징(H)와 프레임(F)을 2곳에만 고착시키더라도, 제1 접합부(3) 및 제2 접합부(4)가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결합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와 하부 고정부(2)를 잇는 축선(P)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상에 제1 접합부(3) 및 제2 접합부(4)가 위치되므로, 프레임(F)에 대한 하우징(H)의 회전변위(축선(P) 주위의 비틀림 변위)가 규제되어, 그 결과로서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하우징(H)은, 프레임(F)에 대한 축선(P) 주위로 회동하도록 하지만, 제1 접합부(3) 및 제2 접합부(4)에 의해 규제되므로, 높은 결합강도하에서는 흔들거리지 않게 된다. 제1 접합부(3) 및 제2 접합부(4)는, 축선(P)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화살표 R12와 R21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제1 접합부(3) 및 제2 접합부(4)를 조립할 때, 접착제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좋아진다. 제1 접합부(3)는 프레임(F)의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된 컬럼 23a를 하우징(H)의 곽체(10)와 일체로 형성된 구멍 13a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제2 접합부(4)는, 제1 접합부(3)의 조립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하우징(H)과 프레임(F)을 서로 간단한 결합만으로 비교적 견고하게 결합되어, 적어도 도어 미러 조립체의 조립시에 있어서는, 고정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하지 않아도, 하우징(H)로부터 프레임(F)이 벗어나거나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1, 32)로써 하우징(H)과 프레임(F)을 고정할 때 작업성이 현저하게 좋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H)에 형성된 구멍 13a와 14a는 물론, 프레임(F)와 일체로 형성된 컬럼(23a, 24a)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하우징(H)과 프레임(F)을 결합하는데 필요로 하는 고정구가 최소화 되므로 조립과 관련하여 부품수의 삭감 및 인건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하우징(H)과 프레임(F)의 치수 및 형상은 일례를 든 것이므로, 도어 미러 조립체가 장착되는 차종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하우징(H)의 각 결합대와 프레임(F)의 각 결합대의 구조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하우징(H)에 손톱부가 형성되고 프레임(F)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부의 갯수가 2개이더라도, 1개로 감축되거나 필요이상으로 증대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에 의하면, 하우징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더욱이 조립공수가 줄어들어 조립작업이 용이하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2A는, 도어 미러 조립체의 후면도.
도2B는, 도어 미러 조립체의 저면도.
도3A는, 도2A의 ⅢA-ⅢA선 단면도.
도3B는, 도2A의 ⅢB-ⅢB선 단면도.
도4A는, 프레임의 후면도.
도4B는, 프레임의 저면도.
도5는, 도2A의 화살표 C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도6은, 고정부와 접합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Claims (5)

  1. 전면(前面)이 개구된 곽체(Shell)와, 상기 곽체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부착대(Fixation Port)와, 상기 곽체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대(Engagement Port)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을 내부에서 지지하되, 상기 곽체로 포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2개의 부착부(Fixation Element)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Engagement Element)를 구비하는 프레임(Frame)과;
    상기 2개의 부착대와 2개의 부착부를 고정구로 고정하여 형성된 2개의 고정부(Fixation Section)와;
    상기 결합대와 결합부를 결합하여 형성된 접합부(Engagement Section)를 포함하여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2개의 고정부를 잇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상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적어도 2개 형성되어, 하우징의 회전변위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대는, 상기 곽체내에 형성된 구멍으로 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컬럼(Column)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컬럼은 그 일단부에 손톱부(Claw)를 갖고, 상기 컬럼이 상기 구멍의 측벽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해 곽체의 외면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손톱부가 상기 구멍의 주변과 접촉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상기 곽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는, 그 폭방향이 상기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KR10-2003-0072940A 2002-10-25 2003-10-20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KR100528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0622A JP4009177B2 (ja) 2002-10-25 2002-10-25 車両用ドアミラー
JPJP-P-2002-00310622 2002-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63A KR20040036563A (ko) 2004-04-30
KR100528852B1 true KR100528852B1 (ko) 2005-11-15

Family

ID=3206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940A KR100528852B1 (ko) 2002-10-25 2003-10-20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48393B2 (ko)
EP (1) EP1413483B1 (ko)
JP (1) JP4009177B2 (ko)
KR (1) KR100528852B1 (ko)
CN (1) CN1274533C (ko)
DE (1) DE60333152D1 (ko)
TW (1) TWI2406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49B1 (ko) * 2006-10-30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9142A1 (en) * 2002-11-12 2004-05-12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Mirror system with interlock attachment for reflective element
EP2233360B2 (en) * 2009-03-27 2016-07-13 SMR Patents S.à.r.l. Snap fit connection in a rear view mirror
EP2253510B1 (en) * 2009-05-19 2013-01-02 SMR Patents S.à.r.l. Modular Rear View Mirror and Method to assemble it
JP5908829B2 (ja) * 2012-11-30 2016-04-2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
JP6276509B2 (ja) * 2013-03-08 2018-02-07 株式会社ミツバ ドアミラ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480A (en) * 1989-12-15 1993-09-14 Hohe Kg Foldable vehicle outside rearview mirror having a detachable cap
JPH10181452A (ja) * 1996-12-26 1998-07-07 Sakae Riken Kogyo Kk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1294087A (ja) * 2000-04-14 2001-10-23 Tokai Rika Co Ltd ドアミラー装置用バイザーの保持構造
JP2002274260A (ja) * 2001-03-19 2002-09-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の組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5385A (en) * 1957-12-04 1961-10-24 Standard Mirror Co Inc Remote controlled rear-vision mirror allowing accurate aiming
JPH0630563Y2 (ja) 1987-01-13 1994-08-17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ミラーエレメントの保持装置
US4988179A (en) * 1989-04-19 1991-01-29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Electromagnetically locking mirror glass adjusting system
US5331471A (en) * 1991-10-04 1994-07-19 Britax Rainsfords Pty Ltd Discrete mirror drive assembly
US5227924A (en) * 1992-10-05 1993-07-13 Delbar Products, Inc. Horizontally adjustable rearview mirror
JP3301571B2 (ja) 1993-12-13 2002-07-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自動車用可倒式ドアミラーのバイザー取付部材
DE9420273U1 (de) * 1994-12-17 1995-04-06 Hohe Gmbh & Co Kg Fahrzeugaußenspiegel
JPH08244532A (ja) 1995-01-10 1996-09-24 Ichikoh Ind Ltd 車両搭載機器用ハウジングの結合構造
JPH10100794A (ja) 1996-10-02 1998-04-21 Sakae Riken Kogyo Kk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3714837B2 (ja) 2000-01-11 2005-1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の組付方法
JP3881153B2 (ja) * 2000-04-25 2007-0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2001322497A (ja) * 2000-05-12 2001-11-20 Tokai Rika Co Ltd 鏡面角度調整装置
US6347872B1 (en) * 2001-02-20 2002-02-19 Delbar Products Inc. Snap-in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US6382805B1 (en) * 2001-02-28 2002-05-07 Metagal Industria E Comercio Ltda External rearview mirror
EP1243471B1 (en) * 2001-03-19 2006-10-1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Vehicle mirror device assembly
JP3887543B2 (ja) * 2001-03-19 2007-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480A (en) * 1989-12-15 1993-09-14 Hohe Kg Foldable vehicle outside rearview mirror having a detachable cap
JPH10181452A (ja) * 1996-12-26 1998-07-07 Sakae Riken Kogyo Kk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1294087A (ja) * 2000-04-14 2001-10-23 Tokai Rika Co Ltd ドアミラー装置用バイザーの保持構造
JP2002274260A (ja) * 2001-03-19 2002-09-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の組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49B1 (ko) * 2006-10-30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0686B (en) 2005-10-01
TW200406323A (en) 2004-05-01
EP1413483B1 (en) 2010-06-30
US20040080840A1 (en) 2004-04-29
EP1413483A1 (en) 2004-04-28
JP2004142635A (ja) 2004-05-20
CN1274533C (zh) 2006-09-13
DE60333152D1 (de) 2010-08-12
CN1498794A (zh) 2004-05-26
JP4009177B2 (ja) 2007-11-14
KR20040036563A (ko) 2004-04-30
US7048393B2 (en)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2797A1 (ja) ドアミラー
KR100528852B1 (ko) 차량용 도어 미러 조립체
JP2018105281A (ja) 流体機械
US20090272341A1 (en) Cooling structure for working vehicle
US20080087025A1 (en) Evaporator fan with shroud assembly
JP7044903B2 (ja) ポンプ設置用部材
WO2020129758A1 (ja) 回転装置
CN113196625A (zh) 旋转装置
JP3709366B2 (ja) 液晶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20210002337A (ko) 전기 장비의 nvh 문제를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 전기 장비
JP2010288027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US8596971B2 (en) Fan module
JP2006056488A (ja) 車体前部部品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JP2010187529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4922217B2 (ja) 電子機器の筐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WO2023171084A1 (ja) 回転装置
JP2002354739A (ja) 車載用モータの取付構造
CN215909386U (zh) 空调器
CN114637158B (zh) 机芯组件
US11895785B2 (en) Display device attachment structur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attachment structure attaching method
JPH11351329A (ja) 角形防振支持装置
KR101138770B1 (ko) 서보모터 조립체
EP2423513A1 (en) Fan module
CN219758640U (zh) 单片液晶投影仪
KR200235494Y1 (ko) 전자기기 수납 케이스의 도어개폐용 경첩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