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929B1 -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 Google Patents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29B1
KR100527929B1 KR10-2004-0009963A KR20040009963A KR100527929B1 KR 100527929 B1 KR100527929 B1 KR 100527929B1 KR 20040009963 A KR20040009963 A KR 20040009963A KR 100527929 B1 KR100527929 B1 KR 10052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arts
processor
vehic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627A (ko
Inventor
황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9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순간적으로 점화전류를 출력하는 처리기 본체와, 이 처리기 본체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와 대상 부품의 스퀴브에 연결된 케이블의 커넥터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 케이블로 구성되어, 폐차의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실차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블 연결 후 버튼 조작하여 폭발처리할 수 있도록 된 폐차 폭발위험부품의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 부품의 탈거작업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차상에서 가능한 많은 부품의 폭발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폐차시 작업위험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부품 탈거 뒤 처리가 가능하였던 종래의 장치에 비해 여러 개의 에어백을 차상에서 동시에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등 편의성 향상 및 공정 축소, 인력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Apparatus for setting off explosive of automobile parts}
본 발명은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순간적으로 점화전류를 출력하는 처리기 본체와, 이 처리기 본체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와 대상 부품의 스퀴브에 연결된 케이블의 커넥터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 케이블로 구성되어, 폐차의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실차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블 연결 후 버튼 조작하여 폭발처리할 수 있도록 된 폐차 폭발위험부품의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는 것이 사고 발생시의 승객 안전도이며, 최근에는 자동차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이 예전의 단순한 주행성능 대비보다는 승객을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느냐의 안전성능 대비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자동차에는 충돌시의 승객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안전장치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각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이들 장치의 개선 및 새로운 안전장치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여러 안전장치들 중에서도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에어백과 시트벨트 시스템이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에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 쿠션이 순간 팽창되면서 승객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 주어 승객의 머리와 가슴부위를 보호하고 부상의 정도를 최소화 하게 된다.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 상부 허브나 조수석의 크래쉬 패드 내부에 에어백 하우징이 장착되고, 이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는 에어백 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가스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이 인플레이터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폴딩상태로 내장되는 에어백 쿠션 등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에서, 에어백 ECU는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기계적 또는 전기적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신호가 소정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에어백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에어백 전개용 전류 드라이버(또는 파워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므로 에어백을 전개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에어백 ECU(2)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전류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3)에 들어 있는 인플레이터(4) 내 스퀴브(squib)에 강한 전류(예컨대, 0.8 ∼ 2A)가 소정 시간(예컨대, 120ms) 이상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화약이 폭발함과 동시에 폭발가스가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부풀려 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도록 하는 힘은 인플레이터(4)에 내장된 화약의 폭발시에 발생한 가스의 팽창압에 의한 것이며, 현재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에서 팽창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화약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 상기와 같이 화약의 사용으로 인해 폭발위험부품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러한 폭발위험부품의 경우 특히 폐차시 그 처리에 많은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에 장착되는 폭발위험부품으로는 시트벨트 시스템도 포함되며, 가스발생장치가 내장된 시트벨트 프리텐셔너가 그러하다.
즉, 프리텐셔너는 충돌시 시트벨트를 감는 기구의 일종으로서, 에어백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충돌시 센서 감지에 따른 전류 인가에 의해 화약을 내장한 가스발생장치가 작동하고, 이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팽창압에 의해 프리텐셔너의 회전축이 급속히 회전하면서 인출된 시트벨트를 순식간에 감아주어 시트벨트 착용자의 이동량을 최소한으로 멈추어서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화약을 내장하여 폭발위험부품으로 분류되는 부품의 경우 폐차시 작업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현재 국내 폐차 작업장에서는 이러한 위험성 부품을 탈거하지 않고 슈레더 업체로 보내거나 탈거하더라도 안전사고 때문에 폭발처리는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폐차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경우 차량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에어백이 강제적으로 폭발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폐차 작업 중 안전사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차시 탈거된 상태의 폭발위험부품(에어백 및 프리텐셔너 등)을 폭발처리하는 별도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폐차에서 부품을 일일히 탈거한 후 폭발시켜야 하므로 부품 탈거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해체에 따른 작업인력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일부 해체장에서는 운전석 에어백은 탈거하고 있으나 조수석 에어백이나 사이드 에어백은 탈거가 어려워 그냥 방치하고 있다.
또한, 공지된 장치의 경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및 외부 차단을 위한 벽체, 공압 실린더 및 클램프 등의 부품 고정부 등을 구비하여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예컨대, 각 에어백마다 개별 고정부가 있어야 하므로 처리수를 늘릴 경우 구성은 더욱 복잡해짐) 설치비용이 커서 모든 해체장에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특히 고정 가능한 대상 부품의 종류에 제한이 생기는 등 단점이 있다.
현재 고급차량의 경우 에어백 설치부위가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드 외에 점차 다양화 되는 추세이고, 향후 에어백 장착이 승용 전차종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인 바, 에어백 장치의 수는 더욱 급속히 늘어날 전망이며, 폐차시 폭발 작동되지 않고 폐기처분되는 에어백 장치의 수 또한 늘어날 것이 확실하다.
이에, 폐차시 안전사고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보다 간단한 폭발물 처리 및 효율적 위험관리의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폐차의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실차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블 연결 후 버튼 조작하여 폭발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대상 부품의 탈거작업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차상에서 가능한 많은 부품의 폭발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폐차시 작업위험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부품 탈거 뒤 처리가 가능하였던 종래의 장치에 비해 여러 개의 에어백을 차상에서 동시에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등 편의성 향상 및 공정 축소, 인력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해지는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폐차의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폭발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버튼 스위치(10a)가 구비되어 그 수조작에 따라 순간적으로 점화전류를 출력하는 처리기 본체(10)와;
이 처리기 본체(10)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12)와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내 스퀴브에 연결된 케이블(22a)의 커넥터(22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 케이블(1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실 밖에서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버튼 스위치(10a)를 온 조작하는 경우 처리기 본체(10)가 상기 연장 케이블(13)을 통해 점화전류를 제공하여 실차상태로 폭발위험부품을 폭발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처리기 본체(10)는, 상기 버튼 스위치(10a)의 온(on)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c)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c)의 구동신호에 따라 점화전류를 출력, 인가하는 전류 드라이버(10d)가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 케이블(13)은 각 차종별 대상 부품의 커넥터(22b) 사양만큼의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의 내부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폐차시 에어백 모듈이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실차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블 연결 후 버튼 조작하여 폭발처리할 수 있는 폭발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폭발처리기는 버튼 스위치(10a)가 구비되어 그 수조작에 따라 순간적으로 점화전류를 출력하는 처리기 본체(10)와, 이 처리기 본체(10)에 케이블(11b)로 연결된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12)와, 폐차의 대상 폭발위험부품(20) 내 스퀴브(squib)에 연결된 케이블(22a)의 커넥터(squib connector, 22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 케이블(extension cable, 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기 본체(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1a)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배터리를 내장시켜 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점화시 수조작하게 되는 버튼 스위치(10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기 본체(10)는 상기 버튼 스위치(10a)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전류 드라이버(10d)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c)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c)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 인플레이터(20) 또는 프리텐셔너의 스퀴브에 점화신호로서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드라이버(10d)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처리기 본체(10)에 내장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c)와 전류 드라이버(10d)의 구성은, 기존 에어백 ECU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컨트롤러의 구성과 동일하나, 통상의 에어백 ECU와 프리텐셔너 컨트롤러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전류 드라이버의 구동 여부를 판단, 전류 드라이버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작업자가 점화시 상기 버튼 스위치(10a)의 온(on) 조작에 의해 전류 드라이버(10d)가 구동될 수 있도록 버튼 스위치(10a)의 온(on) 신호를 인터페이스 회로(10b)를 통해 입력받아 전류 드라이버(10d)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장 케이블(13)은 작업자가 처리기 본체(10)를 차실 외부에 놓고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처리기 본체(10)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12)와 대상 부품의 스퀴브(예컨대,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에 내장된 스퀴브)에 연결된 케이블(22a)의 커넥터(22b)를 연결하는 중간 케이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 케이블(13)은 각 차종별 대상 부품의 커넥터(22b) 사양만큼의 다수개를 구비하는데, 이때 처리기 본체(10)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12)와 연결되는 케이블(13) 일측의 커넥터(14b)는 동일하나 반대쪽의 차량과 연결되는 커넥터(14a), 즉 대상 부품의 스퀴브 커넥터(22b)에 연결되는 커넥터(14a)를 달리하여 여러 개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의 사용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백 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먼저 폐차의 배터리와 에어백 ECU를 탈거한다.
이후, 처리기 본체(10)를 차실 밖에 둔 상태에서 연장 케이블(13) 한쪽의 커넥터(14a)를 에어백 ECU가 연결되었던 스퀴브 커넥터(22b)에 연결하고, 케이블(13) 반대쪽의 커넥터(14b)를 처리기 본체(10)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12)에 연결한다.
그 다음, 차문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처리기 본체(10)의 버튼 스위치(10a)를 눌러 폭발위험부품, 즉 에어백 모듈(20)의 인플레이터(21) 내 스퀴브를 폭발시킨다.
상기와 같이 버튼 스위치(10a)를 누르는 경우 처리기 본체(10)의 전류 드라이버(10d)에서 출력된 점화전류가 연장 케이블(13)을 통해 인플레이터(21) 내 스퀴브로 흐르게 되고, 이에 화약이 폭발함과 동시에 폭발가스가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부풀려 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에어백 장치의 처리가 끝난 후에는 연장 케이블(13) 및 처리기 본체(10)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폐차시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실차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블 연결 후 버튼 조작하여 폭발처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에서 에어백 장치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점화전류를 필요로 하는 차량 내 모든 폭발위험부품의 처리가 가능하며, 대상 부품의 커넥터(22b) 사양에 맞는 연장 케이블(13)을 이용하여 차종에 상관 없이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차량에 여러 개의 에어백이 설치되더라도, 에어백 ECU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를 연결하도록 차량에 기 구비된 하나의 커넥터에, 간단히 본 발명의 폭발처리기를 연결하여 조작하게 되면, 여러 개의 에어백을 차상에서 동시에 통합 전개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모든 에어백을 일일히 탈거하여 장치 내부에 넣고 폭발처리하던 것에 비해 편의성 향상 및 공정 축소, 인력 및 시간 절감 등은 물론 에어백 수 및 처리수 증가에 용이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에 의하면, 폐차시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실차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블 연결 후 버튼 조작하여 폭발처리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대상 부품의 탈거작업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차상에서 가능한 많은 부품의 폭발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폐차시 작업위험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부품 탈거 뒤 처리가 가능하였던 종래의 장치에 비해 여러 개의 시트별 에어백류 또는 프리텐셔너를 차상에서 동시에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등 편의성 향상 및 공정 축소, 인력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2)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처리수 증가에 따른 용이한 대응이 가능하며, 차량으로부터 탈거가 용이하지 않은 부품에 대해서도 폭발처리가 가능하므로 처리대상의 제한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3) 폭발위험부품을 사전 제거토록 하는 폐차 관련 법규의 대응 및 재료 재활용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다.
도 1은 통상의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에서 전원 및 점화신호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의 내부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처리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처리기 본체 10a : 버튼 스위치
10b : 인터페이스 회로 10c : 마이크로프로세서
10d : 전류 드라이버 12 :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
13 : 연장 케이블 14a, 14b : 커넥터
20 : 에어백 모듈 21 : 인플레이터
22a : 케이블 22b : 스퀴브 커넥터

Claims (3)

  1. 폐차의 에어백 장치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등 화약이 내장된 폭발위험부품을 폭발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버튼 스위치(10a)가 구비되어 그 수조작에 따라 순간적으로 점화전류를 출력하는 처리기 본체(10)와;
    이 처리기 본체(10)의 점화전류 출력 커넥터(12)와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내 스퀴브에 연결된 케이블(22a)의 커넥터(22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 케이블(1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실 밖에서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버튼 스위치(10a)를 온 조작하는 경우 처리기 본체(10)가 상기 연장 케이블(13)을 통해 점화전류를 제공하여 실차상태로 폭발위험부품을 폭발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 본체(10)는, 상기 버튼 스위치(10a)의 온(on)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c)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c)의 구동신호에 따라 점화전류를 출력, 인가하는 전류 드라이버(10d)가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 케이블(13)은 각 차종별 대상 부품의 커넥터(22b) 사양만큼의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KR10-2004-0009963A 2004-02-16 2004-02-16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KR10052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963A KR100527929B1 (ko) 2004-02-16 2004-02-16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963A KR100527929B1 (ko) 2004-02-16 2004-02-16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627A KR20050081627A (ko) 2005-08-19
KR100527929B1 true KR100527929B1 (ko) 2005-11-09

Family

ID=3726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963A KR100527929B1 (ko) 2004-02-16 2004-02-16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468B1 (ko) * 2005-05-19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처리 장치
CN101332797B (zh) * 2007-06-27 2010-11-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引爆安全气囊的装置
CN103611719B (zh) * 2013-11-29 2016-03-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安全气囊报废方法以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627A (ko)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9791A (ja) サイドエアバツグ装置の側面衝突センサシステム
KR100527929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JPH1129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KR100644468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처리 장치
KR100278475B1 (ko) 자동차용 에어시트
KR100401792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의 폭발 처리장치
KR100680344B1 (ko)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KR100202724B1 (ko) 충돌시 배터리 전원차단 장치
KR10044774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제어 시스템
KR0158356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KR20040024280A (ko) 측면에어백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JPH11301395A (ja) エアバッグの廃棄装置
KR100228103B1 (ko) 이중 전개가능한 에어 백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00224228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100501538B1 (ko) 시트벨트 결합형 에어백 장치
KR0148660B1 (ko) 자동차 충돌시 선루프 자동 오픈장치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20060070084A (ko)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KR19980053221U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KR1999001049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9980024576U (ko)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KR20060053706A (ko) 보조마이컴이 구현된 에어백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