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356B1 -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356B1
KR0158356B1 KR1019950057491A KR19950057491A KR0158356B1 KR 0158356 B1 KR0158356 B1 KR 0158356B1 KR 1019950057491 A KR1019950057491 A KR 1019950057491A KR 19950057491 A KR19950057491 A KR 19950057491A KR 0158356 B1 KR0158356 B1 KR 015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bag
gunpowder
initiator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619A (ko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356B1/ko
Publication of KR97003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20)에 관한 것으로, 충격감지센서(1)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장치(5)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기폭제(2)및 화약(4)이 순차적으로 폭발하므로써 에어백(3)이 팽창되도록 한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운반하는 기중기와의 접촉부에는 직렬로 연결된 압력감지센서(A,B,C,D)를 내장시키고, 상기한 각 압력감지센서(A,B,C,D)를 에어백장치(10)의 제어장치(5)에 접속시킨에어백장치(10)가 장착된 차량의 폐차시 기중기와의 접촉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장치(10)의 기폭제(2) 및 화약(4)을 인위적으로 폭발시키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폐차시 발생하는 기폭제(2) 및 화약(4)의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선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제1도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결합시킨 에어백장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감지센서 2 : 기폭제
3 : 에어백 4 : 화약
5 : 제어장치 10 : 에어장치
A,B,C,D : 압력감지센서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폐차시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의 기폭제 및 화약을 인위적으로 폭발시키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폐차시 발생하는 기폭제 및 화약의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충돌시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으로부터 돌출하여 팽창하므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정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량의 정면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기폭제로 전원이 인가 되므로써 내장된 화약을 기폭시키고, 이에의해 발생한 가스가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므로써 에어백의 완충력에 의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이와같은 차량용 에어백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도록 한 충격감지센서(1)가 차량의 정면에 장착되고, 상기한 충격감지센서(1)의 전기신호 및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폭제(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 제어장치(5)와, 기폭제(2)의 기폭에 의해 폭발하여 에어백(3)의 팽창에 필요한 가스가 생성되도록 한 화약(4)을 주요 구성으로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차량의 사고나 수명이 다하므로써 폐차를 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에어백장치(10)가 제거되지 않고 차량에 내장된 상태로 폐차를 시키게 되는데, 이와같이 에어백장치(10)가 차량에 내장된 상태로 차량을 해체하거나 폐차를 시킬 경우에는 충격에 매우 민감한 기폭제나 화약이 폭발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므로써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폐차시 차량을 해체라인으로 운반시키도록한 기중기와의 접촉부에 별도의 압력감지센서를 내장하고, 상기한 압력감지센서를 에어백 장치의 제어장치와 연결시키므로써 폐차를 위해 기중기가 차량을 운반할 경우 자동으로 에어백이 폭발되도록하여 차량의 해체나 폐차 작업도중 기폭제 및 화약의 폭발에 따른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한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충격감지센서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기폭제 및 화약이 인가되어 기폭제 및 화약이 순차적으로 폭발하므로써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운반하도록한 기중기와의 접촉부에는 직렬로 연결된 압력감지센서를 내장시키고 상기한 각 압력감지센서를 에어백장치의 제어장치에 접속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장치의폭발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을 결합시킨 에어백장치(10)의 회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는(20)는, 폐차를 요하는 차량을 해체라인으로 운반시키도록 한 기중기와의 접촉부에는 직렬로 연결된 압력감지센서(A,B,C,D)를 내장시키고, 상기한 압력감지센서(A,B,C,D)를 에어백장치(10)를 구성하는 제어장치(5)에 접속시키므로써 차량을 기중기가 들어올릴 경우 압력감지센서(A,B,C,D)가 차량의 상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기중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5)에 전기신호를 보내므로써 통상의 에어백작동의 과정과 같이 기폭제(2) 및 화약(4)이 순차족으로 폭발하므로써 에어백(3)을 팽창시키도록 한 화약(4)이 폭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및 효과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20)는 기중기와의 접촉부를 고려하여 루프의 내부에 압력감지센서(A,B,C,D)를 내장시키고, 상기한 각 압력감지센서(A,B,C,D)를 직렬로 연결하여 차량에 구비된 에어백장치(10)의 제어장치(5)와 접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압력감지센서(A,B,C,D)는 직렬로 연결되므로써 상기한 각 압력감지센서(A,B,C,D)중 일측부의 압력감지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회로를 이루도록하고, 기중기의 접촉에 의해 각 압력감지센서(A,B,C,D)가 동시에 압력을 받게 될 경우에만 에어백장치(10)의 제어장치(5)로 전기신호를 보내도록하므로써 불필요한 에어백장치(10)의 작동을 방지하도록 하게 되며, 이와같은 본 발명은 대기중인 차량을 별도의 해체라인으로 운반하기위해 기중기가 차량의 루프에 결합될 경우 압력감지센서(A,B,C,D)가 기중기아의 접촉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제어장치(5)로 보내므로써 통상의 에어백장치의 작통계통과 같이 기폭제(2) 및 화약(4)을 폭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20)는, 차량의 폐차시키기 위해 차량을 해체라인으로 운반하도록 한 기중기가 차량과 접촉될 경우, 루프에 내장된 압력감지센서(A,B,C,D)가 기중기와의 접촉 압력에따라 전기신호를 제어장치(5)로 전달시키므로써 충격에 민감한 기폭제(2) 및 화약(4)을 차량의 해체나 폐차전에 제거시키므로써 기폭제(2)및 화약(4)의 폭발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충격감지센서(1)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장치(5)로부터 정원이 인가되어 기폭제(2) 및 화약(4)이 순차적으로 폭팔하므로써 에어백(3)이 팽창되도록 한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운반하는 기중기와의 접촉부에는 직렬로 연결된 압력감지센서(A,B,C,D)를 내장시키고, 상기한 각 압력감지센서(A,B,C,D)를 에어백장치(10)의 제어장치(5)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KR1019950057491A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KR015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491A KR0158356B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491A KR0158356B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19A KR970039619A (ko) 1997-07-24
KR0158356B1 true KR0158356B1 (ko) 1999-01-15

Family

ID=1944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491A KR0158356B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3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19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JP2597455B2 (ja) 安全制御手段用空気袋
US4018457A (en)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MY120731A (en) Control appratus for passenger restraining safety devices
SE9603521L (sv) Krockenergiabsorberande anordning för fordon
KR0158356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KR100527929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JPH05105014A (ja) エアバツク形の安全装置
KR0167624B1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
KR100644468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처리 장치
KR200160057Y1 (ko) 차속감응형 이중 에어 백
KR19980016340U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제어장치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0125118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자동 파괴시스템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100337821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기폭 제어장치
KR0117379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에어백의 작동장치
KR100229466B1 (ko) 자동차의 탑 에어백 도어 장치
KR0137240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설치된 에어백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KR100194440B1 (ko) 자동차의 추락시 제어회로
JPH04300776A (ja) 自動車の運転乗員保護装置
KR20060039646A (ko) 차량내 승객 보호장치
KR1999001049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