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467B1 -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467B1
KR0156467B1 KR1019950051546A KR19950051546A KR0156467B1 KR 0156467 B1 KR0156467 B1 KR 0156467B1 KR 1019950051546 A KR1019950051546 A KR 1019950051546A KR 19950051546 A KR19950051546 A KR 19950051546A KR 0156467 B1 KR0156467 B1 KR 015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airbag
door window
air bag
airbag support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675A (ko
Inventor
이현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467B1/ko
Publication of KR97003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1Rear collision or recoiling bounce after 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도어창문이 열려있거나 측면충돌에 의해 도어창문이 파손된 상태에서 사이드에어백이 작동하면 사이드에어백이 도어창문밖으로 밀려 돌출되기 때문에 사이드에어백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사이드에어백을 지지하는 도어창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동차 추돌시 충격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을 도어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사이드에어백(1)과 동시에 도어창문쪽으로 상승되는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2)를 상기 작동수단에 설치하여 사이드에어백이 제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와 승객의 부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의 측면 설치상태도.
제2도의 (a)는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의 측면 작동상태도, (b)는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의 정면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에어백 2 :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
3 : 실린더 3a : 뇌관
3b : 화약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충돌시 도어창문이 열려있거나 충돌에 의한 파손시 사이드에어백이 도어창문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와 스티어링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대시패널 사이에서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여 운전자와 조수석 승객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한 기능을 갖고있는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시트 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을때 안면과 상체보호를 위한 대형 에어백, 3점식 벨트를 장착했을 경우를 위한 약간 소형이면서 주로 안면보호만을 목적으로 한 SRS에어백 및 측면충돌로 인한 승객의 보호, 특히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에어백등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의 충돌시 팽창방식은 전기식과 기계식의 2종류가 있는데, 전기식은 충돌을 충격센서에 의하여 전기로 감지하고 인플레이터에 통전(通電)착화하는 방식으로,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때에도 사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는 통상 에어백 시스템에서 점화장치에 의하여 가스 발생제를 순식간에 불태워서 질소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 발생장치이다. 기계식은 감지장치가 충돌을 감지하고 격침(擊針)에 점화제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상술한 에어백중 사이드에어백은 측면충돌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측면충돌시 도어창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사이드에어백이 작동하거나 측면충돌에 의해 도어창문의 파손과 동시에 사이드에어백이 작동하면 운전자나 승객의 충격력을 받는 사이드에어백이 도어창문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고 도어창문 밖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이드에어백의 효과가 그 만큼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측면충돌시 도어창문의 개방 및 파손과 관계없이 사이드에어백을 지지토록 하여 사이드에어백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추돌시 충격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을 도어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사이드에어백과 동시에 도어창문쪽으로 상승되는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를 상기 작동수단에 설치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그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고, 제2도의 (a)는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고, (b)는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추돌시 사이드에어백(1)을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수단을 도어 패널(5)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사이드에어백(1)과 동시에 도어창문(4)쪽으로 상승되는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2)를 상기 작동수단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감응하는 뇌관(3a) 및 이 뇌관(3a)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압을 발생시키는 화약(3b)을 내설한 실린더(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 측면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충격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한 전류가 실린더(3)의 뇌관(3a)으로 흐르게 되고, 이 뇌관(3a)은 곧바로 실린더(3)의 화약(3b)을 점화시키게 되며, 이어서 화약(3b)의 폭발에 의해 순식간에 발생된 가스압에 의해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2)가 도어창문(4)쪽으로 상승되는 것이다.
즉, 충격센서에 의해 사이드에어백(1)의 가스발생 장치인 인플레이터와 본 발명의 가스발생 장치인 화약점화 장치가 동시에 작동하여 사이드에어백과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2)가 동시에 작동됨에 따라 도어창문(4)이 열려있거나 도어창문(4)이 파손된 상태라 할지라도 사이드에어백(1)이 도어창문(4)밖으로 밀려 돌출되지 않도록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2)가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이드에어백의 효과가 운전자나 승객에게 그대로 작용되어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측면충돌시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사이드에어백이 도어창문의 개방 및 도어창문의 파손에 관계없이 제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이드에어백을 지지하는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를 도어에 설치한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 추돌시 충격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을 도어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사이드에어백(1)과 동시에 도어 창문쪽으로 상승되는 사이드에어백 지지부재(2)를 상기 작동수단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충격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감응하는 뇌관(3a) 및 이 뇌관(3a)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압을 발생시키는 화약(3b)을 내설한 실린더(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지지장치.
KR1019950051546A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015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546A KR0156467B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546A KR0156467B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75A KR970039675A (ko) 1997-07-24
KR0156467B1 true KR0156467B1 (ko) 1998-10-15

Family

ID=1944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546A KR0156467B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4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75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323A (en) Airbag restraint system for motor vehicl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512863B1 (ko) 차량의 전복시 전개되는 루프에어백
KR100217637B1 (ko) 자동차의 에어 백용 가변형 인플레이터
KR100196164B1 (ko)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KR100391610B1 (ko) 폭발 소음 저감형 에어백 시스템
KR100324375B1 (ko) 더블 에어 백 시스템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00224228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10094693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00501538B1 (ko) 시트벨트 결합형 에어백 장치
KR19980048845U (ko) 인스트루먼트 탑재형 운전석 에어백
KR19980029415A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80026369U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KR19990024382U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파편 보호막장치
KR1999005270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
KR20060070084A (ko)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