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375B1 - 더블 에어 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블 에어 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375B1
KR100324375B1 KR1019990056821A KR19990056821A KR100324375B1 KR 100324375 B1 KR100324375 B1 KR 100324375B1 KR 1019990056821 A KR1019990056821 A KR 1019990056821A KR 19990056821 A KR19990056821 A KR 19990056821A KR 100324375 B1 KR100324375 B1 KR 100324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collision
air
module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579A (ko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3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60R2021/01225Expansion of air bags control of expansion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에어 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감지센서(1), 속도검출센서(2),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 모듈(4) 및 제 1 에어 백(5)으로 구성된 싱글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 백(5)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1차 충돌이후 인체의 접촉이 있을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의 제어를 받는 노즐(7)들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에 부응하는 부피로 부풀어지는 제 2 에어 백(6)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백(5)(6)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의 제어를 받아 제 1 에어 백(5)에서 제 2 에어 백(6)으로 전달되는 공기량을 조절해 주는 수개의 에어 밴트 노즐(7)과; 충돌유형별 각종 자료에 대한 데이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1차 충돌로 인해 제 1 에어 백(5)이 부풀어질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한 상해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노즐(7)의 개폐량을 결정하는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를 부가 설치하여 1차 충돌로 인해 제 1 에어 백이 전개되어 인체와 접촉되었을시 제 2 에어 백이 인체의 상해치에 부응하는 부피로 부풀어지게 하므로써, 인체의 흉부와 불규칙한 헤드부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또 에어 백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에어 백에 의해 인체에 입혀지는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더블 에어 백 시스템 {Double air bag system}
본 발명은 더블 에어 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존의 에어백 상부에 또 다른 에어 백을 설치하되 이들 에어 백 사이에는 수개의 노즐을 설치하여 1차 충돌로 인해 기존의 에어 백이 전개되면 인체의 상해치를 검출하여 또 다른 에어 백으로 전달되는 공기량 조절용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연동시켜 인체의 흉부와 불규칙한 헤드부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에어 백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백 시스템은 자동차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 백(공기 주머니)을 부풀게 하여 부상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장치로써, 운전자용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조수석의 승객용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장착되며, 시트 벨트를 장착하지 않는 운전자를 생각해서 대형 에어 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점식 벨트의 장착을 전제로 한 SRS 에어 백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2종유가 있다.
또, 이와같은 에에 백을 부풀게 하는 방식에는 충돌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충돌을 검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으며, 보디 수리시에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떼어놓고 작업을 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에서는 에어 백 자체가 하나씩만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의 충돌을 충돌센서가 감지하면 모듈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가 이를 인식하고 모듈을 동작시켜 모듈내에 설치되어 있는 화약이 한꺼번에 폭발하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화약의 폭발 압력에 의해 에어 백이 소정크기로 일시에 부풀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에서는 자동차의 충돌로 인해 에어 백이 부풀어질시 압력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부풀어진 에어 백에 인체가 부딪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에 대해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벤트 홀을 통해 압력을 조절할시 화약 폭발에 의한 가스로 질식사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에어 백 상부에 또 다른 에어 백을 설치하되 이들 에어 백 사이에는 수개의 에어 벤트 노즐을 설치하여 1차 충돌로 인해 기존의 에어 백이 전개되어 인체와 접촉되면 인체의 상해치가 어느정도 인지를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에서 검출하여 기존 에어 백에서 또 다른 에어 백으로 전달되는 공기량 조절용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인체의 흉부와 불규칙한 헤드부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또 에어 백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에어 백에 의해 인체에 입혀지는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더블 에어 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가 주행중 타 자동차를 포함한 소정의 물체와 충돌을 하게 되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충돌감지센서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와; 상기 충돌감지센서와 속도검출센서의 출력신호를 통해 자동차의 충돌유형 및 속도 등을 분석하여 에어 백 구동용 모듈을 구동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와; 에어 백에 일시에 소정압력을 인가시켜 주기 위한 화약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모듈부에서 소정의 압력이 발생되면 그에 부응하여 부풀어지는 제 1 에어 백으로 구성된 싱글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 백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1차 충돌이후 인체의 접촉이 있을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부풀어지는 제 2 에어 백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백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제 1 에어 백에서 제 2 에어 백으로 전달되는 공기량을 조절해 주는 수개의 에어 밴트 노즐과; 충돌유형별 각종 자료에 대한 데이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1차 충돌로 인해 제 1 에어 백이 부풀어질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한 상해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조절하는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를 부가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충돌로 인해 기존 에어 백이 펼쳐진 후 인체의 일부가 에어 백에 부딪혔을시 그 정도에 부응하여 또 다른 에어 백으로 전달되는 공기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어 인체의 흉부와 불규칙한 헤드부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또 에어 백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에어 백으로 인해 인체가 입는 상해 정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 중 노즐 제어부에서 1차 충돌 감지시 분석결과에 의한 노즐량 조절 분석 그래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충돌감지센서 2 : 속도검출센서
3 :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 4 : 모듈
5,6 : 제 1 및 제 2 에어 백 7 : 에어 밴트 노즐
8 :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 중 노즐 제어부에서 1차 충돌 감지시 분석결과에 의한 노즐량 조절 분석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행중 타 자동차를 포함한 소정의 물체와 충돌을 하였을시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충돌감지센서(1)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2)와; 상기 충돌감지센서(1)와 속도검출센서(2)의 출력신호를 통해 자동차의 충돌유형 및 속도 등을 분석하여 에어 백 구동용 모듈(4)을 구동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와; 에어 백에 일시에 소정압력을 인가시켜 주기 위한 화약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모듈(4)과; 상기 모듈(4)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에서 소정의 압력이 발생되면 그에 부응하여 부풀어지는 제 1 에어 백(5)으로 구성된 싱글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 백(5)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1차 충돌이후 인체의 접촉이 있을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의 제어를 받는 노즐(7)들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에 부응하는 부피로 부풀어지는 제 2 에어 백(6)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백(5)(6)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의 제어를 받아 제 1 에어 백(5)에서 제 2 에어 백(6)으로 전달되는 공기량을 조절해 주는 수개의 에어 밴트 노즐(7)과;
충돌유형별 각종 자료에 대한 데이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1차 충돌로 인해 제 1 에어 백(5)이 부풀어질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한 상해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노즐(7)의 개폐량을 결정하는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중 타 자동차를 포함한 소정의 물체와 충돌을 일으키면 충돌감지센서(1)에서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는 이 충돌감지센서(1)에서 출력되는 충돌검출신호를 동해 자동차가 충돌하였을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때의 주행속도를 속도검출센서(2)를 통해 검지하고 현재 자동차가 어떠한 형태의 유형으로 충돌하였는지와 속도 등을 분석하여 에어 백 구동용 모듈(4)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4)내에 구비되어 있는 화약이 폭발하게 되므로 상기 모듈(4)의 상면부에 설치된 제 1 에어 백(5)에 모듈(4)의 화약 폭발 압력에 부응하여 부풀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에어 백(5)에 인체의 흉부나 헤드부 등이 접촉되어 1차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충돌유형별 각종 자료에 대한 데이타를 구비하고 있는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는 도 3과 같이 자동차의 1차 충돌로 인해 상기 제 1 에어 백(5)이 부풀어질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한 상해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제 1 에어 백(5)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에어 백(6) 사이의 노즐(7)들에 대한 개폐량을 결정하여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백(5)(6) 사이에 설치어 있는 수개의 에어 밴트 노즐(7)들이 1차 충돌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부응하여 개폐되므로 상기 제 1 에어 백(5)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에어 백(6)이 이 노즐(7)들을 통해 전달되는 제 1 에어 백(5)의 공기압에 부응하는 부피로 부풀어지게 되므로 인체의 일부가 에에 백과 부딪히므로 인해 발생되는 상해정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개의 에어 벤트 노즐을 구비하고 기존의 에어 백 상부에 설치된 다른 에어 백이 1차 충돌로 인해 기존의 에어 백이 전개되어 인체와 접촉되었을시 인체의 상해치에 부응하는 부피로 부풀어지게 되므로 인체의 흉부와 불규칙한 헤드부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또 에어 백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에어 백에 의해 인체에 입혀지는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주행중 타 자동차를 포함한 소정의 물체와 충돌을 하였을시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충돌감지센서(1)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2)와; 상기 충돌감지센서(1)와 속도검출센서(2)의 출력신호를 통해 자동차의 충돌유형 및 속도 등을 분석하여 에어 백 구동용 모듈(4)을 구동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와; 에어 백에 일시에 소정압력을 인가시켜 주기 위한 화약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모듈(4)과; 상기 모듈(4)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에서 소정의 압력이 발생되면 그에 부응하여 부풀어지는 제 1 에어 백(5)으로 구성된 싱글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 백(5)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1차 충돌이후 인체의 접촉이 있을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의 제어를 받는 노즐(7)들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에 부응하는 부피로 부풀어지는 제 2 에어 백(6)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백(5)(6)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 유니트(8)의 제어를 받아 제 1 에어 백(5)에서 제 2 에어 백(6)으로 전달되는 공기량을 조절해 주는 수개의 에어 밴트 노즐(7)과;
    충돌유형별 각종 자료에 대한 데이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1차 충돌로 인해 제 1 에어 백(5)이 부풀어질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한 상해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노즐(7)의 개폐량을 결정하는 노즐 제어용 전자제어유니트(8)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에어 백 시스템.
KR1019990056821A 1999-12-11 1999-12-11 더블 에어 백 시스템 KR100324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21A KR100324375B1 (ko) 1999-12-11 1999-12-11 더블 에어 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21A KR100324375B1 (ko) 1999-12-11 1999-12-11 더블 에어 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79A KR20010055579A (ko) 2001-07-04
KR100324375B1 true KR100324375B1 (ko) 2002-02-16

Family

ID=1962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21A KR100324375B1 (ko) 1999-12-11 1999-12-11 더블 에어 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0983A (zh) * 2017-02-14 2019-09-27 奥迪股份公司 用于对较大的乘员距离采取安全措施的双安全气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539A (ko) * 1995-11-28 1997-06-24 전성원 차량용 에어백의 2중 구조
JPH1071904A (ja) * 1996-08-30 1998-03-17 Denso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H1170849A (ja) * 1997-08-05 1999-03-16 Takata Inc 二室エアバ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二室エアバ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539A (ko) * 1995-11-28 1997-06-24 전성원 차량용 에어백의 2중 구조
JPH1071904A (ja) * 1996-08-30 1998-03-17 Denso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H1170849A (ja) * 1997-08-05 1999-03-16 Takata Inc 二室エアバ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二室エアバ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0983A (zh) * 2017-02-14 2019-09-27 奥迪股份公司 用于对较大的乘员距离采取安全措施的双安全气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79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2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deployment control supervision of a safety device
US6113134A (en) Airbag system of automotive vehicle
KR20160062306A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50110301A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0324375B1 (ko) 더블 에어 백 시스템
KR100471479B1 (ko) 에어백 쿠션의 볼륨 조절장치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9990048336A (ko) 에어백 압력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203412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크기 및 분사각도 조절장치
KR100230686B1 (ko) 차량의 에어백 압력제어장치
KR100202114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방법
KR19980048845U (ko) 인스트루먼트 탑재형 운전석 에어백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JP2000016229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452440B1 (ko) 에어백의 팽창량 제어장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20040088723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20040088721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19980026369U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KR970039617A (ko) 시트에 내장된 에어백 장치 및 작동방법
KR970039616A (ko) 차량 후방 충돌시 뒷자리 승객 보호용 에어백 장치 및 작동방법
KR20040088722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19990011257U (ko)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