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164B1 -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164B1
KR100196164B1 KR1019960042667A KR19960042667A KR100196164B1 KR 100196164 B1 KR100196164 B1 KR 100196164B1 KR 1019960042667 A KR1019960042667 A KR 1019960042667A KR 19960042667 A KR19960042667 A KR 19960042667A KR 100196164 B1 KR100196164 B1 KR 10019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relay
collision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222A (ko
Inventor
성우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1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ombined with vehicle venting means for reducing or avoid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verpressure during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추돌이나 충돌시 에어백이 작동하면 자동적으로 윈도우가 오픈되어 밀폐된 실내에서의 소음으로 인한 귀의 고막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추돌이나 충돌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센서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클 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 온시 윈도우가 오픈되도록 구동되는 다수의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에어백이 작동할 때 비교기(CO)에서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켜 트랜지스터(Q1)와 릴레이(RY)를 온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M1-M4)가 구동되어 윈도우가 오픈되므로 에어백이 터질때의 굉음으로부터 탑승자의 귀의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물론 질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질소가스로 인한 신체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본 발명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추돌이나 충돌시 에어백이 작동하면 자동적으로 윈도우가 오픈되어 밀폐된 실내에서의 소음으로 인한 귀의 고막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중 갑작스런 추돌이나 충돌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핸들의 중심부에 에어백을 내장시켜 차량이 소정치이상의 압력을 받으면, 충격감지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가스를 에어백 속으로 폴발시킴으로써 에어백이 팽창하여 사고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해 주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의 종류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화약을 폭발시켜서 폭발된 가스로 에어백을 급속히 부풀려서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해주는 폭발식 에어백과, 가스실린더에 압축가스를 압축된 상태로 주입시켜 두었다가 충돌시 가스를 분사시켜 에어백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압축식 에어백 방식이 있으며, 그외에도 여러가지 방식의 에어백이 개발되고 있으나 주로 폭발식 에어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이와같은 자동차 에어백중에서 예를들어 폭발식 에어백 작동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추돌이나 충돌시 충격정도를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충격감지센서(1)와, 상기 축격감지센서(1)로부터의 충격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해당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2)과, 상기 마이컴(2)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5)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4)등을 포함하는 에어백 작동부(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에어백 작동은 자동차가 추돌이나 충돌시 충격감지센서(1)에서 감지하여 소정의 검출 신호를 마이컴(2)으로 보내면, 상기 마이컴(2)에서는 해당레밸의 신호를 출력시켜 에어백 작동부(3)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에어백(5)에 순간적으로 가스가 주입되어 에어백(5)이 팽창되므로 운전자를 보호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백 작동부(3)의 기구적인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충격감지센서(1)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은 ECU에서 뇌관, 착화제, 화약, 금속필터 및 세라믹피터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플레이터(4)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인플레이터(4)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뇌관이 터져 착화제가 점화됨과 동시에 화약이 폭발하면서 고온·고압의 질소(N2)가스가 공급되어 에어백(5)이 급속히 팽창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 충돌로 에어백이 작동될 때 큰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귀의 고막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윈도우가 밀폐된 상태일 경우에는 질소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없기 때문에 신체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는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백이 작동하면 자동적으로 윈도우가 오픈되게 함으로써 에어백 폴발로 인한 굉음과 가스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해줄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추돌이나 충돌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센서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클 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 온시 윈도우가 오픈되도록 구동되는 다수의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에어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모듈 CO : 비교기
Q1 : 트랜지스터 Rf : 기준전압
RY : 릴레이 M1-M4 : 모터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 차량충돌시 충격정도가 일정레벨이상일 때 동작하는 센서모듈(10)과, 상기 센서모듈(10)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센서모듈(10)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Rf)보다 클 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부인 비교기(CO)와, 상기 비교기(CO)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부인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온시 윈도우가 오픈되도록 구동되는 다수의 모터(M1-M4)로 이루어지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에어백 작동부, R1은 저항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은 차량추돌이나 충돌시 충격정도가 일정레벨이상이 되면, 센서모듈(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에어백 작동부(20)로 보내므로 에어백 작동무가 작동하여 에어백이 터지게 되는데, 이때 센서모듈(10)로부터의 전기신호가 저항(R1)을 통하여 비교기(CO)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어 반전단자(-)의 기준전압(Rf)과 비교된다.
이 경우 비교기(CO)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Rf)보다크므로 비교기(CO)의 출력단을 통하여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1)그 스위칭 온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온되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접속된 릴레이(RY)가 온되어 윈도우 구동 모터(M1-M4)가 모두 구동되므로 윈도우가 오픈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윈도우가 오픈됨에 따라 에어백이 터질때의 굉음의 감소효과를 가져옴과 아울러 질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에 의하면, 에어백이 작동할 때 비교기(CO)에서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켜 트랜지스터(Q1)과 릴레이(RY)를 온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M1-M4)가 구동되어 윈도우가 오픈되므로 에어백이 터질때의 굉음으로부터 탑승자의 귀의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질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질소가스로 인한 신체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에어백 동작시 윈드 글래스가 이탈되도록 하는 자동 오픈장치에 있어서, 차량 추돌이나 충돌시 충격정도가 일정레벨이상일 때 동작하는 센서모듈(10)과, 상기 센서모듈(10)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Rf)을 비교하여 센서모듈(10)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Rf)보다 클 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기(CO)와, 상기 비교기(CO)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부인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온시 윈도우가 오픈되도록 구동되는 모터(M1-M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자동 오픈 장치.
KR1019960042667A 1996-09-25 1996-09-25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KR10019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67A KR100196164B1 (ko) 1996-09-25 1996-09-25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67A KR100196164B1 (ko) 1996-09-25 1996-09-25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22A KR19980023222A (ko) 1998-07-06
KR100196164B1 true KR100196164B1 (ko) 1999-06-15

Family

ID=1947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67A KR100196164B1 (ko) 1996-09-25 1996-09-25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61B1 (ko) * 2000-12-14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폭발 소음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22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323A (en) Airbag restraint system for motor vehicle
US5322323A (en) Collision sensing system for side air bag system
US5338062A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KR100196164B1 (ko)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KR100217637B1 (ko) 자동차의 에어 백용 가변형 인플레이터
KR100229466B1 (ko) 자동차의 탑 에어백 도어 장치
KR100207930B1 (ko) 차량용 에어백 작동시스템
KR0134416B1 (ko)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100228103B1 (ko) 이중 전개가능한 에어 백
JPH11301395A (ja) エアバッグの廃棄装置
KR100203187B1 (ko) 워터 에어백 시스템
KR100494850B1 (ko) 차량용 측면 충돌 감지 제어장치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JPH07257315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00422644B1 (ko) 에어백 전원 차단 장치
JPH09202196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0146582B1 (ko)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58746A (ko) 엔진 ecu를 이용한 이중제어 에어백 시스템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37747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원 공급장치
KR19980038807A (ko) 보조 ecu를 구비한 에어 백 시스템
KR19980053037U (ko) 차체용 에어백
KR19990041413U (ko)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