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187B1 - 워터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워터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187B1
KR100203187B1 KR1019960053269A KR19960053269A KR100203187B1 KR 100203187 B1 KR100203187 B1 KR 100203187B1 KR 1019960053269 A KR1019960053269 A KR 1019960053269A KR 19960053269 A KR19960053269 A KR 19960053269A KR 100203187 B1 KR100203187 B1 KR 100203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water
inflator
present
airba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044A (ko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1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7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a cooling agent being added to the inflation fl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또는 그와 유사한 안전사고시에 부풀려져, 드라이버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로 인해 드라이버 및 탑승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5)은 인플레이터(2)와 에어백(3)의 사이에 필터(4)와 함께 워터 셀(6)을 설치하여, 인플레이터의 폭발력에 의해 워터 셀이 함께 터지면서 물이 분사되므로서, 가스의 열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워터 에어백 시스템
본 발명은 워터 에어백 시스템(water air ba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플레이터(inflator)의 폭발시 물이 함께 분출되도록 하여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므로서, 드라이버 및 탑승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시 또는 그와 유사한 안전사고에 대해 드라이버 및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에어백 시스템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에 내장되는 것과, 보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는 것이 있다.
에어백 시스템은 전원과, 차량 충돌시의 파형과 기억된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여 에어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백 컨트롤 유닛과, 상기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을 전개하는 에어백 모듈로 구성된다.
제1도는 종래 공지된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EMS(electro mechanical sensor) 볼인 튜브 센서가 작동되어, 에어백 모듈(1)의 인플레이터(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상기 인플레이터(2)를 작동시킴에 따라, 질소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3)을 전개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의 폭발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려져, 드라이버 및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가스는 고온의 열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유독성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있을뿐, 열에 대한 방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 및 탑승자에게 화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폭발 가스의 열을 낮추어 드라이버 및 탑승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에어백 시스템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워터 에어백 시스템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워터 셀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워터 셀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인플레이터 3 : 에어백
6 : 워터 셀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구성되는 워터 에어백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의 폭발시 물이 함께 분사되도록 하므로서, 폭발 가스의 고열을 낮추어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은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사이에 필터와 함께 워터 셀을 개재하여, 인플레이터의 폭발력에 의해 워터 셀이 함께 터지면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는 에어백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열이 빼앗겨, 저온 상태로 에어백을 부풀리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및 탑승자에게 화상을 입힐 우려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워터 에어백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워터 에어백 시스템을 구성하는 워터 셀을 보인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5)은 에어백 시스템 전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5)은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폭발되는 인플레이터(2)와, 그 인플레이터(2)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가스로 부풀려지는 에어백(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2)와 에어백(3)의 사이에는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4)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시스템은 상기 폭발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켜, 드라이버 및 탑승자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워터 셀(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워터 셀(6)은 인플레이터(2)와 에어백(3)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인플레이터(2)의폭발시 함께 터져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워터 셀(6)의 중심부에는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취 마크(7)가 형성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상기 워터 셀(6)은 인플레이터(2)의 폭발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터져, 그 가스와 함께 분사되므로서 에어백(3)을 부풀리게 된다.
이때, 고온의 가스는 물에 의해 열이 빼앗겨 저온 상태로 되므로서, 드라이버 및 탑승자에게 화상을 입히지 않게 된다.
또한, 가스의 열이 물로 전달되는데에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므로서, 에어백(3)의 전개에는 아무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워터 에어백 세스템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폭발 가스의 온도가 저하되므로서, 드라이버 및 탑승자의 화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폭발되는 인플레이터와, 그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가스로 부풀려지는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사이에 설치되어, 인플레이터의 폭발력에 의해 터져 물이 분사되는 워터 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에어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와 워터 셀의 사이에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에어백 시스템.
KR1019960053269A 1996-11-11 1996-11-11 워터 에어백 시스템 KR100203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269A KR100203187B1 (ko) 1996-11-11 1996-11-11 워터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269A KR100203187B1 (ko) 1996-11-11 1996-11-11 워터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44A KR19980035044A (ko) 1998-08-05
KR100203187B1 true KR100203187B1 (ko) 1999-06-15

Family

ID=1948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269A KR100203187B1 (ko) 1996-11-11 1996-11-11 워터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1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44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9603521D0 (sv) Krockenergiabsorberande anordning för fordon
KR100203187B1 (ko) 워터 에어백 시스템
KR100401792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의 폭발 처리장치
CN1865046A (zh) 安全防护气囊
KR19980032712U (ko) 에어백가스배출장치
JP355886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196164B1 (ko)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US20040183292A1 (en) Inflation devic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0228103B1 (ko) 이중 전개가능한 에어 백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100210143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하이브리드구조
KR100302808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20040088200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이 구비된 차량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100501538B1 (ko) 시트벨트 결합형 에어백 장치
KR0148660B1 (ko) 자동차 충돌시 선루프 자동 오픈장치
KR0172688B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튜브형 무릎보호대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9001049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9980061717A (ko) 자동차의 에어 백용 가변형 인플레이터
KR19980047203U (ko)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2566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9990024382U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파편 보호막장치
KR19980022521U (ko)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