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515Y1 -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515Y1
KR0118515Y1 KR92026999U KR920026999U KR0118515Y1 KR 0118515 Y1 KR0118515 Y1 KR 0118515Y1 KR 92026999 U KR92026999 U KR 92026999U KR 920026999 U KR920026999 U KR 920026999U KR 0118515 Y1 KR0118515 Y1 KR 0118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irbag
ecu
receiv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6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507U (ko
Inventor
박관흠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26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515Y1/ko
Publication of KR940015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028/0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disconnecting the electric power supply, e.g. the vehicl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8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8Current for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충격센서(4)와 이 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장치(ECU)와 충격시 에어 백이 부풀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에어 백 모듈(5), (6)을 갖는 에어 백 구동장치에 있어서, 충돌 또는 이상동작에 의한 충격센선의 센싱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에어 백 구동장치에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ECU의 브레이킹 작동신호를 받는 브레이크 구동장치(9)와, 전원을 받는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ECU의 신호를 받은 전류 단속장치(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에 관한 것.

Description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 백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사고는 탑승자들이나 운전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한 차체와의 충돌을 억제하도록 에어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사고 발생시 에어 백을 부풀게 하여 승객, 그리고 운전자의 가슴 및 안면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 백 구동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이 제1도에 도시되었다.
근본적으로 작동방법은 사고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에어 백을 부풀게 하는 것으로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점화스위치(1)에 의해 전원(2)이 ECU(3)에 공급되고 이 상태는 자동차는 정상동작중이다. 그런중 차량에 충돌이 어떤 크기보다 초과하여 일어나면, ECU에 연결된 충격센서(4)가 이를 감지하고 또한 도시는 없으나 가속도계에서 감지된 파형을 이용하여 ECU는 충격정도를 계산하여 승객용 에어 백 모듈(5)과 운전자용 에어 백 모듈(6)에 달려 있는 스퀴브에 전류를 보내어 화약을 폭발시켜 질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써 에어 백을 부풀게 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한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고장을 자체 진단하는 자기진단 기능과 고장을 감지하였을 때 경고등(8)을 구동하도록 경고등 구동기(7)에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과 또한 충돌시의 상태를 기록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험로를 달릴 때 갑자기 발생되는 충격으로 에어 백이 팽창하는 경우, 또는 고압선 길을 지날 때 이상전류의 발생으로 인한 오동작으로 인하여 에어 백이 부풀어져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와 에어 백 팽창시의 폭발용 또는 충돌시 충격으로 운전자가 순간 졸도하는 경우등으로 인하여 또다른 충돌이 발생될 수 있으나 현재의 기능으로는 이에 대한 대비가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충돌시 승객과 차량 부품과의 충격만 완화시키는 종래의 에어 백 구속장치의 결점을 보완하여 에어 백 팽창시의 시야방해, 에어 백 팽창음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순간 졸도로 인한 안정성 마비 등으로 인한 다른 차량 또는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에어 백 구동장치의 ECU가 충돌상황을 판단하여 에어 백을 전개시킬 때 비상등 점등과 브레이킹 시스템으로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하는 개선된 에어 백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장치구성은 충격센서(4)와 이 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장치(ECU)와 충격시 에어 백이 부풀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에어 백 모듈(5), (6)을 갖는 에어 백 구동장치에 있어서, 충돌 또는 이상동작에 의한 충격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에어 백 구동장치에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ECU의 브레이킹 작동신호를 받는 브레이크 구동장치(9)와, 전원을 받는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ECU의 신호를 받은 전류 단속장치(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고안에 대한 첨부된 제2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와 제1도의 동일부호는 동일구성요소이다.
제2도에서 점화스위치(1)의 스위칭 온에 의해 전원(2)이 전자제어장치(3)에 공급되고 따라서 에어 백 구동장치가 고유의 동작을 개시한다.
사고가 발생되면 자동차의 충격센서는 위험신호를 ECU(3)에 공급하고 이 신호에 의해 ECU는 충격정도를 계산한다. 그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고발생시에만 에어 백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ECU는 승객용 및 운전자용 에어 백 모듈(5), (6)의 스퀴브에 전류를 보내어 화약을 폭발시켜 질소가스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에어 백이 부풀게 된다. 이와 동시에 ECU(3)는 브레이크 구동장치(9)에 신호를 보내어 브레이크(10)가 작동되어 자동차가 정지하도록 하며 동시에 전원(2)이 공급되는 자동차의 각종 장치에 전류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전류 단속장치(13)에 신호를 보내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며 또한 이와 동시에 비상등(12)을 점등시키도록 비상등 구동장치(11)에 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경고등에 관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목적에 관련하여 충돌에 의하지 아니하고 험로 주행시 우발적 충격으로 인한 에어 백 팽창의 경우, 이상전류 발생으로 인한 에어 백 동작등에 대하여 본 고안 장치는 실제 충돌과 구별없이 자동차를 멈추게 하여 안전상태에 놓이게 하므로써, 운전자가 사후처리를 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야를 가려 운전에 방해가 되어 또다른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운전자 순간 졸도로 사고운전을 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제 충돌후에도 비상등 점등 및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하므로 또다른 차량 및 대상물과의 연쇄 충돌사고가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전원차단으로 인해 화재 방지 및 누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Claims (3)

  1. 충격센서(4)와 이 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장치(ECU)와 충격시 에어 백이 부풀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에어 백 모듈(5), (6)을 갖는 에어 백 구동장치에 있어서, 충돌 또는 이상동작에 의한 충격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에어 백 구동장치에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ECU의 브레이킹 작동신호를 받는 브레이크 구동장치(9)와, 전원을 받는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ECU의 신호를 받은 전류 단속장치(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또는 이상동작 발생시 상기 ECU(3)는 비상등을 점등시키도록 신호를 보내는 비상등 구동장치가 또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 백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ECU의 자기진단 기능에 의한 이상발생시 경고하도록 경고등을 구동시키도록 경고등 구동기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92026999U 1992-12-28 1992-12-28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0118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999U KR0118515Y1 (ko) 1992-12-28 1992-12-28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999U KR0118515Y1 (ko) 1992-12-28 1992-12-28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507U KR940015507U (ko) 1994-07-19
KR0118515Y1 true KR0118515Y1 (ko) 1998-08-01

Family

ID=1934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6999U KR0118515Y1 (ko) 1992-12-28 1992-12-28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5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507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65001A2 (en) Vehicular hazard warning system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JPH11157413A (ja) 乗員保護装置
US5990569A (en) System for triggering a protecting device
KR016434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00202724B1 (ko) 충돌시 배터리 전원차단 장치
KR10044774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제어 시스템
KR0118505Y1 (ko) 차량 충돌시의 화재예방을 위한 에어백 회로장치
KR200144405Y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9980038807A (ko) 보조 ecu를 구비한 에어 백 시스템
KR100194440B1 (ko) 자동차의 추락시 제어회로
KR19980016812U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KR0113359Y1 (ko) 에어백 정비시의 쇼트방지 장치
KR100201470B1 (ko) 탑승자 안전장치의 경보장치
KR19980029091U (ko) 차량충돌시 2차에어 백 제어장치
KR19980037717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원 공급장치
KR19980035597U (ko)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에어 백 시스템
KR19980048507A (ko) 에어백이 장착된 조향핸들의 제어장치
KR19980044091A (ko) 차량용 에어 백 장치
KR19980037940A (ko) 자동차의 충돌방지경보장치
KR19980029329A (ko)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KR19980039036U (ko) 뒷좌석에 하체 보호용 에어 백을 설치한 차량
KR19980016813U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