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413U -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413U
KR19990041413U KR2019980008259U KR19980008259U KR19990041413U KR 19990041413 U KR19990041413 U KR 19990041413U KR 2019980008259 U KR2019980008259 U KR 2019980008259U KR 19980008259 U KR19980008259 U KR 19980008259U KR 19990041413 U KR19990041413 U KR 19990041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bag
sunroof
occupant
airba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민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08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413U/ko
Publication of KR19990041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13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썬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전복 사고시에 파손된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부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은, 썬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전복을 감지하도록 차량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레벨 센서와, 상기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와 탑승자의 머리부 사이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차실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 및 상기 레벨 센서로부터 차량 전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전복시에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와 탑승자의 머리부 사이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므로, 슬라이드 본체가 파손되더라도 탑승자의 머리부가 파손된 슬라이드 본체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본 고안은 썬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전복 사고시에 파손된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부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시스템은 시트 벨트의 보조 장치로서 운전자와 동승자를 포함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이다. 즉, 에어백 시스템은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가 규정값 이상일 경우에 탑승자와 조행 핸들(또는 크러쉬 패드) 사이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최근에는 시트 벨트의 장력과 에어백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과, 차체의 앞부분(예를 들어 범퍼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충격 센서(front impact sensor)와,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칼럼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 접점 스위치(rotary contact switch)와, 에어백 시스템의 고장 상태를 경보하기 위한 경고등(warning lamp)과, 에어백 모듈을 트리거링(triggering)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control unit)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은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와, 질소 가스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는 에어백(air bag), 및 에어백을 보호하기 위한 패트 커버(pat cover)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감속도가 충격 센서의 동작 규정값에 도달되면, 제어 유닛에 의해 가스 발생기가 트리거링되고, 이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에어백(100)이 급속히 팽창되어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탑승자의 얼굴과 흉부만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전복 사고시에 차실 내부의 천정부로부터 탑승자의 머리부를 보호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썬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전복 사고시에 파손된 슬라이드 본체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부가 심한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전복 사고시에 파손된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부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벨 센서 20 : 에어백 모듈
21 : 에어백 22 : 패트 커버
30 : 제어 유닛 40 : 썬루프 장치
41 : 슬라이드 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은, 썬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전복을 감지하도록 차량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레벨 센서와, 에어백이 상기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와 탑승자의 머리부 사이에서 전개되도록 차실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 및 상기 레벨 센서로부터 차량 전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전복을 감지하도록 차체의 앞부분(예를 들어 범퍼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레벨 센서(10)와, 썬루프 장치(40)의 슬라이드 본체(41)와 탑승자의 머리부 사이에서 전개되도록 차실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20), 및 레벨 센서(10)로부터 차량 전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에어백 모듈(20)을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30)으로 구성된다.
레벨 센서(10)는 원통관의 양단부에 각각 전기 접점을 형성하고, 원통관의 내부에는 각 단부의 전기 접점을 선택적으로 온시키기 위한 액체(예를 들어 수은) 또는 볼을 설치하여 수은 또는 볼에 의해 레벨 센서(10)의 상측 접점 또는 하측 접점이 온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 센서(10)가 범퍼의 선단부의 양단에 세워져 설치되며, 레벨 센서(10)의 상측 접점과 하측 접점은 각각 제어 유닛(3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벨 센서(10)는 평상시에는 수은 또는 볼이 원통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하측 접점은 온되어 있고, 상측 접점은 오프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20)은 가스 발생기와, 썬루프 장치(40)의 슬라이드 본체(41)를 폐쇄하도록 장방형상으로 전개되는 에어백(21), 및 에어백(21)을 보호하기 위한 패트 커버(22)로 구성되며, 에어백 모듈(20)은 패트 커버(22)가 차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본체(41)의 후측으로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 사고로 인해 차량이 전복되면, 차량의 전복에 따라 수은 또는 볼이 이동되어 레벨 센서(10)의 상측 접점은 온되고 하측 접점은 오프되며, 이와 같은 온,오프 신호는 제어 유닛(30)에 입력된다.
상기 신호가 제어 유닛(30)에 입력되면, 제어 유닛(30)은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스 발생기에 점화 전류를 흘리므로써 가스 발생기를 트리거링시킨다.
가스 발생기가 트리거링되면, 가스 발생기내에서는 질소 가스가 발생되어 에어백(21)으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21)이 도 3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본체(41)의 하측에서 차체 전방을 향해 전개된다.
따라서, 차량의 전복시에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가 파손되더라도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전복시에 썬루프 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와 탑승자의 머리부 사이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므로, 슬라이드 본체가 파손되더라도 탑승자의 머리부가 파손된 슬라이드 본체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에어백 시스템은 조향 핸들 또는 크러쉬 패드상에 설치되는 에어백 시스템과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하여도 무방하고, 썬루프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썬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전복을 감지하도록 차량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레벨 센서와, 상기 썬루프장치의 슬라이드 본체와 탑승자의 머리부 사이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차실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 및 상기 레벨 센서로부터 차량 전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KR2019980008259U 1998-05-19 1998-05-19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KR199900414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59U KR19990041413U (ko) 1998-05-19 1998-05-19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59U KR19990041413U (ko) 1998-05-19 1998-05-19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13U true KR19990041413U (ko) 1999-12-15

Family

ID=6950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259U KR19990041413U (ko) 1998-05-19 1998-05-19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4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1413U (ko)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196164B1 (ko) 차량의 에어백 작동시 윈도우 자동 오픈 장치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200143795Y1 (ko) 차량 전복시 프리텐셔너 구동 장치
KR100197138B1 (ko) 차량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JP2512861Y2 (ja) エアバッグ装置の誤作動防止構造
KR10025454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전개 단속장치
KR100187646B1 (ko) 에어백 작동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9980035597U (ko)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에어 백 시스템
KR0113359Y1 (ko) 에어백 정비시의 쇼트방지 장치
KR100224245B1 (ko) 측면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9980075215A (ko) 차량의 전방충돌대비 에어백 장치
KR200222316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승객 보호장치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19980052388A (ko)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39288U (ko) 조수석 에어백 작동제어 장치
KR1999005270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KR19980029415A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9980053037U (ko) 차체용 에어백
KR970039600A (ko) 자동차 에어백 오동작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