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388A -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388A
KR19980052388A KR1019960071376A KR19960071376A KR19980052388A KR 19980052388 A KR19980052388 A KR 19980052388A KR 1019960071376 A KR1019960071376 A KR 1019960071376A KR 19960071376 A KR19960071376 A KR 19960071376A KR 19980052388 A KR19980052388 A KR 19980052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able
installation structure
housing
vehicle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388A/ko
Publication of KR1998005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388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구비되어 축전지(2)와 연결된 에어백하우징(3)이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격감지센서(3a)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케이블(3b)를 매개로 폐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케이블(3b)에 에어백하우징(3)의 하부부위로 구비된 보조에어백하우징(4)의 연결케이블(4a)과 연결 되어져, 추돌사고시 전방부위에 구비된 충격감지센서(3a)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신호가 케이블(3b)을 매개로 전달되어 에어백하우징(3)내의 에어백(3')을 작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3b)에 연결된 연결케이블(4a)을 매개로 보조에어백하우징(4)의 에어백(4')이 작동되어 승원의 신체를 상부와 하부부위에서 구속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본 발명은 차량승원의 안전을 위한 에어백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돌사고시 승원의 하복부부위에 대한 이동을 구속하여 신체의 상부부위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주행중 예기치못한 상황에 따른 추돌사고시 탑승된 승원의 보호를 위해 여러 가지 안전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안전장치중 특히, 에어백은 차량의 운전석부위를 이루는 인스트루먼트부위에 장착되어 추돌사고시, 이에따라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전방으로 쏠리는 신체의 상부를 구속하여 전방유리에 부딪히거나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원의 부상을 최대한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의 추돌사고시 작동되어 신체의 상부를 구속하게 되는 에어백은 신체가 작은 어린아이의 경우, 대략 시속 200Km이상의 속도로 팽창하는 에어백으로 부터 목부위의 충격을 크게 받게 되어, 비록 경미한 추돌사고라도 작동된 에어백에 의해 크게 부상을 입거나 심할 경우 생명을 잃게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추돌사고에 따라 작동되는 에어백이 신체의 상부와 복부부위를 동시에 구속하여 상부부위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함에 따라, 에어백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신체상부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에어백이 작동되는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인스트루먼트판넬,2 ; 축전지
3 ; 에어백하우징,3a ; 충격감지센서
3b ; 케이블3' ; 에어백
4 ; 보조에어백하우징,4a ; 연결케이블
4' ; 보조에어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판넬에 구비된 에어백하우징이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격감지센서의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됨과 더불어, 이 케이블에 에어백하우징의 하부부위로 구비된 보조에어백하우징의 연결케이블이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에따라, 추돌사고시 전방부위에 구비된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신호가 케이블을 매개로 전달되어 에어백하우징내의 에어백을 작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케이블을 매개로 보조에어백하우징의 에어백이 작동되어 승원의 신체를 상부와 하부부위에서 구속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구비되어 축전지(2)와 연결된 에어백하우징(3)이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격감지센서(3a)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케이블(3b)를 매개로 폐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케이블(3b)에 에어백하우징(3)의 하부부위로 구비된 보조에어백하우징(4)의 연결케이블(4a)과 연결되어 진다.
이에따라, 추돌사고시 전방부위에 구비된 충격감지센서(3a)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신호가 케이블(3b)을 매개로 전달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상부에 구비된 에어백하우징(3)내의 에어백(3')이 작동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3b)에 연결되어 동시에 충격감지센서(3a)의 신호를 전달받는 연결케이블(4a)을 매개로 보조에어백하우징(4)의 에어백(4')이 작동되어 승원의 신체를 목부위인 상부부위와 복부부위인 하부부위를 동시에 함께 구속하게 되므로, 승원의 목부위인 상부부위의 예기치 못한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판넬부위에 구비된 에어백의 하부로 작동시 승원의 복부부위를 구속하는 보조에어백이 구비되어져, 승원의 신체를 목부위인 상부부위와 복부부위인 하부부위를 동시에 함께 구속하게 되므로 예기치못한 목부위의 부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구비된 에어백(3')이 내장된 에어백하우징(3)이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격감지센서(3a)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케이블(3b)를 매개로 축전지(2)와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된 차량의 에어백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b)에 에어백하우징(3)의 하부부위로 구비된 보조에어백(4')이 내장된 보조에어백하우징(4)의 연결케이블(4a)과 연결되어 작동시 보조에어백(4')이 에어백(3')과 함께 작동되도록 된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 구조.
KR1019960071376A 1996-12-24 1996-12-24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KR19980052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376A KR19980052388A (ko) 1996-12-24 1996-12-24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376A KR19980052388A (ko) 1996-12-24 1996-12-24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388A true KR19980052388A (ko) 1998-09-25

Family

ID=663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376A KR19980052388A (ko) 1996-12-24 1996-12-24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3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7445B2 (en) 2006-05-12 2008-03-2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irbag device with an auxiliary cha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7445B2 (en) 2006-05-12 2008-03-2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irbag device with an auxiliary cha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2405B1 (en) Airbag device
GB2191450A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20060197324A1 (en) Advanced protection driver area bag
KR19980052388A (ko)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380401B1 (ko) 자동차의 감압식 에어백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100196180B1 (ko) 에어백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100537312B1 (ko) 자동차용 무릎 보호 장치
KR100224252B1 (ko) 자동차용 이중 에어백
KR200141880Y1 (ko) 자동차의 에어백
KR19980038243U (ko) 자동차용 승객 보호 구조
KR19990018089U (ko) 차량의 보조 에어 백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19980046868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19980011314U (ko)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KR19990027372A (ko) 차량용 에어백
KR19980049939U (ko) 엔진보기류 차내 침입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KR19980018063U (ko) 자동차의 루프 에어백
KR19990041413U (ko) 썬루프용 에어백 시스템
KR19990006937U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19980035597U (ko)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에어 백 시스템
KR19980047665A (ko) 차량 전복시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