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314U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314U
KR19980011314U KR2019960024818U KR19960024818U KR19980011314U KR 19980011314 U KR19980011314 U KR 19980011314U KR 2019960024818 U KR2019960024818 U KR 2019960024818U KR 19960024818 U KR19960024818 U KR 19960024818U KR 19980011314 U KR19980011314 U KR 199800113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tie bar
housing
mounting structur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4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314U/ko
Publication of KR19980011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31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덮개(11), 하우징(12) 및 장착 브래킷(13)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횡으로 배치된 타이바(20)간의 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에어 백 모듈(10)이 배치되는 타이바(20)의 해당 부분에 상기 하우징(12)에 상응하는 요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2) 주변에 고정 브래킷(2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10)의 장착 브래킷(13)이 볼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 시킬 수 있어 에어백 모듈 자체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과 타이바(tiebar)의 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가해주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에어백 모듈 자체를 보호할 뿐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돌발 사고에 대비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치명적인 고속 주행의 전방 충돌 사고에 대비해 운전석과 전방에는 에어백이 설치 되는 바, 이중 에어백이 안전도면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 같은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에어백 모듈내에 내장되어 제조되는 바, 운전자용은 운전대에 설치되며, 조수용은 조수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이중, 조수용 에어백모듈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타이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일측, 즉, 조수석 전방에는 수납홈(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2)에는 에어백 모듈(3)이 삽설된다.
상기 에어백모듈(3)은 일반적으로 덮개(4), 하우징(5) 및 장착 브래킷(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inflator)가 내장 되어 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터에는 커넥터(6)가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7)에는 예컨대, 대쉬센서, 프리텐서너 또는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유닛이 연결되어 있어 자동차의 충돌 또는 급정거시 적시에 신호를 공급받아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다.
이 같은 에어백 모듈(3)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 하부에 설치된 타이바(8)에 장착 된다. 즉, 하우징(5)의 양측 하방에 형성된 2개의 장착 브래킷(6)이 타이바(8)에 형성된 고정브래킷(9)에 볼트(B)에 의해 고정되므로서, 에어백 모듈(3)의 장착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 같은 타이바(8)에 대한 에어백 모듈(3)의 장착 방식은 외부 충격에 매우 약할 뿐 아니라 충격 흡수 능력이 부족하므로 에어백 모듈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어백 모듈(3)의 하우징(5)과 타이바(8)간의 거리(l)가 매우 짧아 충격이 흡수될 수 없어 브래킷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수의 머리 또는 신체가 에어백 모듈(3)의 덮개(4)에 충돌될 수 있는 바, 이 때 그 같은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해 조수석 탑승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수 있을 뿐 아니라 에어백 모듈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과 타이바의 이격거리가 짧음으로 인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고안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백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하하여 에어백 모듈 자체를 보호할 뿐 아니라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 모듈이 장착되는 타이바의 구조를 변경시켜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킨 에어백모듈과 타이바의 취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백 모듈 11: 에어백 덮개
12: 하우징13: 장착브래킷
14: 커넥터15: 볼트 구멍
20: 타이바21: 고정브래킷
22: 요부
이 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에버백 덮개, 하우징 및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횡으로 배치된 타이바간의 취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모듈이 배치되는 타이바의 해당 부분에 상기 하우징에 상응하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 주변에 고정 브래킷이 형성되여, 상기 에어백 모듈의 장착 브래킷에 볼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덮개(11), 하우징(12) 및 장착 브래킷(13)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2)에는 통상적으로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커넥터(14)를 통해 에어백 작동 신호가 인가되어 인플레이터가 폭발되며 이에따라 에어백이 전개 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에어백 모듈(10)은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래킷(13)에 의해 타이바(20)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타이바(20)에는 각각 구멍이 천공된 2개의 고정브래킷(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구멍이 상기 장착 브래킷(13)의 볼트구멍(15)에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바(20)에는 요부(recess)(2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같은 홈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12)의 하부면 형상과 유사하며 그 크기 또한 하우징의 길이와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 브래킷(21)은 상기 요부(22)가 형성된 근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요부(22)는 타이바(20)의 해당부분을 가압 또는 잼밍(jamming) 방식으로 성형함으로서 형성된다.
이에따라, 에어백모듈(10)을 타이바(20)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에어백 모듈(10)과 타이바(20)의 이격거리,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12)의 하부변과 타이바의 홈(23)사이의 거리(l')가 종래의 이격거리(l)보다 크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장착 구조를 이용하여 에어백 모듈을 타이바에 장착하면, 에어백모듈과 타이바의 이격거리가 충분하게 제공되어 에어백 모듈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타이바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같은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과도한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 상호간의 충돌이 회피되거나 약하게 충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수석 탑승자가 전개되지 못한 에어백 덮개에 충돌하는 경우 심각한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에어백 모듈 자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혀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에버백 덮개(11), 하우징(12) 및 장착 브래킷(13)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횡으로 배치된 타이바(20)간의 취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모듈(10)이 배치되는 타이바(20)의 해당 부분에 상기 하우징(12)에 상응하는 요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2) 주변에 고정 브래킷(2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10)의 장착 브래킷(13)이 볼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KR2019960024818U 1996-08-19 1996-08-19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KR199800113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818U KR19980011314U (ko) 1996-08-19 1996-08-19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818U KR19980011314U (ko) 1996-08-19 1996-08-19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314U true KR19980011314U (ko) 1998-05-25

Family

ID=5397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818U KR19980011314U (ko) 1996-08-19 1996-08-19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3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6192A (en) Knee protector
KR19980011314U (ko)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200177709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장치
KR200141884Y1 (ko) 자동차의 에어백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11316U (ko) 충격 흡수용 에어백 모듈
KR0137868Y1 (ko) 안면보호용 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9980012175U (ko) 에어백을 장착한 범퍼
KR100187820B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KR100193077B1 (ko)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19980029309U (ko) 차량의 조수석 무릎충돌부 완충구조
KR100387652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용 무릎 보호장치
KR19980040189A (ko) 자동차의 운전자보호용 조향핸들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2388A (ko)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KR19990009084U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하우징 어셈블리
KR19980011315U (ko)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KR19990006416U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23467U (ko) 자동차 시트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90042053U (ko) 자동차의 무릎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