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826U -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 Google Patents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826U
KR19980048826U KR2019960061991U KR19960061991U KR19980048826U KR 19980048826 U KR19980048826 U KR 19980048826U KR 2019960061991 U KR2019960061991 U KR 2019960061991U KR 19960061991 U KR19960061991 U KR 19960061991U KR 19980048826 U KR19980048826 U KR 199800488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river
passenger
tub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경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826U/ko
Publication of KR19980048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82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석 및 동반석에 앉아 있는 승객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충돌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폭발되는 인플레이터 및 이 인플레이터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은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고 상기 튜브(5)는 운전자 및 동반자의 전방에 펼쳐지도록 대체로 타원형인 제 1에어백(41) 및 제 2에어백(42)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에어백(41) 과 제2에어백(42) 사이에는 중앙에 홀(15)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14)이 구비되어, 한개의 인플레이터 및 튜브로 운전자와 동반자 모두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장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본 고안은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운전석 및 동반석에 앉아 있는 승객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차자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부상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에어 백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에어 백(Front Air Bag)과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 백으로 분류되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에어 백은 시트 벨트(Seat Belt)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위해 대형 에어 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점식 시트 벨트의 장착을 전제로 한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에어 백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상기 SRS 에어 백 시스템은 시트 벨트와 병행해서 사용되는 에어 백 시스템으로 스티어링 휠 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 에어 백 센서(Sensor)가 그 충돌을 감지하면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안면을 보호한다. 운전자 또는 승차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서 보조적인 구속장치(SRS)라고 칭하여진다. 상기 SRS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 벨트와 에어 백이 부담하는 충격력은 거의 절반씩으로 분담된다.
상기 에어 백 센서는 에어 백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그 종류에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기계식과 뒤틀림계 등을 사용하는 전기식이 있으며, 상기 에어 백 센서는 감속도가 이미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에만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을 팽창시키는 방식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에어 백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Inflater)에 통전, 착화시키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차체의 수리시에는 수리중의 충격력으로 인한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의 오작동(誤作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백을 떼어놓고 작업하여야 한다.
한편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튜브(9)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팽창되어 운전자를 보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반석에도 별도의 에어백 장치를 인스트루먼트패널 상면에 장착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 운전석 전방에 장착되는 에어백장치와 동반석 전방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는 별도의 부품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설치비용이 증대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에어백장치를 운전석에만 설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고, 추가로 동반석에 에어백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비용을 추가로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백 장착에 따른 비용을 절함할 수 있도록 한개의 인플레이터 및 한개의 튜브로 운전자와 동반자 모두를 동시에 보호 할 수 있는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백의 튜브가 팽창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에어백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의 팽창상태에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튜브 6:커버
7:하우징 11: 인플레이터
13: 커넥터 14: 분리판
15: 홀 41: 제1튜브
42: 제2 튜브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 바, 본 고안에 따르면, 충돌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폭발되는 인플레이터 및 이 인플레이터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은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고 상기 튜브(5)는 운전자 및 동반자의 전방에 펼쳐지도록 대체로 타원형인 제 1에어백(41) 및 제 2에어백(4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에어백(41) 과 제2에어백(42) 사이에는 중앙에 홀(15)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1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에어백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버(6)는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이 커버(6)의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장치인 튜브(5) 및 하우징(7) 등도 운전석 및 동반석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7)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상기 튜브(5)의 팽창장치인 인플레이터(11)가 설치되는데 이 인플레이터(11)의 일단에는 커넥터(13)가 연결되어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돌감지센서가 상기 커넥터(13)와 연결된다.
상기 튜브(5)의 사이즈는 종래의 운전석 에어백과 동반석 에어백의 부피를 합한 것과 거의 동일하도록 되어 있다 다라서 상기 인플레이터(11)의 폭발력도 종래보다는 증대되었다.
상기 사이드 에어 백에 사용되는 가스는 압축 가스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프론트 에어 백에 사용되는 소듐-아지드(Sodium-Azide)는 에어 백의 팽창시 발열로 인한 온도가 고온이므로 상기 사이드 에어 백 주위의 시트 재질이 녹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의 튜브가 팽창되었을때의 사시도이다.
튜브(5)가 팽창됨에 따라 운전자와 동반자 모두는 각각 제1튜브(41) 및 제2튜브(42)에 의하여 가슴 및 머리부분을 보호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상기 제1튜브(41) 및 제2튜브(42) 사이에는 분리판(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판(14)의 중앙에는 홀(1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여 보면, 자동차의 충돌시, 본고안에 따른 튜브(5)는 충돌감지센서 및 인플레이터(11)의 작용으로 인하여 팽창된다. 튜브(5)내에 가스가 충전됨에 따라 우선 동반석 쪽의 제2튜브(42)가 먼저 팽창되고 제2튜브(42)가 충분히 팽창된 이후에는 압축된 가스가 분리판(14)의 홀(15)을 통과하게 되어 튜브(5)의 일부분이 운전대에 걸리지 않은 상태로 즉 운전대의 상부로 제 1튜브(41)가 팽창됨으로써 운전자도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동반자를 보호하는 제 2튜브(42)가 먼저 팽창되고, 이후에 운전자를 보호하는 제1튜브(41)가 이후에 펼쳐지게 되는 구조이나,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순간적으로 진행되어 운전자 및 동반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이 장착되면, 한개의 인플레이터 및 튜브로 운전자와 동반자 모두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장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충돌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폭발되는 인플레이터 및 이 인플레이터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은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고, 운전자 및 동반자의 전방에 동시에 펼쳐지도록 상기 튜브(5)는 대체로 타원형인 제 1에어백(41) 및 제 2에어백(42)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에어백(41) 과 제2에어백(42) 사이에는 중앙에 홀(15)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1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2019960061991U 1996-12-30 1996-12-30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800488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991U KR19980048826U (ko) 1996-12-30 1996-12-30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991U KR19980048826U (ko) 1996-12-30 1996-12-30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826U true KR19980048826U (ko) 1998-10-07

Family

ID=5400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991U KR19980048826U (ko) 1996-12-30 1996-12-30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8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279B2 (en) 2017-05-30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lkhead mounted airbag for front sea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279B2 (en) 2017-05-30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lkhead mounted airbag for front sea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284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80048845U (ko) 인스트루먼트 탑재형 운전석 에어백
US7118128B2 (en) Low leakage airbag module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KR19980022289U (ko) 사이드 에어백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100205583B1 (ko) 에어백쿠션
KR100512868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21918U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00512867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80048893U (ko) 자동차 에어백의 쿠션
KR100501538B1 (ko) 시트벨트 결합형 에어백 장치
KR19980048872U (ko) 조수석 에어백의 튜브고정구조
KR0181014B1 (ko) 수동식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19980048871U (ko) 비 회전식 운전석 에어백
KR20040028187A (ko) 자동차용 니이 에어백
KR19980046200U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커버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KR20050101403A (ko) 탑 마운트 방식 운전자용 에어백 시스템
KR20000019658A (ko) 에어백 모듈
KR19990021607A (ko) 시트 내장형 에어백장치
KR19980022309U (ko) 체형 감지용 시트 벨트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