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968U -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968U
KR19980064968U KR2019970009695U KR19970009695U KR19980064968U KR 19980064968 U KR19980064968 U KR 19980064968U KR 2019970009695 U KR2019970009695 U KR 2019970009695U KR 19970009695 U KR19970009695 U KR 19970009695U KR 19980064968 U KR19980064968 U KR 199800649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bag
double
inlet ho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욱한
Priority to KR2019970009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968U/ko
Publication of KR19980064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968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에어백의 쿠션을 2중으로 하여 연쇄충돌시에도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용 에어백의 쿠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쿠션(10)은 통상적인 1차쿠션(11)의 외측에 쿠션(10)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막(12)을 형성하여 2차쿠션(13)을 더 마련한 2중구조로 하되; 상기 분리막(12)의 중앙에는 1차쿠션(11) 팽창시 충진되는 가스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홀(14)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홀(14)은 차폐판(15)으로 커버하여 팽창한 유입된 가스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에어백의 쿠션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 연쇄충돌과 같은 여러번의 충격력도 흡수함으로서 에어백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본 고안은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쇄충돌시 운전자 및 조수석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자동차의 에어백은 자동차충돌시 운전자와 스티어링휠의 부딪힘과 조수석의 승차자와 대시보드판넬상간의 부딪힘을 방지하여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3점식안전벨트를 장착하였을 경우를 감안하여 소형이면서 안면보호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SRS에어백과 안전밸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감안하여 설치하는 대형 에어백등으로 구분이 된다.
이러한 에어백은 충돌시 이를 센서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되고 인플레이트(INFLATER; 에어백시스템의 가스발생장치)에 통전하여 착화를 시켜 쿠션이 팽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에어백의 쿠션이 단일체로 되어 있어 1차적인 충돌에는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으나 연쇄충돌과 같이 그 충격력이 여러번 반복하여 전하여질 경우에 대한 대책이 없다.
이는 한번의 충돌사고로 에어백의 쿠션이 팽창한 후 충진된 가스가 배출되고 나면 팽창되었던 에어백이 수축되어 그 수명을 다하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행중 연쇄충돌등이 일어날 경우에는 쿠션이 팽창하여 승차자를 보호한 후 쿠션내의 가스가 유출되어 수축된 상태에 있으므로 승차자는 이어지는 충격력에 의한 보호수단이 상실되므로서 핸들이나 인스투루먼트판넬상에 신체의 일부분이 손상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에어백의 쿠션을 2중으로 하여 연쇄충돌시에도 운전자(승차자)를 보호하여 인명의 손실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쿠션11:1차쿠션
12:분리막13:2차쿠션
14:유입홀15:차폐판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용 에어백의 쿠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쿠션(10)을 통상적인 1차 쿠션(11)의 외측에 쿠션(10)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막(12)을 형성하여 2차쿠션(13)을 더 마련한 2중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1차쿠션(11)과 2차쿠션(13)의 중도에 위치한 분리막(12)의 중앙에는 1차쿠션(11) 팽창시 충진되는 가스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홀(14)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홀(14)은 차폐판(15)으로 커버하여 팽창후 유입된 가스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유입홀(14)을 커버하는 차폐판(15)은 방사형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차폐판(15)은 2차쿠션방향에서 분리막(12)에 고정시켜 2차쿠션(13)에 가스충진후 1차쿠션(11)이 수축되더라도 가스가 유입홀(14)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주행중 자동차가 충돌할 경우에는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로 하여금 에어백의 쿠션(10)중 1차쿠션(11)내에 가스가 충진되면서 에어백커버가 탈거되어 외부로 팽창된다.
이와 동시에 1차쿠션(11)에 충진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2차쿠션(12)도 함께 충진되어 팽창하게 된다.
이는 1차쿠션(11)이 충진하면서 2차쿠션(13)상간에 형성한 분리막(12)의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14)을 통하여 2차쿠션(13)내로 유입되므로서 가능하여진다.
이때, 충진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유입홀(14)을 막고있던 차폐판(15)은 유입홀(14)의 외측(2차쿠션방향)으로 개방되어 가스의 충전에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후 일어나는 충격력에 의하여 승차자가 에어백의 쿠션(10)에 부딪히면 1차쿠션은 충격완화를 위하여 충진된 가스가 유출되어 수축이 되나, 2차쿠션(13)내에 유입된 가스는 유입홀(14)을 통하여 미세하게는 유출되는 차폐판(15)에 의하여 완전 유출이 방지된다.
이는 1차쿠션(11)이 수축될 때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하여 차폐판(15)이 1차쿠션(11) 방향으로 당겨져 유입홀(14)을 막게 되므로서 가능하여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재차 충격이 가하여지면 승차자는 계속하여 팽창되어 있는 2차쿠션(13)에 의하여 충격력이 흡수되어 인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에어백의 쿠션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 연쇄충돌과 같은 여러번의 충격력도 흡수함으로서 에어백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자동차용 에어백의 쿠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쿠션(10)은 통상적인 1차쿠션(11)의 외측에 쿠션(10)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막(12)을 형성하여 2차쿠션(13)을 더 마련한 2중구조로 하되;
    상기 분리막(12)의 중앙에는 1차쿠션(11) 팽창시 충진되는 가스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홀(14)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홀(14)은 차폐판(15)으로 커버하여 팽창후 유입된 가스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5)은 방사형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차폐판(15)은 2차쿠션방향에서 분리막(12)에 고정시켜 2차쿠션(13)에 가스충전후 1차쿠션(11)이 수축되더라도 가스가 유입홀(14)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2019970009695U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199800649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695U KR19980064968U (ko)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695U KR19980064968U (ko)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968U true KR19980064968U (ko) 1998-11-25

Family

ID=6967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695U KR19980064968U (ko)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9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26A (ko) * 2002-11-04 2004-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중셀 방식의 에어 백
KR20100120790A (ko) * 2009-05-07 2010-11-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26A (ko) * 2002-11-04 2004-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중셀 방식의 에어 백
KR20100120790A (ko) * 2009-05-07 2010-11-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158B1 (ko) 에어백 장치
JP3760424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50029781A1 (en) Dual cushion passenger airbag
JPH10119703A (ja) 車輌乗員保護装置
WO2005113300A1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KR100458188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KR100512427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KR100380401B1 (ko) 자동차의 감압식 에어백
KR19980048845U (ko) 인스트루먼트 탑재형 운전석 에어백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563857B1 (ko) 가스 흐름을 이용한 다단 점화 조절 타입 에어백장치
KR100205583B1 (ko) 에어백쿠션
KR20040072830A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0094693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0132775Y1 (ko) 감압밸브가 장착된 자동차용 에어 백 장치
KR19980046200U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커버
KR20050021185A (ko) 비 가스 충진 공간을 갖는 에어백 쿠션
KR19990011372U (ko) 테더형 에어백
KR20050037174A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19980048893U (ko) 자동차 에어백의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