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289U - 사이드 에어백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289U
KR19980022289U KR2019960035632U KR19960035632U KR19980022289U KR 19980022289 U KR19980022289 U KR 19980022289U KR 2019960035632 U KR2019960035632 U KR 2019960035632U KR 19960035632 U KR19960035632 U KR 19960035632U KR 19980022289 U KR19980022289 U KR 199800222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airbag
side air
driver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석재
최중원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5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289U/ko
Publication of KR19980022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28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두부(頭部) 보호용 사이드 에어 백과 흉부(胸部) 보호용 사이드 에어 백 및 골반 보호용 사이드 에어 백을 일체형으로 통합시킨 사이드 에어 백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 에어 백이 팽창되었을 때 에어 백 쿠션의 상단부(29)는 상기 시트 백(5)에 장착된 헤드레스트(3)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28)는 상기 시트 백(5) 하부보다 더 낮게 되도록 형성하여, 에어 백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또한 에어 백 모듈 조립체, 에어 백 하우징 등의 부품이 감소되게 하였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본 고안은 사이드 에어 백(Side Air Ba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두부(頭部) 보호용 사이드 에어 백과 흉부(胸部) 보호용 사이드 에어 백 및 골반 보호용 사이드 에어 백을 일체형으로 통합시킨 사이드 에어 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차자와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부상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에어 백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에어 백(Front Air Bag)과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 백으로 분류되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에어 백은 시트 벨트(Seat Belt)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위해 대형 에어 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점식 시트 벨트의 장착을 전제로 한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에어 백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상기 SRS 에어 백 시스템은 시트 벨트와 병행해서 사용되는 에어 백 시스템으로 스티어링 휠 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 에어 백 센서(Sensor)가 그 충돌을 감지하면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안면을 보호한다. 운전자 또는 승차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서 보조적인 구속장치(SRS)라고 칭하여진다. 상기 SRS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 벨트와 에어 백이 부담하는 충격력은 거의 절반씩으로 분담된다.
상기 에어 백 센서는 에어 백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그 종류에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기계식과 뒤틀림계 등을 사용하는 전기식이 있으며, 상기 에어 백 센서는 감속도가 이미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에만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을 팽창시키는 방식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에어 백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Inflater)에 통전, 착화시키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차체의 수리시에는 수리중의 충격력으로 인한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의 오작동(誤作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백을 떼어놓고 작업하여야 한다.
한편,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백에는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 백과 흉부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 백 및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와 흉부를 동시에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이 있다.
도 1a에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흉부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부용 사이드 에어 백(1)은 자동차 시트(2)의 헤드레스트(3)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흉부용 사이드 에어 백(4)은 자동차 시트(2)의 시트 백(5)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c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 및 흉부를 동시에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40)의 사시도이다.즉, 시트백(5)의 일측부에 장착된 흉부보호용 에어백(44)의 상부에 두부보호용 에어백(41)이 부착되어 있는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그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에어통과용 구멍(43)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격막(42)이 상기 흉부보호용 에어백(44)과 두부보호용 에어백(41)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도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이드 에어 백은 에어 백 본체(6), 인플레이터(7)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8)으로 구성되는 에어 백 모듈 조립체(9) 및 에어 백 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 백 본체(6), 인플레이터(7)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8)으로 구성되는 에어 백 모듈 조립체(9)는 상기 에어 백 하우징(10)에 삽입되어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하여 시트 백(5)의 시트 프레임(11)에 장착된다.
상기 흉부용 사이드 에어백(4)의 쿠션 사이즈는 약 15∼25리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부용 사이드 에어백(1)의 쿠션 사이즈는 약 10∼15리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이드 에어 백에 사용되는 가스는 압축 가스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프론트 에어 백에 사용되는 소듐-아지드(Sodium-Azide)는 에어 백의 팽창시 발열로 인한 온도가 고온이므로 상기 사이드 에어 백 주위의 시트 재질이 녹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사이드 에어 백은 두부용 사이드 에어 백(1)과 흉부용 사이드 에어 백(4)으로 분리되어 제조, 사용되므로, 에어 백의 장착 및 탈거가 번거로우며, 또한 에어 백 모듈 조립체(9), 에어 백 하우징(10) 등의 부품이 2개씩 필요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c에서와 같은 두부 및 흉부 동시보호용 사이드 에어백(40)이 장착된 경우에는 운전자 및 승차자의 두부 및 흉부를 보호 할 수는 있었으나 골반부분은 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와 흉부 및 골반부분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사시도.
도 1b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흉부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사시도.
도 1c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두부 및 흉부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의 팽창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두부용 사이드 에어 백 2: 시트
3: 헤드레스트 4: 흉부용 사이드 에어 백
5: 시트 백 6: 에어 백 본체
7: 인플레이터 20: 사이드 에어 백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 바,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시트의 시트 백 측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 백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 백이 팽창되었을 때 에어 백 쿠션의 상단부는 상기 시트 백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시트 백 하부보다 더 낮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의 팽창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20)은 자동차 시트(2)의 시트 백(5) 측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20)은, 종래의 사이드 에어 백과 마찬가지로, 에어 백 본체(6), 인플레이터(7)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8)으로 구성되는 에어 백 모듈 조립체(9) 및 에어 백 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 백 본체(6), 인플레이터(7)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8)으로 구성되는 에어 백 모듈 조립체(9)는 상기 에어 백 하우징(10)에 삽입되어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하여 시트 백(5)의 시트 프레임(11)에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 백의 쿠션 사이즈는 약 25∼30리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이드 에어 백에 사용되는 가스는 압축 가스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프론트 에어 백에 사용되는 소듐-아지드(Sodium-Azide)는 에어 백의 팽창시 발열로 인한 온도가 고온이므로 상기 사이드 에어 백 주위의 시트 재질이 녹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자동차 시트(2)의 시트 백(5) 측부에 장착된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20)은 에어 백 센서와 인플레이터(7)의 작용으로 인하여 팽창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 백(20)은 그 사이드 에어 백(20)이 팽창되었을 때 에어 백 쿠션(22)의 상단부(29)가 상기 시트 백(5)에 장착된 헤드레스트(3)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도록 형성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흉부뿐만 아니라, 두부도 충분히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동시에 사이드 에어 백(21)이 팽창되었을 때 에어 백 쿠션(22)의 하단부(28)가 상기 시트 백(5)의 하부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흉부, 두부 뿐만 아니라 골반부분도 충분히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상기 사이드 에어 백(20)은 제 1 에어백(21), 제 2에어 백(22), 제 3에어백(23)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그 경계부분에는 구멍(26, 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격막(24, 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20)의 팽창시 제 2에어백(22)이 가장먼저 팽창되면서 에어가 구멍(26, 27)을 통과하여 제 1 및 제 3 에어백(21, 23)으로 충전되어 결국에는 상기 에어백(20)이 완전히 팽창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순간적으로 진행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에어 백을 사용하면, 두부용 사이드 에어 백과 흉부용 사이드 에어 백 및 골반용 에어 백이 일체로 통합되어 형성되므로, 에어 백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또한 에어 백 모듈 조립체, 에어 백 하우징 등의 부품이 감소되므로 제조 원가가 감소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 시트의 시트 백 측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 백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 백(20)이 팽창되었을 때 에어 백 쿠션의 상단부(29)는 상기 시트 백(5)에 장착된 헤드레스트(3)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28)는 상기 시트 백(5) 하부보다 더 낮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KR2019960035632U 1996-10-26 1996-10-26 사이드 에어백 KR199800222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632U KR19980022289U (ko) 1996-10-26 1996-10-26 사이드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632U KR19980022289U (ko) 1996-10-26 1996-10-26 사이드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89U true KR19980022289U (ko) 1998-07-15

Family

ID=5398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632U KR19980022289U (ko) 1996-10-26 1996-10-26 사이드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28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427B1 (ko) * 2003-02-11 2005-09-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WO2022255512A1 (ko) * 2021-06-02 2022-12-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427B1 (ko) * 2003-02-11 2005-09-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WO2022255512A1 (ko) * 2021-06-02 2022-12-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8545B1 (en) Twin airbag apparatus
US5564736A (en) Side airbag apparatus
JP3082392B2 (ja) 車両乗員の保護装置
US20060028009A1 (en) Airbag device
US20050029781A1 (en) Dual cushion passenger airbag
US20060197324A1 (en) Advanced protection driver area bag
US6805380B2 (en) Vehicular passive safety device
EP2014522B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EP1236621B1 (en) Vehicular passive safety device
KR19980022289U (ko) 사이드 에어백
KR102361013B1 (ko) 자동차 후방 추돌시 탑승자 목 보호 시스템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21918U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00503298B1 (ko) 자동차용 니이 에어백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0181014B1 (ko) 수동식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48845U (ko) 인스트루먼트 탑재형 운전석 에어백
KR19980048872U (ko) 조수석 에어백의 튜브고정구조
KR100373636B1 (ko) 에어백이구비된차량용안전벨트
KR19980010774U (ko) 운전자 보호용 스티어링 컬럼
KR19980022309U (ko) 체형 감지용 시트 벨트 조절장치
KR19980023467U (ko) 자동차 시트
KR19980022303U (ko) 완충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
KR20020055667A (ko) 시트벨트 연동형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KR19980048893U (ko) 자동차 에어백의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