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315U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11315U KR19980011315U KR2019960024819U KR19960024819U KR19980011315U KR 19980011315 U KR19980011315 U KR 19980011315U KR 2019960024819 U KR2019960024819 U KR 2019960024819U KR 19960024819 U KR19960024819 U KR 19960024819U KR 19980011315 U KR19980011315 U KR 1998001131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module
- tie bar
- airbag
- mounting
- moun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에어백 덮개(11), 하우징(12) 및 장착 브래킷(13)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10)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횡으로 배치된 타이바(tiebar) (20)간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에어백 모듈(10)과 타이바(20)의 정상적인 장착 상태에서 압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15)이 상기 장착 브래킷(13)에 삽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모듈에 가해지는 비교적 강한 충격력을 완전히 홉수 및 완화시킬 수 있어 에어백 모듈 자체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과 타이바(tiebar)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에어백 모듈 자체를 보호할 뿐 아니라 타이바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돌발 사고에 대비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치명적인 고속 주행시 전방 충돌 사고에 대비해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는 에어백이 설치 되는 바, 이는 에어백이 안전도면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 되있기 때문이며, 이에따라 가장 널리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 같은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에어백 모듈내에 내장되어 제조 되는 바, 운전자용은 운전대에 설치되며, 조수용은 인스투르먼트패널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이중 조수용 에어백 모듈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일측, 즉 조수석 전방에는 수납홈(2), 천공 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백 모듈(3)은 일반적으로 덮개(4),하우징(5) 및 장착브래킷(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inflator)가 내장 되어 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터에는 커넥터(7)가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7)에는 예컨대, 대쉬센서, 프리텐서너 또는 SRS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유닛이 연결되어 있어 자동차의 충돌 또는 급정거시 적시에 신호를 공급받아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다.
이 같은 에어백 모듈(3)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 하부에 횡으로 설치된 타이바(8)에 장착 된다. 즉, 하우징(5)의 양측 하방에 형성된 2개의 장착 브래킷(6)이 타이바(8)에 형성된 고정 브래킷(9)에 볼트 고정되므로써 모듈(3)의 장착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 같은 타이바(8)에 대한 에어백 모듈(3)의 장착 방식은 외부 충격에 매우 약할 뿐 아니라 충격 흡수 능력이 부족하므로 쉽게 에어백 모듈이 손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어백 모듈(3)의 하우징(5)은 단지 장착 브래킷(6)에 의해 타이바에 장착되므로써 에어백모듈 또는 타이바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장착 브래킷(6)은 이 같은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 시키지 못해 에어백 모듈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수의 머리 또는 신체가 에어백 모듈(3)의 덮개(4)에 충돌될 수 있는바, 이때 그 같은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해 조수석 탑승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에어백 모듈 자체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전술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이 타이바에 고정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본 고안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백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 에어백 모듈 자체를 보호할 뿐 아니라 충격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를 탄성 방식으로 장착 시킨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이 타이바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며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백 모듈11: 에어백 덮개
12: 하우징13: 장착 브래킷
14: 커넥터15: 스프링
20: 타이바21: 고정 브래킷
B: 볼트
이 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에어백 덮개, 하우징 및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황으로 배치된 타이바간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정상적인 장착 상태에서 양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이 상기 장착 브래킷에 상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 구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덮개(11), 하우징(12) 및 장착 브래킷(13)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2)에는 통상적으로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커넥터(14)를 통해 에어백 작동 신호가 수신되어 인플레이터가 폭발되며 이에따라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에어백 모듈(10)의 하우징(12)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래킷(13)에는 스프링(15)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은 일정 강도의 탄성력을 지니는 탄성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링(15)은 에어백 모듈(10)이 타이바(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정 강도의 탄성부하가 가해지도록 장착 브래킷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모듈(10)을 타이바(20)에 장착하는 방식 및 그것의 작동 모드에 의하면, 에어백모듈(10)의 하우징(12)에 고정된 장착 브래킷(13)을 타이바(20)에 제공된 고정 브래킷(21)에 배치한 후 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 시킨다. 이때, 장착 브래킷(13)에는 스프링(15)이 감겨져 있어 장착 브래킷(13)의 장착과 동시에 스프링이 에어백 모듈(15)에 장착된다.
이 같은 장착 구조에 따라, 에어백 모듈(10) 또는 타이바(20)에 충격이 가해져 장착 브래킷(13)에 전달되면 일정 강도의 충격은 자체적으로 흡수 또는 완화 시킨다. 그러나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장착 브래킷(13)이 변형되거나 파열되는 바 이때 장착 브래킷(13) 주변에 감겨진 스프링(15) 자체 및/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브래킷(13)의 파열을 방지할 뿐 아니라 충격력을 완전히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장착 구조를 이용하여 에어백 모듈을 타이바에 장착하면,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 사이에 탄성 스프링이 제공되어 있어 에어백과 모듈 또는 타이바에 충격이 가해져 브래킷이 변형되거나 파열되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 및 완충력에 의해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 또는 완화 시킬 수 있다. 이에따라 만일의 경우 전개 되지 못한 에어백 덮개에 조수석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하는 경우 심각한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에어백 모듈 자체의 손상이 방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 에어백 덮개(11), 하우징(12) 및 장착 브래킷(13)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10)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횡으로 배치된 타이바(tiebar)(20)간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10)과 타이바(20)의 정상적인 장착 상태에서 압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15)이 상기 장착 브래킷(13)에 삽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4819U KR19980011315U (ko) | 1996-08-19 | 1996-08-19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4819U KR19980011315U (ko) | 1996-08-19 | 1996-08-19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1315U true KR19980011315U (ko) | 1998-05-25 |
Family
ID=5397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4819U KR19980011315U (ko) | 1996-08-19 | 1996-08-19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11315U (ko) |
-
1996
- 1996-08-19 KR KR2019960024819U patent/KR19980011315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9780B1 (ko) |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 |
JPH09267709A (ja) | 膨張式抑止モジュール | |
CN115210113A (zh) | 用于在即将发生碰撞的事件中吸收冲击的机动车辆零件膨胀系统 | |
US6305711B1 (en) | Vehicle safety apparatus including movable infl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 |
KR19980011315U (ko)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장착구조 | |
KR19980011316U (ko) | 충격 흡수용 에어백 모듈 | |
KR100313321B1 (ko) | 차량의탑승자보호장치 | |
KR100348571B1 (ko) |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 |
KR100559894B1 (ko) |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충격 흡수장치 | |
KR100193077B1 (ko) |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 |
KR200144252Y1 (ko) |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 |
KR0150904B1 (ko) |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 |
KR20090050243A (ko) |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KR910009168Y1 (ko) |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 |
KR200177709Y1 (ko) |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장치 | |
KR200193453Y1 (ko) |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 |
KR19980011314U (ko) |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 |
KR100242195B1 (ko) | 자동차용 안전장치 | |
KR19980046868A (ko) |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 |
KR200143174Y1 (ko) | 에어백 시스템이 부가된 차량용 안전벨트장치 | |
KR200157334Y1 (ko) |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 |
KR19980012175U (ko) | 에어백을 장착한 범퍼 | |
KR101329009B1 (ko) |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 |
KR0181845B1 (ko) |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 |
KR0114406Y1 (ko) |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