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009B1 -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009B1
KR101329009B1 KR1020070081342A KR20070081342A KR101329009B1 KR 101329009 B1 KR101329009 B1 KR 101329009B1 KR 1020070081342 A KR1020070081342 A KR 1020070081342A KR 20070081342 A KR20070081342 A KR 20070081342A KR 101329009 B1 KR101329009 B1 KR 10132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using
module
pres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969A (ko
Inventor
한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0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은,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울크로스 멤버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내부에 일정공간을 가지며, 상기 일정공간에는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이 내장되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이 인출되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며, 차량 충돌시 상기 에어백에 의하여 일단부가 파괴되면서 운전석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백의 처짐을 방지하는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에어백 하우징을 카울크로스 멤버에 장착하고,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는 에어백이 전개될 때 상기 에어백이 가이드 되도록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에어백의 전개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에어백, 모듈, 조이스틱, 자동차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 하우징을 카울크로스 멤버에 장착하고,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는 에어백이 부풀려질 때 가이드 되도록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에어백의 전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안전벨트와 더불어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센서 및 전자제어장치(ECU)가 충격을 감지하고 순간적으로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고, 인플레이터에서 압축가스를 방출되면서 에어백을 부풀려서 운전자의 얼굴과 가슴 등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 모듈 중에서 특히, 운전석에 사용되는 에어백 모듈(Driver Air Bag Module)은 일반적으로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가 전방으로 향하려는 관성에 의하여 스티어링휠에 안면부 나 흉부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차량의 조향을 기계적인 작동방식이 아닌 모터나 센서 등의 전기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조향하는 SBW(Steer-by-wire)기술이 개발되면서,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조향하는 조이스틱 조향장치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이스틱 조향장치가 설치될 경우 차량의 충돌시 엔진룸으로부터 객실로 전달되는 밀림이 감소되어 승객의 안전이 어느 정도 확보되고 있다. 즉, 스티어링 칼럼 및 휠이 없기 때문에 운전석 앞부분의 공간이 보다 넓게 확보되어 자유로운 승하차는 물론 충돌시 보다 넓은 안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차량에 조이스틱 조향장치를 사용되더라도, 에어백을 장차하지 않으면, 충돌시 승객이 큰 위험에 노출되며 특히,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가 크래쉬패드에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 운전자에 치명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하우징을 카울크로스 멤버에 장착하고,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는 에어백이 부풀려질 때 가이드 되도록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에어백의 전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은,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울크로스 멤버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내부에 일정공간을 가지며, 상기 일정공간에는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이 내장되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이 인출되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며, 차량 충돌시 상기 에어백에 의하여 일단부가 파괴되면서 운전석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백의 처짐을 방지하는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30)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에 의하면, 에어백 하우징을 카울크로스 멤버에 장착하고,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는 에어백이 전개될 때 상기 에어백이 가이드 되도록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에어백의 전개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에서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조이스틱(13)이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10)에는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은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울크로스 멤버(11)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충돌시 센서 및 전자제어장치(ECU)가 충격을 감지하여 인플레이터(31)를 작동시킴으로써, 에어백(33)이 전개된다.
에어백 모듈은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울크로스 멤버(11)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20)과, 내부에 일정공간을 가지며, 상기 일정공 간에는 인플레이터(31) 및 에어백(33)이 내장되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20)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30)을 포함한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30)의 전면에는 상기 에어백(33)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30)에서 인출 즉, 전개될 때 전개되는 에어백(33)을 지지하도록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40)를 더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40)는 에어백 하우징(30)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크래쉬 패드(10)에 설치되며,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33)에 의하여 상단부가 파괴되면서 운전석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백(33)의 처짐을 한다.
한편, 에어백 하우징(30)을 지지하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20)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30)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브래킷(21, 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래킷(21, 23)은 카울크로스 멤버(11)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조이스틱 조향장치용 에어백 모듈은 차량 충돌시 에어백 하우징(30)에서 에어백(33)이 전개될 때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40)의 상측이 에어백(33)의 전개되는 힘에 의하여 파귀되어 하측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운전석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운전석측으로 전개되는 에어백(33)이 쳐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에어백(33)의 전개효과가 향상되어 운전자의 안전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 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에서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크래쉬 패드 11 : 카울크로스 멤버
20 : 마운팅 브래킷 30 : 에어백 하우징
31 : 인플레이터 33 : 에어백
40 :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

Claims (2)

  1.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는 조이스틱
    에어백을 고압 가스로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가 구비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지지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면 일측과 상기 카울크로스 멤버의 전면쪽으로 부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카울크로스 멤버의 후면에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보다 후측으로 길게 부착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2. 삭제
KR1020070081342A 2007-08-13 2007-08-13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KR10132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42A KR101329009B1 (ko) 2007-08-13 2007-08-13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42A KR101329009B1 (ko) 2007-08-13 2007-08-13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69A KR20090016969A (ko) 2009-02-18
KR101329009B1 true KR101329009B1 (ko) 2013-11-12

Family

ID=4068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342A KR101329009B1 (ko) 2007-08-13 2007-08-13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0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951A (ja) * 1989-01-23 1990-12-1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JPH05238344A (ja) * 1992-02-27 1993-09-17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ユニット取付構造
JPH0680058A (ja) * 1992-09-01 1994-03-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KR20010059768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951A (ja) * 1989-01-23 1990-12-1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JPH05238344A (ja) * 1992-02-27 1993-09-17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ユニット取付構造
JPH0680058A (ja) * 1992-09-01 1994-03-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KR20010059768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69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KR101230828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EP2699454B1 (en) Unification airbag module
JP498754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用案内プレート
JPH09123863A (ja) 脚部保護装置
US20150074969A1 (en) Integrated passenger airbag
GB2349616A (en) Vehicle having a roof mounted inflatable cushion
JPH09123862A (ja) 脚部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329009B1 (ko)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KR10064000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CN112236337B (zh) 远侧安全气囊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1042760B1 (ko) 커튼 에어백 장착용 브래킷
KR100503298B1 (ko) 자동차용 니이 에어백
KR20090089994A (ko) 무릎 에어백 쿠션
KR20090050243A (ko)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088293B1 (ko)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20050101403A (ko) 탑 마운트 방식 운전자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200420470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100569414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의 조립구조
KR20090117471A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20060100823A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구조
KR20060073066A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장치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