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084A -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084A
KR20060070084A KR1020040108709A KR20040108709A KR20060070084A KR 20060070084 A KR20060070084 A KR 20060070084A KR 1020040108709 A KR1020040108709 A KR 1020040108709A KR 20040108709 A KR20040108709 A KR 20040108709A KR 20060070084 A KR20060070084 A KR 2006007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assenger
inflator
vehic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0084A/ko
Publication of KR2006007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의 팽창시 가스의 흐름 방향을 승객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에어백을 팽창시켜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한 펀치아웃(Punch Out)현상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장치가 차량의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돌센서(1)의 신호를 이용해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백ECU(2)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에어백어셈블리(3)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백어셈블리(3)는 에어백ECU(2)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인플레이터(4)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흐름이 회전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카울크로스바(CB)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감아 올린 흐름유도덕트(5) 및 상기 흐름유도덕트(5)의 끝단부위에 장착된 PAB하우징(6a)내부로 구비되어 대쉬보드로부터 승객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6b)으로 이루어진 PAB모듈(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Passenger's airbag system for decreasing punch out phenomenon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장치의 펀치아웃현상 저감 전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돌센서 2 : 에어백ECU
3 : 에어백어셈블리 4 : 인플레이터
5 : 흐름유도덕트 6 : PAB모듈
6a : PAB하우징 6b : 에어백
CB : 카울크로스바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쪽으로 급격하게 돌출되면서 팽창되는 펀치아웃현상을 저감하도록 된 조수석에어백장 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성능이 발달함과 아물러 도로의 포장 상태가 향상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탑승객의 부상도 매우 심하게 되는 경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충돌시 탑승객의 거동에 의한 이동 위치에 충격을 흡수·완충할 수 있는 에어백을 장착하게 되어 특히, 차량 충돌시 충격으로 인하여 운전대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및 전면 윈드 쉴드 글래스등에 부딪혀서 인명의 손실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충돌시 운전자나 탑승객의 부상을 저감시키는 에어백 시스템은, 정면 충들시 승객과 조향 휠 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과의 사이에 순간적으로 백(BAG)을 가스로 팽창시켜 승객의 운동에너지를 홉수하므로써 탑승자의 2차 상해를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차량의 충돌을 잘 감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체의 충격량을 검출하는 다수의 충격 가속도 검출센서와, 에어백의 제동작을 제어하는 에어백마이컴, 이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따라 뇌관을 점화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및 이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쿠션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감지하는 가속도 검출 센서의 충격 신호를 인식한 에어백마이컴이 인플레이터의 뇌관을 점화시켜 가스발생재를 연소시킴에 따라, 급격하게 발생된 가스가 쿠션으로 유입되면서 운전자나 탑승객쪽으로 부풀어 지면서 전개되어져 전면 상체와 접촉하면서 충돌에 의한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2차 상해를 경감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 중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에어백(Passenger Air Bag)은 통상적으로 차폭을 가로지르는 카울크로바위에 얹혀져 볼트등으로 고정되고, 전개시 대쉬보드상에 형성된 커버부위를 찢고 즉, 상기 카울크로스바부위에서 대쉬보드의 커버부위까지 전개 경로상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시 카울크로스바 부위에서 대쉬보드의 커버부위까지 전개 경로상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에어백이 전개되면,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의 흐름이 승객쪽을 향하게 되므로 급격히 팽창되는 에어백이 승객의 정면에 충격을 가하는 특히, 승객이 OOP(Out Of Position)상태일 경우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해 부상을 입는 펀치아웃(Punch Out)현상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에어백의 팽창시 가스의 흐름 방향을 승객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에어백을 팽창시켜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한 펀치아웃(Punch Out)현상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장치가 차량의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돌센서의 신호를 이용해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백ECU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에어백어셈블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백어셈블리는 에어백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발생 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흐름이 승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카울크로스바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감아 올린 흐름유도덕트 및 상기 흐름유도덕트의 끝단부위에 장착된 PAB하우징내부로 구비되어 대쉬보드로부터 승객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으로 이루어진 PAB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돌센서(1)의 신호를 이용해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백ECU(2)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에어백어셈블리(3)가
상기 에어백ECU(2)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인플레이터(4)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흐름이 승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카울크로스바(CB)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감아 올린 흐름유도덕트(5) 및 상기 흐름유도덕트(5)의 끝단부위에 장착된 PAB하우징(6a)내부로 구비되어 대쉬보드로부터 승객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6b)으로 이루어진 PAB모듈(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4)는 카울크로스바(CB)를 기준으로 카울크로스바(CB)의 위쪽부위로 위치되어 가스 발생시 하 방향으로 가스를 분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덕트(5)는 인플레이터(4)의 가스 배출구를 감싸면서 인플레이터(4)와 PAB모듈(6)사이에서 카울크로스바(CB)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약 2/3이상 감아 올려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을 감지한 충돌 센서(1)의 신호를 받은 에어백ECU(2)가 인플레이터(4)를 폭발시키게 되면, 상기 인플레이터(4)로부터 고속으로 분출하는 가스는 인플레이터(4)의 가스 배출구를 감싼 흐름덕트(5)를 통해 서로 흐름 경로를 달리하면서 PAB모듈(6)의 에어백(6b)을 팽창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에어백(6b)이 대쉬보드의 커버를 찢고 조수석 승객쪽으로 전개되어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6b)은 승객쪽으로 팽창되더라도 가스의 흐름에 의해 하 방향(승객으로부터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에어백(6b)을 당겨주는 앤티 펀치 아웃력(Anti-Punch Out Force)을 발생해 승객이 OOP(Out Of Position)상태일 경우라도 팽창되는 에어백(6b)의 강한 압력에 의한 펀치아웃(Punch Out)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인플레이터(4)가 에어백ECU(2)에 의해 폭발되어 가스가 분출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4)의 가스 배출구를 감싼 흐름유도덕트(5)로 가스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흐름유도덕트(5)를 지난 가스 흐름은 카울크로스바(CB)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약 2/3이상 감아 올린 구조로 인해 카울크로 스바(CB)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이어, 상기 흐름유도덕트(5)를 통과한 가스는 PAB모듈(6)내로 유입되어 에어백(6b)을 팽창시키면서 에어백(6b)이 대쉬보드의 커버를 찢고 승객쪽으로 전개되도록 하는데, 이때 대쉬보드로부터 전개되는 에어백(6b)에는가스의 유입에 따른 팽창과 더불어 카울크로스바(CB)를 지나면서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갖는 가스의 흐름에 의해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인플레이터(4)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카울크로스바(CB)를 감아 올린 흐름유도덕트(5)를 통과해 PAB모듈(6)의 에어백(6b)으로 유입되는 흐름 경로에 따라, 상기 가스는 에어백(6b)의 승객쪽 팽창에 반하는 하 방향(승객으로부터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에어백(6b)을 당겨주는 앤티 펀치 아웃력(Anti-Punch Out Force)을 발생해 승객이 OOP(Out Of Position)상태일 경우라도 팽창되는 에어백(6b)의 강한 압력에 의한 펀치아웃(Punch Out)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흐름 방향을 카울크로스바의 저면으로 우회하면서 발생되는 시계 방향의 회전력으로 에어백의 팽창력을 승객의 반대 방향으로 분산하게 되어 OOP(Out Of Position)상태의 승객에 대한 펀치아웃(Punch Out)현상을 약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차량의 전방부위로 구비된 충돌센서(1)의 신호를 이용해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백ECU(2)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에어백어셈블리(3)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백어셈블리(3)는 에어백ECU(2)의 제어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인플레이터(4)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흐름이 회전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카울크로스바(CB)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감아 올린 흐름유도덕트(5) 및 상기 흐름유도덕트(5)의 끝단부위에 장착된 PAB하우징(6a)내부로 구비되어 대쉬보드로부터 승객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6b)으로 이루어진 PAB모듈(6)로 구성된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덕트(5)는 인플레이터(4)의 가스 배출구를 감싸면서 인플레이터(4)와 PAB모듈(6)사이에서 카울크로스바(CB)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2/3이상 감아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KR1020040108709A 2004-12-20 2004-12-20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KR20060070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709A KR20060070084A (ko) 2004-12-20 2004-12-20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709A KR20060070084A (ko) 2004-12-20 2004-12-20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084A true KR20060070084A (ko) 2006-06-23

Family

ID=3716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709A KR20060070084A (ko) 2004-12-20 2004-12-20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00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331B2 (en) 2007-12-15 2011-06-28 Hyundai Motor Company Passenger airbag structure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331B2 (en) 2007-12-15 2011-06-28 Hyundai Motor Company Passenger airbag structur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909B1 (ko)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구조
US20100171295A1 (en) Driver&#39;s air bag
KR20060070084A (ko)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KR100563857B1 (ko) 가스 흐름을 이용한 다단 점화 조절 타입 에어백장치
KR100512427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JP405115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100599571B1 (ko) 후방승객 보호 강화용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JP3953870B2 (ja) 車両のエアバックシステム
KR20050101403A (ko) 탑 마운트 방식 운전자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KR10055732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461364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KR100643585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
KR102192258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094693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CN117396369A (zh) 用于斜向碰撞保护的气囊
KR100618762B1 (ko) 자동차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20040023323A (ko) 복수의 테더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
KR19980049064A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의 가스배출조절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