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344B1 -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344B1
KR100680344B1 KR20050111009A KR20050111009A KR100680344B1 KR 100680344 B1 KR100680344 B1 KR 100680344B1 KR 20050111009 A KR20050111009 A KR 20050111009A KR 20050111009 A KR20050111009 A KR 20050111009A KR 100680344 B1 KR100680344 B1 KR 10068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airbag
main connector
receiv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1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1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차작업시 에어백 장치를 실차상태에서 무선 조작하여 통합 폭발처리시 상기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낼 필요없이 피복을 뚫고 와이어링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접지 니들(needle)을 갖는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와 연결시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내야 하는 수고를 덜어내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폐차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차, 와이어링 연결장치, 메인 커넥터부, 메인 커버부, 사이드 커버부

Description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Wiring connector for airbag in scrapped ca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결합도,
도 4는 통상의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에서 전원 및 점화신호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어링 연결장치 11,12 : 홀
13 : 메인 커넥터부 13a : 걸림홈
14 : 메인 커버부 14a : 걸림턱
15 : 접지 니들 16,17 : 고정체
16a,17a : 홀 18,19 : 사이드 커버부
18a,19a : 홀 18b,19b : 삽입홈
본 발명은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차작업시 에어백 장치를 실차상태에서 무선 조작하여 통합 폭발처리시 상기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낼 필요없이 피복을 뚫고 와이어링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접지 니들(needle)을 갖는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내야 하는 수고를 덜어내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는 것이 사고 발생시의 승객 안전도이며, 최근에는 자동차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이 예전의 단순한 주행성능 대비보다는 승객을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느냐의 안전성능 대비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이에 자동차에는 충돌시의 승객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안전장치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각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이들 장치의 개선 및 새로운 안전장치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여러 안전장치들 중에서도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에어백 시스템이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에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 쿠션이 순간 팽창되면서 승객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 주어 승객의 머리와 가슴부위를 보호하고 부상의 정도를 최소화 하게 된다.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 상부 허브나 조수석의 크래쉬 패드 내부에 에어백 하우징이 장착되고, 이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는 에어백 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가스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이 인플레이터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폴딩상태로 내장되는 에어백 쿠션 등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에서, 에어백 ECU는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기계적 또는 전기적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신호가 소정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에어백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에어백 전개용 전류 드라이버(또는 파워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므로 에어백을 전개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배터리(1)가 내장된 송신모듈(2)이 일정한 전류를 와이어링(5)을 통해 송신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3)에 들어 있는 인플레이터(4) 내 수신장치에 강한 전류가 소정 시간 이상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화약이 폭발함과 동시에 폭발가스가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부풀려 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도록 하는 힘은 인플레이터(4)에 내장된 화약의 폭발시에 발생한 가스의 팽창압에 의한 것이며, 현재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에서 팽창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화약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 상기와 같이 화약의 사용으로 인해 폭발위험부품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러한 폭발위험부품의 경우 특히 폐차시 그 처리에 많은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하, 상기 에어백 시스템을 차상에서 통합 폭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그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폐차의 배터리(1)를 탈거하고, 송신모듈(2)과 결합되는 차량측 와이어링을 절단하여 피복을 벗긴 후,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미도시)의 연결부에 연결한다.
다음으로는, 별도의 전원 연결 후, 상기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의 버튼을 눌러 차량에 장착된 폭발위험부품을 처리한다. 유해가스 정화 후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를 폐차에서 분리한다.
이와 같이 작동되어 차량의 폭발위험부품을 해체하는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내어 장치에 연결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의 과다 소요 및 작업자의 능률 저하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폐차작업시 에어백 장치를 실차상태에서 무선 조작하여 통합 폭발처리시 상기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낼 필요없이 피복을 뚫고 와이어링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접지 니들(needle)을 갖는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별도로 구 비함으로써,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와 연결시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내야 하는 수고를 덜어내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폐차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버튼 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이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모듈의 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이 수신모듈의 수신 신호에 의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이 마이컴으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파워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수신장치와; 폭발위험부품들의 스퀴브가 연결된 에어백 와이어링 및 상기 수신장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워 드라이버에 의해 인가된 점화전류가 흐르게 되는 와이어링 연결장치로 구성된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연결장치는, 상부와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커넥터부와;
상기 메인 커넥터부의 상부를 덮어 삽입된 에어백 와이어링을 고정하는 메인 커버부와;
상기 수신장치의 와이어링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뚫고 통전되도록 하는 그 끝이 바늘 형상인 접지 니들과;
상기 수신장치의 와이어링이 연결된 접지 니들이 홀을 통해 삽입된채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수신장치의 와이어링이 홀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를 사이에 두고 메인 커넥터부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는 사이드 커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 등, 폐차의 폭발위험부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는 버튼 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이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송신장치(100)와; 상기 송신모듈의 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이 수신모듈의 수신 신호에 의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이 마이컴으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파워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200)와; 폭발위험부품들의 스퀴브가 연결된 에어백 와이어링(300) 및 상기 수신장치(2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워 드라이버에 의해 인가된 점화전류가 흐르게 되는 와이어링 연결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인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상부와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11,12)이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메인 커넥터부(13)와, 상기 메인 커넥터부(13)의 상부를 덮어 삽입된 에어백 와이어링(300)을 고정하는 메인 커버부(14)와, 상기 수신장치(200)의 와이어링(210)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부(13)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12)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백 와이어링(300)의 피복을 뚫고 통전되도록 하는 그 끝이 바늘 형상인 접지 니들(15)과, 상기 수신장치(200)의 와이어링(210)이 연결된 접지 니들(15)이 홀(16a,17a)을 통해 삽입된채 결합되는 고정체(16,17)와, 상기 수신장치(200)의 와이어링(210)이 홀(18a,19a)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16,17)를 사이에 두고 메인 커넥터부(13)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는 사이드 커버부(18,19)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커넥터부(13)의 정면부에는 걸림홈(13a)이, 상기 메인 커버부(14)의 정면부에는 걸림턱(14a)이 구비되어 삽입된 에어백 와이어링(3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커넥터부(13)와 사이드 커버부(18,19)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체(16,17)는 상하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커버부(18,19)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체(16,17)가 꼭 맞게 삽입되는 삽입홈(18b,19b)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연결장치가 구비된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차의 에어백 컨트롤 모듈에서 와이어링 커넥터를 분리한다.
이후,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를 절단한 다음, 에어백 와이어링(300)을 와이어링 연결장치(10)의 메인 커넥터부(13)의 상부측 홀(11)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메인 커버부(14)의 걸림턱(14a)과 상기 메인 커넥터부(13)의 걸림홈(13a)을 결합하여 삽입된 에어백 와이어링(300)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수신장치(200)의 와이어링(210)에 연결된 접지 니들(15)을 상부와 측면부가 연통된 홀(11,12)에 삽입하여 상기 접지 니들(15)이 상기 에어백 와이어링(300)의 피복을 뚫고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홀(18a,19a)을 통해 상기 수신장치(200)의 와이어링(210)이 삽입된 사이드 커버부(18,19)를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200)의 와이어링(210)과 상기 에어백 와이어링(300)이 와이어링 연결장치(10)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로 연결된 와이어링에 폭발신호를 전송하여 에어백을 폭발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에 의하면,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와 연결시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내 야 하는 수고를 덜어내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폐차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버튼 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이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모듈의 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이 수신모듈의 수신 신호에 의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이 마이컴으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파워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수신장치와; 폭발위험부품들의 스퀴브가 연결된 에어백 와이어링 및 상기 수신장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워 드라이버에 의해 인가된 점화전류가 흐르게 되는 와이어링 연결장치로 구성된 에어백 폭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연결장치는, 상부와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커넥터부와;
    상기 메인 커넥터부의 상부를 덮어 삽입된 에어백 와이어링을 고정하는 메인 커버부와;
    상기 수신장치의 와이어링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백 와이어링의 피복을 뚫고 통전되도록 하는 그 끝이 바늘 형상인 접지 니들과;
    상기 수신장치의 와이어링이 연결된 접지 니들이 홀을 통해 삽입된채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수신장치의 와이어링이 홀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를 사이 에 두고 메인 커넥터부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는 사이드 커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터부의 홀에 삽입된 에어백 와이어링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 커넥터부의 정면부에는 걸림홈이, 상기 메인 커버부의 정면부에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터부와 사이드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체가 상하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커버부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체가 꼭 맞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KR20050111009A 2005-11-19 2005-11-19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KR10068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009A KR100680344B1 (ko) 2005-11-19 2005-11-19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009A KR100680344B1 (ko) 2005-11-19 2005-11-19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344B1 true KR100680344B1 (ko) 2007-02-08

Family

ID=3810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11009A KR100680344B1 (ko) 2005-11-19 2005-11-19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34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26905A1 (en) Side air bag for a motor vehicle
KR100680344B1 (ko)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JPH1129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JPH07115624B2 (ja) 乗物用エアバツグ装置
KR100527929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KR200418224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클립
KR100503297B1 (ko) 측면에어백
KR100644468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처리 장치
JP3502535B2 (ja) 乗員保護装置
JP4152217B2 (ja) トリガ発生装置
KR100287074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무선 원격 구동시스템
KR20000019658A (ko) 에어백 모듈
KR1003975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JPS63212148A (ja) 自動車におけるエアバツグモジユ−ルの誤作動防止装置
JPH0880801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01538B1 (ko) 시트벨트 결합형 에어백 장치
KR20060034319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391610B1 (ko) 폭발 소음 저감형 에어백 시스템
JPH07112798B2 (ja) 自動車におけるエアバツグモジユ−ルの誤作動防止装置
KR100938531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0417384B1 (ko) 승객용 에어백 연결장치
JPH0958403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配線構造
KR19980064276U (ko) 차량 사고시 구조 신호 발생장치
KR19980065967U (ko)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KR1999001049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