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576U -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576U
KR19980024576U KR2019960037965U KR19960037965U KR19980024576U KR 19980024576 U KR19980024576 U KR 19980024576U KR 2019960037965 U KR2019960037965 U KR 2019960037965U KR 19960037965 U KR19960037965 U KR 19960037965U KR 19980024576 U KR19980024576 U KR 199800245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ccident
collision
frequency
ope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4576U/ko
Publication of KR19980024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57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81Transmission medium
    • B60R2021/01088Transmission medium wire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중인 자동차가 충돌이나 추돌 등의 사고로 안전장치인 에어백이 작동할 정도의 중대 사고시에 사고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피해자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함과 동시에 가해자의 도주등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도록 에어백 작동시 고유의 주파수가 발생시키는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사고 위치 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충격감지 센서로 부터 입력을 받는 감지진단 모듈과, 주파수 송출장치로 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본 고안은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중인 자동차가 충돌이나 추돌 등의 사고로 안전장치인 에어백이 작동할 정도의 중대 사고시에 사고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피해자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함과 동시에 가해자의 도주등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도록 에어백 작동시 고유의 주파수가 발생시킬수 있도록 자동차 충돌시 에어백 시스템의 충격감지센서가 감지진단 모듈에 신호를 보내면 감지진단 모듈이 입력된 값과 기준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이상의 입력값이 입력되면 주파수 송출장치에 출력 신호를 보내 제조업체 고유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사고시 안전장치의 미비로 인하여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근래에는 각종 안전 장치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어서 자동차 충돌 등으로 인한 사고시 그 피해가 감소되는 추세이다.
상기 안전장치의 종류로는 범퍼에 에너지 압소바, 임팩트빔 등으로 보강된 자동차 범퍼와 충돌시 작동되는 에어백 시스템 그리고 자동차 사고시 운전자의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순간적으로 조여주는 프리텐셔너 등이 있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 충돌시 운전자와 스티어링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대시판넬 사이에 충돌 순간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여, 부상을 최소한으로 멈추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운전자가 시트 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여 대형 에어백을 쓰는 시스템 또는 3점식 벨트를 장착했을 경우에 만든 약간 소형이면서 안면보호를 목적으로한 에어백 시스템이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시스템의 전개장치에는 충돌을 센서에 의하여 전기로 감지하고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는 전기식 장치이 있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원리는 센서가 충돌을 감지하여 그 전기적 신호를 감지진단 모듈(S.D.M.-Sensor Diagnostic Module)에 보내면 감지진단 모듈은 여기에 연결된 운전자용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충돌을 감지한 감지진단 모듈은 거의 동시에 스티어링휠의 중앙부위에 내장된 에어백과 연결된 인플레이터의 점화장치를 점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질소등의 가스가 발생하고 발생한 가스가 에어백 내부를 폭발적으로 팽창시키면서 에어백을 덮고 있는 커버의 절개표시부위를 찢으면서 돌출되어 운전자를 보호하게 되어 있다.
상기 프리텐셔너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시스템으로 안전벨트의 끝단에 미리 압축된 스프링을 형성시키고 이를 자동차 충돌시 압축력을 해제시켜 안전벨트를 강제로 조여주는 안전벨트 시스템이다. 보통 시트 벨트는 추돌이나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것으로 2점식, 3점식, 4점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안전장치들은 사고 발생시 치명적인 1차부상으로부터는 어느 정도 탑승자의 안전을 지켜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탑승자의 부상을 완전히 막아주지는 못한다. 즉 상기와 같은 여러종류의 안전장치가 있더라도 자동차 사고의 특성상 여전히 운전자나 탑승자의 안전은 그 사고정도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고, 중대한 부상이 있을시는 사고자나 가해자에게 도움을 줄만한 비상전화나, 사고자를 구조할 인원이 없을 경우 사고자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가해자측이 사고를 내고 도주할시에 사고자의 부상정도가 클 경우에는 사고자가 아무런 상황 조치도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백 시스템이 작동할 정도의 중대 사고 발생시 실시간으로 에어백 시스템 작동과 동시에 고유주파수를 발생하는 사고위치 송출장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에어백 시스템 작동하여 충격센서가 충돌을 감지하여 그 전기적 신호를 감지진단 모듈에 보내면 감지진단 모듈은 여기에 연결된 운전자용 에어백을 전개시킴과 동시에 충격센서의 신호를 받은 감지진단 모듈이 주파수 송출장치를 작동시키는 주파수 송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감지센서 (2) : 감지진단 모듈
(3) : 주파수 송출장치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데 사용되는 충격감지센서(1)가 감지진단 모듈(2)에 신호를 보내면 감지진단 모듈(2)이 주파수 송출장치(3)에 입력 신호를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보면 자동차가 충돌이나 추돌 등의 사고로 인하여 에어백이 작동할 정도의 충격을 받으면 충격량을 감지한 충격감지센서(1)가 이러한 충격량을 감지진단 모듈(2)로 보내고, 입력 신호를 받은 감지진단 모듈(2)은 미리 설정된 비교값에 따라 입력된 충격량의 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주파수 송출장치(3)에 입력 신호를 보내면 주파수 송출장치(3)가 고유주파수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송출장치에 의하여 주파수가 송출되면 이를 감지한 관련 기관의 요원들이 출동하여 사고자를 구하게 되고, 가해자가 도주시 일정 구역내에 대기하고 있는 관계 기관의 차적 조사에 걸리게 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기존의 에어백 작동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파수 송출장치만을 추가하면 됨으로 추가적인 비용이 적게 들고 ,운전중인 자동차가 충돌이나 추돌 등에 의하여 에어백이 작동할 정도의 중대 사고시 그 사고위치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해 피해자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함과 동시에 가해자의 도주등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도록 각 자동차 제조업체 고유의 주파수를 송출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충돌시 에어백 시스템의 충격감지센서(1)가 충격량을 감지후, 감지진단 모듈(2)에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감지진단 모듈(2)이 입력값에 따라 기준 설정된 값 이상의 입력값이 입력되면 주파수 송출장치(3)에 출력 신호를 보내 고유의 주파수를 발생시켜서 사고 위치를 알릴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장치.
KR2019960037965U 1996-10-31 1996-10-31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KR199800245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965U KR19980024576U (ko) 1996-10-31 1996-10-31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965U KR19980024576U (ko) 1996-10-31 1996-10-31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576U true KR19980024576U (ko) 1998-07-25

Family

ID=5398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965U KR19980024576U (ko) 1996-10-31 1996-10-31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45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98B1 (ko) * 2013-02-06 2014-04-07 주식회사 인피니티플러스 자동차 에어백 동작 감지시스템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98B1 (ko) * 2013-02-06 2014-04-07 주식회사 인피니티플러스 자동차 에어백 동작 감지시스템 및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53B2 (en) Inflator system
MY120731A (en) Control appratus for passenger restraining safety devices
SE9603521D0 (sv) Krockenergiabsorberande anordning för fordon
JP2532323B2 (ja) 乗物用乗員拘束装置
KR19980024576U (ko)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KR0128186Y1 (ko) 차량충돌시의 긴급구조신호 발생시스템
KR100527929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0167624B1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
KR200142140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EP1203702B1 (en) Safety system with a plurality of expandable and releasable protective elements
KR100644468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처리 장치
KR200143174Y1 (ko) 에어백 시스템이 부가된 차량용 안전벨트장치
KR0158356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KR100254549B1 (ko) 차량의 차체 파손 사고시 탑승자 구조장치
KR100337821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기폭 제어장치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JPH06219237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201469B1 (ko)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KR19990038172U (ko) 에어백이 내장된 어린이용 자동차 보조좌석
KR19980046868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90017854U (ko) 트럭과의 충돌을 대비한 승용차의 에어백 시스템
KR20030004734A (ko) 자동차의 조수석 무릎 보호장치
KR19980049939U (ko) 엔진보기류 차내 침입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