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469B1 -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469B1
KR100201469B1 KR1019960058524A KR19960058524A KR100201469B1 KR 100201469 B1 KR100201469 B1 KR 100201469B1 KR 1019960058524 A KR1019960058524 A KR 1019960058524A KR 19960058524 A KR19960058524 A KR 19960058524A KR 100201469 B1 KR100201469 B1 KR 10020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pact
delay time
shock
auxilia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500A (ko
Inventor
류인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4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구속장치 해제시스템은 충격센서의 신호와 더불어 작동되므로 후차충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차속센서로부터 제어부가 차량의 정지상태를 감지하고, 소정의 지연시간이 제어부에 설정되어 차량 충격후와 차량이 정지된 후 또한 지연시간 경과 후에 구속장치가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연시간내에서 주전원인 배터리는 차량 충격으로 인하여 그 전원공급이 방해될 우려가 크므로 별도의 보조전원을 구비하여 충격과 더불어 보조전원이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본 발명은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충격 후 차량이 정지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 구속장치를 해제하는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이다.
통상 차량의 충격은 구축물이나 상대 차량과 1차 충격과 그 결과 탑승자가 차내의 구조물에 충돌하는 2차 충돌로 구분된다. 따라서, 차량에는 2차 충돌로부터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각종 안전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전장치는 시트벨트의 보조장치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시트벨트는 3점 지지방식이 널리 채용되어 탑승자를 시트에 말착시켜 충격시관성에 의해 탑승자가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의 보조장치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에어백 시스템이며, 에어백 시스템은 에어백모듈과 제어모듈로 구성된다.
에어백모듈은 제어모듈의 신호에 따라 화약의 점화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며, 제어모듈은 차량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충격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모듈을 작동시키고, 사고사항을 기록하는 컨트롤유니트 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시트벨트와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충격시 연계작동이 되어 또하나의 안전장치인 구속장치 해제시스템을 이루며 예시도면 제1도에 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속장치 해제시스템은 차량충격후 승차원을 구속시키고 있는 시트벨트와 도어의 록킹 등을 해제시켜 탑승자가 신속히 차량에서 탈출하거나 구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제어부(1)를 위시하여 그 입력단에 충격센서(2)가 연결되고 출력단에 구속장치인 시트벨트(3)와 파워윈도우(4), 도어록킹장치(5) 등이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1)는 상기 각 구속장치가 해제되도록 작동수단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충격이 있게 되면 충격센서(2)로부터 신호에 의해 에어백이 전개된 다음 시트벨트의 록킹이 해제되고,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며, 윈도우글래스가 전개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각종 안전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발전된 일례로 차량충격후 탑승자의 탈출이나 구출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구속장치 해제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속장치 해제시스템은 충격센서의 신호와 더불어 작동되므로 후차충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충격은 견고히 고정된 구축물로의 충격뿐만 아니라 차량과 차량간에 더욱 빈번히 발생된다. 이 경우 차량의 충격은 여러번 반복하는 다중 추돌이나 충돌이 발생될 경우가 많으며, 이때 충격센서의 신호만으로 구속장치를 해제하는 것은 너무 빨리 해지시키는 것이므로, 최초충격후 후차충격에 있어서는 탑승자를 보호할 안전장치가 없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충격과 더불어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후 약간의 여유시간 후에 구속장치가 해제되는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속센서로부터 제어부가 차량의 정지상태를 감지하고 소정의 지연시간이 제어부에 설정되어 차량 충격후와 차량이 정지된 후, 또한 지연시간 경과 후에 구속장치가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연시간내에서 주전원인 배터리는 차량 충격으로 인하여 그 전원공급이 방해될 우려가 크므로 별도의 보조전원을 구비하여 충격과 더불어 보조전원이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구속장치 해제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2 : 보조전원
14 : 차속센서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어부(10)에 지연시간이 설정되고 보조전원(12)이 연결되어 충격센서(2)로부터 충격임이 감지되고 차속센서(14)로부터 차량이 정지되었음이 감지된 경우 상기 지연시간이 수행된 후 구속장치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충격센서(2)의 송출신호에 의해 제어부(10)는 배터리의 전원과 병렬로 보조전원(12)을 접속시키는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이다.
예시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며, 예시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의 작동신호인 충격센서(2)로부터 충격이 감지된 경우라도 제어부(10)는 소저의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구속장치를 해제하도록 하였다. 즉, 다중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후차충격을 고려하여 차량이 완전히 정지된 후 소정의 지연시간 후에 구속장치인 시트벨트, 도어록킹, 파워윈도우 등을 해제시킨 것이다. 여기서, 차량의 정지는 기존의 차속센서(2)를 이용하여 그 감지가 가능하고 지연시간은 충격의 감지와 차량의 정지조건이 만족된 후에 수행되도록 제어부(10)에 설정된다.
또한, 지연시간 후에 구속장치가 해제되므로 본 발명은 전원공급의 단락을 염려하여 보조전원(12)을 구비하였다. 즉, 차량의 바디는 강성이 우수한 세이프티 존인 차실내를 중심으로 충격시부재의 수축으로 인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크러시 존으로 구분된다. 크러시 존은 바디의 엔진룸 부분과 트렁크룸 부분을 말하며, 주지된 바와 같이 배터리는 크러시 존인 엔진룸 부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차량충격시 크러시 존인 엔진룸이 수축되면서 배터리의 파손이나 이에 연결된 와이어하니스의 단선 우려가 크며, 지연시간 후에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상기 구속장치를 해제시키지 못할 우려가 큰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전원(12)을 구비하여 지연시간 후에 확실히 구속장치가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전원(12)이 배터리와 같이 크러시존에 장착되는 것은 무의미하므로 세이프티존인 차실내에 장착되어 충격으로 인해 전력공급의 방해를 방지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보조전원(12)은 구속장치를 해제시키는 전원이면 충분하므로 배터리와 같은 큰 용량은 필요없고, 따라서 그 설치공간이 작아 차실내에 충분한 설치 공간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전원(12)은 제어부(10)에 연결되어 충격센서(2)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접속된다. 즉, 보조전원(12)은 제어부(10)의 스위칭소자에 연결되어 평시에는 단속되어 구동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충격이 있게 되면 제어부(10)가 차속센서(14)의 송출신호로부터 스위칭소자의 보조전원(12)을 접점시켜 주전원인 배터리 전원과 병렬연결하여 구동장치의 전원공급원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전원(12)이 차단되어 있는 정상주행 상태에서 차량충격이 있게 되면 충격센서(2)의 송출신호에 의해 보조전원(12)이 접속된다. 그러나, 이 경우도 구속장치로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는 차속센서(10)로부터 차량이 정지되었는가를 감지한다. 차량이 정지된 경우 비로소 제어부는 지연시간을 경과시키며 지연시간 후에 보조전원을 구속장치로 공급하여 이를 해제시키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전원을 구비하고 제어부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함과 더불어, 차량의 정지상태를 고려하여 차량충격시 차량정지 후 일정시간 후에 구속장치를 해제시킴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에 설치된 충격센서(2)를 이용하여 소정의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보조전원(12)을 접속하는 단계와; 차량에 설치된 차속센서(14)를 이용하여 차량이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차량이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지연시간을 수행하는 단계와;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3), 도어록킹장치(4) 및 파워윈도우(5)의 구속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KR1019960058524A 1996-11-27 1996-11-27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KR10020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24A KR100201469B1 (ko) 1996-11-27 1996-11-27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24A KR100201469B1 (ko) 1996-11-27 1996-11-27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00A KR19980039500A (ko) 1998-08-17
KR100201469B1 true KR100201469B1 (ko) 1999-06-15

Family

ID=1948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524A KR100201469B1 (ko) 1996-11-27 1996-11-27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4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00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122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ployment signal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uring a side impact crash
EP1258400B1 (en) Collision severity determining system
JP3064923B2 (ja) 作動可能抑制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4521014A (ja) ベルト引締力制限装置付き乗員拘束装置
KR20000016312A (ko) 탑승자 구속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KR100201469B1 (ko)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KR100201453B1 (ko) 차량 구속장치의 해제장치
JP2004284382A (ja) 乗員保護装置
JPH0713279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JP4203814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03175797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KR10044774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제어 시스템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9980054039U (ko) 범퍼내의 에어백장치
KR0124788Y1 (ko) 리어 범퍼 에어백
KR100337821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기폭 제어장치
KR100233594B1 (ko)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19980026416A (ko)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KR19980036224U (ko) 차량 충돌시 선루프 자동 개도장치
KR19990049484A (ko) 차량의 차체 에어백 장치
KR19980064276U (ko) 차량 사고시 구조 신호 발생장치
KR19980029969U (ko) 자동차의 도어록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