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594B1 -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 Google Patents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594B1
KR100233594B1 KR1019960080396A KR19960080396A KR100233594B1 KR 100233594 B1 KR100233594 B1 KR 100233594B1 KR 1019960080396 A KR1019960080396 A KR 1019960080396A KR 19960080396 A KR19960080396 A KR 19960080396A KR 100233594 B1 KR100233594 B1 KR 100233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movable plate
spring
electric actuator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028A (ko
Inventor
진형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59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후방충돌에 대응하는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충돌시 뒷좌석의 승객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충돌방향으로 장력을 발휘하는 장치로서, 백 패널(1)의 후방에서 다수개의 압축스프링(2)과 연결되고 트렁크 룸 내로 이동가능한 가동판(3)과, 상기 압축스프링(2)의 압축이 가능하게 상기 가동판(3)을 구속하는 스톱퍼(4)가 로드(5)의 선단에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가동판(3)의 구속을 해제하는 전기 액튜에이터(6)와, 차량의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7)와, 이 충돌감지센서(7)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에어 백 유니트(8), 그리고 이 에어 백 유니트(8)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액튜에이터(6)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프링작동 릴레이(9)를 구비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본 발명은 승용차의 후방충돌에 대응하는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Spring Apparatus for Preventing Passenger of Rear Sea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경우에는 뒷좌석과 트렁크의 사이에 실내와 트렁크실을 분리하면서 뒷좌석을 받쳐 주는 백 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플로어 패널은 뒷좌석이 고정된 부분으로 부터 트렁크로 이어져 있다.
그래서, 뒷차의 추돌에 의하여 후방충돌이 일어나면 트렁크 부분이 찌그러져 들어오면서 뒷좌석을 쳐 승객이 큰 상해를 입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방충돌시 뒷좌석의 승객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충돌방향으로 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스프링장치가 설치된 승용차 후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 패널 2 : 압축스프링
3 : 가동판 4 : 스톱퍼
5 : 로드 6 : 전기 액튜에이터
7 : 충돌감지센서 8 : 에어 백 유니트
9 : 스프링작동 릴레이 13 : 리어 범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백 패널(1)의 후방에서 다수개의 압축스프링(2)과 연결되고 트렁크 룸 내로 이동가능한 가동판(3)과, 상기 압축스프링(2)의 압축이 가능하게 상기 가동판(3)을 구속하는 스톱퍼(4)가 로드(5)의 선단에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가동판(3)의 구속을 해제하는 전기 액튜에이터(6)와, 차량의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7)와, 이 충돌감지센서(7)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에어 백 유니트(8), 그리고 이 에어 백 유니트(8)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액튜에이터(6)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프링작동 릴레이(9)를 구비시킨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판(3)은 좌우상하로 등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수개의 압축스프링(2)의 일단이 연결되고, 백 패널(1)의 후면에는 상기 압축스프링(2)의 타단이 연결된다. 가동판(1)의 하단 후방에는 걸림턱(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걸림턱(10)에 스톱퍼(4)가 걸린다.
전기 액튜에이터(6)의 입력단은 스프링작동 릴레이(9)의 접점에 연결된다. 스프링작동 릴레이(9)의 접점과 솔레노이드의 입력단은 배터리(11)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의 출력단은 에어 백 유니트(8)에 연결된다.
에어 백 유니트(8)에 부속하는 승객 에어 백(12a,12b)은 본 고안과 필요충분조건으로 부가되는 수단은 아니고, 다만 충돌감지센서(7)의 입력신호를 통상적으로 에어 백 유니트(8)가 받아 들여 출력하기 때문에 회로상에 부가시킨 것이다.
충돌감지센서(7)는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범퍼(13)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후방충돌이 일어나면 충돌감지센서(7)가 그 충돌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에어 백 유니트(8)가 받아 스프링작동 릴레이(9)에 출력한다. 그러면 스프링작동 릴레이(9)의 솔레노이드가 여자되어 접점이 붙고, 이에 따라 배터리(11)의 전원이 전기 액튜에이터(6)에 인가되어 로드(5)가 전진한다. 로드(5)가 전진하면 스톱퍼(4)가 가동판(3)의 구속을 해제한다. 그러면 압축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판(3)이 트렁크 내측으로 후진하므로 트렁크의 후방이 찌그러져 들어와도 압축스프링(2)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충격은 흡수되고, 이에 따라 뒷좌석(R)에 전달되는 충격은 크게 상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충돌시 트렁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의 찌그러짐을 적게 하고, 뒷좌석에 전달되는 충격을 경미하게 하므로서 승객의 상해치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백 패널의 후방에서 다수개의 압축스프링과 연결되고 트렁크 룸 내로 이동가능한 가동판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이 가능하게 상기 가동판을 구속하는 스톱퍼가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가동판의 구속을 해제하는 전기 액튜에이터와, 차량의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 이 충돌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에어 백 유니트, 그리고 이 에어 백 유니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액튜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프링작동 릴레이를 구비하는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KR1019960080396A 1996-12-31 1996-12-31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KR10023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396A KR100233594B1 (ko) 1996-12-31 1996-12-31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396A KR100233594B1 (ko) 1996-12-31 1996-12-31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028A KR19980061028A (ko) 1998-10-07
KR100233594B1 true KR100233594B1 (ko) 1999-12-01

Family

ID=1949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396A KR100233594B1 (ko) 1996-12-31 1996-12-31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5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028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JPH03281455A (ja) 車体側部への衝突エネルギ吸収装置
US5623246A (en)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a side impact
KR100233594B1 (ko) 뒷좌석 승객보호용 스프링장치
JPH0549523A (ja) エアバツグ装置を備えたヘツドレスト
CN214189581U (zh) 一种安全气囊装置
KR100794011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JP2002079900A (ja) 自動車
JP4446653B2 (ja) 衝突対象判別装置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US20220324402A1 (en) Vehicle side collision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1359986B1 (ko) 차량용 충돌상해 저감 장치
KR100201469B1 (ko)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60007314A (ko)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KR01508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930002010Y1 (ko) 자동차용 인명 보호장치
KR0138554B1 (ko) 셔터를 이용한 화물 격벽 안전장치
KR0132600Y1 (ko) 에어백 보조안전장치
KR0185337B1 (ko)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KR19980029415A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9980035597U (ko)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에어 백 시스템
KR19980074971A (ko) 차량 충돌시 승객의 2차충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