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337B1 -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337B1
KR0185337B1 KR1019950060651A KR19950060651A KR0185337B1 KR 0185337 B1 KR0185337 B1 KR 0185337B1 KR 1019950060651 A KR1019950060651 A KR 1019950060651A KR 19950060651 A KR19950060651 A KR 19950060651A KR 0185337 B1 KR0185337 B1 KR 018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airbag
panel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499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337B1/ko
Publication of KR97003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운전석의 조향휠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 순간적으로 터지는 에어백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헤드레스트에 가해지는 머리부와 목부분의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백이 설치되는 한편, 자동차의 후로워 패널에 어퍼 레일과 로우어 레일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며 시트쿠션, 시트백, 헤드레스트로 구성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레일의 전방 하부에 에어백 센서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그 후방 하부에 상기 후로워 패널과 힌지결합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로워 패널 12 : 어퍼 레일
14 : 로우어 레일 16 : 에어백 센서
18 : 솔레노이드 19 : 플런저
20 : 힌지 22 : 시트
22a : 시트쿠션 22b : 시트 백
22c : 헤드레스트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충돌시 운전석의 조향휠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 순간적으로 터지는 에어백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헤드레스트에 가해지는 머리부와 목부분의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 특히 전방시트(운전석과 조수석)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으로부터 운전자 및 승차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시트벨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트벨트 장치는 차량 외부의 충격력으로 운전자를 비롯한 승차자가 앞으로 쏠리는 것에 반하여 강제로 제지하도록 하는 기계적인 장치로써, 이는 차량 충돌시 머리부분이 조향휠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딪혀 심한 부상을 초래케 하는 심각한 부상으로 부터 충분히 방어하지는 못하였다.
심지어는 안전벨트가 체결되는 승차자의 가슴부분에 그 충격력으로 인한 벨트의 가압으로 더욱 심한 손상을 발생시킴으로써 구조적인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승차자의 보호대안으로 설정이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지하여 순간적으로 만충된 튜브를 토출하도록 하는 에어백을 운전석의 조향휠 및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측면도어에 설치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백은 승차자의 안면부를 충분히 그 충격력으로 부터 보호할지는 모르지만 다시 리바운딩되어 뒷머리부분 또는 목부분이 시트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부딪혀 뇌출혈이나 뇌진탕, 척추손상으로 인한 반신불수 등의 심각한 부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으로 부터 완전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운전석의 조향휠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 순간적으로 터지는 에어백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헤드레스터에 가해지는 머리부와 목부분의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백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백이 설치되는 한편, 자동차의 후로워 패널에 어퍼 레일과 로우어 레일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시트쿠션, 시트백, 헤드레스트로 구성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레일의 전방 하부에 에어백 센서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그 후방 하부에 상기 후로워 패널과 힌지결합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에어백 센서(16)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백(도시않됨)이 설치되는 한편, 자동차의 후로워 패널(10)에 어퍼레일(12)과 로우어레일(14)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시트쿠션(22a), 시트백(22b), 헤드레스트(22c)로 구성된 시트(22)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12)과 슬라이딩 결합된 로우어 레일(12)의 전방 하부에 차량 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지하여 공기가 충만된 에어백(도시않됨)을 토출토록 하는 에어백 센서(16)와 연결되어 시트쿠션(22a) 전방부를 일정범위 상향회동하게 함으로써 시트 백(22b), 헤드레스트(22b)를 하향되게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8)의 플런저(19)를 회동 설치하고, 또한 상기 어퍼 레일(12)과 슬라이딩 결합된 로우어 레일(12)의 후방 하부에 상기 후로워 패널(10)과 힌지(20) 결합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차량 전방으로부터 에어백 센서(16)가 감지하는 허용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에어백 센서(16)에 의해서 공기가 순간적으로 충만되는 에어백이 토출되면서 충격력에 의해 전방으로 쏠리는 운전자 및 승차자의 안면부를 보호하는 한편, 다시 승차자는 리바운드되어 시트(22)의 헤드레스트(22c)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에어백 센서(16)에 의한 솔레노이드(18)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러한 전원신호로 상기 솔레노이드(18)의 플런저(19)는 시트쿠션(22a)을 일정범위 상향 회동시키게 함과 동시에 시트백(22b), 헤드레스트(22c)를 로우어 레일(12)의 후방 하부에 회동결합된 힌지(20)에 의해 일정범위 회동시킨다.
이에, 운전자를 비롯한 승차자의 리바운딩되는 속도에 대향하는 시트(22)의 회동으로 헤드레스트(22c)에 닿는 머리부 또는 목부분의 충격력이 감쇠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차에 적용하게 되면, 에어백에 리바운딩되어 뒷머리부분 또는 목부분이 시트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부딪혀 뇌출혈이나 뇌진탕, 척추손상으로 인한 반신불수 등의 심각한 부상을 일으키는 종래의 문제점으로 부터 완전히 해방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에어백 센서(16)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백이 설치되는 한편, 자동차의 후로워 패널(10)에 어퍼 레일(12)과 로우어 레일(14)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시트쿠션(22a), 시트백(22b),헤드레스트(22c)로 구성된 시트(22)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레일(12)의 전방 하부에 에어백 센서(16)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8)를 설치하고, 그 후방 하부에 상기 후로워 패널(10)과 힌지(20)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KR1019950060651A 1995-12-28 1995-12-28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KR018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651A KR0185337B1 (ko) 1995-12-28 1995-12-28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651A KR0185337B1 (ko) 1995-12-28 1995-12-28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99A KR970039499A (ko) 1997-07-24
KR0185337B1 true KR0185337B1 (ko) 1999-05-01

Family

ID=1944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651A KR0185337B1 (ko) 1995-12-28 1995-12-28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3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99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223B1 (ko) 편타증중화(countereact)장치
KR100571888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JPH07186870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US6305711B1 (en) Vehicle safety apparatus including movable infl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0185337B1 (ko)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JP4099849B2 (ja) 車輌の後部構造
JPH07267038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KR0161187B1 (ko) 차량 충돌시 전방시트의 밀림장치
KR100313321B1 (ko) 차량의탑승자보호장치
KR20040072920A (ko)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00448129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조
KR100483784B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KR200152245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100205872B1 (ko)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KR200152246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19990020926U (ko) 완충 에어백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KR19980074971A (ko) 차량 충돌시 승객의 2차충돌 방지장치
KR200398232Y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KR100537312B1 (ko) 자동차용 무릎 보호 장치
KR19990035233U (ko) 자동차용에어쿠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38423U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37904U (ko) 승객 전방 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