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246Y1 -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246Y1
KR200152246Y1 KR2019970020423U KR19970020423U KR200152246Y1 KR 200152246 Y1 KR200152246 Y1 KR 200152246Y1 KR 2019970020423 U KR2019970020423 U KR 2019970020423U KR 19970020423 U KR19970020423 U KR 19970020423U KR 200152246 Y1 KR200152246 Y1 KR 200152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 seat
seat
occupant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930U (ko
Inventor
강윤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2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리어범퍼부(11)에 충격감지센서(21)를 장착하고, 차량용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상단부에 탑승자의 밀착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센서(22)를 장착하며, 상기 센서들(21,22)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ECU(23)가 콘트롤하도록 회로연결하되, 상기 ECU(23)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에어백(24)을 상기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상단부에 장착한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어시트의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가 후두부를 시트백의 상단부에 걸치지 않은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충돌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탑승자의 후두부가 관성에 의해 뒤로 젖혀지면서 목부위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후방충돌시 리어시트에서 별도의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지 않은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가 관성력에 의해 후두부가 뒤로 젖혀져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전측상단부에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차량의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은 관성력에 의하여 몸이 앞뒤로 튕겨져 나가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사고에 대비하여 각 시트에 시트벨트를 설치하여 탑승자들을 보호하기는 하나, 상기 시트벨트로써는 탑승자들을 완벽하게 보호하지는 못하게 된다.
이에따라, 차량의 정면충돌시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들은 관성력에 의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및 윈드실드글라스부로 몸이 튕겨져나가 큰 상해를 입게되는 경우를 방지하고자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에는 에어백이 장착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차량의 후방충돌 발생시 탑승자들은 관성력에 의하여 신체가 뒤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데, 이때에는 쿠션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에 의해 충격이 감쇠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어시트에서 센터측은 운전자의 후방시야확보를 목적으로 별도의 헤드레스트를 구비하지 않음으로 상기 리어시트에서 센터측에 탑승자가 있을 때 차량의 후방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탑승자가 관성력에 의해 후두부가 뒤로 젖혀지면서 목부위에 큰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리어시트에서 별도의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지 않은 센터측의 시트백 상단부에 에어백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충돌에 의한 관성력으로 상기 리어시트의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의 후두부가 젖혀지면서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차량의 리어범퍼부에 충격감지센서와, 리어시트에 접촉감지센서 및 에어백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하여 차량용 리어시트에 접촉감지센서 및 에어백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차량용 리어시트에 장착된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록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리어시트, 12:시트백, 21:충격감지센서, 22:접촉감지센서, 24:에어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범퍼부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와, 차량용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상단내측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밀착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콘트롤하는 ECU와, 상기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ECU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에어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상단부에 에어백을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중 강하게 후방충돌이 발생되면, 차량의 리어시트부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가 이의 신호를 ECU에 보내고, 이때, 상기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에 장착된 접촉감지센서가 탑승자의 신체와 미접촉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ECU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ECU가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상단에 장착된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리어범퍼부(11)에 충격감지센서(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차량의 리어시트(10)에서 센터측의 시트백(12) 상단내측부에 접촉감지센서(2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21) 및 접촉감지센서(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베터리(20) 및 ECU(23)에 회로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리어시트(10)에서 센터측 시트백(12)의 전측상단부에는 에어백(24)이 장착되어 있으며, 역시 ECU(23)에 회로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후방에 강한 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차량의 리어범퍼부(11)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21)가 충돌됨을 센싱하여 ECU(23)로 신호를 송신하고, 이때, 차량용 리어시트(10)의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의 후두부가 상기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상단부에 접촉되지 않은상태라면 상기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에 장착된 접촉감지센서(22)가 미접촉상태로 센싱된 신호를 역시 ECU(23)로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ECU(23)는 차량용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전측상단부에 장착된 에어백(24)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에어백(24)은 상기 작동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가 작동하고 질소가스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질소가스에 의하여 에어백이 백커버를 뚫고 부풀어올라 리어시트(10)의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의 후두부에 대한 충격력을 완화시켜 목부위의 손상됨을 예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의 후방충돌시 리어시트(10)의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상단부에 가볍게 후두부를 기댄상태라면 상기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이 쿠션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굳이 에어백(24)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탑승자가 큰 상해를 입지않게 됨으로써, 상기 접촉감지센서(22)가 탑승자의 후두부와 시트백(12)의 접촉상태를 센싱한 신호를 ECU(23)로 송신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24)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범퍼부에 충격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차량용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내측에 탑승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ECU가 콘트롤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ECU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에어백을 리어시트의 센터측 시트백 상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리어시트의 센터측에 탑승한 탑승자가 후두부를 시트백의 상단부에 걸치지 않은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충돌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탑승자의 후두부가 관성에 의해 뒤로 젖혀지면서 목부위가 큰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용 리어시트(1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리어범퍼부(11)에 충격감지센서(21)를 장착하고, 차량용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내측상단부에 탑승자의 밀착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센서(22)를 장착하며, 상기 센서들(21,22)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ECU(23)가 콘트롤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리어시트(10)의 센터측 시트백(12) 상단부에 상기 ECU(23)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에어백(24)을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2019970020423U 1997-07-30 1997-07-30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200152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423U KR200152246Y1 (ko) 1997-07-30 1997-07-30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423U KR200152246Y1 (ko) 1997-07-30 1997-07-30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30U KR19990006930U (ko) 1999-02-25
KR200152246Y1 true KR200152246Y1 (ko) 1999-07-15

Family

ID=1950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423U KR200152246Y1 (ko) 1997-07-30 1997-07-30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2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30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361A (en) Side airbag apparatus
JPH05208647A (ja) 自動車の前席乗員用保護装置
JPH07186870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KR200152246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100278475B1 (ko) 자동차용 에어시트
KR200152245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0116919Y1 (ko) 차량 충돌시 뒤로 젖혀지는 자동차용 시트(a seat for motor turning back when motor run into other)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KR100190457B1 (ko) 파열 각도에 따른 에어 백 제어 방법
KR100190456B1 (ko) 리프팅 시트를 이용한 에어 백 제어 방법
KR100447317B1 (ko) 후방이동용 시트 구조
KR20020047968A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H0585290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KR100187820B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19980085620A (ko) 차량 충돌시 목부상 방지장치
KR19980035739U (ko) 후방 추돌 충격 저감장치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20040072920A (ko)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9980028516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18063U (ko) 자동차의 루프 에어백
KR19990006937U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